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8:42

고려대학교/학부/디자인조형학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려대학교/학부
파일:고려대학교 로고_웜그레이.svg
{{{#!wiki style=""
{{{#872434,#db788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캠퍼스
||<tablewidth=100%><width=33.33%><tablebgcolor=#fff,#1f2023> 인문·사회계캠퍼스 ||<width=33.33%> 자연계캠퍼스 ||<width=33.33%> 녹지캠퍼스 ||
학부 대학원 강의
총학생회 동아리 교우회
사건사고 (2010년대·2020년대)
시설 (안암학사·화정체육관) 주변 상권 교통 (셔틀버스)
입학 상징 출신 인물 기타 정보
세종캠퍼스
학부 대학원 강의 학사제도
총학생회 동아리 역사 사건사고
시설 주변 상권 교통 상징
운동부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fff,#1f2023> 야구부 ||<width=20%> 농구부 ||<width=20%> 럭비부 ||<width=20%> 빙구부 ||<width=20%> 축구부 ||
파일:고려대학교의료원 심볼.svg 의료원
||<tablewidth=100%><width=33.33%><tablebgcolor=#fff,#1f2023> 안암병원 ||<width=33.33%> 구로병원 ||<width=33.33%> 안산병원 ||

}}}}}}}}}}}}}}}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의 단과대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高麗大學校 디자인造形學部
Korea University School of Art and Design
파일: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상징.png
<colbgcolor=#872434,#191919> 상징색 <colbgcolor=#ffffff,#191919> 보라색
상징물 창의의 문과 펜(아이디어 구성의 매개체)의 교차[1]
보조 상징물 '창의의 문'을 패턴화
FM 창조조형
단과대 학번 22
연혁 1988년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2000년 미술학부
2007년 조형학부
2011년 디자인조형학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학부
2.1. 산업정보디자인 전공2.2. 조형미술 전공
3. 히스토리 (미술학부 / 조형학부 / 디자인조형학부)

1. 개요

파일:고려대학교미디어관전경.jpg
고려대학교 미디어관

고려대학교미술대학. 약칭은 고대 디조, 디조, 고디조 등이다. 미술대학이지만 단과대학 단위가 아닌 독립학부 단위다.

2. 학부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소개영상

원하는 적성에 따라 세부전공을 고를 수 있는 트랙제를 운영중이며 졸업시 세부전공은 표기되지 않고 디자인조형학부로 표기된다. 입학 후 1년 간 디자인과 조형 수업을 모두 수강한 후 2학년 진입 전에 세부 전공을 선택한다. 입학생은 50명을 조금 넘는 수준으로 소수정예의 느낌이 난다.

원래 조형학부관, 조형학부별관을 사용했으나 현대자동차경영관 신축 당시 사범대학분관과 함께 철거됐고 그 자리에는 공터만 남게 되었다. 현재는 미디어관 7층에서부터 10층을 사용하고 있다. 학생자치공간으로 디자인과는 학년구분 없이 1002호[2], 조형과는 과 특성상 학년별로 다른 호실을 사용하며 1학년은 703호[3]를 사용하고 있지만 타과의 과실과 같은 공간이 아닌 작업 공간으로 쓰인다.

2.1. 산업정보디자인 전공

거의 모든 강의가 팀플로 이루어지는 무시무시한 커리큘럼. 전공 특성상 학기 말 전시[4]에 몰빵을 하기 때문에 중간고사에는 꿀을 빨지만 중간고사 이후 급격히 바빠지며 기말고사는 거의 손을 놓는다고 볼 수 있다.

2.2. 조형미술 전공

서양화의 이기봉, 동양화의 정종미 교수라는 양대산맥을 중심으로 강의가 진행되었다. 그러다 2019년 초에 이기봉 교수가 퇴임하면서 본 전공에는 전임교원이 정종미 교수 단 한 명만 남게 되었다. 100명이 넘는 조형미술 전공 학부생 및 대학원생들의 지도를 정종미 교수 혼자서 맡게 되는 상황이 벌어진건데[5], 장기적으로 조형미술 전공을 폐지하고 산업정보디자인 전공으로 통합시키려는 디자인조형학부의 의도가 아니냐는 소문도 돌았었다. 이에 디자인조형학부 학생들이 자체적으로 안전졸업위원회라는 조직을 만들어 교원 충원을 강력히 요구하였고, 그 결과 현대미술 등을 담당하는 이예승 교수가 2021학년도부터 전임교원으로 충원되었다.

3. 히스토리 (미술학부 / 조형학부 / 디자인조형학부)

  • 꽤 오랫동안 미술대학이 아닌 사범대학 소속 미술교육과로 존재했었고, 2000년도에 미술학부로 독립한 것이 그 당시 큰 이슈였다. 그래서 1999년 당시 타 상위권 미대를 준비하고 있던 미대 수험생들이 고려대로 갑자기 노선을 바꾸기도 했다. 한국화 화백 천경자의 제자인 이숙자 화백이 미술학부 동양화과 교수로 부임했던 것도 큰 이슈였다.
  •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라는 이름으로 재탄생한지는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다. 그래서 아직 본과 출신 졸업생이 본과 전임교수로 돌아온 사례가 없다. 현재 디자인조형학부의 전임교수진 8명은 모두 타교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출신 3명, 한국과학기술원 출신 2명, 홍익대학교 출신 2명, 이화여자대학교 출신 1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 아직까지는 다른 미술대학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생자치공간 및 교육·연구 공간이 부족한 게 사실이다. 독립된 건물을 쓰는 타 미술대학과 달리 미디어대학이 쓰는 미디어관에 세들어 살고 있는 것이 큰 듯 하다.
  • 1학년이 7층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7, 8층을 사용하는 조형과 선배들과는 친목을 도모할 수 있지만 9, 10층을 사용하는 디자인과 선배들과는 얼굴조차 모르는 사이인 경우가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0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0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자유로운 발상과 조형적 표현의 무한성을 의미한다.[2] 주중 밤 11시 이후, 주말과 방학에는 냉난방이 전혀 없기 때문에 여름, 겨울에는 극한 환경을 체험할 수 있다[3] 시시때때로 대학원 강의실로 사용되기 때문에 진행 중인 작업물을 정리해야하는 경우가 많다[4] Design on Thursday, 일명 DOT[5] 더 안 좋은 소식은 정종미 교수마저 2023년 정년퇴임 예정이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