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가북초등학교 | 가조초등학교 | 거창초등학교 | 고제초등학교 | 남상초등학교 |
남하초등학교 | 마리초등학교 | 북상초등학교 | 샛별초등학교 | 신원초등학교 | |
아림초등학교 | 웅양초등학교 | 월천초등학교 | 위천초등학교 | 주상초등학교 | |
창남초등학교 | 창동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colbgcolor=#42B178><colcolor=#fff> 가조초등학교 加祚初等學校 Gajo Elementary School | |
개교 | 1922년 4월 1일 |
성별 | 남녀 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김*섭 |
교감 | 박*희 |
교화 | 목련 |
교목 | 향나무 |
학생 수 | 42명[기준] |
교직원 수 | 10명[기준] |
관할청 | 경상남도거창교육지원청 |
주소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가조가야로 1087 (마상리 336-4) |
홈페이지 | |
<nopad> |
1. 개요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마상리에 위치한 초등학교.2. 학교 연혁
- 1922년 4월 1일: 가조 공립 보통학교 개교
- 1941년 4월 1일: 가조국민학교로 개칭
- 1981년 1월 31일: 병설유치원 인가(2학급)
- 1983년 3월 1일: 특수학급 인가(1학급)
- 1991년 3월 1일: 도 지정 체육과 시범학교 운영(2년)
- 1992년 3월 1일: 도리분교장 통폐합
- 1996년 3월 1일: 가산분교장 통폐합
- 1996년 3월 1일: 가조초등학교로 개칭
- 1999년 9월 1일: 석강초등학교 통폐합
- 2000년 12월 29일: 현대화 시설 사업으로 전 교사 신축
- 2001년 3월 1일: 에너지절약 실험학교 운영(1년)
- 2006년 3월 1일: 도 지정 연극시범학교 운영(2년)
- 2012년 3월 1일: 농어촌 전원학교 B형 운영(3년)
- 2018년 3월 1일: 사교육절감학교 운영
- 2019년 3월 1일: 교육복지우선사업학교 운영 및 두드림 학교 운영
- 2020년 3월 1일: S/W 선도학교, 교육복지우선사업학교 운영
- 2021년 2월 1일: 가상현실 스포츠실, 실내 안심놀이터, 어린이도서관 구축
- 2021년 3월 1일: 경남형 학교공간혁신모델 구축 사업 운영
- 2023년 9월 1일: 제32대 김○섭 교장 부임
- 2025년 2월 10일: 제 101회 졸업 (총 졸업생 수 9,936명)
3. 학교 상징
- 출처: 가조초등학교 홈페이지
3.1. 교육목표
3.2. 교가
4. 학교 특징
4.1. 복장
(교복, 명찰, 체육복 등을 서술하실 수 있습니다.)5. 학교 시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 시기"로 추가해 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6.2. 학교 일과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
6.3. 시간표
월 | 화 | 수 | 목 | 금 | |
~ 08:30 | 등교 |
7. 운동부
8. 출신 인물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3] |
템플릿:버스 정류장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
9.2. 철도
10. 사건 사고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