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쯔강 업테이트를 하면서 악세서리가 처음 출시되었다. 그래서 양쯔강 이후로는 악세서리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면 그냥 조업이 불가능하다. 양쯔강 자체는 그래도 높은 악세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3~400 정도면 가능하다. 여담으로 지중해와 양쯔강의 고기 피 차이는 거의 없다.
악세서리가 500만 되어도 히든까지 잡을 수 있던 호주와는 달리 나세르 호수 조업이 가능하려면 악세서리가 최소 800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초보들에게 큰 벽으로 느껴질 수 있다. 1000정도면 빅토리아 호수에서 조업이 가능하다. 슬1, 2가 나3과 비교했을 때 효율성이 떨어지기에 1300까지는 빅토리아 호수에서 보통 머문다.
낚시의 신을 하면서 오래 머무르는 지역이다. 아이슬란드 부터는 렙에 따른 드랍률 너프가 없어서 만렙이여도 아이슬란드에서 조업해도 받는 불이익이 없고, 다음지역인 버뮤다에 가려면 장비부터 다 맞춰야 되기 때문에 여기에 오래있게 되거나 아예 버뮤다 이상을 넘어가지 않기도 한다. 그리고 여기부터 고기가 길드포인트를 잘 주기 때문에 조업하기도 좋은 편. 비록 드랍률 너프가 생겼지만, 만악이여도 버뮤다 조업이 빠르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길조, 1대1 등으로 위상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물고기들의 파워 인플레의 시작점이다. 버뮤다부터는 여러 가지 이유들로 밑에 지역들과 차별화가 된다. 1. 그 이전까지는 1맵 2맵 3맵별로 차이가 없었는데, 이제는 차이가 생긴다. 1맵에서는 일반 데미지, 2맵에서는 신비 데미지를 요구하며, 3맵에서는 둘 다 가능하다. 1맵과 2맵은 같은 레벨에 입장이 가능하며, 둘중 하나만 도감을 완성해도 3맵이 열린다. [11] 2. 갑자기 난이도가 확 뛴다. 고기의 피도 아이슬란드의 몇 배는 되며, 편안한 조업을 위해서는 만악 언저리의 악세서리를 요구한다. 또 이 지역부터는 길드전도 없고, 그래서인지 장비에 지역대어로 추가되지 않는다. [12] 3. 버뮤다부터는 낮은확률로 4성재료, 초티, 6옵초 등 희귀한 아이템을 매우 적은 확률로 얻을 수 있다.[13] 4. 멸종했던 과거의 물고기들이 등장한다. 그래서인지 같은 물고기를 색깔을 바꿔서 돌려쓰지 않는다.디자인팀 오열
진정한 통곡의 벽의 시작. 무과금이 여기에 온다면 버뮤다는 그냥 아무것도 아닌게 되며물고기의 난이도가 너무 세고 요구하는 악세사리도 너무 높아 15초강 이상의 가이아 풀셋, 부스터 떡칠을 해야만 잡을 수 있다. 사실상 여기서 부터는 편한 조업을 위해선 거의 반필수적으로 현질을 해야 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1] 나머지는 모두 10개이다.[2] 컴투스에서 수컷을 숫컷이라고 오타를 내었다...[3] 버뮤다의 물고기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멸종한 물고기이다.[4] 악세서리가 출시된것은 양쯔강부터이고 여기까지는 명중력과 체력이 전혀 필요없기 때문에 장비빨로만 잡는 것이 가능은 하다.[5] 미노르카 마온에 나오는 다금바리와 같은 종이다...[6] 맞춤법 상 "강의 악마"가 맞지만 인게임에선 "강의악마"라고 나와 있다.[7] 원래 은빛 포트홀 동자개였으나 번경되었다.[8] 인게임에선 띄어쓰기 없이 "나일강"이다.[9] 옛날에는 폴립테루스(데르헤지)가 타겟미끼 어종이었으나 전기메기로 바뀌었다.[10] 옛날엔 마블 헤체트가 타겟미끼 어종이였다.[11] 그래서 2맵이 찬밥 취급을 받는다. 딱히 갈 이유도 없는데 신비장비라 사이즈도 작고 조업이 힘들기 때문이다.[12] 그래서 밑에 지역보다 대어가 20% 낮아서 사이즈가 더 작은 고기가 올라온다.[13] 나오는 아이템은 맵마다 다른데, 1맵에서 4성재료, 2맵에서 초티, 3맵에서 저 둘과 6옵초가 나온다고 한다.[14] (와일드 어종 제외) 낚시의 신에 현재까지 구현된 물고기 중 이름이 제일 길다.[15] 여담으로 미노아의 4성 물고기들은 모두 신화속 가족관계로 나오는 사이이다. 오레스테스가 아들, 엘렉트라가 딸, 아가멤논이 아버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