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5 13:50:06

KBS 아침 뉴스타임

KBS 아침뉴스타임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주요 방송사별 아침 종합 뉴스 브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공영방송사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파일:KBS 1TV 로고.svg파일:KBS 1TV 로고 화이트.svg 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뉴스광장 아침 뉴스타임 뉴스투데이
지역민영 방송사
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모닝와이드 1, 2부
파일:KNN 로고.svg 파일:TBC 로고.svg 파일:kbc 로고.svg
모닝와이드
모닝플러스
굿모닝뉴스 모닝와이드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파일:ubc 로고.svg 파일:JTV 로고.svg
아침 뉴스 모닝와이드 아침 뉴스
파일:CJB 로고.svg 파일:G1방송 로고.svg 파일:JIBS 로고.svg
7 뉴스 뉴스라인 아침 뉴스
{{{#!wiki style="margin: -16px -11px" 종합편성채널 방송사 보도전문채널 방송사
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파일:MBN 로고.svg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파일:YTN 로고.svg파일:YTN 로고 화이트.svg 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파일:연합뉴스TV 로고 화이트.svg
아침& 굿모닝 MBN
아침 & 매일경제
뉴스퍼레이드 뉴스퀘어 4AM
뉴스START
뉴스UP
뉴스오늘
출발 600
라이브 투데이
}}}
메인 뉴스 · 아침 종합 뉴스 · 선거방송
}}}}}}}}} ||

파일:KBS_News_2023.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TV
(KBS NEWS)
파일:KBS_News_9_2023.png
파일:KBS_News_Plaza_2023.png
파일:KBS_News_930_2024.png
파일:KBS_News_12_2023.png
<rowcolor=#163982,#fff> 21:00 월~토 06:00 평일 09:30 평일 12:00
파일:KBS_News_2023.png
파일:KBS1 사사건건 로고.jpg
파일:KBS_News_5_2023.png
파일:KBS_News_7_2023.png
<rowcolor=#163982,#fff> 평일 14:00 평일 16:00 평일 17:00 평일, 공휴일 19:00
파일:KBS_News_Line_W_2023.png
파일:KBS_News_2023.png
파일:KBS_News_2023.png
파일:kbselection3.png
월 22:55
화~금, 공휴일 22:50
토 23:45
일 23:40
토 09:30
주말, 공휴일 12:00, 17:00, 19:00
일 07:00
법정선거일 16:00
2TV
(KBS 뉴스타임)
파일:KBS 아침 뉴스타임 로고(2020).png
파일:KBS 뉴스타임 로고(2020).png
파일:KBS_World_24.jpg
파일:KBS 경제콘서트.jpg
평일 10:10 평일 15:00 월~목 15:15 월~목 18:00
파일:KBS 재난방송센터 로고.jpg
일 06:45
제1라디오
뉴스와 화제 정오 종합뉴스 뉴스 중계탑 저녁 종합뉴스
<rowcolor=#163982,#fff> 평일 07:00 12:00 평일 14:00 평일 19:00
정시 뉴스 라디오 정보센터 뉴스
<rowcolor=#163982,#fff> 09:00, 10:00, 11:00, 17:00, 22:00, 24:00
평일 05:00, 16:00
주말 07:00, 14:00, 15:00, 18:00, 23:00
일 06:00
평일 07:20~19:00 프로그램 중간, 21:28
주말 20:00
제3라디오 2FM (지역 제2라디오) 한민족방송
정시 뉴스 라디오 정보센터 뉴스 정시 뉴스
<rowcolor=#163982,#fff> 평일 12:00, 14:00 평일 18:30 16:00, 18:00
평일 13:00, 20:00
보도시사본부 제작 시사 토크 프로그램은 일요진단 라이브 문서를,
보도시사본부 제작 북한 전문 시사 프로그램은 남북의 창 문서를,
보도시사본부 제작 시사 프로그램은 시사기획 창 문서를,
보도시사본부 제작 시사 고발 탐사보도 프로그램은 추적 60분 문서를,
보도시사본부 제작 국제 전문 시사 프로그램은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colbgcolor=#ff9933><colcolor=white> KBS 2TV 아침 종합뉴스 프로그램
KBS 아침 뉴스타임

KBS MORNING NEWSTIME
파일:KBS 아침 뉴스타임 타이틀 화면 (20230717 ~).png
장르 보도
방송사 한국방송공사
채널 KBS 2TV, KBS NEWS 24
기획·제작 KBS NEWS
방송 기간 2004년 11월 1일~현재 | [age(2004-11-01)]주년
방송 시간 10:10~10:30 (평일)
지원
포맷
<colbgcolor=#ff9933><colcolor=white> 화질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993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480 SD)] (2004.11.1 - 2008.03.28)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993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1080 FHD)] (2008.03.31 -)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993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돌비 디지털 스테레오)]
진행 앵커 정지원
수어 강효경[1]
날씨 이설아
링크 파일:KBS 아침 뉴스타임 로고(2020).png
실시간 파일:KBS_News_2023.pn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출연자
3.1. 현재 앵커3.2. 역대 앵커3.3. 임시 진행
4. 프로그램 코너
4.1. 방영 코너4.2. 종영 코너
4.2.1. 뉴스브리핑
5. 타이틀6. 경쟁 프로그램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1. 개요

평일(주중) 오전 10시에 방송하는 KBS 2TV아침 종합뉴스 프로그램. 2TV 이외에 U-KBS HEART, KBS NEWS 24에서도 수중계된다.[2] 전체적인 그래픽과 시그널은 KBS 뉴스타임과 공유한다.

공휴일에는 방송하지 않으며,[3] KBS 1TV에서 뉴스특보, 중계방송, 특별생방송 등의 사유로 1TV가 종일 뉴스 체제 또는 방송 체제로 돌아가는 경우, NEWS 24에서는 이 프로그램이 수중계되지 않으며, 특히 KBS 1TV에서 재난방송의 사유로 1TV가 종일 뉴스 체제 또는 방송 체제로 돌아가는 경우, 방송하지 않거나 기타 프로그램으로 대체한다.

런칭 당시부터 2020년 6월까지 오프닝의 타이틀에는 숫자 '8'이 표기되어 있었으나, 2020년 7월 6일 재개된 이후부터는 제거되었다.

2. 역사

KBS 아침 뉴스타임 - 역사
연도 시작 일자 방송 요일 방송 시간 방송 제목 비고
1998년 10월 12일 월~토 08:45~09:00 KBS 뉴스 프로그램 신설(스트레이트 뉴스)
1999년 1월 4일 평일 편성 축소
5월 3일 09:00~09:15 시간대 이동
7월 19일 09:15~09:30
8월 23일 08:45~09:00
10월 11일 월~토 편성 확대
2001년 4월 30일 08:40~09:00 시간 연장
2002년 10월 28일 07:45~08:00 시간대 이동
2004년 11월 1일 평일 08:00~09:00 KBS 아침 뉴스타임 현재 포맷 확대 개편 및 첫 방송(종합뉴스)
2014년 11월 3일 08:00~08:40 시간 단축
2015년 4월 6일 08:00~09:00 시간대 환원
2020년 7월 6일 08:00~08:15 포맷 축소
2021년 6월 28일 09:00~09:20 시간대 이동
2024년 2월 5일 10:00~10:20
10월 7일 10:10~10:30

이전 KBS 2TV아침 뉴스 프로그램은 평범한 스트레이트 뉴스 프로그램(KBS 뉴스, KBS 2TV 뉴스)이었다.[4] 1998년 10월 12일 아침 8시 45분에 KBS 뉴스라는 타이틀로 신설되어 거의 6년 1개월 동안 방송했으며 시간대 변경이 잦았다. 이 시기에는 생방송 세상의 아침 1부에서 간단하게 뉴스와 신문 브리핑을 편성하고 2, 3부 사이에 별도의 스트레이트 뉴스를 편성했다.[5] 2004년 11월 1일에 KBS 2TV 아침 뉴스와 생방송 세상의 아침 3부가 종합뉴스 프로그램인 KBS 아침 뉴스타임으로 통합하여 생활뉴스 성격으로 거의 15년 8개월 동안 방송했다. 신설 당시에는 아침 정보(모닝쇼) 프로그램과 비슷한 연성 뉴스 프로그램이었다.

2020년 6월 29일부터 굿모닝 대한민국 라이브의 첫 방송을 앞두고 재정비로 인해 동년 7월 3일까지 방송이 일시 중단되었다가 동년 7월 6일에 굿모닝 대한민국 라이브 1, 2부 사이의 종합뉴스 프로그램으로 축소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프로그램의 성격은 2004년 11월 1일 가을 개편 이전과 어느 정도 비슷해졌지만, KBS 2TV 아침 뉴스와는 달리 여전히 현행 타이틀과 종합뉴스 성격을 유지하는 대신 생활 정보 코너들이 모두 종영하거나 KBS 뉴스 12로 편입되었다. 처음에는 예전과 같이 아침 8시[6]에 방송했으나, 2021년 6월 28일부터 굿모닝 대한민국 라이브의 시간 단축에 따라 시간대를 오전 9시로 이동하고 방송 시간을 5분 연장했다.

2022년 5월 9일 해 볼만한 아침 M&W의 신설 이후 오전 7시부터 경제뉴스(해 볼만한 아침 M&W 1부)와 국제뉴스(해 볼만한 아침 M&W 2부)에 이어 종합뉴스(KBS 아침 뉴스타임)까지 이어지는 2시간 20분의 시사 벨트가 형성됐으나, 2024년 2월 5일 해 볼만한 아침 M&W가 폐지되면서 아침 7시 대에 어린이 프로그램들의 이전은 물론 무엇이든 물어보세요가 25년만에 KBS 2TV로 방영을 확정지으며 동시에 오전 8시부터 방영을 확정짓게 되었고, 결국 본 뉴스가 KBS 930 뉴스와의 시간대 충돌을 피하기 위해[7] 시간을 오전 10시로 조정되게 되었다. 10월 7일 시간을 10분 늦쳐 오전 10시 10분으로 다시 조정되었다.

3. 출연자

3.1. 현재 앵커

앵커
파일:KBS 아침 뉴스타임 앵커 (20240205 ~).jpg
정지원 아나운서
날씨
파일:KBS 아침 뉴스타임 날씨 (20240205 ~).jpg
이설아 기상캐스터

3.2. 역대 앵커

남자 앵커
이름 당시 직위 진행 기간 비고
박태서 기자 2004년 11월 1일 ~ 2005년 9월 2일 KBS 아침 뉴스타임 첫 방송
이주한 2005년 9월 5일 ~ 2009년 10월 16일 -
조성원 2009년 10월 19일 ~ 2011년 11월 4일
최문종 2011년 11월 7일 ~ 2013년 4월 5일
최동석 아나운서 2013년 4월 8일 ~ 2016년 4월 22일
이영현 기자 2016년 4월 25일 ~ 2017년 8월 30일
2018년 2월 5일 ~ 4월 20일
오언종 아나운서 2018년 4월 23일 ~ 2020년 6월 26일
여자 앵커
이름 당시 직위 진행 기간 비고
양영은 기자 2004년 11월 1일 ~ 2008년 7월 25일 KBS 아침 뉴스타임 첫 방송
2013년 4월 8일 ~ 2016년 4월 22일 -
이소정 2008년 7월 28일 ~ 2009년 10월 16일
유지원 아나운서 2009년 10월 19일 ~ 2013년 4월 5일
정다은 2016년 4월 25일 ~ 2017년 5월 19일 현재 퇴사
박은영 2017년 5월 22일 ~ 9월 1일
백승주 2018년 2월 5일 ~ 2020년 6월 26일 -
신성원 2020년 7월 6일 ~ 2023년 4월 28일 단독 진행으로 전환
정지원 2023년 5월 1일 ~ 현재 -

3.3. 임시 진행

  • 남성 앵커
    • 2006년 8월 28일~9월 1일, 2007년 8월 20~24일 방송분은 엄경철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 2008년 8월 18~22일 방송분은 최영철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 2009년 8월 17~21일 방송분은 김현경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 2010년 8월 16~20일, 10월 5~8일, 2011년 8월 8~12일 방송분은 이민우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 2012년 9월 24~28일 방송분은 김기흥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 2013년 11월 28일 방송분은 성세정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13년 12월 16~20일, 2015년 7월 6~10일, 2017년 8월 31일~9월 1일, 2025년 7월 10일 ~ 2025년 7월 14일 방송분은 김재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17년 8월 14~18일, 2018년 9월 3~7일 방송분은 이규봉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19년 8월 21~23일, 2021년 4월 19일 방송분은 김기만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19년 10월 16~25일 방송분은 최동석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0년 1월 10~23일 방송분은 이재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1년 8월 11~12일 방송분은 조항리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2년 7월 28~29일, 8월 12일, 12월 26일 ~ 12월 28일 방송분은 김희수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3년 7월 24일~26일 방송분은 임지웅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3년 9월 13일, 11월 1일, 11월 8일, 11월 23일 방송분은 김승휘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4년 1월 2일, 3월 4일, 2025년 7월 15일 ~ 2025년 7월 18일, 2025년 7월 22일 ~ 2025년 8월 18일 방송분은 김진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4년 12월 26~27일, 2025년 5월 2일, 2025년 5월 7일 방송분은 박철규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5년 7월 21일 방송분은 남현종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여성 앵커
    • 2005년 8월 22~26일, 2017년 8월 1~4일 방송분은 파업 이후 당시 1시간으로 진행했던 백승주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07년 9월 17일~21일, 2015년 6월 1~5일 방송분은 이소정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 2010년 10월 25~29일 방송분은 김솔희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11년 10월 17~21일 방송분은 오정연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KBS 노조 파업으로 인해 2011년 12월 19일 방송분은 유애리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13년 8월 19~23일 방송분은 조빛나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 2014년 3월 10~14일 방송분은 하송연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 2016년 10월 24일~11월 2일 방송분은 유지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KBS의 파업으로 인해, 2016년 12월 8~9일 방송분은 백정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17년 3월 16~17일, 4월 11~14일, 2021년 8월 13일, 2022년 3월 30일 ~ 4월 4일, 9월 26일 ~ 10월 7일, 2023년 3월 15~17일, 6월 26일 ~ 6월 30일 방송분은 장수연 아나운서가 대신 임시 진행했다.
    • 2018년 12월 17~21일, 2023년 3월 20일~21일 방송분은 박지현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19년 8월 26~30일 방송분은 엄지인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19년 12월 9~20일 방송분은 이각경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0년 12월 12월 7~11일 방송분은 정지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1년 4월 15~16일, 20~23일, 12월 29일 방송분은 변우영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3년 3월 3~8일 방송분은 김진희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2023년 11월 24일 방송분은 전주리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4. 프로그램 코너

2020년 7월 6일 축소 개편 이후부터 날씨를 제외한 모든 코너들이 더 이상 나오지 않게 되었으며, 그 중 친절한 뉴스, 친절한 경제, 법률의 쓸모 등의 일부 코너들은 2020년 6월 29일부터 KBS 뉴스 12의 코너로 편입되었다.

4.1. 방영 코너

  • 지금 북한은 - 월요일에 방송되는 북한 관련 코너.
  • 날씨 - 이설아 기상캐스터가 진행하는 코너. 뒤쪽 DLP는 본 DLP 화면이 아닌 여의도 KBS 사옥 또는 서울의 어느 한 배경을 DLP로 삼았다. 2016년 6월 17일까지는 항상 이 소식으로 아침 뉴스타임의 문을 열었다.

4.2. 종영 코너

  • 친절한 뉴스 - 심층 뉴스 코너. 매일 한 가지 이슈를 4분짜리 리포트로 자세히 전달한다. 2014년 11월 3일부터 신설되었으며, 그 당시 명칭은 '뉴스 읽어주는 남자'였다. 2015년 4월 6일부터 '결정적 3방'으로 변경되었고, 2016년 4월 25일부터 현재의 '친절한 뉴스'로 변경되었다. 같은 날 KBS 뉴스 12에서도 재방송되었다가 2020년 6월 29일부터 KBS 뉴스 12의 정식 코너로 편입되었다.
  • 연예수첩 - 조항리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연예가 소식 코너. 매주 목요일 오후 5시 30분에 주간 연예수첩에서 재방송되었다. 2014년 11월 3일부터는 '연예 인사이드'로 변경되었다가 2015년 4월 6일부터 현재의 '연예수첩'으로 환원되었다.
  • 뉴스 따라잡기 - 심층 뉴스 코너. 이슈 1개를 잡아서 심층 분석해 본다. 2005년 12월 1일부터는 같은 날 KBS 뉴스 12에서 뉴스 속으로라는 명칭으로 재방송되었다.
  • 친절한 월드톡톡 - 국제뉴스 코너.
  • 섹션 코너
    • 사정없는 5분 정치 토크(사오정) - 월요일에 방송되는 정치 관련 코너. 줄여서 사오정.
    • 페이스北 - 화요일에 방송되는 북한 관련 코너.
    • 친절한 경제 - 수요일에 방송되는 경제 관련 코너. 모두가 아는 박대기 기자가 진행한다. 2020년 6월 29일부터 KBS 뉴스 12의 요일별 코너 '기자 눈'의 화요일 코너로 편입되었다.
    • 법률의 쓸모 - 목요일에 방송되는 법률 관련 코너. 2020년 6월 29일부터 법원의 시간으로 변경되어 KBS 뉴스 12의 요일별 코너 '기자 눈'의 금요일 코너로 편입되었다.
    • 영화의 쓸모 - 역시 목요일에 방송되는 영화 관련 코너. 법률의 쓸모와 번갈아 방송을 하는 듯 하다.
    • 5분 건강 톡톡 - 금요일에 방송되는 건강 관련 코너.
  • 똑! 기자 꿀! 정보 - 생활 정보 코너. 기자와 앵커간의 인터뷰를 제외한 동영상 부분은 같은 날 KBS 뉴스 12에서 정보충전이라는 명칭으로 재방송되었으며, 김재홍 아나운서가 나레이션을 담당하였다. 2014년 11월 3일부터 신설되었으며 그 당시 명칭은 '충전! 여자의 아침'이었으나, 2015년 4월 6일부터 현재의 '똑! 기자 꿀! 정보'로 변경되었으며, 2019년 12월 30일에 폐지되었다.

4.2.1. 뉴스브리핑

헤드라인 뉴스 코너. 2004년 11월 1일 신설부터 도입했으며, 당시에는 광고 전과 뉴스 중간에 총 2번 나왔다. 광고 전에는 헤드라인이라는 명칭으로 자료화면을 보여주었고, 중간에는 이 시각 주요 뉴스라는 명칭으로 자막을 나열했다. 2014년 11월 3일부터 광고 전에만 나왔으며, 2014년 11월 10일부터 주요 뉴스로 변경하여 광고 후에 나왔다. 2015년 4월 6일부터 헤드라인으로 환원하여 광고 전에 나왔으며 2016년 6월 20일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하여 광고 후에 나왔다.

2019년 4월 29일부터 다시 광고 전에 나온다. 헤드라인 음악의 경우 2014년 11월 4일부터 현재의 제공자막 음악을 사용하다가 2014년 11월 10일부터 헤드라인 음악을 사용하지 않았고, 2015년 4월 6일부터 현재의 제공자막 음악을 다시 사용하다가 2016년 6월 20일부터 2006년부터 2014년 11월 3일까지 사용한 헤드라인 음악[8]을 다시 사용했다.

2020년 7월 6일부터는 더 이상 뉴스브리핑이 나오지 않고 곧바로 뉴스를 시작한다.

5. 타이틀


1990년부터 현재까지 변천사.

2004년부터 사용한 오프닝은 #이것이다.

2004년 11월 1일부터 2014년 10월 29일까지 사용한 BGM은 헤드라인 뉴스라는 앨범에 수록된 매튜 캉(Matthew Cang)의 city line이라는 곡이다. 참고로 이 BGM은 2002년 부산지하철 2호선 개통 홍보영상(2분 33초부터)에도 쓰였고 이 앨범에는 새마을호 시종착 음악으로 쓰였던 Nicolo Bardoni & Stephen Warr의 outlook이란 곡도 수록되어있다.

2011년 11월 17일~2013년 4월 5일 엔딩. 참고로 엔딩 앞부분 음악은 미디어 포커스에서 2003~2005년도 엔딩 음악으로 사용된 바 있다.

2019년 4월 29일~2020년 6월 26일 오프닝은 그 동안 프로그램의 테마색이었던 주황색에서 보라색으로 바꿈과 동시에 오프닝 자막 디자인을 전면 교체했다.

2020년 7월 6일~2023년 7월 14일 오프닝. 프로그램의 테마색이 2019년 보라색으로 바뀌었다가, 주황색으로 환원되었으며, 오프닝의 그래픽과 음악은 KBS 뉴스타임과 공유한다.

2023년 7월 17일~현재 오프닝.

6. 경쟁 프로그램

2004년 11월 1일부터 2020년 6월 26일까지는 아침 교양 프로그램과 경쟁했으나, 2020년 7월 6일부터 프로그램의 규모가 축소되면서 현재는 단시간 아침 뉴스 프로그램과 경쟁 중이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파일:KBS 2TV 로고.svg 평일 프로그램
이전 ON AIR 다음
AM 09:30~10:10 AM 10:10~10:30 AM 10:30~11:10
KBS 2TV 일일 드라마 재방송 파일:KBS 아침 뉴스타임 로고(2020).png 인간극장 스페셜


[1] 개인사정으로 불참 시, 김태완, 황선희 수어통역사가 대신 진행한다.[2] 1라디오, 3라디오에서는 10:00 뉴스를 독자적으로 내보내고 있다.[3] 2004년 11월 1일 첫 방송부터 2020년 6월 26일까지는 공휴일에도 편성되었다.[4] 여담으로 KBS2 전신인 동양방송에서도 아침 뉴스 프로그램인 TBC 조간을 방송한 바 있으나 오일쇼크 여파로 종영되었다. 항목 참고.[5] 1부 시간대의 뉴스 편성은 존속되었다.[6] 굿모닝 대한민국 라이브 1, 2부 사이.[7] 보도국 방송 송출 준비 등의 이유로 충돌을 피해야하기 때문이다.[8] Alan Hawkshaw의 City L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