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NBA 드래프트/2000년대|NBA 드래프트/2000년대]]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NBA 드래프트 | ||||
2002년도 | → | 2003년도 NBA 드래프트 | → | 2004년도 |
1. 1라운드
<rowcolor=#ffc224> 순위 | 구단 | 선수 | 국적 | 포지션 |
1순위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르브론 제임스 M T A R | 미국 | 포워드 |
2순위 |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 다르코 밀리시치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센터 |
3순위 | 덴버 너기츠 | 카멜로 앤서니 T A | 미국 | 포워드 |
4순위 | 토론토 랩터스 | 크리스 보시 H T A | 미국 | 파워포워드 |
5순위 | 마이애미 히트 | 드웨인 웨이드 H T A | 미국 | 슈팅가드 |
6순위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 크리스 케이먼 A | 미국 | 센터 |
7순위 | 시카고 불스 | 커크 하인릭 | 미국 | |
8순위 | 밀워키 벅스 | T. J. 포드 | 미국 | |
9순위 | 뉴욕 닉스 | 마이클 스위트니 | 미국 | |
10순위 | 워싱턴 위저즈 | 자비스 헤이즈 | 미국 | |
11순위 |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 미카엘 피에트러스 | 프랑스 | |
12순위 | 시애틀 슈퍼소닉스 | 닉 콜리슨 | 미국 | 포워드/센터 |
13순위 | 멤피스 그리즐리스 | 마커스 뱅크스[1] | 미국 | |
14순위 | 시애틀 슈퍼소닉스 | 루크 리드나우어 | 미국 | |
15순위 | 올랜도 매직 | 리스 게인즈 | 미국 | |
16순위 | 보스턴 셀틱스 | 트로이 벨[2] | 미국 | |
17순위 | 피닉스 선즈 | 자르코 차바르카파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
18순위 | 뉴올리언스 호네츠 | 데이비드 웨스트 A | 미국 | 파워포워드 |
19순위 | 유타 재즈 | 알렉산다르 파블로비치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
20순위 | 보스턴 셀틱스 | 단테 존스[3] | 미국 | |
21순위 | 애틀랜타 호크스 | 보리스 디아우 | 프랑스 | 가드/포워드/센터 |
22순위 | 뉴저지 네츠 | 조란 플라니니치 | 크로아티아 | |
23순위 |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 트래비스 아웃로 | 미국 | |
24순위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브라이언 쿡 | 미국 | |
25순위 |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 카를로스 델피노 | 아르헨티나 | |
26순위 | 마이애미 히트 | 은두디 에비 | 영국 | 나이지리아 | |
27순위 | 멤피스 그리즐리스 | 켄드릭 퍼킨스[4] | 미국 | 센터 |
28순위 | 샌안토니오 스퍼스 | 레안드로 발보사[5] | 브라질 | |
29순위 | 댈러스 매버릭스 | 조쉬 하워드 A | 미국 | 스몰포워드 |
|
2. 2라운드
<rowcolor=#ffc224> 순위 | 구단 | 선수 | 국적 | 포지션 |
30순위 | 뉴욕 닉스 | 마체이 람페 | 폴란드 | |
31순위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제이슨 카포노 | 미국 | 가드/포워드 |
32순위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루크 월튼 | 미국 | 포워드 |
33순위 | 마이애미 히트 | 제롬 비즐리 | 미국 | |
34순위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 소포클리스 쇼르트사니티스 | 그리스 | |
35순위 | 밀워키 벅스 | 시몬 셰브치크 | 폴란드 | |
36순위 | 시카고 불스 | 마리오 오스틴 | 미국 | |
37순위 | 애틀랜타 호크스 | 트래비스 한센 | 미국 | |
38순위 | 워싱턴 위저즈 | 스티브 블레이크 | 미국 | |
39순위 | 뉴욕 닉스 | 슬라브코 브라네스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
40순위 |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 데릭 짐머만 | 미국 | |
41순위 | 시애틀 슈퍼소닉스 | 윌리 그린[6] | 미국 | |
42순위 | 올랜도 매직 | 자자 파출리아 | 조지아 | 센터 |
43순위 | 밀워키 벅스 | 키스 보간스[7] | 미국 | |
44순위 | 휴스턴 로키츠 | 맬릭 바디안 | 세네갈 | |
45순위 | 시카고 불스 | 맷 보너[8] | 미국 | 포워드/센터 |
46순위 | 덴버 너기츠 | 사니 베치로비치 | 슬로베니아 | |
47순위 | 유타 재즈 | 모 윌리엄스 A | 미국 | 포인트가드 |
48순위 | 뉴올리언스 호네츠 | 제임스 랭 | 미국 | |
49순위 | 인디애나 페이서스 | 제임스 존스 | 미국 | 가드/포워드 |
50순위 |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 팍슬리 모를랑[9] | 프랑스 | |
51순위 | 뉴저지 네츠 | 카일 코버[10] A | 미국 | 가드/포워드 |
52순위 | 토론토 랩터스 | 레몬 반 드 헤어 | 네덜란드 | |
53순위 | 시카고 불스 | 토미 스미스 | 미국 | |
54순위 |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 네자드 시나노비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55순위 |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 릭 리케르트 | 미국 | |
56순위 | 보스턴 셀틱스 | 브랜든 헌터 | 미국 | |
57순위 | 댈러스 매버릭스 | 쑤 유양[11] | 중국 | |
58순위 |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 안드레아스 글리니아다키스 | 그리스 | |
|
3. 평가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역대 최고의 드래프트 중 하나라고 불릴만큼 압도적인 인재풀을 자랑하는 드래프트였다.[12] 당시 MJ+MJ라는 미친 컴패리즌이 붙은 르브론 제임스, 기대치'만' 놓고 보면 역대 최고의 유러피안 유망주였던 다르코 밀리시치, 1학년 신분으로 시라큐스 대학교를 우승시키며 NCAA 최고의 스타로 발돋움 한 카멜로 앤서니의 존재로 탑3 지명권의 가치는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았다.[13]비록 기대치라면 르브론에 필적할 정도였던 밀리시치가 성공하지 못한 게 흠이지만, 르브론 제임스, 드웨인 웨이드, 카멜로 앤서니, 크리스 보쉬가 대성하고 그 외에도 여러 선수들이 성공하며 역대급 풍년임은 증명해냈다.[14]
실제로 현역 은퇴를 한 드웨인 웨이드와 크리스 보쉬는 명예의 전당에 선정되었고, 이제는 노장이 된 르브론 제임스와 마찬가지로 현역 은퇴를 한 카멜로 앤서니도 명예의 전당에 선정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정규시즌 MVP는 르브론 제임스 혼자서만 4회 수상하였고, 파이널 MVP는 르브론 제임스가 4회, 드웨인 웨이드가 1회 수상하였다. 아울러 4명의 올-NBA 팀 경력자[15], 9명의 올스타 경력자[16], 3명의 올-디펜시브 팀 경력자를[17] 배출했고 3명의 선수들이 2개의 팀에서 영구결번 되었다.[18][19][20]
[1] 보스턴 셀틱스로 트레이드[2] 멤피스 그리즐리스로 트레이드[3] 멤피스 그리즐리스로 트레이드[4] 보스턴 셀틱스로 트레이드[5] 피닉스 선즈로 트레이드[6] 필라델피아 76ers로 트레이드[7] 올랜도 매직으로 트레이드[8] 토론토 랩터스로 트레이드[9] 시애틀 슈퍼소닉스로 트레이드[10] 필라델피아 76ers로 트레이드[11] 덴버 너기츠로 트레이드[12] 비교되는 다른 드래프트로는 마이클 조던, 하킴 올라주원, 찰스 바클리, 존 스탁턴 등이 지명된 1984 드래프트, 코비 브라이언트, 앨런 아이버슨, 스티브 내시, 레이 앨런 등이 지명된 1996 드래프트가 있다.[13] 다른 드래프트였다면 무난히 1픽을 먹었을 멜로가 르브론과 밀리시치에게 밀려 3픽으로 밀려나는 게 당연시되었을 정도이니 말 다 한 셈.[14] 여담으로 위 네 명 중 르브론, 보쉬, 웨이드는 7년 뒤 같은 팀에서 만나 4연속 결승, 2연속 우승이라는 성과를 거둔다.[15] 르브론 제임스, 드웨인 웨이드, 카멜로 앤서니, 크리스 보쉬[16] 르브론 제임스, 드웨인 웨이드, 카멜로 앤서니, 크리스 보쉬, 크리스 케이먼, 데이비드 웨스트, 조쉬 하워드, 모 윌리엄스, 카일 코버[17] 르브론 제임스, 드웨인 웨이드, 커크 하인릭[18] 드웨인 웨이드, 크리스 보쉬, 닉 콜리슨[19] 훗날 르브론 제임스가 은퇴를 하게 된다면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와 마이애미 히트,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에서 영구결번될 가능성이 크고, 카멜로 앤서니도 은퇴를 하게 된다면 덴버 너기츠와 뉴욕 닉스에서 영구결번될 가능성이 크다.[20] 다만 카멜로 같은 경우 첫 번째 팀 덴버 너기츠를 향해 자신의 이전 등번호가 자신을 지우려고 니콜라 요키치에게 배정했다는 실언, 뉴욕 닉스는 영구 결번 자체에 태도가 까다로운 구단이라는 점으로 영구 결번 가능성이 낮아져버렸다. 다만 닉스에서의 7번 같은 경우 2025년 기준 카멜로 이후 아직도 결번 상태기 때문에 영구 결번 가능성은 조금 있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