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ED11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 |||
<colcolor=#FED11E> 상무위원 | <colbgcolor=#fff,#222>2010년 9월 전원회의 김정일·김영남·최영림·조명록·리영호 | |||
2012년 4월 4차 당대표자회 김정은·최룡해(승진) | ||||
2015년 2월 정치국 확대회의 황병서 | ||||
위가나원 | 2010년 9월 전원회의 김영춘·전병호·김국태·김기남·최태복·양형섭·강석주·변영립·리용무·주상성·홍석형·김경희 | |||
2012년 4월 4차 당대표자회 김정각(승진)·장성택(승진)·박도춘(승진)·현철해·김원홍·리명수 | ||||
2013년 3월 전원회의 박봉주 | ||||
2015년 2월 정치국 확대회의 김양건(승진)·오수용(승진)·곽범기(승진)·최룡해(강등)[1] [1] 이때 현영철도 보선되었다는 추정 존재. | ||||
후보위원 | 2010년 9월 전원회의 김양건·김영일·박도춘·최룡해·장성택·주규창·리태남·김락희·태종수·김평해·우동측·김정각·박정순·김창섭·문경덕 | |||
2012년 4월 4차 당대표자회 곽범기·오극렬(강등, 복귀)·로두철·리병삼·조연준 | ||||
2013년 3월 전원회의 현영철·김격식·최부일 | ||||
2014년 4월 정치국 회의 리영길·오수용[2] [2] 이때 장정남도 보선됐다는 추정 존재.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C001B, #BC0021 20%, #BC0021 80%, #9C001B);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3478,#C39335> 제10기 (1998년 10월 5일 ~ 2003년 9월 3일) | |||
조창덕 | 1998년 10월 5일 ~ 2003년 9월 3일 | 제10기 최고인민회의 1차 회의 선출 | ||
곽범기 | 1998년 10월 5일 ~ 2003년 9월 3일 | |||
신일남 | 2002년 4월 29일 ~ 2003년 9월 3일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임명, 수도건설위원회 위원장 겸직 | ||
<rowcolor=#003478,#C39335> 제11기 (2003년 9월 3일 ~ 2009년 4월 9일) | ||||
곽범기 | 2003년 9월 3일 ~ 2009년 4월 9일 | 제11기 최고인민회의 1차 회의 선출 | ||
로두철 | 2003년 9월 3일 ~ 2009년 4월 9일 | |||
전승훈 | 2003년 9월 3일 ~ 2009년 4월 9일 | |||
태종수 | 2007년 10월 16일 ~ 2009년 4월 9일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임명 | ||
<rowcolor=#003478,#C39335> 제12기 (2009년 4월 9일 ~ 2014년 4월 9일) | ||||
<rowcolor=#003478,#C39335> 제1차 | ||||
로두철 | 2009년 4월 9일 ~ 2014년 4월 9일 | 제12기 최고인민회의 1차 회의 선출 |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 겸임 | |
곽범기 | 2009년 4월 9일 ~ 2010년 6월 7일 | 3차 회의 해임 | ||
태종수 | 2009년 4월 9일 ~ 2010년 6월 7일 | |||
오수용 | 2009년 4월 9일 ~ 2010년 6월 7일 | |||
박명선 | 2009년 9월 4일 ~ 2010년 6월 7일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임명 | ||
박수길 | 2009년 9월 18일 ~ 2012년 5월 13일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임명 | 재정상 겸임 5차 회의 해임 | |
<rowcolor=#003478,#C39335> 제3차 | ||||
강능수 | 2010년 6월 7일 ~ 2014년 4월 9일 | 제12기 최고인민회의 3차 회의 선출 | ||
조병주 | 2010년 6월 7일 ~ 2014년 4월 9일 | 기계공업상 겸임 | ||
한광복 | 2010년 6월 7일 ~ 2012년 (추정) | 중앙위원회 과학교육부장으로 이동 | ||
리태남 | 2010년 6월 7일 ~ 2011년 4월 7일 | 4차 회의 해임 | ||
김락희 | 2010년 6월 7일 ~ 2012년 5월 13일 (추정) | 5차 회의 해임 | ||
전하철 | 2010년 6월 7일 ~ 2012년 5월 13일 | |||
강석주 | 2010년 9월 23일 ~ 2014년 4월 9일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임명 | ||
리무영 | 2011년 5월 31일 ~ 2014년 4월 9일 | |||
<rowcolor=#003478,#C39335> 제5차 | ||||
리승호 | 2012년 4월 13일 ~ 2013년 4월 1일 | 제12기 최고인민회의 5차 회의 선출 | 7차 회의 해임 | |
리철만 | 2012년 4월 13일 ~ 2014년 4월 9일 | |||
김인식 | 2012년 4월 13일 ~ 2014년 4월 9일 | 수도건설위원회 위원장 겸임 | ||
전승훈 | 2012년 8월 18일 ~ 2014년 4월 9일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임명 | ||
<rowcolor=#003478,#C39335> 제13기 (2014년 4월 9일 ~ 2019년 4월 12일) | ||||
<rowcolor=#003478,#C39335> 제1차 | ||||
로두철 | 2014년 4월 9일 ~ 2019년 4월 12일 | 제13기 최고인민회의 1차 회의 선출 | 국가계획위원장 겸임 | |
리무영 | 2014년 4월 9일 ~ 2018년? | 화학공업상 겸임 | ||
리철만 | 2014년 4월 9일 ~ 2016년 6월 29일 | 농업상 겸임 4차 회의 해임 | ||
김용진 | 2014년 4월 9일 ~ 2016년 7월? | 총살설 존재 | ||
김덕훈 | 2014년 4월 30일 ~ 2019년 4월 12일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임명 | ||
임철웅 | 2014년 5월 22일 ~ 2019년 4월 12일 | |||
최영건 | 2014년 6월 19일 ~ 2015년 5월? | 총살설 존재 | ||
<rowcolor=#003478,#C39335> 제4차 | ||||
리주오 | 2016년 6월 29일 ~ 2019년 4월 12일 | 제13기 최고인민회의 4차 회의 선출 | ||
리룡남 | 2016년 6월 29일 ~ 2019년 4월 12일 | |||
고인호 | 2016년 6월 29일 ~ 2019년 4월 12일 | 농업상 겸임 | ||
전광호 | 2017년 1월 17일 ~ 2019년 4월 12일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임명 | ||
동정호 | 2017년 5월 13일 ~ 2019년 4월 12일 | |||
<rowcolor=#003478,#C39335> 제14기 (2019년 4월 12일 ~ ) | ||||
<rowcolor=#003478,#C39335> 제1차 | ||||
로두철 | 2019년 4월 12일 ~ 2019년 12월 31일 | 제14기 최고인민회의 1차 회의 선출 |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 겸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5차 전원회의 해임 | |
김덕훈 | 2019년 4월 12일 ~ 2020년 8월 13일 | 내각총리 이임 | ||
임철웅 | 2019년 4월 12일 ~ 2021년 1월 17일 | 4차 회의 해임 | ||
리주오 | 2019년 4월 12일 ~ 2021년 1월 17일 | |||
리룡남 | 2019년 4월 12일 ~ 2021년 1월 17일 | |||
전광호 | 2019년 4월 12일 ~ 2021년 1월 17일 | |||
동정호 | 2019년 4월 12일 ~ 2021년 1월 17일 | |||
김일철 | 2019년 12월 31일 ~ 2021년 1월 17일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5차 전원회의 임명 |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 겸임 4차 회의 해임 | |
<rowcolor=#003478,#C39335> 제3 ~ 4차 | ||||
양승호 | 2020년 4월 12일 ~ 현재 | 제14기 최고인민회의 3차 회의 선출 | ||
박정근 | 2021년 1월 17일 ~ 현재 | 제14기 최고인민회의 4차 회의 선출 |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 겸임 | |
전현철 | 2021년 1월 17일 ~ 2022년 6월 8일 | 경제비서로 영전 | ||
김성룡 | 2021년 1월 17일 ~ 2024년 상반기? | |||
리성학 | 2021년 1월 17일 ~ 2023년 12월 28일 | |||
박훈 | 2021년 1월 17일 ~ 현재 | |||
주철규 | 2021년 1월 17일 ~ 2023년 12월 28일 | 농업위원장 겸임 | ||
전승국 | 2022년 6월 8일 ~ 현재 | 조선로동당 8기 5중 확대회의에서 임명 | ||
리철만 | 2023년 12월 28일 ~ 현재 | 조선로동당 8기 9중 확대회의에서 임명 | ||
김명훈 | 2023년 12월 28일 ~ 현재 | 조선로동당 8기 9중 확대회의에서 임명 | ||
정명수 | 2024년 6월 29일 ~ 현재 | 조선로동당 8기 10중 확대회의에서 임명 | }}}}}}}}} |
前 내각 부총리 김락희 金洛姬 | Kim Rak-hui | |
출생 | 1933년 11월 11일 |
평안남도 개천군[1] | |
사망 | 2013년 2월 17일 (향년 79세) |
평양시 | |
국적 |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정당 |
[clearfix]
1. 개요
북한의 정치인, 농업 테크노크라트2. 생애
1933년 11월 11일 평안남도 개천군에서 태어났다. 1945년부터 개천직포공장에서 직포공으로 일하다가 1949년 9월, 개천여중을 졸업, 개천고급중학교로 진학했으나 중퇴했다. 아버지는 리 인민위원회 위원장이고 모범농민이었는데 6.25 전쟁 중 아들과 함께 처참하게 살해됐다는 것이 북한의 주장이다. 6.25 전쟁 중에 빨치산으로 활동했다고 하며 북한의 설명에 따르면 1951년 3월부터 6.25 전쟁으로 인해 장정들이 온통 전쟁터에 나가있던 중 젊은 처녀인 김락희가 직접 소를 몰고 식량증산 운동에 앞장서서 '처녀보잡이'로 북한에서 유명해졌다. 1952년 1월, 모란봉지하극장에서 열린 농민열성자회에 참가하여 김일성을 마났고, 1952년 12월에 김일성이 직접 김락희에게 감사편지를 써서 보내주었고 전후 농업협동화가 시작되자 선전을 위해서 1953년 10월, 개천군 봉화협동농장 관리위원장에 임명하였다. 이때 강냉이 농사를 지어서 높은 성과를 거두었다고 한다.김일성은 "나는 김락희 동무를 잘 안다. 그런 동무들이 후방을 지키고 있었기에 전쟁에서 이길 수 있었다.(???)"라고 주접을 떨며 김락희를 추켜세웠고, 김락희는 김일성의 총애를 바탕으로 1957년 8월, 24세의 젊은 나이로 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으며 1958년 4월 16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로력영웅 칭호를 받았다. 이후 계속 승진하여 1965년 개천군 당위원장[2]을 지냈다. 조선대백과사전에 따르면 1970년에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보선, 1971년 자강도 농촌경리위원장, 1977년 황해북도 농촌경리위원장을 지냈다. 이후 김일성은 개천군 현지지도를 나갈 때마다 김락희를 만나주었다 카더라.
나이가 들어서인지 1980년 10월, 6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강등되었으며 1984년 개성시 농촌경리위원장에 임명, 여기서도 일을 잘했는지 1985년 1월 3일, 농업부문 일군들에게 주는 김일성훈장을 받았다. 1988년 평안남도 농촌경리위원장을 지냈다. 1990년 4월, 9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다. 1994년 7월, 김일성 장의위원, 1995년 2월, 오진우 장의위원을 지냈다.
하지만 활동시기를 보면 알겠지만 이미 김정일 시기가 들어서면 나이가 70대가 다 되어서 일선에서 물러나 평안남도 농촌경리위원회 고문위원장으로 은퇴해서 손자손녀들이나 돌보며 6.25 전쟁 때 어떻게 식량 생산했는지 회고하는 다큐멘터리에나 출현하던 상황이었다. 김락희가 이때 다 은퇴한 상황인건 예술가, 기술자, 사망자만 소개하는 조선대백과사전에 소개됐다는 점에서 너무 명명백백한 상황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김정일이 김락희를 중용하였다. 김정일은 "김락희 동무는 우리 시대 여성 혁명가의 정형이다"라고 김락희를 띄워주었고 2005년 5월 김운기의 뒤를 이어 곡창지대인 황해남도의 책임비서로 삼았다. 이때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도 보선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2005년 10월, 연형묵 장의위원, 2007년 6월, 리인모 장의위원을 지냈다. 2009년 1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도 재선되었다. 2009년 3월, 홍성남 장의위원, 2010년 4월, 김중린 장의위원을 지냈다.
그러다가 2010년 6월, 12기 3차 최고인민회의에서 김영일(1944) 내각이 숙청되고 최영림 내각이 출범하면서 강능수, 리태남, 전하철, 조병주, 한광복과 함께 신임 내각 부총리에 임명되면서 로배권에게 황해남도 책임비서 자리를 물려주었다. 9월에 열린 제3차 당대표자회에서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2010년 11월, 조명록 장의위원, 2011년 1월, 박정순 장의위원에 위촉되었다. 2011년 2월에는 로두철의 뒤를 이어 국가수의방역위원장에 임명되었다. 2011년 12월 김정일이 사망하자 장의위원에 위촉되었으며 2012년 2월 김정일훈장의 1차 수훈자로 선정되었다. 하지만 아마도 노환 때문인지 이때부터 공식 석상에서 사라져 두문불출하였으며 내각 부총리에서도 해임되었다. 아마도 2012년 5월의 최고인민회의 12기 5차 회의에서 해임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내각 명예 참사를 지내다가 2013년 2월 17일에 사망했다. 김정은이 화환도 보내주었다. 이후 시신은 애국렬사릉에 내각부총리 직함으로 안장되었다. 2016년 북한은 다큐멘터리 <어머니 당의 품> 제3부를 방영하여 11명의 사망한 당 엘리트들을 혁명전사로 칭송하였는데 김양건, 정춘실과 더불어 김락희 역시 명단에 올랐다. 2016년 5월, 7차 당대회 개회사에서 김정은은 '조선로동당의 강화발전과 사회주의 위업의 승리를 위해 헌신적으로 투쟁한 충직한 혁명동지'의 한 사람으로 허담, 연형묵, 김중린, 허정숙, 김국태, 김용순, 김양건, 전병호, 박송봉, 리찬선, 리제강, 리용철, 강량욱, 리종옥, 안달수와 함께 김락희를 언급하였다. 김락희를 기리는 소개편집물도 조선중앙텔레비죤에서 방영되었다.
3. 여담
아들 김인철은 현재 조선인민군 군관으로 복무하고 있다. 손자 김충성도 2023년 3월 16일자 뉴스에서 군관복을 입고 등장했다.4. 참고문헌
- 북한 다큐멘터리 <어머니 당의 품> 제3부(2016)
- 조선대백과사전.
- 통일부 정세분석국 정치군사분석과, 『2020 북한 주요인사 인물정보』(서울: 통일부,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