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00:23:14

재목 재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7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ザイ, サイ
일본어 훈독
まるた
-
표준 중국어
cá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材는 '재목 재'라는 한자로, '재목(材木)', '재료(材料)', '재주'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재목
중국어 표준어 cái
광동어 coi4
객가어 chhòi, chhài
민남어 châi, chhâi
오어 ze (T3)
일본어 음독 ザイ, サイ
훈독 まるた
베트남어 tài
유니코드에는 U+675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木木竹(DDH)으로 입력한다.

(재주 재)에서 파생된 글자로[1], '재질이 좋은 나무'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才에 (나무 목)을 더해서 만들었다. 따라서 회의자로도 볼 수 있고 형성자로도 볼 수 있다. 이는 (재물 재)도 마찬가지.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 재대난용(材) - 재목이 상황에 맞지 않게 커서 쓰기 힘들다는 뜻의 고사성어. 인재가 자신에게 맞지 않는 환경에서 썩혀져 간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 (재주 기)
  • (재주 재) - 材는 "재주 재"에서 유래되어 "재목"이라는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된 한자지만, 재용(材勇)에서처럼 "재주"란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 (재주 량)
  • (재주 술)
  • (재주 예)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수풀 림)
  • (승냥이 시)
  • (날카로울 재)
  • (누룩 재)
  • (재물 재)
  • (머뭇거리다가 떠나갈 채)
  • (마을 촌)
  • (검을 치)


[1] Schuessler, 2007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