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30 15:48:30

구량리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9a4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fff> 구량리 내와리 미호리
<rowcolor=#000,#fff> 복안리 서하리
면사무소
인보리
전읍리 차리 활천리
}}}}}}}}} ||
두서면
구량리
九良里 | Guryang-ri
<colbgcolor=#009a4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울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울주군
읍면 두서면
하위 행정구역 2행정리 4반
면적 3.77㎢
인구 306명[1]
인구밀도 81.17명/㎢

九良里

1. 개요2. 역사3. 유적지/문화유산
3.1. 은행나무
3.1.1. 이지대 유허비
3.2. 모오정(慕俉亭)
4. 교육
4.1. 대안교육시설 운영
5. 자연지명
5.1. 고개/골짜기5.2. 들
6. 주요 시설
6.1. 생활 편의
7. 교통
7.1. 버스

1. 개요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의 법정리 중 가장 남쪽에 소재한 리이다. 백운산과 고헌산 기슭에서 발원하는 구량천이 흘러 서하천에 합류할 때까지 지나는 3개 리 중 가운데 지역에 해당한다. 구량천 상류에 있는 차리에 이어 북서-남동방향 골짜기에 자리잡힌 법정리로, 행정 구획의 면적은 좁지만 사용 가능한 경작지는 많은 편이다.

2행정리 4반으로 구성되며 북서쪽에 있는 중리(中里)와 남동쪽에 있는 송정(松亭) 간에 마을 규모 및 인구는 엇비슷하다. 중리마을은 경작지 와중에 주택이 띄엄띄엄 분포해 있고 구량천 이남에 위치한다. 송정마을은 보다 동쪽에 있으므로 구량천 이북에 해당하고 이곳에 기숙형 대안학교인 울산고운중학교 및 구량보건진료소가 소재해 있다.

관내에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울주 구량리 은행나무가 있다. 해당 수목은 수령이 대략 500년 이상은 된 것으로 태풍 매미 내습 당시 훼손에도 살아남아 보호되고 있다.

2. 역사

구량리의 명칭 어원에 관련해 성읍 국가인 구량벌(仇良伐)의 존재가 전해져 내려옴은 구량리에 최소 삼한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다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구량벌이라는 지명은 '구라벌'이나 '구량화촌'(仇良火村)으로도 나타나는데 특히 구량화촌은 『삼국유사』 권1 기이편 신라시조혁거세왕조에 기록돼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 또는 그 후신 남산부(南山部)에 속한 촌락 이름으로 전하고 있다.

경주부 남면에 속했을 적에는 구영(九永)이라는 지명으로 나타난다. 1906년(광무 10) 외남면이 두북면으로 개칭돼 울산군에 편입되면서 중리동(中里洞)과 구영동(九永洞)으로 나뉘었고 현대에 나타나는 두 행정리 구획의 모태가 됐다. 1914년에 중리동과 구영동을 합하여 구량리라 했다.

1962년 12월 7일 관내 주민들이 정자나무로 쓰던 은행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당시 지정번호는 제64호이고 흉고둘레가 12m를 초과하는 약 600년 수령의 고목이다. 조선 초의 무신 이지대(李之帶)가 벼슬을 그만두고 낙향할 때 자기 집 연못가에 심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 인물에 대한 기록으로는 1394년 3월 9일 왜선을 포획한 것과 계유정난 직후 낙향한 것이 있으므로 구체적인 식재 시기는 1453년 근방으로 추정할 수 있다.

3. 유적지/문화유산

3.1. 은행나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 이지대 유허비

나무를 식재한 조선 초 무신 이지대(李之帶)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나 당대의 인물이 아니라 후손 이규호(李圭昊)와 이종형(李鍾瀅) 등이 1925년 건립했다. 은행나무가 위치한 구량리 860번지에 함께 자리해 있다.

3.2. 모오정(慕俉亭)

780번지에 소재한 정자로, 김우성(金瑀聲)의 아들들이 부친을 추모하며 세운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4. 교육

두서초등학교의 두남분교장이 구량리에 소재했다. 1950년 두남공립국민학교로 개교했다고 전해지나 1953년 전국 학교 직원록자료에 관련 사항이 확인되지 않아 실제 개교일은 그 이후거나 1960년대일 가능성도 있다. 1963년 9월 두남국민학교의 도서관 설립 소식을 전하고 있는 『한국도서관일람』에 의하면 1967년 3월 31일 기준 윤무한씨가 교장인 두남국민학교에 학생수는 416명이며 도서관의 장서수는 904권이다. 울산신문2018년 낸 기사에 따라도 1960년대1970년대에는 두남국민학교에 반마다 최소 4~50명의 학생이 공부했다는 결론이다.

1980년대 이후 두서면의 인구가 격감함에 따라 1994년 두남국민학교를 두서국민학교(두서초등학교)의 분교장으로 뒀고, 1999년 그마저도 유지가 어려워 두서초등학교에 통폐합하기에 이른다.

4.1. 대안교육시설 운영

2000년 5월 23일 옛 두서초등학교 두남분교 자리에 다시 공립형 대안교육시설인 "두남학교"를 개교했다. 두남학교의 프로그램은 울산지역 각급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4주 간의 대안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것이 골자이므로 '입학생'을 받지 않으며 법적 '학교' 또는 '대안학교'에 해당하지도 않는 위탁교육기관이다. 학교는 기숙형으로 운영됐고 체력단련실, 노래방, 댄스 댄스 레볼루션 게임장, 각종 체육시설이 구비돼 있던 것으로 전해진다. 두남학교 개교 1년 뒤 발행된 경남신문 기사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의 초기 성과에 대해 상당히 긍정 평가하고 있다. 2000년 한 해 동안 남학생 27명, 여학생 25명을 입교시켜 4주 간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이 문제학생의 티를 벗었다는 것으로 울산 지역민방인 JCN2006년 게시한 보도물도 같은 결론을 내고 있어 한동안 울산지역 대안교육의 모범 사례로 시 차원에서 열심히 홍보했음을 짐작케 한다.

이와 대비되게 2004년 12월 7일 한겨레신문 기사에서는 훗날 울산교육감이 되는 노옥희가 두남학교에 대해 "제 구실을 하고 있지 않다"라고 언급하는 등 회의론도 언급되고 있다. 두남학교는 비슷한 형태의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대안학교 중에는 전국 최초의 사례로, 2008년 충북교육청이 유사 시설을 개소하려 했으나 후속 보도가 확인되지 않는다. # 2011년 11월에는 민주노동당 소속 울산시의원 이은영을 통해 두남학교의 일명 "감옥 체험 프로그램"이 입방아에 오르며 학교측과 진실 공방이 오갔다. #

두남학교는 2017년 법적 대안학교(각종학교)인 '울산두남중고등학교'(울산고운중학교)로 개편돼 개교했고 기존 두남학교의 단기위탁교육 기능은 지역 내 종교연계 교육시설이나 Wee센터 등으로 이전됐다.

5. 자연지명

  • 송정(松亭) - 구량리 2개 행정마을 중 구량천 동안에 있는 곳을 송정마을이라 한다. 마을 이름은 소나무가 정자를 이루고 있었다는 데에서 유래했는데, '버든' 내지 '버든숲'이라고도 전해진다.
  • 중리(中里) - 남중리(南中里)라고도 한다. 이는 두북 지역이 경주부에 속해 있을 적의 잔재인데, 경주 지역에 중리가 여러 군데 있었기 때문에 가장 남쪽에 있는 경주부 남면 중리를 남중리로 부른 것이다. 구량천 서안의 행정마을로 구량리 은행나무가 이곳에 있다.
  • 상태평지
  • 서녁지 - 중리마을 서편의 저수지이다. 954-1번지 일원에 소재.
  • 서산저수지
  • 신당지
  • 옥동저수지
  • 하태평못

5.1. 고개/골짜기

  • 고사골 - 구량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량천(九良川) 유역과 별개로 서하리 경계편 덕골 인근에서 동쪽으로 나가는 골짜기를 고사골이라 한다. 위치 상으로는 송정마을 북쪽이자 서하리 방말마을 남쪽이다. 옛날부터 골짜기 안에 자리잡던 마을도 같은 이름으로 부른다. 서산저수지가 이곳에 있다. 하태평못에서 북쪽으로 올라가 고사골에 이르는 고갯길(구량서산길)이 있고 골짜기를 따라 내려온 뒤 반구대로와 교차하는 지점이 종점이다.
  • 까치골 - 구량리 남편의 옥동저수지에서 서쪽으로 들어가는 골짜기가 까치골이다. 농지 뒤에 스파클 생수를 생산하는 삼정샘물 공장이 있다.
  • 덕골 - 상태평지 있는 곳에서 서하리 방말마을로 넘어가는 곳의 골짜기이다. 서하구량길이 구량천 너머 중리마을에서 이곳을 넘어가 방말입구교차로에서 반구대로에 접한다.
  • 민복골
  • 소나골 - 중리마을 서쪽 서녁지에서 남쪽으로 살짝 들어가는 골짜기를 소나골이라 한다.
  • 양낙골
  • 장수골 - 구량천 남쪽의 신당들을 둘로 나누는 고개가 있는데, 고개가 끊어진 곳에 난 골짜기를 장수골이라 한다.

5.2.

  • 서녁들
  • 신당들
  • 양지들/양지편들
  • 태평들

6. 주요 시설

  • 구량보건진료소 - 2011년까지 구량리 173번지에 소재했으나 구량차리로 12(구량리 1062-10)번지로 확장 이전했다.#
  • 울산고운중학교
  • 송정마을회관(송정경로당)
  • 중리마을회관(중리경로당)
  • 아이쿱생협 경남물류센터
  • 유진농장
  • 구량공원묘지 - 259-2번지 소재

6.1. 생활 편의

시설명 소재지 화장실 공공 Wi-Fi 주차
공터 구량송정2길 18-1 × ×
차단기·안내표지판 없음.
구량보건진료소 구량차리로 12
주차선은 전부 장애인·임산부 전용, 일반 차량 자율주차
송정마을회관 구량차리로 44 ? ? ×
무더위·한파 쉼터 지정
울산고운중학교 구량차리로 16 ?
주차 개방 여부 불확실
중리마을회관 구량중리1길 27-1 ? ?
주차공간(자율) 여유, 정자 건물 소재

7. 교통

7.1. 버스


[1] 2025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