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3 19:02:11

키 기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 8획
총 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14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ちりとり, み
-
표준 중국어
* 보라색의 자형은 상용한자표에서 별도로 허용하는 자형.
  • 빨간색의 자형은 상용한자표에 없는 확장 신자체 또는 간이관용자체.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 독음, 빨간색의 독음은 비상용 독음.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箕는 \'키 기'라는 한자로, '(곡식을 까부르는 도구)'를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fff,#1c1d1f>키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gei1
객가어
민북어
민동어
민남어 ki
오어 ji (T1)
일본어 음독
훈독 ちりとり, み
베트남어 cơ, ky

유니코드에는 U+7B9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廿一金(HTMC)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대 죽)과 소리를 나타내는 (그 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其가 키의 모습을 본뜬 상형자였으나, 가차되어 본래의 뜻을 잃어 버리자 여기에 竹을 더하여 본래의 뜻을 나타낸 것이 箕이다.

3. 용례

3.1. 단어

  • 기성(箕): 동양천문학의 별자리 체계인 3원 28수에서 동방 청룡을 나타내는 7개의 수(宿) 중 일곱 번째 별자리. 미성(尾星)과 더불어 조선을 상징하는 별자리 취급을 받아서, 고종 때에는 미기성제라 하여 별도로 이 별에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기약할 기)의 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