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일론 머스크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colcolor=#262633> 인물 | <colcolor=#000,#fff>일론 머스크 (생애 · 성향 · 비판 및 논란) | |
진행 사업 | <colbgcolor=#f5f5f5><colcolor=#000> 정보 기술 | 뉴럴링크 · xAI | |
육상 교통 | 테슬라 · 보링 컴퍼니 | ||
항공 우주 | 스페이스X (스타링크) | ||
과거 사업 | Zip2 · 페이팔 · OpenAI | ||
프로젝트 | 화성 테라포밍 · 소행성 채굴 · 탄소 포집 · 하이퍼루프 | ||
관련 문서 | 그라임스 · 아이언맨 · 비트코인 · 도지코인 · 트위터 인수 · 일론 머스크(전기) · 리턴 투 스페이스 · 정부효율부 |
<colbgcolor=#000><colcolor=#fff> X.AI Corp. | |
| |
설립 | 2023년 3월 9일 |
네바다 | |
공개 | 2023년 7월 12일 |
창업자 | 일론 머스크 외 11명 |
모기업 | X Holdings Inc. |
CEO | 일론 머스크 |
CFO | 자레드 버첼 |
상장 거래소 | 비상장 기업 |
기업가치 | 500억 달러 (2024년 12월 / 시리즈C) |
임직원 | 약 1,000명 (2025년) |
본사 |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
링크 |
1. 개요
미국의 인공지능 개발 기업.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X를 통해 제공한다. AGI 개발을 통한 우주의 진정한 본질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1] X Corp., 테슬라 등 일론 머스크가 책임자로 있는 기업과는 엄연히 구분되는 법인이다. 하지만 데이터 공유 등을 통해 긴밀한 협력을 이어 나갈 예정이라고 한다.
엑스의 API 유료화와 웹사이트 로그인 강제화, 2023년 7월 엑스 API 사용 제한 사태 등은 최근 들어 급증한 데이터 스크래핑을 차단하고 xAI에 데이터 사용 독점권을 주기 위한 초석이었음이 밝혀졌다. 앞서 엑스는 커뮤니티 노트와 블루 구독 촉진 정책을 통해 광고 매출 감소와 웹사이트 트래픽 감소 등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거듭하여 편향되거나 거짓된 정보를 줄여 나가고 스팸봇 퇴치에 사활을 기울여 나가고 있었다.[2] 그 결과, 엑스는 정보의 신뢰성이 어느 정도 높아졌고 데이터의 양 자체도 가장 많은 단일 플랫폼 중 하나로 거듭나게 되었다. 안 그래도 전처리 과정이 수월한 텍스트 포맷의 데이터의 양이 많은데 신뢰성도 높아졌으니, 이를 통해 언어 모델 학습 과정에서 매우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게 된 것이다.[3]
2. 역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xAI 홀딩스/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xAI 홀딩스/역사#|]][[xAI 홀딩스/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사업 분야
3.1. Grok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rok#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rok#|]][[Grok#|]]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X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X(SN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X(SNS)#|]][[X(SN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구성원
현재 인공지능 업계는 갑작스러운 수요 증가와는 반대로, 전문적으로 해당 학문에 대한 교육을 받은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고용 단계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고 기업들은 인재 영입을 위해 제로섬 게임을 벌이고 있다. xAI는 다행히도 일론 머스크의 비전을 내세우며 OpenAI, 구글 딥마인드, 구글 리서치,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토론토 대학교 등에서 업계 전문가들을 섭외했다고 한다. 설립 취지가 AI가 우주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인 만큼, 컴퓨터과학 및 수학과 물리학 등 기초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구성원들이 많다.[4] 자문으로는 Center for AI Safety[5]의 책임자인 댄 헨드릭스를 영입하면서, 앞서 안정적이고 가짜 정보가 없는 모델을 개발하겠다는 의지를 확고히 했다.[6]4.1. 공동 창업자
- Igor Babuschkin: 대학에서 물리학을 공부하였다. OpenAI와 구글 딥마인드에서 근무하였으며 알파스타 개발에 참여했다. xAI에서 첫 번째로 영입된 멤버이다.
- Manuel Kroiss: 마찬가지로 구글 딥마인드에서 대규모 강화학습 구축 관련 업무를 진행했다.
- Yuhuai (Tony) Wu: 구글 딥마인드에서 알파스타 개발에 참여했으며 단계별 양적추론 언어 모델인 미네르바 논문 저술에 참여했다.
- Christian Szegedy: 업계에서 저명한 Ai연구자이다. 수학과 컴퓨터과학을 공부했다. 구글에서 장기간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배치 정규화 논문이 유명하다.
- Jimmy Ba: 오차역전파 알고리즘과 심층신뢰신경망으로 각각 비선형 회로 적용 문제와 기울기 소실 문제를 해결한 바 있는 제프리 힌튼 교수 밑에서 학습한 수제자이고 토론토 대학교에서 조교수를 맡으며 인공 신경망을 연구한다. 인용수 15만 회에 달하는 아담 논문의 공동저자이다.
- Toby Pohlen: 구글 딥마인드에서 분산처리, 강화학습 등 대규모 인프라 자원을 다루었다.
- Ross Nordeen: 팔란티어, 테슬라, 엑스를 거치며 분산처리 관련 업무를 해왔다. ASIC, 데이터센터, 쿨링 등 HPC분야에서 대규모 스케일링 관련 업무를 진행해온 경험이 있다고 한다.
- Kyle Kosic: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을 공부했다. HPC, 분산처리 등을 다루는 엔지니어이다. 소수의 기업이 언어 모델 독점을 취하는 것에 반감을 느꼈고, 새로운 경쟁을 원해왔다고 한다.
- Greg Yang: 작은 신경망으로 대규모 신경망 최적의 하이퍼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법에 대해서 연구를 해온 마이크로소프트 출신의 수학자이다. 어떤 임의의 수학자와 대면해도, 30분 이상 대화가 가능하고 그들의 업적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까지 수학을 학습하고자 했다고 한다.
- Guodong Zhang: 구글 딥마인드에서 Gemini 프로젝트의 자동화 관련 업무를 했다.
- Zihang Dai: 구글 리서치에서 아키텍처 개선과 데이터 수집 관련 연구를 해왔다고 한다.
5. 여담
- 엑스 개설 이후 가장 먼저 올릿 게시물이 가장 근본적이면서도 아직까지 해답이 나오지 않은 주제에 대하여 언급했다. 외계인의 존재 여부, 머스크 vs. 저커버그, AGI, 사이버 트럭의 가격 등에 대한 내용이 큰 지지를 얻었다.
일론 머스크는 xAI 공개 몇 시간에 앞서, 이스터에그를 심은 사진을 올렸다. 사이버트럭에 포커싱을 맞췄으나, 자세히 보면 건물 좌측에 x.AI라는 글자가 숨겨져 있다.- 일론 머스크가 엑스에서 언급하길 테슬라에서 요구하는 AI 가속기용 GPU의 공급과 유통량이 사업 비전에 대한 수요에 비하여 턱없이 부족해 자체 AI가속기 슈퍼컴퓨터용 아키텍처인 D1, 자체 AI 가속기 Dojo 슈퍼컴퓨터 개발에 천문학적인 투자가 이루어지는 상황인데, 이에 x.AI 사업, x.AI 의 개발 방향성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 인류는 밀레니엄 문제, 힐베르트의 23가지 문제 등 일부 난제들을 이미 해결했는데, 컴퓨터(인공지능)는 아직 이러한 것들을 해결해본 사례가 없으므로 AGI 도달을 위해서는 이러한 임계점을 필연적으로 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앞으로 AGI를 통한 해결이 필요한 문제로 리만 가설, 페르미 역설, 암흑물질, 암흑 에너지, 중력 등을 언급했다.[2] 편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짜여진 알고리즘에 대한 심각성은 넷플릭스 다큐멘터리인 '편향된 알고리즘'의 시청을 통해 간단히 이해해볼 수 있다. 일론 머스크는 OpenAI와 구글 등의 언어 모델 업체가 편향된 데이터를 사용해서 편향되고 거짓된 출력값을 사실인 척 하는 프로그램이 짜여진다고 비판한다.[3] 최근 메타가 Threads를 출시한 것도 이와 일맥상통한다. 왓츠앱과 메신저는 사생활이 담겨 있어서 매개변수로 활용하기는 부적합하고, 인스타그램은 영상과 이미지 위주의 데이터가 대부분이라 언어모델 포맷에는 적합하지 않다. 페이스북마저 연령층이 높아지면서 수집 가능한 정보가 파편화되고 있는 추세이기에 인스타그램 계정을 기반으로 하여 기존 유저들을 빠르게 포섭하고 전처리에 용이한 텍스트 포맷 데이터 생성을 유도하는 스레드 앱을 수익 모델도 아직 생기지 않았음에도 굳이 런칭한 것이다.[4] 학생때는 타 전공을 했다가, 인공지능에 매료되어서 컴퓨터과학쪽으로 진로를 바꾼 케이스가 많다. 업계 진출 이후에는 공통적으로 대부분이 대규모 신경망 구축 방법론에 관련된 업무를 진행해왔다.[5] 인공지능 규제법을 캘리포니아 주의회에 발족하기도 한 단체다. 기업은 생화학 및 핵무기들 만들거나 사이버보안 공격을 지원하는 등 위험한 능력을 갖춘 모델을 개발하지 않으며, 개발자는 안전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고 특정 위험에 대한 임계치를 넘길 경우 모델을 중단시킬 수 있는 킬 스위치를 도입할 것을 주정부와 약속해야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6] ChatGPT가 가짜 답변을 많이 하면서 비판 받고 있는 것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엑스는 가짜 정보를 규제하지 않는다고 했고#, 머스크 스스로도 SNS에서 과격하고 잘못된 언행들을 많이 하는 것을 보면 지켜질지는 두고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