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3 19:52:55

Forsaken(Roblox)/Slasher/스킨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orsaken(Roblox)/Slasher
{{{#!wiki style="margin: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 파일:이걸 원했어!!.png'''[[Forsaken(Roblox)|{{{#!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 }}}
{{{#!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등장인물
생존자 (스킨) · 살인마 (스킨) · NPC · 대사 및 상호작용
게임 관련 정보
감정 표현 · 아이템 · · 미션 · 업적
업데이트 로그
· 세계관 · OST · 논란 및 사건 사고
}}}}}}}}}}}}

1. 개요2. 목록
2.1. 상점에서 구매
2.1.1. Camp Counselor (캠프 조교)2.1.2. Farmboy (농사쟁이)2.1.3. Nun (수녀)2.1.4. Lumberjack (나무꾼)2.1.5. Weightson (헬창슨)2.1.6. Hockey Star (하키 선수)2.1.7. Party (파티)2.1.8. Scenecore (씬코어)2.1.9. Butcher (도살자)2.1.10. Duck (오리)2.1.11. Executioner (처형자)2.1.12. Alfred Drevis (알프레드 드레비스)2.1.13. Delirious (딜리리어스)2.1.14. Retro (레트로)2.1.15. Lovesick (상사병)2.1.16. Hitbox Accurate (정확한 히트박스)2.1.17. Homerunner (홈러너)2.1.18. Barber (이발사)2.1.19. Vanity (허영심)2.1.20. Deep Sleep (깊은 잠)2.1.21. Killer Kyle (살인마 카일)2.1.22. Combat Initiation (전투 개시) 2.1.23. Stitchhare (스티치헤어)2.1.24. Pursuer (추적자)2.1.25. Subject_0 (서브젝트_0)
2.2. 마일스톤 스킨
2.2.1. Milestone I (1단계)2.2.2. Milestone II (2단계)2.2.3. Milestone III (3단계)2.2.4. Milestone IV (4단계)
2.3. 기타 스킨2.4. 한정 스킨2.5. 관리자 전용 스킨
2.5.1. Dead Rabbits Boss (데드레빗츠 보스)2.5.2. skibidi (스키비디)2.5.3. Pyramid Head(삼각두)2.5.4. Defiler (파멸자)2.5.5. 67
2.6. 삭제된 스킨

1. 개요

Slasher의 스킨을 정리한 문서.

2. 목록

2.1. 상점에서 구매

2.1.1. Camp Counselor (캠프 조교)

Camp Counselor
<nopad> 파일:camp slasher.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Camper_Jason.png
"적어도 그가 우릴 기억하는 것 같지는 않아 보- 이는데..."
"At least he doesn't seem to remember us..."
300$
변경 요소 외형

모티브는 2차 창작 웹툰인 캠프 조교 제이슨.

2.1.2. Farmboy (농사쟁이)

Farmboy
<nopad> 파일:슬래셔펌보이.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파아암보이제이슨.png
"ㅋㅋ 쟤 머리에 자루 쓰고 다닌다 엌ㅋㅋㅋ"
"hehe he's got a bag over his head hehe lol"
300$
변경 요소 외형

13일의 금요일 파트 2 가장 초기 제이슨의 모습에서 따왔다.

마체테 대신 곡괭이를 든다.

여담으로 제이슨 스킨이지만 놀랍게도 삭제되지 않았다.

2.1.3. Nun (수녀)

Nun
<nopad> 파일:Nun_Slasher.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Nun_Jason.jpg
"잠언 14장 29절."[1]
"Proverbs 14:29"
400$
변경 요소 외형

인디 게임 Nun Massacre의 살인마인 수녀가 모티브.
마체테와 전기톱이 검은색으로 변한다.

2.1.4. Lumberjack (나무꾼)

Lumberjack
<nopad> 파일:할아버지슬래셔.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나무꾼제이슨.png
"그는 사실 사람을 죽이는걸 좋아하지 않아요. 본인만의 목재 회사를 차리고 싶다는 꿈을 갖고 있답니다."
"He really doesn't like to kill people honestly. He has a passion for starting his own lumber company."
500$
변경 요소 외형

벌목꾼 + 의도하지 않은 살인이라는 점에서 터커 & 데일 Vs 이블의 터커가 모티브로 보인다.

2.1.5. Weightson (헬창슨)

Weightson
<nopad> 파일:weight slasher.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헬창제이슨.png
"그의 팔굽혀펴기 세션을 방해하면 후회하게 될 겁니다."
"Interrupt his Get Up and Bro session and you'll be sorry."
500$
변경 요소 외형 / 킬 모션 / 효과음

마체테 대신 덤벨을 드는 스킨. 스킬을 맞출때마다 철에 얻어맞는듯한 효과음이 나오며, 킬 모션은 생존자를 넘어뜨린 후, 한 바퀴 빙 돌려 저 멀리 던져버리는 것으로 변경된다. 가성비 자체는 매우 좋지만 다른 스킨에게 밀려 공섭에서 잘 보이지않는다.

2.1.6. Hockey Star (하키 선수)

Hockey Star
<nopad> 파일:hocky slasher.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하키제이슨.png
"조심하세요, 당신에게 슬랩샷을 쏠 지도 몰라요! ...그의..전기톱으로요."
"Keep a close eye on him, he might slapshot you! ...With..his chainsaw."
500$
변경 요소 외형
마체테 대신에 하키 스틱을 든다.

2.1.7. Party (파티)

Party
<nopad> 파일:party slasher.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파티제이슨.png
"한 번 놀아보자고."
"Let's have some fun."
500$
변경 요소 외형

사진에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슬래셔의 가면이 무지개색으로 변한다.

2.1.8. Scenecore (씬코어)

Scenecore
<nopad> 파일:Scenecore_Slasher.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Scenecore_Jason_V2.png
초기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Scenecore_jason.png
"다음 희생양은 너야"
"i'll make you my next victim"
500$
변경 요소 외형

2.1.9. Butcher (도살자)

Butcher
<nopad> 파일:댓파이로이즈어제이슨.png
"이해가 안 가나, 벙어리 자식아?! 난 보호받는 사람이라고!"
"Don't you get it, you mute freak?! I'm a protected man!"
750$
변경 요소 외형

에메시스 블루에서 등장하는 파이로를 모티브로 삼은 캐릭터. 투타임의 스킨 Dr. Ludwig와 테마를 공유하나 전용 Lms는 없는 듯 보인다.

2.1.10. Duck (오리)

Duck
<nopad> 파일:Screenshot_2025-08-30_195639.webp
"웜보 콤보!"
"Wombo combo!"
750$
변경 요소 외형

50% 확률로 악마 오리로 바뀌는 특징이 있다.

BrawlR이란 닌텐도의 대난투를 모티브로한 게임과 콜라보해서 나온 스킨이다.

2.1.11. Executioner (처형자)

Executioner
<nopad> 파일:Executionor.png
"나 제이슨인데 너 잡으러 갈거임 - 게임 파일로부터"
"Im jason and ima get you - from the game files"[2]
800$
변경 요소 외형
모티브는 레지던트 이블.

등에 있는 전기톱이 거대한 도끼로 변경된다.

2.1.12. Alfred Drevis (알프레드 드레비스)

Alfred Drevis
<nopad> 파일:AlfredJason.png
" 인형으로 만들면, 너의 아름다움이 영원히 남겠지!"
"By making you a doll, your beauty can last forever!"
800$
변경 요소 외형 / 대사

매드 파더의 등장인물인 알프레드 드레비스로 변경되는 스킨. 전기톱의 외형이 매드 파더에서의 것으로 바뀌며, 마체테 대신 식칼을 든다.

2025/4/21 부활절 업데이트로 가격이 1000원에서 800원으로 감소했으며, 대사가 추가되었다.

외형이 은근히 못생겨서(...) 최근엔 아예 안보일 정도로 픽률이 낮은 스킨이다.

다음 업데이트인 게스트 666 업데이트와 함께 리디자인 될 예정이다.

2.1.13. Delirious (딜리리어스)

Delirious
<nopad> 파일:Delirious_Jason.png
"플루토 내스[3] 3d 티켓 줌"
"ticket for pluto nass 3d"
820$
변경 요소 외형 / 효과음[4] / 추격 테마 / 대사

유튜버 H2O Delirious를 모티브로 한 스킨. Q/E/R 스킬 사용, 1:1 대치상황 등에 웃음소리가 출력된다.

기존에는 간간히 보이는 정도에 그쳤으나, 투 타임 리워크 업데이트 후 추격 테마가 추가되면서 자주 보이는 스킨 중 하나가 되었다. 슬래셔의 개그성 스킨들 중에서는 가장 뛰어난 퀄리티를 가진 스킨이기도 하고, 가격도 820$로 퀄리티 대비 가격도 싼 편이다.

여담으로 Delirious의 추격 테마는 팬메이드 브금이었으나, 이후 공식적으로 추가된 케이스다. 기존의 긴박한 분위기의 테마는 온데간데 없이 효과음과 밈으로 가득해(...) 많은 유저들이 추가를 바랬을 정도.

딜리리어스 본인이 이 스킨으로 Forsaken을 플레이했다.[5]# # # #

슬래셔 업데이트 후에도 외형이 변경되지 않았다. 추정되는 이유는 모티브가 된 유튜버인 딜리리어스의 아바타가 하키마스크를 쓰고있어 그런것 같다.

꽤 혜자임에도 불구하고 잘 보이지 않는다.

2.1.14. Retro (레트로)

Retro
<nopad> 파일:RetroFlasherIcon.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Retro_Jason.png
"이거 완전 레트로한데"
"this is so retro"
850$
변경 요소 외형 / 스킬 이펙트 / 추격 테마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bgcolor=#000><tablebordercolor=black> ||
추격 테마 - 1989
구 레트로 제이슨 추격 테마

13일의 금요일 NES 비디오 게임의 제이슨을 모티브로 한 스킨. 슬래셔의 외형이 레트로 풍으로 변경되며, 무려 걷는 모습까지 레트로 시절로 돌아간다.[6]

이전 테마 작곡가의 개발팀 탈퇴로 인해, 쿨키드 마일스톤 업데이트로 추격 테마가 변경되었다. 다만 호불호가 극심하게 갈리며, 이전 테마와 비교했을 때 불호 의견이 훨씬 많다. 실제로도 사용률이 이전에 비해 저조한 편.

2.1.15. Lovesick (상사병)

Lovesick
<nopad> 파일:러브식 슬래셔.png
"사랑이 뿅뿅? 틀렸어. 가스 누출이야."
"Love is in the air? Wrong. Gas leak."
950$
변경 요소 외형 / 스킬 이펙트
영화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의 등장인물 해리 워덴을 모티브로 만든 스킨.

R스킬의 이펙트만 변경된지라 위의 레트로 스킨과 비교되어 픽률이 매우 낮은 스킨이다.

다음 업데이트 때 외형이 리메이크 될 예정이다.

2.1.16. Hitbox Accurate (정확한 히트박스)

Hitbox Accurate
<nopad> 파일:Hitbox_Accurate_Slasher.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HitboxAccurateJason.png
"참고로 공식 히트박스임"[7]
"canon hitboxes btw"
1000$
변경 요소 외형 / 추격 테마 / 인트로 / 아웃트로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bgcolor=#000><tablebordercolor=black> ||
추격 테마 - 1 스터드의 천사 (One Stud Angel)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등장인물 세피로스를 오마주한 스킨. 마체테 대신 세피로스의 대태도를 장비한 것이 특징이며,[8] 랜더링에서의 전기톱과 다르게 인게임에선 조그마한 전기톱을 착용한다. 세피로스의 테마곡 '한쪽 날개의 천사'를 리믹스한 추격 테마를 가진다.
아웃트로
파일:세피로스 제이슨 아웃트로.gif

그 외에 승리 시 불 속으로 장렬히 걸어가는 전용 아웃트로가 재생된다. 이는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에서 세피로스로 최종 승리한 후의 애니메이션을 모티브로 했다.

2025/6/13 업데이트로 가격이 666$에서 1000$으로 증가했다.

2.1.17. Homerunner (홈러너)

Homerunner
<nopad> 파일:Home_runner_Slasher.png
"정화."
"Purify."
1000$
변경 요소 외형 / 효과음 / 스킬 모션

모티브는 OFF의 주인공 배터.
E스킬의 모션이 전기톱과 마체테 대신 야구배트로 바뀌며 전용 애니메이션이 추가되고, 효과음이 추가된다.

2.1.18. Barber (이발사)

파일:돌팔이미용사.png
<nopad> 파일:Babrslasherplacehodlericon.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미용사누구야이거.webp
"그 이발사 꼭 고소해라"
"you gotta sue that barber dawg"
1000$
변경 요소 외형 / 스킬 이펙트

말 그대로 이발사 스킨. 마체테 대신 가위, 전기톱 대신 거대한 바리깡(...)을 든다. 해당 스킨의 평타에 생존자가 맞을 시 생존자를 대머리로 만들며, 10%의 확률로 다른 머리스타일로 바꿔준다.

여담으로 대머리 스킨 투타임과의 전용 1:1 대치 상황 테마가 추가될 예정이였지만 아쉽게도 취소되었다.#

과거 제이슨 시절, 타 제이슨 스킨들보다 크기가 커서인지, 히트박스 또한 더 커졌었다. 이후 투 타임 리워크 업데이트로 패치되었다.

제이슨 시절에 R스킬을 사용할시 평타나 다른 스킬을 쓴 이후에도 R스킬이 풀리지 않고 계속 유지되는 버그가 있었는데, 달리기가 제한되고 속도 역시 R스킬 사용중의 속도로 고정 되어버리는데다가 R스킬을 사용하였을 때의 스킬 강화 효과와 평타의 대쉬 마저 적용되지 않아, 게임 진행이 불가능해질 정도의 심각한 버그였다.[9]
이 때문에 스킨이 유저들에게 아예 버려질뻔했지만, 다행히도 슬래셔 업데이트 이후 고쳐졌다.

또한 슬래셔로 교체되면서 일러스트에 등장하는 손님은 뉴비에서 투 타임으로 변경되었다.

2.1.19. Vanity (허영심)

<colbgcolor=#000> 파일:허영심슬래셔이름표.png
파일:Vanityicon.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Vanity_Jason.jpg
"다들 내 식욕이 문제라 해."
"They say my hunger's a problem."
1000$
변경 요소 외형 / 추격 테마 / 1v1 대치상황 테마[10] / 인트로 / 아웃트로 / 스킬 이펙트[11]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bgcolor=#000><tablebordercolor=black> ||
추격 테마 - KILLER VANITY (살인자의 허영심)

[ 인트로 및 아웃트로 펼치기 • 접기 ]
||<bgcolor=#000><tablebordercolor=black> 파일:VanityIntro.gif ||
인트로
파일:VanityOutro.gif
아웃트로[12]

인트로와 아웃트로 모두 각각 BUTCHER VANITY의 첫부분과 마지막 부분 패러디이다.


모티브는 BUTCHER VANITY. 추격 테마도 BUTCHER VANITY의 리믹스이다. 마체테가 BUTCHER VANITY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중식도로 변경되며, 전기톱은 BUTCHER VANITY 뮤직비디오에 나오는 톱으로 바뀐다. 슬래셔의 가면은 BUTCHER VANITY의 표정인 ^q^로 변한다.귀여워

격노한 발걸음을 사용하면 가면이 없어지고 Yi Xi의 웃는 얼굴이 나온다. [13] 또한 격노한 발걸음의 지속기간 동안 중식도에 피가 묻는다.

추격 BGM의 평가가 매우 좋으며, 1000원이라는 가격에 비해 높은 퀄리티 덕에 슬래셔의 스킨 중에서도 매우 인기가 많은 편이다. 슬래셔 업데이트 이전엔 추격자나 서브젝트_0 등 타 스킨에게 밀리며 잘 안보였지만, 슬래셔 업데이트로 사용률이 다시 부흥하게 되었다.

LMS 브금이 잠깐 제거되었었다. 추후 특정 스킨의 생존자와의 히든 매치 때 사용될 예정이었다고. 그러나 커뮤니티의 항의가 빗발쳐 복구되었다.

2025/4/21 부활절 업데이트로 긴 머리카락이 추가되었다.[14]

여담으로 포세이큰의 업적 중에서 BUTCHER VANITY의 가사를 인용한 제목의 업적이 존재한다.[15]

슬래셔 업데이트 이후 인트로와 아웃트로가 추가되었으며, 디자인이 원작의 캐릭터 Yixi의 디자인과 더 유사해졌다.

리메이크 전 컨셉 아트에서는 가면에 입만 q로 바뀐 모습이다.

제이슨이었던 때도 픽률이 높았었지만 슬래셔로 바뀌며 더욱 더 변경점이 많아져서 픽률이 훨씬 더 높아졌다.

2.1.20. Deep Sleep (깊은 잠)

Deep sleep
<nopad> 파일:Deep_Sleep.png
"저 놈이 물게끔 두지 마."
"Don't let them bite."
1000$
변경 요소 외형 / 추격 테마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추격 테마 - Chimes of Lucid (자각몽의 종소리)


다른 1000$ 스킨들에 비해 잘 쓰이지 않고 인지도가 없는 스킨이다.

그나마 추격 테마의 긴박감 덕에 과소평가된 스킨 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는다.

2.1.21. Killer Kyle (살인마 카일)

Killer Kyle
<nopad> 파일:KillerKyleIcon.png
"하지만 너무 늦었어요. 살인마는 이미 밖에서 그들을 기다리고 있었어요."
"but it was too late the killer was already waiing out side for them"
1000$
변경 요소 외형 / 효과음 / 전용 애니메이션

모티브는 ROBLOX MOVIE THE MASKED KILLER 시리즈의 파트 2[16]에서 나오는 KillerKyle의 외형.[17] 걷는 모션이 뚝뚝 끊긴다.

특이하게도, 체력이 닳을 때마다 스킨 위에 있는 체력바도 같이 닳는다.

2.1.22. Combat Initiation (전투 개시)

파일:C.I Slasher text.webp
<nopad> 파일:Combat_Initiation_Jason_V2.png
"이건 제이슨으로, 기하학적 스타일의 마스크와, 음, 무료 전기톱으로 유명합니다. 그의 AI는 단세포 생물입니다."
"This is the Jason enemy, notable for his geometric-style face mask and, um, free chainsaw. His AI is a single-celled organism."
<nopad>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CombatInitiationJason.png
1250$
변경 요소 외형 / 효과음 [18] / 스킬 이펙트 / 추격 테마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추격 테마 - XTREME XTERMINATION (극한의 박멸)


로블록스 게임 Combat Initiation에 등장하는 보스 제이슨을 그대로 가져온 스킨.

설명 문구는 ULTRAKILL을 요약한[19] 외국 영상에 나오는 자막의 패러디이다.

R스킬 사용시 특유의 격노 효과에 따라오는 광배 이펙트와 사이렌 소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기에, 노출도가 좀 있는 스킨이다.

3.1.0 (슬래셔 업데이트) 이후 추격 테마가 리메이크되었다. 대부분의 슬래셔 스킨들과는 달리, 타 게임의 제이슨을 모티브로 한 이 스킨은 외형이 변경되지 않았다.[20]

2.1.23. Stitchhare (스티치헤어)

Stitchhare
<nopad> 파일:stitch slasher.png
" 때문에 모두실패했어."
"You took them all down with you."
1987$[21]
변경 요소 외형 / 대사 / 추격 테마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 ||
추격 테마 - All Strings Attached (모든 줄이 붙어 있다)

모티브는 윌리엄 애프튼 또는 스프링 보니. 토끼 의상을 착용하며, 전용 대사가 추가된다.[22]

추격 테마는 놀리의 스킨인 Umbra와 동일하다. 다만 임시로 사용하는 중이며, 전용 추격 테마가 작곡 중이다.

2.1.24. Pursuer (추적자)

<colbgcolor=#000> 파일:포세이큰퍼셔.png
파일:Ahh fresh meat.png
"모든 먹잇감들을 추적한다."
"All of its prey shall be pursued too."
2500$
변경 요소 외형 / 스킬 모션[23] / 이동 모션 / 킬 모션 / 스킬 이펙트 / 오프닝 / 추격 테마 / 효과음 / 아웃트로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추격 테마 - Famine (굶주림)[24]


Die of Death와 콜라보로 만들어진 스킨. 2,500$이라는 비싼 가격에 걸맞게, 원작의 퍼셔(추적자)를 기반으로 한 변경점이 정말 많은 스킨이다. 추격 브금과 킬 모션은 물론 인트로에, 심지어 스킬 모션까지 변경된다.

Q스킬은 앞으로 달려가 왼손[25][26]에서 칼을 꺼내 베고, E스킬은 칼 두개를 생존자의 심장에 꽂은 후 울부짖고[27], R스킬은 추적자의 '숨어들기' 자세가 된다.

스킨 자체는 원작의 추적자를 충실히 반영한 데다 퀄리티도 좋아 인기가 많지만, 후술할 요소 때문에 P2W 스킨이라며 비판을 받기도 한다.

퀄리티와는 별개로 성능 면에서 많은 이득을 볼 수 있는 스킨이다. 우선 킬 모션이 매우 짧아 시간 손실이 적은 편이다. 또한 스킨 자체가 어두운 편인데, Q스킬의 사용 모션도 눈에 잘 띄지 않는 편이라 평타와 Q스킬, E스킬의 구별이 어렵다. 덤으로 E스킬의 대미지 타이밍이 조금 다르다.[28]

2.1.25. Subject_0 (서브젝트_0)

<colbgcolor=#000> 파일:SUBJECT_0_TITLE.png
파일:Subject_0Render.png
"0"
"Nil."
3000$
변경 요소 외형 / 효과음 / 스킬 이펙트 / 스킬 모션 / 인트로

외형이 PARTY.exe에 등장하는 Subject_0[29] 으로 변경된다. 몸 전체가 흰색을 띄며, 기괴한 표정을 웃는 얼굴의 가면으로 가린 모습이다. 마체테와 전기톱 대신 검 한 자루만을 쥐고 있는 것이 특징.

인트로는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인트로
파일:Subject0Intro.gif
Oh mi gawd you really came (본인의 닉네임)!
Lets put up a fight.
어머나 새상에 너 진짜로 와줬구나 (본인의 닉네임)!
한 판 싸워보자.
인트로에서 출력되는 문구

특이하게도 E스킬이 이펙트 뿐만 아니라 모션까지 변경된다.
  • E스킬 - 명중하면 생존자를 검으로 한 대 친 후, 자세를 잡고 칼을 5연속 연달아 늘이며 공격한다.
  • R스킬 - 자신의 가면을 슬그머니 빼서 맨얼굴을 드러낸다.[30]

3,000$으로 슬레셔의 스킨들 중 최고가이지만, 나름 준수한 퀄리티 덕에 그럭저럭 보이는 스킨이다. 다만, 이쪽도 Pursuer처럼 후술할 요소로 인해 P2W 스킨이라며 욕을 먹는 스킨 중 하나다.

E스킬의 경우 단순 모션 뿐만 아니라 대미지가 들어가는 타이밍도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실제 게임플레이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31]

현재 미완성 스킨이다. 추후 업데이트로 추격 테마와 모션이 더 추가될 예정이라고. Noob의 Subject_1 스킨과의 전용 LMS 테마가 있을진 불명이다.

3.1.0 업데이트 이후 LMS에 돌입할 경우, 천사 링과 날개가 추가된다.

2.2. 마일스톤 스킨

25레벨 단위로 얻을 수 있는 스킨. 기존에 있던 제이슨의 마일스톤 스킨을 계승했다.

2.2.1. Milestone I (1단계)

파일:슬래셔마스1.png
<nopad> 파일:M1Slasher.png
"그날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내 눈이 감긴 그날을."
"I don't remember what happened that day. The day my eyes closed."
획득 경로 슬래셔 25레벨 달성
변경 요소 외형

슬래셔 25레벨을 달성하면 지급되는 스킨. 모티브는 로블록스 기본 헤어로 주어지는 베이컨 헤어.

설명을 보면 마지막 게스트 시리즈의 전쟁에서 사망한 이후로 보인다.

2.2.2. Milestone II (2단계)

파일:슬래셔마스2.png
<nopad> 파일:M2Slasher.png
"내가 눈을 뜬 순간을 기억한다, 그리고 엄마가 나를 불렀다."
"I remember my eyes opening, and mom called to me."
획득 경로 슬래셔 50레벨 달성
변경 요소 외형

슬래셔 50레벨을 달성하면 지급되는 스킨.

배경이나 외형으로 보아, 51구역에서 폭동을 벌일 때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2.2.3. Milestone III (3단계)

파일:im water slahser💦💦💦.png
<nopad> 파일:M3Slasher.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Jason_Milestone 3.png
"증오심이 내 생각들을 전부 삼켜버렸다. 난 그저 쉬고 싶었다."
"Hatred drowned out any thoughts I had. I just wanted to rest."
획득 경로 슬래셔 75레벨 달성
변경 요소 외형 / 추격 테마 / 킬 모션 / 스킬 이펙트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bgcolor=#000><tablebordercolor=black> ||
추격 테마

킬 모션
파일:Milestone3_Jason_Kill.gif

슬래셔 75레벨을 달성하면 지급되는 스킨. 마스크가 깨져 있으며, 스킨이 약간 푸르게 빛난다. 전기톱은 작살로 바뀐다.

이 단계부터는 잭 베이커를 연상시키는 새로운 킬 모션과 전용 추격 음악이 추가된다. 추격 테마가 상당히 위협적이고 긴장감이 넘쳐서 평가가 좋은 편. 킬 모션 또한 평이 좋긴 하나, 기존보다 모션이 약간 더 길다는 흠이 있다.

인기 자체는 후술할 마일스톤 IV에게 밀리지만, 추격 테마와 킬 모션 덕에 이쪽도 나름대로 수요가 있는 편이다.

한때 이 스킨이 마일스톤 IV 스킨이었으나, 탭 업데이트로 구버전 마일스톤 III이 제거되고 이 스킨이 마일스톤 III이 되었다.

2.2.4. Milestone IV (4단계)

파일:im fire slasher🔥🔥🔥.png
<nopad> 파일:M4Slasher.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Milestone 4_ Jason.png
"증오심이 내 생각들을 전부 태워버렸다. 난 그저 복수를 원했다."
"Hatred burned any thoughts I had. I just wanted revenge."
획득 경로 슬래셔 100레벨 달성
변경 요소 외형 / 추격 테마 / 킬 모션 / 스킬 이펙트 / 스킬모션[32]

[ 전용 추격 테마 펼치기 • 접기 ]
||<bgcolor=#000><tablebordercolor=black> ||
추격 테마


슬래셔 100레벨을 달성하면 지급되는 스킨. 마치 불타는 듯한 외형으로 변경된다. 몸에서 화염 파티클이 나오고 두 눈이 노랗게 빛나며, 마체테는 로블록스의 아이템인 크레센도로 변하며 등의 전기톱은 삼지창으로 바뀐다.

마일스톤 III와 마찬가지로 고퀄리티의 킬 모션과 추격 테마, 강렬한 색감의 디자인까지 겹쳐 인기가 많은 스킨이다. 사실상 이 스킨 때문에 슬래셔의 레벨을 올리는 유저들도 여럿 있을 정도. 다만 100레벨을 찍어야 하는지라 인기와는 별개로 픽률은 평범하다.

과거, 제이슨 시절 탭 업데이트 전에는 'Savini'라는 이름의 마일스톤 4와 함께 주어지는 100레벨 특전이었으나, 탭 업데이트로 마일스톤 IV 스킨으로 변경되었다.

추후 전용 E스킬 모션이 추가될 예정이다.

최근 포세이큰에서 살인마가 가만히 있다가 생존자의 공격에 맞으면 전부 학살하는 밈(외국에선 chill killer으로 불림)이 있는데 이 스킨이 자주 쓰인다.[33] 그리고 학살할때 나오는 음악은 porwl 이다(…)

2.3. 기타 스킨

2.3.1. VIP

VIP
<nopad> 파일:vip slasher.png
"손목시계처럼 간지나는데"
"Drippin like a wrist watch"
변경 요소 외형 / 추격 테마 / 킬 모션[34] / 스킬 이펙트

VIP 게임패스 구매 시 획득할 수 있는 스킨. 신발은 Among drip, 입고 있는 재킷은 Goku Drip의 패러디다.

2.1.1 후로 전용 테마가 추가되었으며, 마일스톤 3, 4 스킨과 동일한 킬 모션을 사용하게 되었다. 다만 VIP 게임패스가 요구되는지라 높은 퀄리티에도 불구하고 잘 안 보이는 편.

슬래셔 업데이트 이후 가면이 바뀌고 노란색이 되며 눈이 날카로워졌다.

2.3.2. White Pumpkin (하얀 호박)

White Pumpkin
<nopad> 파일:호박같은니얼굴2.png
"내 것이 될 때까지 절대 쉬지 않을거다!"
"I will not rest until its mine!"
변경 요소 외형 / 스킬 이펙트 / 대사
모티브는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의 악역인 하얀 호박. 외형은 원작과 비슷하다. 원작 고증으로 무기는 도끼 하나밖에 없어서, 인트로에서 문이 자동으로 열리는 괴이한 광경을 볼 수 있다.

드물게 도전과제로 얻는 살인마 스킨이다.[35] 대사는 원작 대사를 옮겨 썼다.

R스킬을 사용하면 눈에 빛 대신 레드스톤 파티클이 눈에서 나온다.

도전과제 난이도를 감안한다면 무난하다. 결론적으로 애니메이션도 좋고, 퀄리티도 좋은 무난한 스킨. 픽률은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편.

2.4. 한정 스킨

2.4.1. Insane Streamer (미친 스트리머)

Insane Streamer
<nopad> 파일:슬래셔 미치광이 스트리머.png
구 버전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제르마(미친 스트리머 제이슨).webp
"산 채로 삶아버리는게 어떤지 아니"
"Do you know what it's like to boil alive"
985$
변경 요소 외형 / 스킬 이펙트 / 대사

2025년 만우절 스킨. 인터넷 방송인 Jerma985의 외형을 띄며, 인트로, 모든 스킬 시전 시마다 Jerma의 유명 어록들이 출력된다.

전체적으로 Delirious와 비슷한 개그 컨셉의 스킨이다. 블루두드의 추격 테마에서 들리는 "삐리삐릿삐"하는 소리도 제르마의 것이다.

스킨의 가격인 985도 제르마의 방송 닉네임에 들어간 숫자다.

2.4.2. Easter Ripper (이스터 리퍼)

Easter Ripper
<nopad> 파일:Easter Ripper.png
"그들이 이야기를 위해 왔으며... 이야기가 그들을 위해 왔다!"
"They came for the story...The story came for them!"
750$
변경 요소 외형 / 스킬 이펙트

2025년 부활절 한정 스킨. 2025년 4월 21일부터 투 타임 리워크 업데이트까지 구매가 가능했던 스킨이다.

모티브는 Puppet Combo 게임사의 MURDER HOUSE 게임 속 부활절 살인마.

2.5. 관리자 전용 스킨

2.5.1. Dead Rabbits Boss (데드레빗츠 보스)

파일:DeadRabbitsJasonorSlasherwhatever.jpg

모티브는 말 그대로 데드레빗츠 보스.

2.5.2. skibidi (스키비디)

skibidi[36]
<nopad> 파일:제이슨 스키비디.png
?
700$
변경 요소 외형
모티브는 알 수 있듯이 Skibidi Toilet. 목에 SKIBIDI라고 적힌 황금 목걸이를 쓴다. 이 스킨은 테스트 기간에만 쓸 수 있었다. 참고로 말풍선에 있는 단어는 Alpha, Sigma, Skibidi다.(...)

현재는 제이슨이 슬래셔로 대체되어 해당 스킨도 외형이 변경되었는지는 불명이다.

2.5.3. Pyramid Head(삼각두)

모티브는 사일런트 힐 시리즈삼각두.

2.5.4. Defiler (파멸자)

2.5.5. 67

모티브는 Phonk로 잘 알려진 67.[37]
===# 업데이트 예정 스킨 #===

====# Yourself (너 자신) #====
Yourself
<nopad> 파일:슬래셔 유어셀프.png
"너지만 만약 네가 엉망이고 뒤틀렸을 경우"
"You but if you were messed up and twisted"
?$
변경 요소 외형 / 추격 테마
존 도의 '너 자신' 스킨과 마찬가지로 외형을 자신의 아바타로 바꿔주는 스킨. VIP 게임패스를 보유하고 있다면 비공개 서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계획 단계에선 하키 마스크 없이 자신의 아바타를 그대로 쓸 수 있었으나 이런저런 문제로 인해 수정되었다.

====# Mystic #====
Mystic
<nopad> 파일:미스틱제이슨.png
?
?$[38]
변경 요소 외형
Combat Initiation의 Test.exe에 등장하는 MYSTIC JASON의 외형을 하고 있다.

====# Homeless (노숙자) #====
Chance의 노숙자 스킨과 공유되는 스킨. 해당 Chance 스킨과의 1v1 LMS 전용 테마가 있을진 불명이다.

2.6. 삭제된 스킨

====# Manhatten (맨해튼) #====
Manhattan
<nopad> 파일:스크린샷 2025-05-18 144225.png
"지금 뉴욕시는 새 문제가 생겼습니다."
500$
변경 요소 외형
모티브는 13일의 금요일 파트 VIII: 제이슨 테이크스 맨해튼 에서 맨해튼에 상륙한 제이슨.
====# Arrival (도착) #====
Arrival
<nopad> 파일:귀여운제이슨왔쪄욤!!!!.png
"케이트와 찰리가 그가 안개 속으로 들어가기 전에 그를 본 적이 있어."
600$
변경 요소 외형
가격에 비해 일반 제이슨에 후드만 씌워놓은 외형이 특징. 더 저렴하고 퀄리티가 좋은 스킨들이 적잖이 있음에도 쓰는 사람이 가끔씩 보였었다.

====# Leatherface (레더페이스) #====
Leatherface
<nopad> 파일:제이슨은여전히귀여워요.png
"한번 눈 깜빡이면 끝나는거야, 너는 고기걸이에 걸려진 채로 일어나겠지."
800$
변경 요소 외형
모티브는 텍사스 전기톱 학살의 살인마 레더페이스.

저작권 문제로 인해 삭제되었다.

====# michel myers (미셸 마이어스) #====
michel myers
<nopad> 파일:너무안귀여운제이슨ㅠㅠㅠ.png
"그가 집에 찾아왔던 밤..."
900$
변경 요소 외형
Survive and Kill the Killers in Area 51에서 나오는 마이클 마이어스의 초기 모델이다.
마이클 마이어스 스킨과 비슷하지만, 사실 짝퉁 스킨이다. 자세히 보면 얼굴이 종이로 되어있다.

저작권 문제로 인해서 삭제된 것으로 추정된다.

====# Michael Myers (마이클 마이어스) #====
Michael Myers
<nopad> 파일:Michael_Myers_Jason_V2.png
"마이클의 예전 날들의 잔해"
950$
변경 요소 외형
모티브는 영화 할로윈 시리즈에 나오는 마이클 마이어스(부기맨)이다. 레더페이스 스킨보단 픽률이 적다. 투 타임 리워크 이후 가격이 올랐으며 외형 퀄리티가 더 높아졌다.

이쪽도 저작권 문제로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

====# Kevin (케빈) #====
Kevin
<nopad> 파일:제이슨 케빈.png
"내 피자에 손 대지 마!"
"DON'T TOUCH MY PIZZA!"
1000$
변경 요소 외형 / 인트로 / 승리 화면 / 추격 테마

원본은 DON'T TOUCH MY PIZZA. 케빈으로 변경되며, 마체테 대신 식칼을 든다.

이 외에 전용 2D 인트로에 승리 화면도 있고 추격 테마가 추가된다.

퀄리티가 높은 편이라 자주 볼 수 있으나, 원곡이 퍼리 요소로 인해 심하게 호불호가 갈렸던 만큼 이 스킨도 호불호가 강하게 갈린다. 다른 스킨들보다 독보적으로 뛰어난 퀄리티에도 불구하고 퍼리라는 이유로 인해 쓸 사람은 쓰고 싫은 사람은 절대 안쓰는 독특한 특성이 나타난다.

원작자인 Nyanwolf도 해당 스킨의 존재를 알고 있다.[39]

현재 원본 캐릭터의 제작자인 Nyanwolf의 비밀계정에 그동안 성적인 그림들이 올라오고 있었다는 것과 말투, 폭로 때문에 삭제가 결정되었다. 그 내용(영어)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Forsaken(Roblox)/Slasher/스킨 목록|Forsaken(Roblox)/Slasher/스킨 목록]]}}}{{{#!if external != "o"
[[Forsaken(Roblox)/Slasher/스킨 목록]]}}}}}}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Forsaken(Roblox)/Slasher/스킨 목록?uuid=969ee4ca-ac5a-4b2e-bd77-92d9cd1b5daa|r42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Forsaken(Roblox)/Slasher/스킨 목록?uuid=969ee4ca-ac5a-4b2e-bd77-92d9cd1b5daa#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Forsaken(Roblox)/Slasher/스킨 목록?from=429|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Forsaken(Roblox)/Slasher/스킨 목록|Forsaken(Roblox)/Slasher/스킨 목록]]}}}{{{#!if external != "o"
[[Forsaken(Roblox)/Slasher/스킨 목록]]}}}}}}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Forsaken(Roblox)/Slasher/스킨 목록?uuid=969ee4ca-ac5a-4b2e-bd77-92d9cd1b5daa|r42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Forsaken(Roblox)/Slasher/스킨 목록?uuid=969ee4ca-ac5a-4b2e-bd77-92d9cd1b5daa#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orsaken(Roblox)/Slasher/스킨 목록?from=429|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 '노하기를 더디 하는 자는 크게 명철하여도 마음이 조급한 자는 어리석음을 나타내느니라'라는 구절.[2] 제이슨이 슬래셔로 교체된 후에도 설명엔 제이슨이라고 나온다.[3] 미국의 코미디/SF 영화로 2002년 개봉했다. 정확한 명칭은 '플루토 내쉬'(Pluto Nash)인데 원문은 'Pluto Nass'다.[4] 웃음소리[5] 아예 주 콘텐츠가 된 것으로 보인다.[6] 모션의 프레임이 낮아 뚝뚝 끊기듯 움직인다.[7] 과거 제이슨의 히트박스가 버그가 많이 난 것을 의미.[8] 당연히 히트박스엔 변경이 가해지지 않는다. 오히려 슬래셔 평타 히트박스는 이 스킨의 대태도와 더 유사하다. 그래서 이름이 '정확한 히트박스'인건가[9] 풀려면 R스킬을 다시쓰고 자동으로 끝날때까지 기다려야해서 시간소비가 굉장히 심했다.[10] 원본 노래의 가사들을 변형하여 만들었다.[11] R스킬 사용 시 슬래셔의 몸이 전체적으로 붉게 변하며 표정도 광기있게 변한다.[12] 여담으로 허영심 슬래셔와 함께 걸려있는 캐릭터들이 있는데, 왼쪽은 투 타임, 오른쪽은 게스트 1337이다.[13] 파일:^q^.jpg[14] 머리카락이 처음 나왔을땐 조금 헝큰 모습이었지만 얼마 후 깔끔한 머리카락으로 변경되었다.[15] 대동맥의 걸작(Aortic work of Art)[16] 2007년에 나온 오래된 장수 로블록스 애니메이션 시리즈다.[17] KillerKyle의 모티브도 제이슨 부히스다.[18] R스킬 사용 시[19] Combat Initiation의 제이슨은 울트라킬의 보스 중 하나인 소드머신의 오마주이다. 오마주의 오마주[20] 다른 리메이크 되지 않은 스킨들은 대부분 어깨에 네크로블록시콘만 추가되었는데 이 스킨은 그것마저 추가되지 않았다.[21] Bite of '87, 즉 1987년 애니메트로닉스 입질 사건의 오마주. Umbra와 동일하다.[22] 대사 중 I Always Come Back도 있다.[23] Q, E, R스킬 변경[24] 원작 추적자의 추격 테마인 Starvation을 오마주한 부분이 상당히 많다. 대표적으로 원곡의 시작 부분에 나오는 드뷔시의 달빛의 시작부가 레이어 4 추격 테마에 등장한다.원작에서 밈이 되었던 하모니카 소리도 빠지지 않고 나온다.[25] 평소에는 오른손에 칼을 들고 있다.[26] 원작의 Q스킬 모션을 따왔다.[27] 마지막 울부짖는 것은 아마 원작 E스킬 모션을 오마주한것일 가능성이 크다.[28] 원래 6타이지만, Pursuer 스킨은 5타. 그나마 이 쪽은 5타의 타이밍이 원본의 6타와 큰 차이는 없는 편이다.[29] 다만 Subject_0 자체는 Outlaws of Robloxia를 바탕으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E스킬에서 레이저를 쏘는것과 Subject_0 인트로 대사로 보면 유추할 수 있다. 또한 Subject_0 모습은 보통의 Subject_0이 아닌, ERROR로 인해 감염된 Subject_0의 모습을 띄고 있다.[30] 이때 원작에서 등장하는 소름끼치는 소리(쉬이익...)가 출력된다.[31] LMS 직전 E 스킬로 생존자를 처형해도 시간 손실이 적으며 뉴비의 경우 슬레이트스킨 심리전에서 손해를 보게 되고, 게스트는 E스킬을 사용 중인 슬래셔에게서 방어로 펀치를 얻기 상당히 껄끄러워졌다.[32] 추가예정[33] 주로 Never stun chill M4 slasher 라고 치면 나온다[34] 마일스톤 3, 4와 공통[35] 원래 이 스킨이 유일했으나 놀리 업데이트로 핵로드 1x가 도전과제로 얻을 수 있게 되어 유이한 스킨이 되었다.[36] 스킨 아이콘이 없다.[37] 정확히 말하면 Six-Seven이다.[38] 공식 위키에서는 1500 ~ 1750원으로 추정하고 있다.[39] 마음에 들었는지 커뮤니티에 사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