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수원대학교)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서현역.AK플라자)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5:00 |
막차 | 21:30 | 막차 | 23:20 | ||
평일배차 | 출퇴근 30~40분/평시 45~60분 | 주말배차 | 60분 | ||
운수사명 | 경기고속 | 인가대수 | 4대 | ||
노선 | 수원대학교 - 와우리 - 수영오거리 - 고색산업단지 - 권선구청 - 탑동 - 서호중학교 - 수원역.AK플라자 - 성빈센트병원 - 아주대학교 - 수원월드컵경기장 - 경기대후문 - 풍산.벽산아파트.힐스테이트 - 성복역 - 상현동현대홈타운아파트.서원마을.만현마을.삼성쉐르빌 - 수지구청 - 풍덕천동 - 동천동 - 미금역 - 정자역 - 수내역 - 서현역.AK플라자 |
2. 개요
경기고속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 거리는 약 71.5km.3. 역사
- 2010년 중반에 720번(오목천동 - 남한산성입구)에서 분리개통된 노선이 전신이다. 이 때는 720번과 달리 성남대로를 경유한다는 점이 특징이었으나[1], 배차가 지나치게 길어[2] 소리소문없이 폐선되었다.
- 2012년 7월 31일에 720번이 '곶집마을 - 광교' 구간이 단축되면서 해당 구간을 완전히 대체하게 되었다. 대신 720번에 투입되던 버스 몇 대를 730번에 투입해 730번 배차간격이 짧아졌다.[3]
- 2013년에 500번이 폐선되면서, '미금역 - 서현역' 구간을 완전히 대체하게 되었다.
- 2015년 기준으로 24대로 운행했으나 방학감차 때 116-2번으로 차출이나 내구연한 만료로 인한 폐차로 인해 4대가 감차당해 20대로 운행했다. 문제는 3월 개학/개강 이후에도 20대 그대로라서 배차간격이 벌어짐으로 인해 불편이 꽤 있었다.
- 2016년 3월 22일에 신차 1대가 투입되면서 배차간격이 조금 나아졌다.
- 2016년 6월 11일에 수지로112번길이 폐쇄되면서 성복역.두산기술원 및 상현동 현대홈타운 정류장을 경유해 상현동입구교차로에서 43번 국도로 진입하게 되었다.
- 그 뒤로 꾸준히 감차하더니 2017년 5월 기준으로 17대까지 감차했다.
- 운수종사자 휴게시간 보장을 위해 2017년 8월 7일에 수원대 막차가 21시 50분에서 30분으로, 서현역 막차가 23시 30분에서 20분으로 단축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7년 11월에 14대로, 이후 12대로 감차했다가 결국 10대 운행이 되었고, 폐선 직전인 12월 7일부터는 8대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 폐선 전날인 12월 10일에는 4대 운행으로 변경되어 배차간격이 1시간에 달하게 되었다.
- 계속되는 승객 감소를 표면적인 이유로 삼아 2017년 12월 11일에 첫차부터 운행을 중단하게(폐선)되었다. 관련 게시물 차량은 거의 대부분 720-2번 증차분으로 쓰이고, 일부는 700-2번, 17-1번 등등에도 추가로 증차되게 되었다. 그러나 20대 운행때도 일일승차량 1만명이 10대로 감차되었음에도 승차량이 일일 8천명이 나온다는 것은 폐선까지 할 만큼 승객이 줄었다고 할 수가 전혀 없다.
오히려 감차 후 대당 승객수가 더 늘었다.더군다나 단독구간이 많았기 때문에 승객들의 불편은 말할 수 없을 정도. 실제 폐선 이유는 M4137번 신설을 해야하는데 기사가 부족해서라고 한다. 720번이 아니라 730번을 날린 이유는 720번은 광교영업소 소속이고 730번은 M4137번과 같은 화성영업소 소속이기 때문인 듯.그리고 2년 후엔 720번도 안드로메다로...
4. 특징
- 수원시내에서는 우만동~경기대 구간을 제외하고는 720-2번과 노선이 거의 유사해서 보조노선 취급을 받았다.
느려 터지기로 유명한KD답게 속터지는 저속주행을 자랑했다. 허구한 날 중부대로나 매산로에서 수원여객이나 경남에 추월당하기는 물론이요, 용남에도 금방 추월당한다. 예를 들어, 수원여객 같았으면 빠르게 운전하여 충분히 넘어갈 신호를 일일이 걸려서 신호대기를 한다던지.
5.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 있던 역만 기재한다.수도권 전철 1호선: 수원역
분당선: 서현역, 미금역, 정자역, 오리역, 수원역
- 신분당선: 상현역, 성복역, 수지구청역, 동천역, 정자역
- 일반 철도역: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