최근 수정 시각 : 2025-07-18 22:56:11

남상근

남형율에서 넘어옴

파일:베리타스법학원.gif | 파일:고시닷컴.gif
베리타스 법학원의 변호사시험, 법조윤리시험 강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공법 형사법
헌법 행정법 기록형 형법 형사
소송법
기록형
금동흠 류준세 이우백 이인규 김영환 정현석
정선균 정현석 정현석
조홍주 남형율 남형율
박도현
민사법 선택과목 법조윤리
민법 민사
소송법
상법 기록형 국제법 정일배
이태섭 이종훈 장용준 이관형 이종훈
이관형 이관형 환경법
곽낙규 장용준 이관형
장용준
}}}}}}}}} ||
남상근
파일:남형율.png
[1][본]
<colbgcolor=#66cccc><colcolor=#fff> 활동명 남형율[3][본]
출생 1963년 4월 6일 ([age(1963-04-06)]세)[5]
직업 법학자, 강사
가족 배우자, 슬하 1남[6]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7]
학력 한양대학교 대학원 (법학 / 박사)
약력 한양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 대학원 겸임교수
경찰청 수사연수원 65~67기 수사지휘과정 형법판례 특강 강사
명지대학교, 가천대학교, 강원대학교 법과대학 형법·형사소송법 강사
경성대학교 법학과 형법·형사소송법 특강 강사
現) 뉴엠 평생교육원, 위더스 평생교육원 경찰행정학과 형법 전임강사
소속 베리타스법학원(변호사시험)
청주 한교고시학원 경찰 형사법 담당
과목 상법, 형법, 형사소송법
1. 개요2. 법조인 경력3. 상법 강의4. 형사법 강의5. 특징
5.1. 글씨5.2. 말버릇5.3. 강의 방식
6. 어록7. 신념8. 인간 관계9. 여담

1. 개요

베리타스 변호사시험 형사법 강사 및 경찰승진시험 담당 교수.

2. 법조인 경력

3. 상법 강의

4. 형사법 강의

형법은 말 그대로 저자 직강. 교수 본인이 직접 다년 간 연구, 개발 및 검토를 거친 끝에 2022년에 초판본을 출판한 베스트에듀사 통합 형법 총론, 각론 교재를 사용한다.[8] 경찰시험 기준으로 출제될 가능성이 거의 드문 영역[9]은 과감히 X 치고 건너뛰라 하며, 자주 출제되는 판례 유형들은 "핵심 기출 판례" 파트에 수록해 놓고 매우 중요함을 강조한다.

형소법은 여타 강사와 비슷하게 가르치는 편이나 주로 에듀윌의 교수 김종욱의 교재를 애용한다.

5. 특징

5.1. 글씨

글씨를 휘갈겨 쓰는 편이라 학생들이 잘 못 알아볼 때가 많다. 이 때문에 한교고시학원의 권계환 원장도 도저히 못 알아보겠다고 할 정도.

또한 글자를 쓸 때 한자를 섞어서 쓰는 버릇이 있다. 이 때문에 글자를 알아보기가 한층 더 어렵다. 이 점은 매우 아쉽게 느껴질 따름이다.

5.2. 말버릇

ㅡ와 ㅓ의 발음을 구별하지 못한다. 그래서 가끔 학생들의 이름을 틀리는 일도 있다.[10]

경찰시험을 포졸시험이라 부르기도 한다.

강의 때 영어를 가끔 쓴다. 하단의 어록 참고.

5.3. 강의 방식

중요한 부분은 키워드를 묶어서 말장난 방식으로 외우게 한다.

학생들에게 활력을 불어 넣고자 하는 것인지 강의 동안 수강생들과 활발히 의사소통을 하고, 호탕하고 유머러스한 강의가 많다. 이 때문인지 학생들에게 예시를 들 때 극단적으로 드는 경향이 있다.[11]

본인이 집필한 형법총론, 각론 교재를 조만간 개정할 계획이라 한다. 필요없거나 지엽적인 이론과 판례들은 삭제하고 최신판례 및 개정된 판례나 법조문을 수록하여 개정판을 다시 출판할 것으로 보인다.

손수 제작한 전범위 모의고사 문제 난이도가 꽤 있는 편이다. 그래도 교수 본인만의 문제 푸는 팁을 전수해 준다.

6. 어록

  • 오케이, 오게이, 오게이~
  • 할렐루야!
  • 당구장 표시.
  • 고개 들어. 적지 말고.
  • 밧트, 그러나!
  • 잠시 쉬었다가 하겠습니다.

7. 신념

정치는 전과가 없고 젊은 사람이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21대 대선에서 수강생들에게 이준석에게 표를 주기를 부탁했을 정도.

그리고 "법이란 쉽게 설명되어야 하는 것이다."라며, 현재의 법률 용어는 너무 어렵다는 생각도 갖고 있다.

그 외에 법학자답게 수업 때 여타 강사들처럼 시험 합격을 위한 꼼수로 설명하기보다는 본인만의 철칙이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론에 대한 지적을 꽤나 하는 편이다. 흔히 말하는 리걸 마인드가 잡혀 있는 셈.

8. 인간 관계

9. 여담

  • 2025년 5월 29일 부로 자신의 문서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앞으로는 언행을 더욱 조심하기로 마음 먹었다고 한다.
  • 매주 목요일에 청주 한교고시학원에 출근할 때 새벽 5시에 기상한 후 고속버스를 이용해 출근한다고 한다.
  • 21대 대통령 이재명을 닮았으며 본인도 이 사실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심지어 두 사람 모두 1963년 출생의 동갑이다.
  • 현재 한국법협회에 ‘간사’라는 직책을 맡고 있다.
  • 학생들 이름을 상당히 잘 기억한다. 특히 맨 앞에 앉아서 수강하는 학생들.[14]

[1] 40대 시절의 모습으로, 현재는 모습이 바뀌었다.[본] 본인이 직접 증언했다.[3] 저서 제작 과정에서 만들어진 활동명으로, 법과 법에서 한 글자씩 따왔다. 정작 당사자는 발음이 어렵다며 이 이름을 싫어해서, 조만간 활동명을 본명으로 바꿀 생각이다.[본] [5] 김중근 교수와 선후배 지간임을 밝혔으며 김승봉 교수와도 마찬가지로 선후배라고 한다.[6] 2024년 11월 7일 경 모친상을 당했다.[7] 군입대를 꽤 늦은 나이인 27세(만 26세로 추정)에 했다고 한다. 당시 년도는 1989년이었다.[8] 다만 기출문제집이나 진도별 모의고사 문제집은 출판하지 않았다.[9] 객관주의, 주관주의의 비교, 식용수 관련 범죄, 한시설 등.[10] 승범 → 성범, 승상 → 성상, 대성 → 대승 등.[11] 다만 그 덕에 그만큼 예시를 이해하기가 쉽다.[12] 상술한 김중근 교수와 김승봉 교수는 선후배 지간이며 강의 중간에 그들의 강의 스타일을 언급하기도 한다.[13] 1969년생으로 청주에서의 유일한 공무원 시험 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위치는 사창동 사창사거리 한복판에 자리잡고 있다. 청주에서 다른 공무원 학원들은 모조리 폐강 및 폐원된 와중에 유일하게 살아남은 케이스.[14] 이 학생들 중 1명은 2025년 1차 경찰공무원 최종 합격자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