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bgcolor=white,#191919> 본편 | |||||||||||
리바이 | 바이스 | 라이브 | 이블 | 잔느 | ||||||||
데몬즈 | 오버 데몬즈 | 아길레라 | ||||||||||
베일 | 데스트림 | 쥬우가 | ||||||||||
크림슨 베일 | 데몬즈 트루퍼 | |||||||||||
영화 (무비대전 · 극장판) | ||||||||||||
센츄리 | 키마이라 | 다이몬 | 겟 오버 데몬즈 | |||||||||
이가라시 | ||||||||||||
외전 | ||||||||||||
다크 아길레라 | 전파인간 블랙 태클 | 오르테카 | ||||||||||
파이널 스테이지 | ||||||||||||
블러드 베이드 | ||||||||||||
← 세이버 라이더 목록ㆍ기츠 라이더 목록 → |
역대 레이와 가면라이더의 2호 라이더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레이와 1기 | |||
가면라이더 발칸 (후와 이사무) | 가면라이더 블레이즈 (신도 린타로) | |||
가면라이더 라이브 (이가라시 다이지) 가면라이더 이블 (카게로우) | 가면라이더 타이쿤 (사쿠라이 케이와) | |||
가면라이더 마제이드 (쿠도 린네) | 가면라이더 발렌 (카라키다 한토) | |||
← 헤이세이 2호 라이더 목록 |
가면라이더 리바이스의 등장 가면라이더 | |||
명칭 | <colcolor=#000,#ddd> 가면라이더 이블 仮面ライダーエビル KAMEN RIDER EVIL | ||
장착자 | 카게로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기본 스펙(배트 게놈 기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000> 변신벨트 | <colbgcolor=#fff,#191919> 투 사이드라이버 리바이스 드라이버[A] | |
<colbgcolor=#008080> 키 | 207.0cm | ||
무게 | 106.8kg | ||
펀치력 | 15.8t | ||
킥력 | 37.5t | ||
도약력 | 한번에 45.1m | ||
질주력 | 100m 3.1초 | ||
주요 아이템 | 바이스탬프 | ||
주무장 | 이블 블레이드 리바이슬래셔[A] | ||
테마곡 | Ready to Rumble | ||
슈트 액터 | 나카타 유지 | ||
나와타 유야[3] |
[clearfix]
1. 개요
가면라이더 리바이스의 2호 라이더 및 다크 라이더.[4]카게로우가 변신하는 라이더로, 투 사이드라이버의 리버설 셀렉터를 아래로 회전시켜 이블 블레이드 상태로 만들고 바이스탬프를 장착하여 변신한다.
2. 게놈
자세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이블/게놈 문서 참고하십시오.3. 신체 부위
자세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이블/신체 부위 문서 참고하십시오.4. 바리에이션
4.1. 가면라이더 이블리티 라이브
서로가 앙숙 관계였던 라이브(다이지)와 이블(카게로우)이 힘을 합친 모습.자세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이블리티 라이브 문서 참고하십시오.
5. 모형화
5.1. S.H.Figuarts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9em"
<colbgcolor=#353535,gray><colcolor=white> 분류 | S.H.Figuarts |
전고 | 약 150mm |
재질 | PVC, ABC |
구성품 | 본체 x 1[5] 좌우 교환용 손목 4종 이블 블레이드용 교환 파츠 x 1 자칼 게놈용 교환 파츠 자칼 바이스탬프 x 1 오스토데루 해머 50 x 1 프테라 바이스탬프 x 1 |
발매 | 2022년 6월 |
가격 | 7,150엔 (세금 포함) |
SHF 가면라이더 리바이스 시리즈의 첫번째 혼웹 상품으로 2022년 6월 발매 예정이다. 이블의 세트와 함께 자칼 게놈의 폼 체인지, 리바이와 바이스 전용의 옵션이 부속되는 등 호화롭게 구성되었다.
한국 프리미엄 반다이에서도 예약을 받았는데 국내 SHF 가면라이더 중 최초로 정규 예약 마감 시간 전까지 예약이 마감되지 않을 정도로 널널했다. 메인 화면에서 보여지는 홍보 이미지가 이블이 아닌 오스토데루 해머를 든 리바이와 바이스의 사진이었기 때문. 한국의 프리미엄 반다이에서 SHF 라이더는 물량을 조금씩 확보해오는 것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보통 30분 내에 완판되는 경우가 대다수지만, 이블을 시작으로 데몬즈를 제외한 리바이스 계열 shf 제품들은 전부 1~2달의 정규 예약 기간을 모두 채울 정도의 저조한 인기를 보여주고 있다.
6. 기타
- 가면라이더 시리즈 최초로 2호 라이더가 다크 라이더이다.[6] 그 대신 같은 2호 라이더인 가면라이더 라이브가 전형적인 선역 포지션 2호 라이더 클리셰를 가져갔다. 그리고 역대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다크 라이더 중 가면라이더 듀랜달과 가면라이더 사벨라의 뒤를 이어 사실상 4번째로 아군으로 전향하여 아예 선의 라이더로 전환된 가면라이더로 가면라이더 시리즈에서 선의 라이더와 다크 라이더로 모두 분류되는 얼마 되지 않은 가면라이더 중 하나다.
- 헬멧과 가슴 장갑을 거꾸로 보면 날개를 감싼 박쥐가 연상되는 디자인을 하고 있는데, 얼굴의 복안이 데칼코마니 같은 무늬로 되어 있다. 거기다 복안 구조도 복안 파츠가 따로 헬멧에 부착된 형태가 아니라 헬멧에 페인트로 그려진 듯한 형태이다.
- 이름 표기가 エビル(에비루)인지라 명칭이 이블과 에빌로 갈렸었다.[7] 다만 작품의 주제가 주제인 만큼 이블로 확정될 확률이 더 높을 것이고, 이후 간바라이징 공식 영문 명칭이 'Kamen Rider Evil인 것으로 드러나 이블로 불리는 중이다.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가면라이더 헤라크스, 가면라이더 제로원 어메이징 헤라클레스와 두부 장갑이 비슷하다. 위의 셋은 모티브가 장수풍뎅이와 장수풍뎅이의 뿔이지만 가면라이더 이블은 박쥐와 날개를 접은 상태의 박쥐가 모티브다.
- 왼쪽 가슴의 박쥐 문양은 색상 때문에 배트맨의 심볼을 연상시킨다.
- 리바이와 바이스에 이어 공개된 3번째 가면라이더이자 가면라이더 라이브와 같은 2호 라이더.[8] 다만 리바이와 바이스가 별개의 인격체에 가까움에도 둘이서 1호 라이더로 묶인 것처럼 이쪽도 라이브와 같이 둘이서 동시에 2호 라이더로 묶였다.[9] 애초에 상징 문양부터가 리바이스처럼 두 명의 문양을 하나로 합친 것으로 공식에서는 둘을 하나로 묶어서 취급하고 있다.
- 내면의 악마가 신체의 주도권을 탈취해 변신한다는 점에선 같은 작품에 나온 리바이 - 바이스[10]의 관계보다는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키도 신지 - 거울상의 신지나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의 호죠 에무 - 파라드의 관계에 가깝다.
- 각본가가 추리 소설 작가다 보니 이블의 변신자가 누구인지 밝혀지기 전에 서술 트릭을 대거 넣었지만 이런 노력과는 별개로 작품 외적으로 단서가 많이 드러났던 편이다. 인형 굿즈에서 캐릭터의 눈이 변신하는 라이더의 컬러와 일치하는데 다이지의 인형 눈 색깔이 이블과 일치했고, 거기다 어느 시청자가 라이온 데드맨을 만들기 위해 바이스탬프를 훔치는 범인의 손의 보조개가, 방영 전날 인스타에서 비춰진 휴우가 와타루의 손의 보조개와 일치한 걸 근거로 이블의 변신자라고 추측해서 각본가도 식겁했다고 한다.
- 여담으로 가면라이더 라이브가 나온 화를 세어서 2화 후에 가면라이더 데몬즈가 나왔으며, 라이더명이 악마의 명칭으로 따온 것도 특이점이다.
- 12화 기준 주도권이 다이지에게 있기에 등장하지 못하고 있으나, 가면라이더 잔느의 무기 소개샷에서 철선을 든 잔느와 맞서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다시 등장할 듯 했고 13화에서 다이지가 잠시 의식을 잃자 튀어나와 주도권을 잡았다.
- 22화 오프닝부터 다이지가 수색하고 바이크 타는 장면이 빠지고 이블과 라이브의 장면이 나온다.
- V 시넥스트에서 드디어 단독 강화 폼을 얻었다.
7.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15CFB8> 장착자 | <colbgcolor=#fff,#1f2023> 이가라시 다이지 & 카게로우 |
폼 | 라이브 · 이블 | |
신체 부위 | 라이브 · 이블 | |
벨트 · 무장 | 투 사이드라이버(이블 블레이드 · 라이브 건) |
[A] 이블 마벨러스 한정.[A] [3] 본편 26화 및 V시넥스트 한정. 리바이스 본편에선 나카타 유지가 라이브를 연기하면서 잠시 대역을 맡았고, V시넥스트에선 에이토쿠가 라이브 마벨러스를, 나와타 본인이 이블 마벨러스를 담당했다.[4] 44화부터는 선의 라이더로 전환.[5] + 투 사이드라이버 - 배트 바이스탬프[6] 2호 라이더 중 악역이나, 반동인물이었던 케이스는 이전에도 있었다. 쿠사카 마사토는 말 그대로 목숨을 걸고 살벌하게 충돌했던, 라이벌보다는 숙적에 가까운 관계였으며 쿠몬 카이토는 악역까지는 아니었지만 아예 괴인태를 얻고 최종 보스로 등극했다. 하지만 가면라이더 카이자는 장착자의 행보와는 별개로 설정상 선의 라이더이며 가면라이더 바론 또한 선의 라이더 및 라이벌 라이더다. 정규 넘버링 시리즈 이외의 작품에서는 가면라이더 SHADOWMOON도 있다. 치노마나코가 변신했던 디엔드는 2호 라이더가 아니라 유사 라이더로 분류되므로 논외.[7] 당장 전작인 세이버에서도 라이더 명칭 문제로 문서명이 바뀐 게 2차례(버스터, 듀랜달)나 있고, 라이더 명칭은 아니지만 본명 문제로 문서명이 바뀐 사례도 있다.[8] 또한 가면라이더 시리즈 자체로도 최초로 2호 라이더가 2명인 사례이기도 하다. 입지에 대한 논쟁이 비교적 길어져 비공식으로 2호 라이더를 2명으로 퉁치는 사례(가면라이더 갸렌, 가면라이더 카리스)는 있었지만 헤이세이 마지막에 어느 정도 정리되어 사실상 한 명이 된 반면 이쪽은 정식으로 공동 2호 라이더다.[9] 이블이 강해질 수록 라이브도 그에 비례해서 강해진다는 설정도 존재한다.[10] 이 쪽은 변신 주도권이 리바이에게 있기는 해도 어쨌든 바이스도 실체화되어 2명의 인격이 분리되어 2명의 가면라이더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