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aa5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내 운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 미경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역급행 | ||
<colcolor=#fff> 직행좌석 | 3200[통] | ||
좌석 | |||
일반 | |||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안성시 가사동(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종점 | 경기도 화성시 오산동(동탄역)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6:40 |
막차 | 22:20 | 막차 | 23:30 | ||
배차간격 | 50~100분 (1일 15회) | ||||
운수사명 | 대원고속 | 인가대수 | 3대 |
경유 정류장 | ||
안성시(터미널) | ↔ | 화성시(동탄역) |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호수자이파밀리에.아이원 (상) 서희스타힐스.단독주택 (하) | |
시민회관 | 동탄호수공원.부영4차 (상) 창의고 (하) | |
한경대학교 | 호수부영3차.우미린2차 (상) 힐스테이트.호반5차 (하) | |
중앙대.롯데캐슬아파트 | 반도3차.금강1차 (상) 청목초.신안1차(하) | |
대림동산 | 의료시설부지 (상) 센트럴푸르지오.호반베르디움2 (하) | |
공도시외버스정류장 | 한화.린스트하우스 (상) 시범예미지.영천유치원 (하) | |
주은.풍림아파트 | 동탄역(동측) |
2. 개요
안성종합버스터미널에서 동탄역을 잇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처음에는 2022년 5월 중순에 개통이 예정된 남사진위IC 개통 2주 후인 2022년 5월 말에 개통이 예정이었으나 남사진위IC 개통이 미루어지면서 개통 일시가 잠시 순연되어 2022년 6월 13일에 개통하였다.
4. 특징
- 이 버스가 개통하면 안성에서 접근하기가 굉장히 어려웠던[1] 동탄신도시까지의 접근성이 높아지겠지만 아직 GTX A노선이 개통되지 않은 시점에서 동탄역을 이용하려고 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은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수서역까지 갈바엔 그곳이 목적지가 아닌 이상 그냥 시외버스를 이용하거나 성남, 수원 직행버스와 환승을 하면 되고, 남하가 목적이라면 평택지제역이나 천안아산역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안성-동탄 자체의 수요가 얼마나 나오냐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해당 노선이 다른 안성시 광역버스와 마찬가지로 중앙대학교, 한경대학교를 경유하기 때문에, 동탄 주민들의 통학 수요가 많은 비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2] 다른 환승 수요로 보더라도 수원과 기흥 방면은 8200번, 성남 이북으로는 8201번이 있기 때문에 순수히 동탄신도시 수요만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개통 초기에는 GBIS 상에서는 8200번, 8201번과 다르게 시민회관, 대림동산, 주은.풍림아파트는 정차하지 않는것으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GBIS 안내방송이 안나올뿐이지 정상적으로 정차하며, 또한 회차점 설정이 안되어 있었지만, 추후 GBIS가 수정되고 안내방송도 정상적으로 나오게되었다.
- 주박은 안성터미널에서 일괄적으로 한다.
4.1. 시간표
8202번 운행시간표 (2023년 1월 1일 기준) 안성시 홈페이지 발췌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 안성터미널 (기점) | <colbgcolor=#FFD8D8><colcolor=#000> 시간 | 동탄역 (종점) |
30 | 05 | - | |
40 | 06 | 40 | |
50 | 07 | 도착 후 회차 (약 70분 소요) | |
- | 08 | ||
00 | 09 | ||
10 | 10 | ||
20 | 11 | ||
40 | 12 | ||
- | 13 | ||
00 | 14 | ||
20 | 15 | ||
30 | 16 | ||
40 | 17 | ||
50 | 18 | ||
- | 19 | ||
00 | 20 | ||
10 | 21 | ||
20 | 22 | ||
- | 23 | 30 |
5. 연계 철도역
일반 철도역: 동탄역(SRT)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205b,#6689e3><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00205b,#6689e3;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일반 | [[안성 버스 370, 380| 370 380 ]] | ||
취소선: 2023년 중 경기도 공공버스 전환 대상 노선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00><colcolor=#fff> | <colcolor=#fff><colbgcolor=#f00>광주시[미] | 3200[통] ···· |
김포시 | · 9008[통] | ||
성남시 | ···· | ||
수원시 | ······· | ||
안산시 | · 300[관] ·· | ||
파주시[관] | ·· | ||
화성시 | ··· | ||
기타 | · | ||
[관] 주말 관광노선 / [미] 광주시 미경유 / [통] 서울시를 경유하나 정류장이 없는 경우 |
[1] 안성에서 동탄신도시는 용인시 남사읍만 거쳐가면 나올 정도로 거리상으로는 굉장히 가까우나, 안성-남사, 남사-동탄까지의 버스 배차가 굉장히 길 뿐더러 많은 환승이 요구되기 때문에 시내버스를 타고 가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고 현실적으로는 평택역까지 버스타고 간 뒤, 전철을 타고 오산역이나 병점역까지 가서 또 다시 버스로 환승하거나 8200번 버스를 타고 아주대삼거리까지 가서 망포역을 경유하는 15-1번, 99번으로 환승해야 했는데 어느 쪽이든 크게 돌아가는 방법이다. 평택지제역에서 SRT타고 동탄역까지 가는 루트는 그나마 덜 돌아가고, 환승도 한번만 하면 되지만 SRT요금이 7500원이라 비싸다.[2] 사실 동탄에 대학교가 없어서 해당 노선이 다니는 동탄 동부 지역에서는 통학하는 데 대부분 경부고속도로를 넘어 타지로 이동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