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0000><colbgcolor=#fff>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 역사 | 역사 전반 · 조지아 왕국 · 바그라티온 왕조 · 소련(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조지아 내전(조지아 쿠데타, 압하지야 전쟁, 남오세티야 전쟁) · 2003년 장미혁명 ·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 |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 외교 | 외교 전반 · 유럽안보협력기구 · 조지아 여권 | |
| 경제 | 경제 전반 · 조지아 라리 | |
| 교통 | 쇼타 루스타벨리 트빌리시 국제공항 · 트빌리시 지하철 | |
| 국방 | 조지아군 |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하차푸리 · 추르치헬라 · 압하스 요리) · 조지아/관광 · 조지아 신화 · 조지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 조지아어 · 조지아 정교회 · 세계유산 · 초하 | |
| 지리 | 캅카스 산맥 · 므트크바리 강 · 흑해 | |
| 사회 | 조지아 마피아 | |
| 민족 | 조지아인(러시아계 · 아르메니아계) · 라즈인 · 아자르인 · 조지아계 러시아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0000> 민족 | 조지아인 · 라즈인 · 메그렐인 · 스반인 · 아자르인 |
| 언어 | 조지아어 · 라즈어 · 메그렐어 · 스반어 · 아자르어 | |
| 독립국 | ||
|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 ||
| 신화 | 조지아 신화 | }}}}}}}}} |
| 조지아어 · 그루지야어 ქართული ენა Georgian language | ||
| | ||
| <colcolor=#fff><colbgcolor=red> 유형 | 교착어 | |
| 어순 | 자유 어순[1] | |
| 서자방향 | 좌횡서 | |
| 문자 | 조지아 문자 | |
|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 | |
| 원어민 | 약 430만 명 | |
| 계통 | 카르트벨리어족 조지아-잔어파 조지아어군 조지아어 | |
| 언어 코드 | <colcolor=#fff><colbgcolor=red> ISO 639-1 | KA |
| ISO 639-2 | GEO, KAT | |
| ISO 639-3 | KAT | |
| 글로톨로그 | nucl1302 | |
ნამუვიკი, ცოდნის ხე, რომელსაც თქვენ ამუშავებთ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
2. 문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지아 문자#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지아 문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발음
자음이 28개이며, 자음 중 파열음, 파찰음은 세 부류로 나뉘는데, 기식을 강하게 내뿜는 무성음인 유기음, 성대를 사용하지 않고 압력만을 이용하여 공기를 내뿜는 방출음, 그리고 조음함과 동시에 성대를 진동시키는 유성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양순파열음에는 ფ(/pʰ/), პ(/pʼ/), ბ(/b/)가 있는 것. 한국어의 평음-경음-격음(e.g. ㅂ-ㅃ-ㅍ) 분류 체계와 유사하다. 다만, 완전히 같지는 않다. 이를테면 한국어의 'ㅂ'은 기본적으로 무성음이며,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만 변이음으로서 유성음 [b]로 나타난다.또한 이중자음이나 삼중자음은 물론 극단적으로는 მწვრთნელი(mts'vrtneli·므추르트넬리, '코치'), გვფრცქვნი(gvprtskvni·구프르츠쿠니, '넌 우릴 벗긴다')와 같은 연쇄 자음군이 등장할 정도로 다중자음이 발달했다. 다만 이렇게 극단적인 자음 연쇄나 რა გქვია?(ra gkvia·라 그퀴아, 이름이 뭐에요?)의 გქვია처럼 조음 위치가 같은 파열음이 연속해서 나타날 경우엔 음절을 이루지 않는 짧은 ə가 적당히 끼어들어가 자음군을 분리해준다. 이는 조지아어 외에도 베르베르어처럼 다중자음이 극도로 발달한 언어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현대 로마자에선 방출음을 표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조지아어를 로마자로 전사할 때는 유기음과 방출음을 구분하기 위해 아포스트로피를 찍어 p', k', t'라는 별도의 문자를 할당하여 나타낸다. 문제는 로마자 전사 방식에 따라 유기음에다가 아포스트로피를 찍기도 하고 방출음에다가 아포스트로피를 찍기도 해서 혼란을 일으킨다. 가령 조지아 문자를 조지아어로 ქართული დამწერლობა(카르툴리 담체를로바)라고 쓰는데 이걸 쓰기에 따라 k'art'uli damtserloba[2]라고 쓰기도 하고 kartuli damts'erloba[3]라고 쓰기도 한다. 다만 국제음성기호로도 방출음은 아포스트로피와 비슷한 부호인 ʼ를 사용하고, 방출음이 존재하는 다른 언어들에서도 국제음성기호의 영향으로 일반적으로 방출음에 아포스트로피를 붙여 표기하기에 방출음에 아포스트로피를 찍는 표기법이 좀 더 보편적이다.
모음은 다섯 개가 존재하며, 다중모음이나 모음의 장단 구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모음이 연속될 경우엔 각 모음을 별개의 음절로 발음한다. 이를테면 სასიამოვნოა თქვენი გაცნობა(sasiamovnoa tkveni gatsnoba·사시아모브노아 트퀘니 가츠노바, 만나서 반가워요)의 სასიამოვნოა는 სა-სია-მოვ-ნოა(sa-sia-mov-noa·사-시아-모브-노아)의 네 음절이 아니라 სა-სი-ა-მოვ-ნო-ა(sa-si-a-mov-no-a·사-시-아-모브-노-아)의 여섯 음절이다.
3.1. 자음
| 양순음 | 순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방출음 | 유기음 | 유성음 | 유성음 | 방출음 | 유기음 | 유성음 | 방출음 | 유기음 | 유성음 | 방출음 | 유기음 | 유성음 | 방출음 | 유기음 | 유성음 | 무성음 | ||||
| 파열음 | პ[pʼ] | ფ[pʰ] | ბ[b] | ტ[tʼ] | თ[tʰ] | დ[d] | კ[kʼ] | ქ[kʰ] | გ[ɡ] | ყ[qʼ][4] | ||||||||||
| 파찰음 | წ[tsʼ] | ც[tsʰ] | ძ[dz] | ჭ[tʃʼ] | ჩ[tʃʰ] | ჯ[dʒ] | ||||||||||||||
| 무성음 | 유성음 | 무성음 | 유성음 | 무성음 | 유성음 | 무성음 | 유성음 | 무성음 | 유성음 | |||||||||||
| 비음 | მ[m] | ნ[n] | ||||||||||||||||||
| 마찰음 | ვ[v][5] | ს[s] | ზ[z] | შ[ʃ] | ჟ[ʒ] | ხ[x][빨] | ღ[ɣ][파] | ხ[χ][파] | ღ[ʁ][빨] | ჰ[h] | ||||||||||
| 전동음 | რ[r][10] | |||||||||||||||||||
| 설측접근음 | ლ[l] | |||||||||||||||||||
3.2. 모음
| 전설모음 | 후설모음 | |
| 고모음 | ი[i] | უ[u] |
| 중모음 | ე[ɛ] | ო[ɔ] |
| 저모음 | ა[a~ɑ] | |
4. 문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지아어/문법#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지아어/문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간단한 회화
* -თ(-t)는 (단어 뒤) 복수형 겸 (문장 뒤) 존댓말(경어)[11]| 원어 표기 (로마자 전사) | 한글 전사 | 해석 |
| გამარჯობა(თ). (gamarjoba(t).) | 가마르조바(트) | 안녕(하세요). |
| მოგესალმები(თ). კეთილი იყოს თქვენი/შენი მობრძანება. | 모게살메비(트) 케틸리 이코스 셰니/트퀘니 모브르자네바 | 어서와(오세요). |
| სასიამოვნოა თქვენი/შენი გაცნობა. (sasiamovnoa tkveni/sheni gatsnoba.) | 사시아모브노아 트퀘니/셰니 가츠노바 | 만나서 반가워(요). |
| დიდი ხანია მინახიხარ(თ). (didi khania minakhikhar(t).) | 디디 하니아 미나히하르(트).) | 오랜만이야(이에요). |
| როგორ ხარ(თ)? (rogor xar(t)?) | 로고르 하르(트) | 어떻게 지내(요)? |
| კარგად. (k'argad.)[12] | 카르가드 | 잘 지내. |
| ცუდად. (tsudad.)[13] | 추다드 | 잘 못 지내. |
| დილა მშვიდობისა. (dila mshvidobisa.) | 딜라 므슈위도비사 | 평안한 아침이야.(아침, 오후 인사) |
| საღამო მშვიდობისა. (saghamo mshvidobisa.) | 사가모 므슈위도비사 | 평안한 오후야.(저녁 인사) |
| ღამე მშვიდობისა. (ghame mshvidobisa.) | 가메 므슈위도비사 | 평안한 밤.(문안 인사) |
| ძილი ნებისა. (dzili nebisa.) | 질리 네비사 | 잘 자. |
| ნახვანდის. (naxvamdis)[14] | 나흐왐디스 | 잘 가. |
| დიახ. (diakh.) | 디아흐 | 예(존댓말) |
| კი. (k'i.) | 키 | 응(반말)[15][16] |
| არა. (ara.) | 아라 | 아니오/아니 |
| თქვენი/შენი სახელი? (tkveni/sheni[17] saxeli?) | 트퀘니/셰니 사헬리 | 성함이 뭐에요?/성명이 뭐야? |
| რა გქვია(თ)? (ra gkvia(t)?)[18] | 라 그퀴아(트) | 이름이 뭐야/뭐에요? |
| მე ... მქვია. (Me ... mkvia.) | 메 ... 므퀴아 | 내 이름은 ... 야. [19] |
| რამდენი წლის ხარ(თ)? (ramdeni ts'lis khar(t)?) | 람데니 츨리스 하르(트) | 몇 살이야(이에요)? |
| ოცდაორი წლის ვარ. (otsdaori ts'lis var.) | 오츠다오리 츨리스 바르. | 난 스물두 살이야. |
| საიდან ხარ(თ)? (saidan xar(t)?) | 사이단 하르(트) | 어느 나라에서 왔어(요)? |
| (სამხრეთ) კორეიდან ვარ. ((samkhret) koreidan var.) | (삼흐레트) 코레이단 바르. | (남한) 한국에서 왔어. |
| მე კორეელი ვარ. (me k'oreeli var.) | 메 코레엘리 바르 | 나는 한국인이야. |
| ქართული/ინგლისური/კორეული იცი(თ)? (kartuli/inglisuri/koreuli itsi(t)?) | 카르툴리/잉글리수리/코레울리 이치(트) | 조지아어/영어/한국어 할 줄 알아(요)? |
| როგორ იქნება ქართულად ...? (rogor ikneba kartulad ...?) | 로고르 이크네바 카르툴라드 ...? | ...를 조지아어로 뭐라고 해요? |
| გესმის? (gesmis?) / გესმით? (gesmit?) | 게스미스? / 게스미트? | 알아들었니? / 알아들으셨나요? |
| მესმის. (mesmis.) | 메스미스. | 알아들었어. |
| არ მესმის. (ar mesmis) | 아르 메스미스. | 못 알아들었어. |
| თუ შეიძლება უფრო ნელა ილაპარაკე(თ). (tu sheidzleba upro nela ilap'arak'e(t).) | 투 셰이즐레바 우프로 넬라 일라파라케(트). | 조금만 천천히 말해줘(요). |
| თუ შეიძლება გაიმეორე(თ) (tu sheidzleba gaimeore(t).) | 투 셰이즐레바 가이메오레(트) | 다시 한 번 말해줘(요). |
| თუ შეიძლება დაწერე(თ) (tu sheidzleba dats'ere(t).) | 투 셰이즐레바 다체레(트) | 글로 적어줘(요). |
| გთხოვ(თ) (gtkhov(t)) | 그트호브(트) | 해줘(요) |
| სად ცხოვრობ(თ)? (sad tsxovrob(t)?) | 사드 츠호브롭(트) | 어디 살아(요)? |
| მე სეულში ვცხოვრობ. (me seulshi vtsxovrob.) | 메 세울시 프츠호브롭 | 나는 서울에 살아. |
| რომელი საათია? (romeli saatia?) | 로멜리 사아티아 | 지금 몇 시야? |
| ცხრა საათია. (tsxra saatia.) | 츠흐라 사아티아 | 아홉시야. |
| გმადლობთ. (gmadlobt.) | 그마들롭트 | 감사합니다. |
| მადლობა. (madloba.) | 마들로바 | 고마워. |
| დიდი მადლობა. (didi madloba.) | 디디 마들로바 | 정말 고마워. |
| დიდი გმადლობთ. (didi gmadlobt.) | 디디 그마들롭트 | 정말 감사합니다. |
| არაფერს. (arapers.) | 아라페르스. | 별말씀을요. |
| ბოდიში. (bodishi.) | 보디시 | 미안해. |
| უკაცრავად. (uk'atsravad.) | 우카츠라바드 | 실례합니다. |
주어를 높일 때, ყოფნა(qopna)(...이다), წასვლა(c'asvla)(가다), მოსვლა(mosvla)(오다) 대신 ბრძანდება(brdzandeba), მიბრძანდება(mibrdzandeba), მობრძანდება(mobrdzandeba)를 쓸 수 있다. 해당 세 높임 동사는 현재 계열 시리즈만 존재한다.
| მე | ვბრძანდები | ჩვენ | ვბრძანდებით |
| შენ | ბრძანდები | თქვენ | ბრძანდებით |
| ის | ბრძანდება | ისინი | ბრძანდებიან |
예) როგორ ბრძანდებით? (როგორა ხარ?의 높임)
სად მიბრძანდებით? (სად მიდიხართ?의 높임)
6. 한국에서의 학습
기초 회화 교재 한권이 출판되었으며 * 네이버에 사전도 있다. * 2024년에는 기초 조지아어 문법책이 처음으로 출판됐다.#유튜브 강의도 있다.
발음도 까다롭고 문법도 이질적이면서 복잡하여 기본적으로 굉장히 난이도가 높을 뿐더러, 생소하기까지 한 언어이지만 한국에서 특수외국어로 지정되어있는 언어 중 하나고, 네이버 사전에서도 지원되는 언어이다. 여타 생소한 외국어들에 비해선 한국에서 배울 수단이 존재하는 편인 셈이다.
7. 들어보기
조지아의 국가〈თავისუფლება〉. 뜻은 "자유" 이다.
조지아어 뉴스
겨울왕국의 <Let It Go> 조지아어 더빙판.
조지아의 얼터너티브 록/포스트 펑크 밴드 წერილი(체릴리)의 노래 ისევ არა ჩანს მზე(태양은 아직도 보이지 않네)
Jguni fani의 조지아 전통 양식의 곡.
Trio Mandili의 Kakhuri. 해석(영어)
알렉산드르 코베리체의 하늘을 본다, 바람이 분다 예고편.
8. 기타
조지아 문자는 이모티콘을 만들 때 꽤나 자주 쓰인다. 예를 들면 뿌잉뿌잉 이모티콘에 쓰이는 ლ(las)가 있다. ლ 대신 ღ(ghan)를 쓰면 뿌잉뿌잉 대신 손가락 하트로도 바꿀 수 있다.조지아에서 매년 4월 14일은 모어의 날(დედაენის დღე)이며 이는 1990년 4월 14일에 최초로 제정돼 오늘날까지 기념되고 있다.
세계 대부분의 언어들에서 아빠, 엄마를 가리키는 단어는 papa, mama 식으로 비슷비슷한데 조지아어는 특이하게 mama(მამა)가 아빠를 의미한다. 그리고 조지아어로 아빠, 엄마, 할머니, 할아버지는 각각 მამა(mama), დედა(deda), ბებია(bebia), ბაბუა(babua)이다. 부모를 지칭하는 친족어가 대체로 양순음 계열이라는 학설에서 벗어난 사례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엄마를 가리키는 단어가 m계열이라는 점에서는 상당히 특이한 사례다.
[1] 주로 쓰이는 어순은 주어-목적어-서술어(SOV) 및 주어-서술어-목적어(SVO)[2] 한국어의 거센소리에 해당하는 유기음 ქ(/kʰ/), თ(/tʰ/)에 점을 찍은 것이다.[3] 방출음 წ(/t͡sʼ/)에 점을 찍은 것이다.[4] 변이음으로 /χʼ/, /q͡χʼ/[5] 변이음으로 /β/, 무성음 앞에서 /f~ɸ/, 자음 뒤에서 /ʷ/. 사실상 /v/로 제대로 발음되는 경우는 천천히 또박또박 말할 때밖에 없다시피하다.[빨] 변이음[파] 표준음[파] [빨] [10] 한국어 ㄹ과 똑같은 발음인 치경 탄음 /ɾ/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또한 자음 사이에 껴 있을 경우 발음이 탈락할 수도 있다. ჩრდილი(그림자)가 ჩდილი처럼 발음될 수도 있는 것이다.[11] 존댓말-반말을 구분하는 다른 유럽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한 사람을 복수형으로 지칭하면 존대 표현이 된다.[12] '좋은'을 뜻하는 형용사 კირგი의 부사형[13] '나쁜'을 뜻하는 형용사 ცუდი의 부사형[14] 직역하면 ნახვა(보다)+-მდის(...까지)로, 독일어의 Auf Wiedersehen, 불어의 Au revoir와 비슷한 표현이다.[15] 방출음이다. 목에 약간 힘을 줘 공기가 막혔다 뿜어지게 내는 된소리다.[16] 친근한 표현으로 ჰო(ho)도 있다.[17] tkveni가 쓰이면 높임말[18] 독일어의 Wie heißt du? 또는 러시아어의 Как тебя зовут?(Kak tjebjá zovút), 벨라루스어의 Как цябе завут?(Kak tsjabjé zavút), 우크라이나어의 Как тебе зовут?(Kak tebé zovút)과 비슷한 표현이다.[19] 조지아어는 어순이 자유로우니 მე მქვია ...(Me mkvia ...)로 이름과 მქვია의 순서를 바꿔서 말해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