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F> '''[[폴란드군| 폴란드 공화국군 (1990~현재) ]]''' Siły Zbrojne Rzeczypospolitej Polskiej | ||
기타전차 | <colbgcolor=#FFF> '''[[경전차| 경전차 ]]''' | ||
'''[[주력 전차| MBT ]]''' | '''[[1세대 전차| 1세대 ]]''' | T-55AM 메리다 | T-55(A/L/AD-1/AD-2) | T-54(A/AD/AM) | |
'''[[2세대 전차| 2세대 ]]''' | T-72(M/M1/M1D) | ||
'''[[3세대 전차| 3세대 ]]''' | PT-91(MA/MA1) 트바르데 | 레오파르트 2(A4/A5) | M1A1 FEP 에이브람스 | ||
3.5세대 | {K-2PL} | K-2GF | M1A2 SEP v3 에이브람스 | 레오파르트 2PL | ||
'''[[장갑차| 장갑차 ]]'''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KTO 로소막 | AMZ 보버-3 | 바란 | 헤론 | M-ATV | 쿠거 H | BRDM-2 | SKOT-(1A/2A/2AP) | BTR-40 | |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CBWP 사업} | BWP 보르숙 | LPG | | ||
차량 | ''' 초소형 ''' | ATV 폴라리스 스포츠맨 | 혼다 TRX-300 | 봄바디어 아웃랜더 | 아크틱 캣 400 | |
소형 | IMV K-153 레그완 | LPU 비루스 4 | PWA 아에로 | 투막 | 샌드캣 | 벤츠 G클래스 | 혼커 | 랜드로버 디펜더 | WD-43민수형 포드 레인저 XTL · 트랜짓 | VW 크래프터 · 트랜스포터 | MAN TGE | 피아트 두카토 | ||
트럭 | 군용 스타 266 · 660 · 944 · 1466 | 옐츠 442 · 642 · 662 · 842 · 862 · 882 | FMTV | 벤츠 유니목 · 제트로스 | 타트라 T-815 | ZiL-131 · 157 | GAZ-66상용 스타 200 · 244 | 벤츠 1017A · 악트로스 | 이베코 스트라리스 · 트래커 · 유로카고 · 유로트래커 | 볼보 FM | ||
'''[[자주포| 자주포 ]]'''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 {K-9PL} | K-9A1 | AHS 크라프 | 2S1(M/T) 고즈지크 | wz. 1977 다나-T | 2S7 피보니아 | |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 M120 라크 | TOPAS-2AP | ||
다연장로켓 | 호마르-K | 호마르-A | WR-40 랑구스타 | RM-70/85 | BM-24 | BM-21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 ZSU-23-4MP 비아와 | | |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 참고: 틀:현대전/폴란드 유도무기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BPz 2 | M88A2 허큘리스 | WZT-3M | WZT-2 | |
공병차량 | MID 비존-S | 보제나-5 무인 지뢰제거차 | ||
교량차량 | M1110 JAB | MS-20 다글라지아 | ||
기타 | PTS-M 수륙양용 운반차 | ||
※ 갈색 글자: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둘러보기 : | }}}}}}}}} |
|
PT-16 |
1. 개요
PT-16 시연 영상 |
2. 제원
중량 | 47.5t |
전장 | 9.67m(포신 포함), 6.86m(차체) |
전고 | 3.34m |
전폭 | 2.70m |
탑승 인원 | 3명 (전차장,포수,조종수) |
장갑 | 복합장갑 |
주 무장 | 120mm 50구경 KBM2 활강포 1문[1] (40발) 혹은 |
120mm 50구경 TGMSB 활강포 1문[2] (40발) | |
부 무장 | WKM 50구경 중기관총 1정 (???발), UKM-2000 기관총 1정 (?,???발) |
엔진 | ??? V46-TK V형 터보차져 디젤엔진[3] 혹은 |
??? MTU V형 ... 디젤엔진[4] | |
마력 - 톤당 마력 | 1200hp - 1?.? hp/tonne |
1088hp - 1?.? hp/tonne | |
현가 장치 | 토션 바 |
항속 거리 | 500km |
최고 속도 | 62km/h (노상), 42km/h (야지) |
2012년 이후 폴란드에서는 전차용 엔진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세르비아나 우크라이나에서 만든 디젤엔진을 장착하며, 등판각 58%, 횡경사 47%, 수직장벽 0.85 m, 참호 넓이 2.8 m, 수심 1.2 m (장비이용 시 최대 4 m) 를 돌파할 수 있다.
3. 상세
현재 폴란드 군은 1000여대의 MBT를 보유하고 있으나 그 구성 중에 일부인 250여대만 독일로부터 구입한 중고 레오파르트 2 전차이고 여기에 더해서 233대의 PT-91 트바르디와 590대의 T-72를 운용하고 있다. T-72 중에 구형인 T-72M1(T-72A의 수출형)이 470대이며 이것은 치장물자로 보관하고 있다. 이에 폴란드는 MBT 수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T-72를 적은 비용으로 고성능으로 개량을 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PT-16을 개발하였다. 물론 레오파르트 전차도 2A4형이 상당수 있어 이것을 레오파르트2 PL로 개량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이 것은 K1 전차를 K1A1,2 시리즈로 개량하려는 한국군의 프로그램과 비슷하다고 이해할 수 있다.차체 방어는 PT-91의 차체에 부가 복합장갑 키트를 부착하여 보강하였다. 이 부가 장갑은 독일에서 공급받는다고 한다. 차체 아래면은 위의 그림처럼 고무스커트로 보호한다.
|
복합 부가 장갑 |
|
포탑부 복합장갑 |
|
PT-16의 사통 장치 |
장전은 자국에서 개발한 자동장전장치를 사용하는데 포탑 버슬부에 22발의 포탄을 적재하고 분당 12발을 장전할 수 있다. 이전의 T-72에 있던 캐로젤 형태의 자동장전장치는 포탄이 승무원 거주 공간에 있어 장갑이 뚫렸을 때 위험요소가 있었으나 새로 개발된 것은 이런 위험성이 제거되었다.
|
RWS |
4. 향후 전망
PT-17과 함께 최소한의 가성비로 최대한의 전투효율을 발휘하고자 마련된 설계안이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위기감을 크게 느낀 폴란드가 한국과의 초대형 방산사업을 벌이게 됨으로서 훨씬 더 좋은 전차가 폴란드 전차부대의 숫적 주력이 될 예정이라 PT-16과 PT-17은 사실상 폐기수순이나 개발 잠정중단 절차를 밟게 될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앞으로 흑표를 도입하면서 받는 기술이전 요소들과 PT-16/PT-17을 개발하면서 쌓은 독자기술력을 접목한다면 흑표 이후 개발하게 될 미래의 폴란드 차기전차를 독자적으로 개발할 여력이 생길수 있을테니, 그동안의 개발이 의미없었던것은 아니라 할 수 있다.5. 둘러보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