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
김종하 | 이주영 | 김정부 | 강삼재 | |
진주 | ||||
김학송 | 하순봉 | 김동욱 | 이방호 | |
김해 | 밀양·창녕 | 거제 | 양산 | |
김영일 | 김용갑 | 김기춘 | 나오연 | |
의령·함안 | 산청·합천 | 남해·하동 | 함양·거창 | |
윤한도 | 김용균 | 박희태 | 이강두 | |
* 마산 회원 김호일 의원직 상실 (2002.2.25.) | ||||
◀ 제15대 제17대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328,919명 (2000) | |||||
상위 행정구역 | 경상남도 | |||||
관할 구역 |
| |||||
신설년도 | 1996년 | |||||
이전 선거구 | 김해시·김해군 | |||||
폐지년도 | 2004년 | |||||
이후 선거구 | 김해시 갑, 김해시 을 |
1. 개요
경상남도 김해시를 관할하는 선거구이다. 이전까지는 김해시·김해군 선거구였는데 1995년에 김해군이 김해시로 통합되면서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선거구 명칭이 김해시로 바뀌게 되었다. 이후 김해시의 인구가 급증하여 인구 상한선을 돌파하며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때부터는 김해시 갑과 김해시 을로 선거구가 분구되어 이 선거구는 폐지되었다. 이 선거구의 마지막 국회의원은 한나라당 김영일이었다.현재는 영남 내에서 보기 드물게 민주당계 정당 우세 지역이 된 김해시이지만 사실 이 선거구가 있었을 당시엔 지금과는 다르게 오히려 보수 정당이 상당히 강세를 보였던 지역이었다. 김해시·김해군였을 당시엔 민주정의당 이학봉이 이곳에서 국회의원을 지냈고 그 후로도 역시 보수 정당 소속인 김영일이 3선을 지냈다. 즉, 1990년 3당 합당 이전부터 본래 보수 정당이 강세를 보였던 곳인 셈이다.
그랬던 곳이 2002년에 제16대 대통령 선거 때 진영읍 출신의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점차 민주당계 정당의 지지세가 강해져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이후의 역사는 김해시 갑, 김해시 을 문서를 참고바람.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rowcolor=#fff>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15대 | 김영일 |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16대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김해시 김해시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영일(金榮馹) | 53,115 | 1위 |
| 50.99% | 당선 | |
2 | 오세호(吳世豪) | 5,732 | 5위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 5.50% | 낙선 | |
3 | 이광희(李光熙) | 15,966 | 2위 |
| 15.32% | 당선 | |
4 | 홍의표(洪議杓) | 13,503 | 3위 |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 12.96% | 낙선 | |
5 | 김병환(金秉煥) | 3,338 | 7위 |
| 3.20% | 낙선 | |
6 | 류신현(柳信鉉) | 4,829 | 6위 |
| 4.63% | 낙선 | |
7 | 장중웅(張重雄) | 7,681 | 4위 |
| 7.3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76,534 | 투표율 60.48% |
투표 수 | 106,763 | ||
무효표 수 | 2,599 |
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김해시 김해시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영일(金榮馹) | 68,961 | 1위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66.74% | 당선 | |
2 | 이봉수(李鳳洙) | 12,559 | 2위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 12.15% | 낙선 | |
3 | 홍의표(洪議杓) | 9,819 | 3위 |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 9.50% | 낙선 | |
4 | 류신현(柳信鉉) | 7,126 | 4위 |
| 6.89% | 낙선 | |
5 | 김갑영(金甲泳) | 4,858 | 5위 |
| 4.7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18,371 | 투표율 47.92% |
투표 수 | 104,638 | ||
무효표 수 | 1,315 |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0a8><bgcolor=#0000a8> 16대 총선 경남 김해시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한나라당 | 새천년민주당 | 자유민주연합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김영일 | 이봉수 | 홍의표 | ||
득표수 (득표율) | 68,961 (66.74%) | 12,559 (12.15%) | 9,819 (9.50%) | + 56,402 (△54.59) | 104,638 (47.92%) |
진영읍 | 69.22% | 9.36% | 10.04% | △59.18 | 48.93 |
장유면 | 69.68% | 8.84% | 9.83% | △59.85 | 54.62 |
주촌면 | 69.09% | 9.04% | 12.49% | △56.60 | 55.47 |
진례면 | 73.95% | 6.94% | 5.21% | △63.74[1] | 56.59 |
한림면 | 67.54% | 9.33% | 8.85% | △57.14[2] | 53.09 |
생림면 | 71.40% | 11.01% | 6.79% | △60.39 | 57.75 |
상동면 | 39.50% | 53.34% | 2.52% | ▼13.84 | 66.87 |
대동면 | 69.74% | 13.36% | 5.80% | △56.39 | 53.97 |
동상동 | 68.43% | 8.30% | 14.50% | △53.93 | 50.56 |
회현동 | 66.52% | 6.86% | 18.13% | △48.39 | 48.89 |
부원동 | 66.27% | 9.18% | 14.53% | △51.74 | 48.62 |
내외동 | 66.10% | 12.37% | 8.07% | △53.73 | 44.15 |
북부동 | 64.40% | 11.86% | 13.93% | △50.47 | 47.41 |
칠산서부동 | 72.62% | 7.21% | 13.11% | △59.51 | 58.46 |
활천동 | 65.96% | 14.39% | 8.18% | △51.58 | 41.23 |
삼안동 | 65.18% | 15.11% | 7.29% | △50.07 | 39.77 |
불암동 | 67.71% | 10.91% | 11.93% | △55.78 | 47.85 |
후보 | 김영일 | 이봉수 | 홍의표 | 격차 | |
부재자투표 | 66.51% | 9.51% | 9.35% | △57.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