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23:22:14

P.108

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군 항공병기
파일:Italy-Royal-Airforce.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전투기 <colcolor=#373a3c><colbgcolor=#b0e000> 복엽기 CR.30, CR.32, CR. 42 팔코, Ro.44
단엽기 C. 20x 시리즈, Re. 200x 시리즈, G.50 프레치아, G.55 첸타우로, D.520F, Bf 109G, 카프로니 캄피니 N.1z
중전투기 Ca.331, SM.91, SM.92, G.58, Bf 110G, Do 217NG, 보파이터 Mk.IFC, P-38C
폭격기 경폭격기 블렌헤임 Mk.IVC
中폭격기 Ca.311, Ca.135, BR.20 치코냐, SM.79 스파르비에로, SM.84, SM. 81 피피스트렐로, Z.1007 알치오네, Z.1018 레오네, Z.515, Ca.331
重폭격기 SM.82, P.108B, P.133, Z.506, Z.511, Z.516, Z.1011, B-24C
급강하 폭격기 Z.501, SM.85, SM.93, FC.12, Ca.355, Ba.201, Ju 87 피치아텔로G
공격기 Ba.65, Ba. 88, Ca.335, P.108A
수송기 SM. 79, SM. 75, SM. 82, SM. 95, P.108T, AL-12P, Ju 52G
정찰기 Fi 156G
※ 윗첨자 F: 프랑스 기체, G: 독일 기체, Z: 제트기, 취소선: 프로토타입 및 페이퍼플랜, C: 노획기체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파일:attachment/Piaggio_P_108_00001.jpg
피아지오(Piaggio) P.108

1. 개요2. 상세3. 제원 (P.108 / P.133)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군의 최강 폭격기.

1937년부터 이탈리아의 피아지오 사가 개발한 기체로 당시 설계주임이던 지오반니 카시라기 기사는 1936년까지 미국에서 비행설계학을 공부했었기에 개발중인 기체엔 미국에서 경험한 체험이 반영되었다.

2. 상세

시제기는 1939년 11월에 첫 선을 보였는데 전금속재질의 기체에 1,350마력의 엔진 4기를 장착한 폭격기였다. 하지만 시제기인데다가 당시 이탈리아의 수준으로는 최첨단 기술을 사용한 관계로 시작기나 초기생산형을 배치받은 부대에서 사고가 발생했는데, 1941년 8월 7일에는 베니토 무솔리니의 아들인 부르노 무솔리니가 해당 폭격기로 비행하다가 너무 낮게 비행하는 바람에 추락해서 사망한 사고가 있었다.
P.108은 3톤이 넘는 폭탄을 탑재하는 것이 가능했고 방어무장으로 8정의 기관총을 보유하고 있었다. 기총 중 4정은 2정씩 외측 엔진상부에 장비되어 동체 상부의 조준 돔에서 조준사격했는데 12.7mm 기관총을 기수와 반흡입식의 복부총좌에 두고 동체측면에 나머지 2정의 기총을 장비한 것은 이탈리아 기체 중 가장 중무장이었다. 또한 엔진도 초기형 B-17보다 강력한 엔진을 사용해서 다른 이탈리아제 항공기와 달리 출력부족에 시달리지 않았다. 또한 이탈리아제 답지 않게 자동 방루 봉입식 연료탱크를 갖추어서 적 전투기의 공격에도 어느 정도 버틸 수 있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추축군의 중폭격기로는 독일의 He 177과 함께 쌍두마차로 군림할 수 있었다. 폭탄창은 여러므로 신기하게 개폐하는데, 폭탄창이 3개가 있는데 좌우 폭탄창은 여닫이, 중앙 폭탄창은 미닫이이다.

하지만 4발 중폭격기간의 비교에서는 최하위를 기록한다. 일단 이탈리아가 처음 생산해본 4발 중폭격기다 보니 여러므로 단점이 많았다.[1] 일단 B-17과 비교하면 속도와 상승고도에서 불리하며, B-24와 비교하면 폭탄 탑재량에서 결정적으로 열세였다. 또한 설계상의 문제로 인해 폭탄창이 세분화되고 서로 분리됨에 따라 폭장량과는 달리 대형폭탄이나 대형어뢰등을 장착할 수 없거나 폭탄창의 전체 크기에 비해 극히 소량만 탑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2](다만 어뢰를 폭탄창안에 탑재 가능한 대형 폭격기는 드믈다.) 또한 방어기총과 총탑의 배치에도 문제가 있어서 사각이 많이 발생하고[3], 일부 총탑은 신뢰성에 문제가 있는 등 조목조목 따지면 문제가 없는 구석이 없을 지경이었다. 그나마 G5N 신잔보다는 전반적 우세로 꼴지는 아니다.
어찌되었든 이탈리아군의 시점에서는 가장 강력한 폭격기고, 비행시험에서 만족스런 결과를 내자 이탈리아군은 양산을 결정했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이탈리아의 수준에서는 최신식 기술을 사용하는데다가 고급재료가 필요하고 이탈리아의 내부 사정에 의해 생산공정이 늦어져 부대배치가 미루어졌다. 그래서 실전에 등장한 것은 1942년 6월이 되어서였다. 그 후 이탈리아가 항복할 때 까지 폭격기로는 24기 남짓한 기체가 생산되었다. 이건 제2차 세계 대전의 기준에서는 그야말로 시제기 수준의 물건으로 양산되었다고 하기에도 부끄러운 수준이었다.심지어 모든 시리즈를 합쳐도 40대를 겨우 넘을까 말까다

그래서 몇 번의 폭격임무 외엔 주로 해상초계용으로 사용되는것에 머물렀다. 하지만 그래도 성능이 가장 좋았기 때문에 지브롤터알제리를 폭격하거나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사용되었으며, 이 때문에 소량의 생산량치고는 선박 공격용, 중폭격기용, 수송기용, 중무장용등 여러 버전이 생길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다 한줌도 안되는 물건이었고, 앞서 말했듯이 4발 중폭격기로서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대로 된 전과를 거의 올리지 못하고 격추만 신나게 당해서 이탈리아가 항복할 시점에서는 9대 미만의 수량만 남게 되었다.
이탈리아가 항복한 후에는 거의 모든 기체가 파시스트 정권인 이탈리아 사회공화군과 독일군에게 넘어가 주로 대형수송기로 사용되었다. 추락한 B-24의 영향을 받아 P.133이 최종적인 개량형으로 개발되었지만 미처 개발이 완료되지 못한 상태로 끝났다.

여담이지만 102mm 대함포를 달은 시제기가 있다.(P.108A)

3. 제원 (P.108 / P.133)

  • 전장 : 22.92m / 24.60m
  • 전폭 : 32m / 36m
  • 높이 : 5.18m (??? 시) / 4.40m (착지 장치 낮출 시)
  • 중량 : 29,885kg (만재시) / 34,000kg (만재시)
  • 엔진 : 피아지오 P.12 RC35 공랭 18기통 4기 / 피아지오 P.15 RC60 공랭 18기통 4기
  • 출력 : 엔진당 1,350hp / 1,650hp
  • 최대속도 : 420km/h / 490km/h
  • 항속거리 : 376km/h로 3,520km / 400km/h로 5,100km
  • 상승고도 : 8,500m / 8,000m
  • 무장 : 7.7mm 브레다-SAFAT 기관총 2정, 12.7mm 브레다-SAFAT 기관총 5정 / 12.7mm 브레다-SAFAT 기관총 4정, 20mm MG 151 기관포 6문
    • P. 108A 한정 102mm 대함포
  • 폭장 3,500kg / 4,800kg
  • 승무원 : 6명
  • 생산량 : 30 ~ 35대 (폭격기로는 24대)[4]

[1] 최초의 중폭격기는 아니다. 당시 이탈리아는 SM.82라는 대형 수송기 기반의 중폭격기를 운용해 본적이 있었지만, 설계적으로는 꽤나 구식인 기체였다.[2] 이런 문제점은 영국숄트 스털링도 가지고 있다. 다만 스털링의 최대 폭장량은 5톤이 넘어서(...) 물량으로 해결했다.[3] 기체 하단에 사각이 많다. 기체 하부를 지켜줄 수 있는 무장은 오직 12.7mm 기총 하나다.[4] P.133은 제작되지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