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31:58

구 터미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구터미널\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이름이 비슷한 단어에 대한 내용은 구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이름이 비슷한 단어:
구타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1. 개요

대개 버스 터미널이 있었던 자리와 그 일대를 뜻하는 말. 보통 버스 터미널이 이전하거나 폐쇄됐음에도 그곳에 터미널이 오랫동안 있었어서 앞에 '옛'을 뜻하는 (구)를 붙여 구 터미널로 부르는 경우이다. 줄여서 '구터'로도 부른다.

2. 신 터미널

터미널이 이전한 경우 새로 이전한 터미널은 구터미널과의 구분을 위해 신()을 붙여 '신 터미널', 줄여서 '신터'으로도 부른다.

3. 목록

터미널이 이전 또는 폐쇄되었으나 그 일대를 구 터미널로 부르지 않는 경우는 서술하지 않는다.

3.1. 서울특별시

3.2. 부산광역시

3.3. 대구광역시

3.4. 인천광역시

3.4.1. 미추홀구 용현동 구 터미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용현동 구 터미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광주광역시

3.6. 대전광역시

3.7. 울산광역시

3.8. 경기도

3.8.1. 수원시 고등동 구 터미널

수원버스터미널이 있던 자리이다. 위치는 고등동삼거리 인근. '고등동구터미널'이라는 버스 정류장과 '터미널상가타워'라는 이름으로 남아있다. 집창촌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수원시가 해당 건물들을 철거하면서 사라졌다. 현재는 근처에 고등지구를 조성중이다.

3.8.2. 안성시 서인동 구 터미널

안성종합버스터미널이 있던 자리이다. 위치는 안성시장 인근. 안성시내에서도 제일 중심가의 중심에 위치해 있었으나 오히려 그 점 때문에 교통 체증을 불러일으켰고 2008년 시내에서 2~3km 떨어진 허허벌판...으로 이사갔다.

3.8.3. 연천군 전곡읍 구 터미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곡 구터미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8.4. 의정부시 생연동 구 터미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생연동 구 터미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9. 충청북도

3.10. 충청남도

3.10.1. 당진시 읍내동 구 터미널

당진버스터미널이 있던 자리이다. 위치는 現 진원스타타워 자리. 시내 중심가에 있었으나 위의 안성시의 사례와 같이 시설 노후화와 도로 혼잡 등의 이유로 2003년 당진읍 수청리로 이전되었다. 이후 그 일대가 수청지구와 원당지구의 개발으로 당진시의 신도심이 되었으며 터미널 바로 앞에는 상업지구가 자리하여 '신터미널'으로 불린다. 안성과는 굉장히 상반된 결과.

3.10.2. 태안군 태안읍 구 터미널

태안공영버스터미널이 있던 자리이다. 위치는 반도신협 인근. 위 당진과 안성의 사례와 터미널 이전 이유는 동일하나 이전 시기는 훨씬 예전인 것으로 보인다. 터미널이 이전한 곳과 그 일대는 현재 신도시로 개발되어 신도심 역할을 하고 있다.

3.11. 전라남도

3.12. 경상북도

3.13. 경상남도

3.14. 강원특별자치도

3.15. 전북특별자치도

3.16. 제주특별자치도

3.16.1. 서귀포시 서귀동 구 터미널

서귀포버스터미널이 있던 자리이다. 위치는 중앙로터리 공영주차장 인근 카페 이름과 '구 터미널'이라는 정류장 이름으로 남아있다. 서귀포시의 구도심에 자리잡았었다. 위 3곳의 사례와 똑같은 이전사유 때문에 서귀포혁신도시로 이전되었다. 다만 제주도에는 현재 시외버스가 다니지 않아서 의미가 없긴 하다.

3.17. 세종특별자치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