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6 20:56:14

광주 버스 순환01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0>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순환01-A/B 좌석02 수완03
매월06 진월07 첨단09
좌석02번 : 시계외구간 운행
파일:광주순환01 순환.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급행간선버스 순환01-A번
기점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세하공영차고지) 종점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세하공영차고지)
종점
첫차 05:40 기점
첫차 -
막차 22:10 막차 -
평일배차 10~17분 주말배차 16~20분
운수사명 대원시내버스 인가대수 23대[1]
노선 세하공영차고지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계수초교 → 시청 → 광주종합버스터미널경신여고 → 전남대사거리(동) → 광주역육교교육대 → 산수오거리 → 조선대남광주역 → 남광주농협 → 무등시장입구(남) → 광주국제양궁장 → 원광대한방병원 → 풍암한국아파트 → 마재우체국 → 금호시영아파트 → 운천저수지 → 계수초교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세하공영차고지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순환01 노선도(신).png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급행간선버스 순환01-B번
기점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세하공영차고지) 종점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세하공영차고지)
종점
첫차 05:40 기점
첫차 -
막차 22:10 막차 -
평일배차 10~17분 주말배차 16~20분
운수사명 대원시내버스 인가대수 -[2]
노선 A노선의 역순으로 운행.
중간 출발 정류장
양 방향 남광주역 05:40

2. 개요

세하동에서 출발하여 광주 시내[3]를 한 바퀴 도는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A, B)

3. 역사

  • 상무지구 회차지 문제로 인해 2017년 2월 25일 개편 때 세하공영차고지로 기점을 옮겼다. 또한 상무한국아파트와 운천초교 정류소에 미정차하게 된다.[4][5] 당초 풍암지구 구간을 대촌71번이 다니는 것처럼 직선화하려고 했지만 무산되었다.
  • 순환버스임에도 양방향 노선의 번호가 같아 오랫동안 승객들에게 혼란을 줘 왔는데, 이러한 문제를 시에서 파악하고 2020년 11월 1일부터 순환01-A와 순환01-B로 노선 번호를 분리하여 운행한다. (관련기사(1),관련기사(2)) 그러나 다른 순환노선인 상무62번에는 도입되지 않았다.

4. 특징

  • 세하동에서 양방향 버스(내선 A노선, 외선 B노선)가 동시에 출발해 계수초교까지 붙어 운행한 다음 갈라진다. 그래서 특히 세하동 - 계수초교 구간에서 노선번호 뒤에 붙은 알파벳을 잘 보고 타지 않으면 반대로 돌아갈 수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개편 전에는 종이 행선판을 주로 썼으며, 최근까지도 이 노선에 예비차가 들어올 경우엔 종이 행선판을 써 오면서 승객들이 자주 혼동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었지만 노선 운행 방향을 구별하기 위해 알파벳을 부여하면서 혼동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편 수당 운행 횟수가 가장 적은 노선이다.[10] 사실 어쩔 수 없는 것이 순환01번의 편도 주행 시간이 무려 130분(2시간 10분)이기 때문이다. 덕분에 세하동에서 출발하는 막차 시간도 22:10으로 다른 급행간선/간선에 비해서 빠른 편.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남광주농협 구간에서 경유지가 더 적은 수완03번이 신설되면서 이 노선이 5분 이상 먼저 가고도 따라잡히기 십상이다. 다만 03번에게 많은 수요를 넘겨주면서 앉아갈 확률은 이쪽이 더 높다.[12]
  • 한때는 매월06번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급행 노선 중 유일하게 공영차고지가 기종점인 노선이었으나, 이 노선이 세하공영차고지로 연장되면서 기록은 깨졌다. 동시에 좌석02번과 함께 급행버스 중 유일하게 2017년 개편 때 종점이 연장되었는데, 증차 없이 연장되고 개편 이후 3대나 감차 되어 공식 배차 간격이 17분까지 늘어나게 되었다.[13] 신설 당시 배차 간격이 8~9분이었던 리즈 시절은 이미 옛말이다.
  • 대원시내버스 본사가 세하공영차고지로 이사한 덕분에 기종점 모두 본사인 이 노선은 광주광역시 급행 노선 중 유일하게 공차회송[14]을 할 필요가 없는 노선이 되었다.[15]
  • 빛고을 아트버스가 다녔었다.
  • 이 버스는 순환01-A와 순환01-B가 나눠서 운행하기 때문에 그냥 타면 안 되고, 기사에게 행선지를 물어보거나 무슨 방향인지 확인 후 타야 한다.[16]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광역시 순환버스


[1] 공휴일 20대[2] A번과 차량을 공유한다.[3] 시내라고 하지만 광주광역시가 외곽으로 크게 확장된 현재는 원도심 외곽을 순환하는 형태에 가깝다.[4] 시내버스 노선개편 시행안내, 2017-02-14, 광주광역시북구청[5] 광주, 시내버스 노선ㆍ운행체계 전면 개편, 2016-11-29, 한국일보[6] 순환01번은 서구 구간을 제외한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남광주농협에 이르는 상당히 긴 구간을 수완03번과 공유한다. 이 구간에서는 배차가 많고 더 빨리 가는 수완03번에 승객이 몰리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7] 현재의 대순환선이 아닌 유스퀘어를 지나는 소순환선 시절의 선형이다.[8] 광주광역시 급행버스들이 가진 특징이기도 하다. 1호선을 제외하고 과거에 세웠던 지하철 계획들이 모두 취소되면서 해당 구간 대부분을 시내버스로 운행 중이다.[9] 유덕역, 마재역, 월드컵경기장역, 풍암역을 제외한 1단계 구간의 모든 역에서 만난다.[10] 1대당 왕복 6~7회로 송암72와 공동 1위[11] 서구763번은 현재 운행 중단[12] RH 땐 그냥 01번과 03번 둘 다 터진다. 대신 터미널에서 목적지가 남광주농협 방향이라면 지원25번이 훨씬 빠르다. 자리도 상당히 널널하다.[13] 정체가 심한 출퇴근 시간대에는 배차 간격이 19~20분까지 늘어지기도 한다.[14] 광주 시내버스 대다수 노선이 가스 충전이나 운행 끝나고 소속 회사 차고지로 공차회송을 한다.[15] 가스 충전소도 세하공영차고지에서 상무대로 쪽으로 가다 보면 상무CNG충전소가 있어서 충전소 문제도 없다.[16] 예를 들어 세하동이나 김대중컨벤션센터-유스퀘어는 전남대, 광천치안센터 방향인 순환01-A번을 타야 하고, 순환01-B를 타면 남구쪽으로 가서 타면 안 된다. 역으로 유스퀘어에서 마륵역이나 종점을 갈려고 하면 순환01-B를 타야 한다.[17] 운천저수지에서 하차 후 도보이용[18] 상무지구입구 또는 농협운천지점에서 하차 후 도보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