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箕 키 기 |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竹,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14획 |
| 미배정 | |||
| - | |||
| 일본어 음독 | キ | ||
| 일본어 훈독 | ちりとり, み | ||
| - | |||
| 표준 중국어 | jī | ||
1. 개요
箕는 \'키 기'라는 한자로, '키(곡식을 까부르는 도구)'를 뜻한다.2. 상세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fff,#1c1d1f>키 |
| 음 | 기 | |
| 중국어 | 표준어 | jī |
| 광동어 | gei1 | |
| 객가어 | kî | |
| 민북어 | gí | |
| 민동어 | gĭ | |
| 민남어 | ki | |
| 오어 | ji (T1) | |
| 일본어 | 음독 | キ |
| 훈독 | ちりとり, み | |
| 베트남어 | cơ, ky | |
유니코드에는 U+7B9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廿一金(HTMC)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竹(대 죽)과 소리를 나타내는 其(그 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其가 키의 모습을 본뜬 상형자였으나, 가차되어 본래의 뜻을 잃어 버리자 여기에 竹을 더하여 본래의 뜻을 나타낸 것이 箕이다.
3. 용례
3.1. 단어
- 기성(箕星): 동양천문학의 별자리 체계인 3원 28수에서 동방 청룡을 나타내는 7개의 수(宿) 중 일곱 번째 별자리. 미성(尾星)과 더불어 조선을 상징하는 별자리 취급을 받아서, 고종 때에는 미기성제라 하여 별도로 이 별에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강기찬(康箕贊): 제주시 출신 독립운동가
- 강석기(姜錫箕): 독립운동가
- 기자(箕子): 기자조선의 건국자로 오랫동안 알려졌던 인물. 현재 학설로는 실체가 불분명하다.
- 기훤(箕萱)
- 김병기(金炳箕):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신규식의 아버지의 첫째 부인
- 미노와 세이치(箕輪 勢一)
- 미노우라 카츤도(箕浦 勝人): 제11대 일본 중의원 부의장
- 박기양(朴箕陽)
- 복기업(卜箕業): 복혜숙의 아버지
- 복기왕(卜箕旺)
- 신기선(申箕善)
- 위기백(衛箕伯)
- 최기선(崔箕善)
- 타카야마 키사이(高山 箕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