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164194>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 [[고양시/행정| 북 고양시]] |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 [[용인시/행정| 본 용인시]] | [[화성시/행정| 본 화성시]] |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과천시/행정| 본 과천시]] | [[광명시/행정| 본 광명시]] | [[광주시/행정| 본 광주시]] | [[구리시/행정| 북 구리시]] | [[군포시/행정| 본 군포시]] | ||
| [[김포시/행정| 본 김포시]] | [[남양주시/행정| 북 남양주시]] | [[동두천시/행정| 북 동두천시]] | [[부천시/행정| 본 부천시]] | [[성남시 #s-11| 본 성남시]] | ||||||||
| [[시흥시/행정| 본 시흥시]] | [[안산시/행정| 본 안산시]] | [[안성시/행정| 본 안성시]] | [[안양시/행정| 본 안양시]] | [[양주시/행정| 북 양주시]] | ||||||||
| [[여주시/행정| 본 여주시]] | [[오산시/행정| 본 오산시]] | [[의왕시/행정| 본 의왕시]] |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 [[이천시/행정| 본 이천시]] | ||||||||
| [[파주시/행정| 북 파주시]] | [[평택시/행정| 본 평택시]] | [[포천시/행정| 북 포천시]] | [[하남시/행정| 본 하남시]]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가평군/행정| 북 가평군]] | [[양평군/행정| 본 양평군]] | [[연천군/행정| 북 연천군]] | }}}}}}}}}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c296c,#2c296c>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 <colbgcolor=#2d7c49,#2d7c49> 갈매동 | 갈매동 | ||
| 동구동 | 인창동 | 사노동 | |
| 인창동 | [[구리시청| 시청 ]] 교문동 | ||
| 교문1동 | 아천동 | ||
| 교문2동 | |||
| 수택1동 | 수택동 | ||
| 수택2동 | |||
| 수택3동 | 토평동 | ||
| | |
| 구리시의 행정동 | 구리시의 법정동 |
1. 갈매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0,367명.[P]역사적으로는 구한말까지는 현재의 서울특별시 노원구인 옛 양주군 노원면 지역이었고, 1995년까지는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속했다. 구리시의 색채를 별로 띠지 않는 동네로, 지형상 구리시내로 가는 것보다 서울 노원구, 중랑구, 남양주 별내신도시로 가는 것이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 실제로 경춘북로를 타고 가면 바로 서울 신내동이 나오며, 현재의 갈매동 아파트단지 건너편의 담터지구 개발이 끝나면 별내신도시와도 연담화가 완전히 이뤄지게 된다. 반대로 구리시청이 소재한 교문동, 구리의 시가지인 인창동, 수택동과는 동구릉이 막고 있어 행정구역상 구리시이나 그 소속감은 약하다. 실제 구리시의 나머지 지역과 통하는 대중교통 수단도 동구릉을 돌아 오는 일반시내버스 하나(78번)와 마을버스 하나(2번)가 전부고 나머지는 전부 중랑구에서 오는 버스다. 그래도 구리시 전체 입장에서는 중요한 지역인데, 갈매동이 공공택지지구로 개발되어 2016년 6월부터 해당 동의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 경춘선 갈매역이 있다. 보금자리주택지구가 들어왔고 바로 위에는 별내신도시가 있다. 47번 국도를 통해 서울특별시 중랑구와 연결된다. 학교는 갈매초, 산마루초, 갈매중, 갈매고가 있다.
2. 교문1동, 교문2동
관할 법정동은 교문동(일부)이며, 1동은 추가로 아천동을 관할한다. 인구는 1동 14,589명, 2동 20,561명.[P]- 교문1동: 구리시청, 구리경찰서, 구리소방서, 구리세무서, 구리아트홀, 교문방정환도서관, 구리시립체육공원, 이문안호수공원, 딸기원, 고구려대장간마을, 구리 GS 챔피언스 파크, 교문초, 도림초, 서울삼육중, 서울삼육고
- 교문2동: 덕현아파트(1,077세대), 한가람아파트(712세대), 토평 금호베스트빌 1단지(704세대), 하나아파트(686세대), 구리우성한양아파트(682세대), 교문 대우동양고속아파트(680세대), 백문초, 장자초, 교문중, 장자중
구리시의 중심부 역할을 하는 동네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중심상권 역할이 인창동 롯데백화점 구리점에 밀리는 모양새인데, 2005년 12월 중앙선 구리역이 개통된데다가 2010년대 들어서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되면서 정류장 위치가 애매하게 되어버린 탓이 크다. 시청 옆에 2013년 5월 문화예술회관(구리아트홀)이 개관했는데, 구리, 남양주에 처음 생긴 문화공간이다.사람들이 구리시로 잘 인식하지 못하는 망우역사문화공원 옆 달동네인 딸기원과 상덕마을 또한 교문동이다. 한편 아천동에는 FC 서울의 연습 구장인 구리 GS 챔피언스 파크가 있다. LG 트윈스 2군 구장도 있었으나, 개발제한구역 무단 용도 변경으로 인해 이천시로 이전하였다. 태왕사신기를 촬영한 장소였던 고구려 대장간 마을도 여기에 있다. 아천동은 행정구역상 경기도 구리시 소속이지만 학군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편입되어 있다.6번 국도 망우고개, 92번 서울특별시도 용마터널을 통해 서울특별시 중랑구와 연결되며, 강변북로와 43번 국도 워커힐고개로 광진구와, 구리암사대교로 강동구로 이동할 수 있다.
3. 동구동
관할 법정동은 사노동·인창동(일부)이다. 인구는 35,140명[P]으로 구리시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동구릉에서 행정동명을 따왔다. 지하철역으로는 도매시장사거리에 8호선 동구릉역이 있다.앞서 언급한 동구릉역에서 보다시피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포함해 조선왕조의 왕릉 9기가 있는 곳이다. 인구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창주공1~6단지, 한진아파트(953세대), 인창2차 e편한세상(621세대), 현대아파트(598세대), 원일가대라곡(533세대) 등 주거지역 위주이며 구리시노인복지관, 인창도서관,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 구리유통종합시장, 롯데아울렛 구리점 등이 있다. 사노동(사노리)은 이웃 갈매동처럼 한적한 농촌 풍경을 볼 수 있는 동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퇴계원IC가 여기에 있고 퇴계원이 바로 위에 있다. 학교는 구지초, 내양초, 동구초, 동인초, 동구중, 인창중, 인창고가 있다.
4. 수택1동. 수택2동, 수택3동
관할 법정동은 수택동이며 추가로 2동은 교문동(일부), 3동은 토평동을 관할한다.- 수택1동: 인구는 16,746명.[P] 경춘로 바로 남쪽이며 곱창골목으로 유명한 남양시장[5]이 있다. 그 외 토평주공아파트(693세대), 힐스테이트 구리역(565세대), 경배근린공원, 구리초, 수택고가 있다.
- 수택2동: 인구는 24,012명.[P] 주택가 단지이지만 e편한세상 수택 센트럴파크(733세대) 등의 아파트단지도 있다. 학교는 없다.
- 수택3동: 인구는 20,962명.[P] 이 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토평동은 일명 토평지구로 구리, 남양주를 통틀어 아파트 평당가가 가장 비싸기로 유명했다. 구리시 전체 토지 평당가도 의외로 높은 수준이니, 이 동네 땅 주인들의 자부심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창수택뉴타운이 추진 중이다. 구리타워, 장자호수공원, 구리한강시민공원, 목장과 비닐하우스[8]가 있다. 학교는 부양초, 수택초, 토평초, 구리중, 구리여중, 토평중, 구리고, 구리여고, 토평고가 있으며 토평초를 제외하면 5개, 3개씩 학교가 뭉쳐져 있어 학생들의 유동인구가 많다.
5. 인창동
관할 법정동은 교문동(일부)·인창동(일부)이다. 6번 국도 북쪽, 인창중앙공원 서쪽이라고 생각하면 가늠하기 편하다. 인구는 23,532명.[P] 롯데백화점 구리점[10]과 8호선·중앙선 구리역이 있다.[11] 참고로 중앙선 전철 건설 당시 이 구간 시공사가 다름 아닌 GS건설이었다.교문사거리쪽에 구리/남양주권 최대 종합병원인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이 있으며, 행정복지센터 근처에는 원진레이온 사태와 관련하여 생긴 원진재단에서 운영중인 원진녹색병원이 있다. 아파트단지는 아름마을(6개 단지), e편한세상 인창 어반포레(632세대), 인창동 동원베네스트(572세대) 등이 있다. 인창수택뉴타운이 추진 중이다. 학교는 건원초, 인창초가 있다.
[P] 2025년 10월 주민등록인구[P] [P] [P] [5] 돌다리시장과도 연결된다.[P] [P] [8] 목장이 두 곳이나 있으나 토평동 주민 중에서도 이 사실을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 예전에는 꽃사슴도 발견할 수 있었다고 한다.[P] [10] 공장이나 기업이 거의 없는 구리시 특성상 구리시에서 세금을 가장 많이 내는 곳이다. 덕분에 구리시에서 편의을 많이 봐주는 편으로, 중앙선 구리역이 백화점 바로 옆에 붙어 있어 백화점에서 바로 역으로 들어갈 수 있다.[11] 역 위치 자체가 구리시에서 동쪽으로 치우쳐져 있는데, 이는 앞 주석에도 써 있듯이 백화점의 입김이 매우 세다 보니 백화점 측에 유리하게 바로 옆에 지은 것. 이 연결 통로는 GS스퀘어 시절에 완공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