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07:49:13

2025년 의성발 경북 산불/경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5년 의성발 경북 산불|2025년 의성발 경북 산불]]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1. 개요2. 내역
2.1. 3월2.2. 4월
2.2.1. 1일

1. 개요

2025년 의성발 경북 산불의 발화 시점부터의 시간별 경과다.

2. 내역

2.1. 3월

====# 22일 #====
  • 산불 발생 당시 날씨가 매우 건조하고 온화한데다, 산불 현장에 3.4 ㎧의 강풍이 불고 있어 진화에 난항을 겪었다.
    3월 22일 12시 30분

    파일:IMG_8886.jpg

    중앙고속도로 너머에서 산불이 연기를 내뿜으며 확산 중이다.
  • 12시 55분 기준 산불 대응 1단계가 발령되었으며, 진화율은 30%이다. 오후 들어 강풍이 더욱 강해지기 전 진화를 할 수 있을 지에 대한 여부가 불투명하다. 의성군은 긴급재난문자로 인근 주민과 등산객에게 신동마을회관으로 대피할 것을 전달했다.
  • 13시 5분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51 ㏊이다.
  • 13시 18분 산불 대응 2단계로 격상되고, 산불영향구역은 73 ㏊로 대폭 증가했다.
  • 14시 10분 경 산불 대응 3단계로 격상되었으며, 올해 두번째 산불 대응 3단계이다.
  • 14시 49분 경 안계면 의성휴게소 인근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 15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177 ㏊이다.
  • 16시 기준 안평 산불의 진화율은 30%이다. 의성군에만 무려 3개의(안계면, 안평면, 금성면) 산불이 동시에 확산하고 있다.
  • 16시 30분 기준 산불영향구역이 300 ㏊로 크게 확산되었다.
    3월 22일 17시 00분

    파일:의성 산불 17시.png

    산불이 연기를 더욱 내뿜으며 급속도로 확산 중이다.
  • 19시 기준, 안평 산불의 진화율은 4%이다. 국도 5호선 업리 부근[1]에서 산불의 화선이 보이기 시작했으며, 의성읍내 인근까지 매우 크게 번져 위협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3월 22일 19시 00분

    파일:의성 산불 19:00.png

    서산영덕고속도로 안사2터널 바로 옆으로 화재가 확산된 모습이다.[2][3]


    3월 22일 21시 00분

    파일:의성 산불 21시.png

    서산영덕고속도로 안사1터널 위의 삿갓봉에서 화선이 내려오고 있다.
  • 특히나 안계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지속적으로 확산되며 고속도로를 위협 중이며, 서산영덕고속도로 동상주IC~북의성IC 양방향이 통제되었다. 국도 28호선 토매리 인근 구간에서도 산불의 화선이 길게 늘어진 것이 포착되며, 다량의 재가 유입되고 있다.
  • 21시 기준, 안평 산불의 진화율은 3%로 1%p 감소 하였으며, 산불이 고속도로 근처까지 다가와 위협하는 중이다. 서산영덕고속도로 구간은 통제구간을 서의성IC~안동분기점으로 축소하였다.
  • 21시 30분 안동시에서 안평 산불이 옥산면 입암리까지 확산세를 보임에 따라 길안면 백자리, 금곡리에 대피령을 하달했다.
  • 21시 50분 기준 안평 산불의 산불영향구역은 최소 418 ㏊인 것으로 추정 중이며, 전체 화선은 18~20 ㎞ 내외이다. 읍내를 빠르게 넘어 점곡면까지 산불이 심각하게 번진 것으로 추정된다. 산불이 급속도로 퍼져 영향구역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22시 기준 안평 산불의 산불영향구역은 최소 550 ㏊인 것으로 추정 중이며, 전체 화선은 22.6 ㎞, 1.3 ㎞ 진화완료로 발표하였다.

====# 23일 #====
3월 23일 00시 30분
파일:1000013866.jpg
3시간여 동안 불이 밑으로 더 번졌다.
3월 23일 03시 30분
서산영덕고속도로 안사1터널 부근 촬영 영상이다.
* 3월 23일 05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최소 950 ㏊[4]인 것으로 추정 중이며, 진화율은 4.8%로 발표하였다. 전체 화선은 41 ㎞, 2 ㎞ 진화완료로 발표하였다. 안평 산불과 안계 산불이 모두 크게 확산중에 있다.
* 3월 23일 08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최소 1,802 ㏊인 것으로 추정 중이며, 진화율은 2.8%로 발표하였다. 전체 화선은 64 ㎞, 1.3 ㎞ 진화완료로 발표하였다.
* 3월 23일 10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2,602 ㏊인 것으로 추정 중이며, 진화율은 여전히 2.8%이다. 전체 화선은 67 ㎞, 그 중 1.3 ㎞가 진화완료이다.
* 3월 23일 13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3,510 ㏊인 것으로 추정되며, 전체 화선 68 ㎞ 중 20.4 ㎞가 진화완료되어 진화율은 30%로 올랐다.
* 3월 23일 14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4,050 ㏊인 것으로 추정되며, 진화율은 51%로 다시 절반을 넘겼다.
3월 23일 15시 30분
파일:1000004358.jpg
고속도로 근처에 연기가 자욱하게 꼈다.
* 3월 23일 16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4,650 ㏊인 것으로 추정되며, 진화율은 59%이다. 전체 화선 90.0 ㎞ 중 53.3 ㎞가 진화되었으나, 다시금 강풍을 타고 확산 중인 것으로 보인다.
3월 23일 17시 30분
파일:안사1터널1730.jpg
화재 발생 하루가 지났음에도 불씨가 사라질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 3월 23일 17시 30분 기준 연기가 다소 잦아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안계쪽 진화율은 76%정도이다. 또한 안계면 산불의 산불영향구역은 500 ㏊로 추정 중이며, 전체 화선은 22.4 ㎞이다. 대응 단계가 발령되지 않은 산불임을 감안하면 실로 엄청난 크기이다.
* 3월 23일 19시 기준 안평 산불의 산불영향구역은 6,028 ㏊인 것으로 추정되며, 진화율은 60%이다. 전체 화선 98.0 ㎞ 중 60.5 ㎞가 진화되었다.
3월 23일 20시 47분
파일:Screenshot_20250323_204633_TMAP.jpg
밤이 되니 화선이 확연히 드러난 모습이다.
3월 23일 20시 47분
파일:Screenshot_20250323_204651_TMAP.jpg
산불이 매우 빠르게 주변 나무들을 태우는 중이다.
파일:202503231045.jpg
야산 인근 도로 앞까지 산불이 번진 모습이다.
* 3월 23일 20시 47분 기준으로 안평 화재는 약간 수그러들었으나 안계 화재가 일어난 의성휴게소 부근은 오히려 매우 심각해진 상황이다. 처음 발생 때에는 연기만 나다가 17시를 전후해서는 불꽃이 여러군데 튀더니만 해가 진 이후에는 강풍으로 나아졌다 심해졌다 하며 화선이 매우 진하게 보일 정도가 되었다.
* 3월 23일 21시 기준 안평 산불의 산불영향구역은 6,328 ㏊으로, 안계 산불의 산불영향구역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강풍이 불며 진화율 역시 안평 51%, 안계 60%로 감소하였다. 안평 산불의 경우 전체 화선 101 ㎞ 중 62 ㎞가 진화되었다.

====# 24일 #====
  • 07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6,861 ㏊이며, 진화율은 65%를 보이고 있다. 기상 상황에 따라 오늘 중 주불 진화가 완료될 가능성이 있다.
  • 11시 기준, 진화율은 67.5%, 산불 영향 구역은 7,323 ㏊, 전체 화선 130.6㎞ 중 남은 화선은 42.4㎞이다.
  • 12시 기준, 진화율은 71%, 산불영향구역은 7,516 ㏊이며, 전체 화선 133.9㎞ 중 남은 화선은 38.7㎞이다. 또한 서산영덕 고속도로의 통제 구간이 서의성IC ~ 청송IC로 연장되었다.
  • 13시 20분 경, 서산영덕고속도로의 통제구간이 북의성IC ~ 동안동IC로 조정되었다.
  • 14시 기준, 산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빠르게 확산하면서, 진화대원 4명이 산속에서 고립되었다. 인명피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모든 진화대원에게 긴급 대피 명령이 내려졌다.
  • 14시경, 소방관 1명이 진압 도중 어지럼증과 구토 증세로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 15시 기준, 진화율은 65%이며, 산불영향구역은 7,778 ㏊이며, 전체 화선 148㎞ 중 남은 화선은 52㎞이다. 의성군 단촌면, 안동시 길안면 주민들에게 대피령이 내려졌다. 그리고, 고립된 진화대원 4명이 무사히 구조되었다.
    3월 24일 15시 02분

    파일:서변1교202503241502.jpg

    점곡면 읍내 부근에 산불로 인한 심한 연무가 껴있고 산불이 고속도로를 덮치고 있다.
  • 15시 20분 경, 서산영덕고속도로의 통제구간이 북의성IC ~ 영덕IC로 연장되었다. 산불이 강풍을 타고 굉장히 멀리멀리 날아가고 있기에 삽시간에 어디까지 확산될 지 알 수 없으므로 이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한국도로공사의 판단에 따라 선제적으로 영덕까지 통제된 것으로 보인다.
    3월 24일 16시 25분

    파일:안평1터널202503241625.jpg

    안계면 산불로 인하여 터널 인근에 산불이 있음에도 차량통행이 가능하다.


    3월 24일 16시 38분

    파일:점곡SA202503241603.jpg 파일:_20250324_163642.jpg

    영덕방향 점곡휴게소가 불에 타고 있다. 영덕방향 점곡휴게소가 화재 진압이 됐다.
  • 17시 50분경, 정부가 경상북도 의성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했다. # #
  • 18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8,490 ㏊이며, 진화율이 60%로 다소 감소했다. 또한 전체 화선 162㎞ 중 남은 화선은 52㎞이다.
    3월 24일 19시 05분

    파일:기도4교202503241905.jpg 파일:점곡면 산불.png

    안계 산불이 남쪽 화장산 전체로 비화되었다. 안평 산불은 점곡면을 넘어 옥산면으로 빠르게 확산 중이다.
  • 21시 기준 진화율은 60%로, 전체 화선 164㎞ 중 남은 화선은 66.4㎞이다.
    3월 24일 21시 28분

    파일:화면 캡처 2025-03-24 213322.png

    저녁이 되니 화선이 선명하게 보인다.


    3월 24일 22시 30분

    파일:의성산불20250324 22:30.png 파일:의성산불20250324 22:30(1).png

    최대 15㎧의 강한 동풍을 타고 빠르게 비화하며 확산하고 있다.
  • 산불의 확산이 저지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23시 부로 의성-안동 산불에 발령된 국가 소방 동원령 1호를 3호로 격상시켰다.

    3월 24일 23시 50분

    파일:의성산불20250324 23:50(1).png 파일:의성산불20250324 23:50(2).png

    산불이 중앙고속도로에 접근하였다. 의성읍으로 산불이 확산하고 있다.

====# 25일 #====
  • 00시 15분부터 중앙고속도로 안동JC~의성IC 구간의 통행이 전면 통제됐다. 동 시간 서산영덕고속도로 청송IC~영덕IC 구간 통행이 재개되어 통제 구간이 북의성IC~청송IC로 축소되었다.
    3월 25일 01시 25분

    파일:안평1터널202503250125.jpg 파일:단촌4터널202503250125.jpg

    서산영덕고속도로 안평1터널 위로 뚜렷한 화선이 보인다. 서산영덕고속도로 단촌 4터널 위 건마산 정상부가 계속 불타고 있다.
  • 5시 40분부로 중앙고속도로 양방향 통행이 재개되었다.
  • 07시 기준, 진화율은 55%로 다소 떨어졌으며, 산불영향구역은 12,565㏊로 10,000㏊를 돌파하고야 말았으며, 전체 화선 214.5㎞ 중 남은 화선은 96.3㎞이다.
  • 9시 기준, 진화율은 54%, 산불 영향구역은 12,699㏊이며, 전체 화선 220.8km 중 남은 화선은 102.4km이다.
    3월 25일 11시 32분

    파일:기도4교202503251132.jpg 파일:점곡SA(청주)202503251132.jpg

    중앙고속도로로 다가온 안계면 산불을 소화하고 있다. 안평면 산불로 인해 서산영덕고속도로 주위로 계속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 12시 기준, 진화율은 60%, 산불 영향구역은 14,483㏊으로 2000년 삼척-울진 산불 규모를 넘어 대한민국 역대 2위 규모의 산불로 기록되었으며, 전체 화선 244km 중 남은 화선은 98km이다.
    3월 25일 14시 55분

    파일:안평1터널202503251455.jpg 파일:단촌4터널202503251455.jpg

    안평1터널 위 산의 산불로 강풍에도 불구하고 심한 연무가 껴있다. 단촌4터널 위 건마산에 산불로 심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 15시 기준, 안동시와 의성군에 강풍주의보가 발효되었으며, 강풍으로 인해 산불이 빠르게 비화하면서 안동시 풍천면에 산불이 확산하였다. 현재 위협을 받고 있는 지역은 예천군, 청송군이다.[5]
  • 15시 23분부로 한국철도공사중앙선 철도 안동역~경주역 구간 운행을 다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 15시 30분부터 서산영덕고속도로 안동JC~북의성IC 구간에 산불이 재차 접근함에 따라 통제가 이루어졌다.
  • 16시 기준, 동안동IC부터 청송IC까지 강풍이 불고 있으며, 북의성IC~동안동IC 구간 대부분의 CCTV는 연무로 인해 거의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또한 서의성IC~북의성IC 구간도 산불이 도로 주변까지 접근하면서 통제되었다.[6]
    3월 25일 16시 20분

    파일:screenshot_202503251620.jpg 파일:단촌4터널202503251620.jpg 파일:청송3월25일4시26분자료1000058944.jpg

    서산영덕고속도로 인근 마른 초에 불이 확산되었다. 북의성IC ~ 동안동 IC 구간 고속도로 가변의 나무들이 불타고 있다. 청송군 방향으로 산불이 접근하고 있다.


    3월 25일 16시 30분

    파일:의성 산불 2025-03-25 16시 30분.png

    안평3터널 인근 산불로 차량들이 정차해 있다.

    파일:20250326_074425.jpg

    안사면사무소의 모습
  • 16시경 안사면 면소재지까지 번져 안사면사무소와 농협창고가 소실되었다.
  • 16시 30분 기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 반경 10 ㎞까지 안계면 산불이 확산하였다.#
  • 16시 35분, 서산영덕고속도로 서의성IC~안동JC 구간이 통제되었다.
  • 16시 45분, 중앙고속도로 의성IC~서안동IC 구간이 통제되었다.
    3월 25일 16시 50분

    파일:평팔리202503251650.jpg 파일:용각리202503251650.jpg

    중앙고속도로 통제 직전 차량이 산불 사이로 아슬아슬 통과하고 있다. 중앙고속도로 통제 직후 차량이 역주행으로 빠져나가고 있다.[7]
  • 16시 50분, 서산영덕고속도로 청송IC~영덕IC 구간이 통제되었다. 이에 따라 통제 구간이 서의성IC~영덕IC로 확대됐다.
  • 17시, 하회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긴급대피령이 발령되었다. 산불이 하회마을 8 ㎞, 병산서원 6 ㎞ 앞까지 도달한 상태이다. #

    3월 25일 17시 00분

    파일:길안3터널_20250325_1700추정.jpg

    광 케이블 단선 직전의 서산영덕고속도로 길안3터널 CCTV화면. 화염에 휩싸여 있다.
  • 17시 2분 서산영덕고속도로 상주~영덕 전 구간의 CCTV 송출이 광케이블 단선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
  • 17시 10분 즈음에 의성군 단촌면에 위치한 고운사가 전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최초보도
  • 17시 20분, 안동 시내를 향해 산불이 빠르게 확산하여, 안동시 전체 주민에게 대피령이 내려졌다. 이에 따라 안동시 전역에 통신 장애가 발생하기도 했다.
  • 17시 25분 경, 한국철도공사는 추가로 중앙선 영주역~안동역 구간 운행을 중단 했다. 이에 따라 중앙선 운행 중단 구간은 영주역~경주역으로 확대됐다.
  • 17시 28분, 한국수자원공사가 산불 진화 지원을 위해 성덕댐의 증가방류를 결정했다. 당일 17시 30분부터 방류가 개시되었다. #
  • 17시 29분, 청송군까지 산불이 확산하여 청송군 파천면, 진보면 주민들에게 대피령이 내려졌다. # 이어 17시 42분에는 모든 청송군민을 대상으로 대피 명령이 전달되었다.#
  • 17시 30분, 국가유산청은 전국 국가유산 재난 국가위기 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했다. 국가유산 재난 경보는 '관심, 주의, 경계, 심각'의 4단계로 나뉘며, 최고 단계인 '심각'이 발령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월 25일 17시 35분

    파일:금곡20250325_173516.png

    남안동IC 북쪽 2.2 ㎞ 위치까지 불길이 확산됐다.
  • 17시 45분 경, 한국도로공사는 중앙고속도로 서안동IC~예천IC 구간을 추가 통제했다. 이에 따라 중앙고속도로 통제 구간은 의성IC~예천IC로 늘어났다. 이로 인해 중앙고속도로 차량들이 안동으로 몰리면서 안동시내와 인근 외곽도로에서 극심한 교통 체증이 발생했다.
  • 17시 50분, 산불이 주왕산국립공원 일대까지 접근했다. 국립공원 직원들이 대피하였고 주왕산 내 사찰인 대전사 내 문화재도 급히 이송되었다.
  • 18시 기준, 진화율은 68%, 15,185ha이며, 전체 화선 279㎞ 중 남은 화선은 87㎞이다. 또한, 울릉도를 제외한 경상북도 전역에 산불로 인한 갑호비상이 발령되었다.
  • 또한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주민 보호를 위한 비상대응 총력행정체계 특별지시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이와 함께 "안동시 일직면·남후면·수상동·수하동, 도청신도시가 있는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읍, 청송군 청송읍·진보면·파천면 등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피시켜 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 국도 5호선 안동병원~운산교차로 구간과 지방도 914호선 남안동IC~운산교차로 구간이 통제됐다.#
  • 18시 18분, 영양군 석보면의 답곡터널 인근에서 산불이 확산하며, 영양군도 산불의 피해 범위에 들어가게 되었다.#[8]
    3월 25일 18시 06분

    파일:경국대산불.jpg

    국립경국대학교 안동캠퍼스에도 산불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3월 25일 18시 20분

    파일:안동고등학교 산불 (3).jpg

    안동시 정상동에도 산불이 확산됐다.
  • 18시 20분 경, 안동고등학교 뒤편 산에도 산불이 발생해 안동시 정하동, 수하동 주민들이 대피하였다.[9]
  • 18시 21분, 영덕군 달산면, 지품면에 대피령이 떨어졌다.#
    3월 25일 18시 30분

    파일:안평202503251830.jpg 파일:창길2교202503251835.jpg

    발화지 남쪽 지역도 계속 비화중이다. 창길3리 마을이 산불로 인해 불에 타고 있다.
  • 18시 30분경, 한국전력 경북본부는 안동시 전역의 정전 위험이 있다는 사전문자를 발송하였다.
  • 18시 47분, 영양군 석보면에 대피령이 떨어졌다.
  • 18시 51분, 산불이 번져 국도 34호선 영덕읍~지품면 구간이 통제됐다.#
  • 18시 54분, 안동시 임하면 신덕리의 한 주택 마당에서 70대 여성이 숨진 채 발견됐다. 산불 연기에 의한 질식사로 추정하고 있다. #
  • 19시 기준, 소방 대응 3단계로 격상되었다. #
  • 같은 시간, 청송읍내에도 산불이 확산되었고 청송군청, 청송경찰서, 보건의료원 등 관공서 일대까지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 19시 2분, 청송군 파천면 도로 외곽에서 산불 대피 명령에 따라 자가용을 이용해 대피하던 60대 여성이 불에 타 숨진채 발견됐다. # ##
  • 19시 19분, 과기부는 방송통신재난 위기경보를 기존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발령하였다. #
  • 19시 20분, 영덕군 영해면에 대피령이 떨어졌다. '''이 때쯤부터 영덕군도 산불 피해 안에 들어가게 되었다.
    3월 25일 19시 20분

    파일:산불_안평_1920.jpg 파일:산불_창길_1920.jpg

    중앙고속도로 의성군 안평면 구간 일대가 화염에 휩싸여 있다.
  • 19시 30분, 산불로 인한 상수도 시설 손상으로 의성군 옥산면 지역이 단수됐다.#
  • 19시 38분, 국립경국대학교 안동캠퍼스에 대피령이 떨어졌다.
    3월 25일 19시 40분

    파일:PS25032501581.jpg

    수감자들을 태우고 경북북부교도소를 빠져나오는 호송버스
  • 19시 40분, 경북북부교도소의 재소자 500여명의 이감이 시작되었다. # [10]
  • 19시 45분 영덕군 창수면영양군 입암면에 주민 대피령이 발령되었다.
    3월 25일 21시 20분

    파일:250325안평166.png 파일:국곡_20250325_2120.jpg

    중앙고속도로 옆 야산에서 산불이 이어지고 있다. 산불이 고속도로를 덮칠듯 타오르고 있다.
  • 21시 기준으로 대피명령이 내려진 경북 지역에 있는 일부 학교가 휴교되었다.
  • 21시 26분, 중앙고속도로 예천IC ~ 풍기IC 구간의 통행이 통제됐다. 이에 따라 중앙고속도로 통제 구간은 의성IC ~ 풍기IC 구간으로 늘어났다. #
  • 21시 45분, 울진군 온정면 조금1리와 조금2리에 대피령이 떨어졌다. #
  • 21시 48분, 안동시 남안동농협주유소 주변에 화재가 발생하여 더 큰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 21시 49분, 영덕군이 전 군민을 대상으로 대피령을 발령했다. #
  • 21시 58분, 포항시 관내 국도 7호선 중 지경삼거리~영덕군 구간의 통행이 통제됐다. #
  • 22시 3분, 포항시 죽장면, 기북면, 송라면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 22시 23분, 산림청은 강풍으로 인해 산불이 빠르게 비화함에 따라 의성과 안동에서 진화하고 있는 지상인원은 철수시키고 고성능 진화차량 등을 이용하여 화재 지연제를 뿌려 문화유산과 마을 등의 시설보호에 집중한다고 밝혔다. #
  • 22시 27분, 동해선 포항역 ~ 동해역간 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 #
  • 22시 33분 산불이 확산되면서 통신장비의 고장으로 인한 공백지역이 늘어나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처음으로 재난로밍[11]을 명령하였다. #
  • 23시 10분, 중앙고속도로 영주IC ~ 풍기IC 구간 통제가 해제되며 차량 통행이 재개됐다. 이에 따라 중앙고속도로 통제 구간은 의성IC ~ 영주IC로 축소됐다. #
  • 23시 11분, 영양군 석보면 포산리에서 불에 탄 시신 4구를 발견했다고 경찰이 발표했다. #
  • 23시 45분, 칠보산에 산불이 도달함에 따라 울진군 온정면 덕인2리, 덕인3리, 덕산3리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 이날 밤 또다시 초속 25m 이상의 돌풍이 예보되면서 야간 진화 작업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26일 #====
  • 00시 02분, 영양군 석보면 소계리, 홍계리, 옥계리, 영양읍 양구리, 무창리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 00시 12분, 영양군 석보면 요원리, 삼의리에도 추가로 대피령이 발령됐다. #
  • 00시 23분, 청송군 청송읍 청운리, 송생리, 주왕산면에 대피령이 발령되었다. #
  • 00시 41분, 영덕군에 산불이 도달해 산불이 확산하여 영덕군 강구면, 남정면에 대피령이 발령되었다. #
    3월 26일 01시 13분

    파일:의성산불 상황(1).png

    산불이 영덕군과 동해안에 도달했다.
  • 00~01시경, NASA의 위성사진을 통한 화재 감시 사이트(FIRMS)에서는 산불이 영덕군을 통과해 동해안까지 도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영덕군 해안가에서 100여명이 방파제에 고립되어 해경이 구조했음이 확인되었다. #
    3월 26일 01시 20~40분

    파일:창길2교_20250326_0120.jpg 파일:중앙선 국곡.png

    그나마 CCTV가 작동하는 중앙고속도로 인근 야산에서 산불의 모습이 보인다. 서산영덕선, 국도 7호선 등의 CCTV는 화염으로 인한 광케이블 손상으로 시청이 불가능하다.


    3월 26일 04시 00분

    파일:기도4교_20250326_0400.jpg 파일:국곡_20250326_0400.jpg

    새벽에도 중앙고속도로 연선의 산불은 이어지고 있다.


    3월 26일 07시 16분

    파일:의성산불 상황(2).png
  • 07시 기준, NASA의 FIRMS에서 관측된 화재의 면적을 변두리를 이어 단순히 계산하면 약 15만 헥타르(1,500 ㎢)가 산출된다.[12] 이는 화선을 고려하지 않고 연기나 복사열을 위성으로 관측한 결과이다. 따라서, 실제 산불 면적보다 과장이 되어 오차가 클 수 있지만, 대략적으로도 매우 넓은 지역에 산불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발화지점인 의성군 안평면에서 26일 새벽 도달한 영덕군의 동해안까지 거리는 약 80km이며 이는 제주도의 가로 폭과 비슷한 거리이다. 구글에서는 위성사진을 바탕으로 약 9만 헥타르(900 ㎢)가 전소되었다고 분석했다. 이는 축구장 약 125,877개 규모이다. 땅 넓은 미국이나 호주에서도 이 정도 규모의 대형 산불은 역사적으로도 찾아보기 쉽지 않다. 규모와 심각성으로는 19세기 미네소타의 로키 산맥을 깡그리 태워먹은 화재선풍 재앙(disaster)에 비견될 정도다.[13] 위성으로 관측한 불이 붙은 지역만으로도 이번 산불이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의 단일 산불임을 알 수 있다.
3월 26일 10시 20분
파일:안평_20250326_1020.jpg 파일:고하1리_20250326_1020.jpg
중앙고속도로 주위로 새까맣게 탄 야산이 보인다. 중앙고속도로를 따라 소방헬기가 소방수를 나르고 있다.
* 10시 40분, 영양군 입암면 흥구리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11시 20분, 영양군 영양읍에 대피령이 발령됐다.[14]
3월 26일 12시 00분
파일:청송_20250326_1200.jpg 파일:파천1터널_20250326_1200.jpg
11시 45분경, 서산영덕고속도로의 CCTV가 일부 복구되었다.[15] 산불로 인한 연무로 뿌옇다.
* 12시, 산불이 하회마을과 직선거리로 5.4 ㎞까지 접근했다.
* 12시 54분,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에서 산불을 진압하던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소속 헬기가 추락했다. 탑승자는 조종사 1명으로, 사망으로 확인되었다. ## 해당 헬기는 인제군에서 임차한 헬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사고로 헬기를 동원한 진화 작업은 전면 중단되었다.
3월 26일 13시 33분
파일:영덕외부시점지품10터널화재1000059063.jpg
영덕군 지품면 지품10터널(청주외부) 바로 뒤에 있는 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14시, 모든 산불 진화 헬기 운행을 전면 중단하였다. 그리고 이 때 즈음부터 문경시, 상주시, 구미시, 영주시, 봉화군 일대에 연무가 관측되기 시작했다.
3월 26일 14시 30분
파일:Screenshot_20250326_143029_KakaoMap.png
연무로 인해 안동시 전역이 뿌옇게 변했다.
* 15시 03분경, 사곡면에서 의성읍 방향으로 산불이 확산되고 있다. #
* 15시 14분, 안동시 길안면 고란리, 송사리, 대사리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 15시 30분, 14시에 전면 중단된 산불 진화 헬기 운행을 의성군을 제외하고 재개했다. #
* 카카오톡에 있는 영덕의 재난소식을 전하는 한 대형 오픈채팅방을 중심으로, 영덕군의 여러 지역(강구면, 남정면, 창수리 등)에서 다시 대피방송이 나왔다는 증언이 속출하고 있다. 또한, 달산면에 다시 대피경보가 내려졌는데, 주변 산불의 확산 가능성 때문이라고 한다.
* 16시, 청송군 안덕면, 현서면, 현동면, 주왕산면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16시 13분, 안동시 길안면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 16시 30분, 영덕군 창수면에 대피령이 발령됐다.[16]
3월 26일 17시 03분
파일:202503265시3분고래산사진1000059082.jpg
영덕의 고래산에서 불씨가 다시 살아나 연기를 내뿜으면서 산불이 커지는 상황이다.
* 17시, 의성군에도 산불 진화 헬기가 다시 투입되었다. 산불은 여전히 하회마을에서 5km를 앞두고 있다. #
3월 26일 17시 05분
파일:국곡추가산불사진11000059084.jpg 파일:국곡추가산불사진21000059083.jpg
중앙고속도로 국곡 지점 바로 옆에 붙어있는 야산에서 추가로 산불이 발생하여 진화중이다.
* 17시 7분, 안동시 예안면, 도산면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17]
3월 26일 17시 44분
파일:창길1교_20250326_175629.png 파일:창길2교_20250326_180023.png
중앙고속도로 창길1교 옆 산비탈에서 추가로 산불이 발생하여 진화중이다.
* 17시 51분에는 안동시 풍천면풍산읍, 17시 58분에는 영덕군 달산면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청송군 주왕산 산불이 확산하며 달산면을 위협하자 내린 조치로 보인다.[18]
* 18시 기준 진화율이 23.5%로 급격히 감소했다.
* 18시 07분, 안동시 녹전면, 남선면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
3월 26일 19시 26분
파일:기도4교_20250326_192525.png 파일:대사3교_20250326_192939.png
의성군 안평면 창길리 뒤의 매봉산에 산불이 크게 번졌다. 의성군 안평면 도옥리에 산불이 추가로 발생했다.
* 19시경 경상북도수목원은 인접 지역(청송군, 영덕군)에 산불로 인해 긴급휴원을 실시한다며 "연무 발생 및 관람객 피해 예방을 위한 조치다. 산불 발생 상황에 따라 휴원일은 연장될 수 있다"고 밝혔다. #
* 밤 사이 산림 1천 헥타르가 소실되고, 탐방지원센터 1개 동이 전소되는 등의 주왕산 내 산불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주왕산 탐방로 전 구간을 즉각 통제했다. 총 456명의 산불진화 인력을 비롯해 헬기 5대, 산불진화차량 등 장비 25대를 운영하며 전통사찰인 대전사 등 국립공원 내 산불 확산을 막기 위한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 전날 경북북부교도소[19]에 이어 안동교도소 수용자 800여명에 대한 이송 절차를 추가 진행 중이다.
3월 26일 20시 16분
파일:영덕고래산산불8시16분추정1000059123.jpg
밤이 되자 고래산 산불이 더욱 격렬하게 타오르기 시작했다.
* 20시 35분, 하회마을 3km 앞까지 산불이 접근하여 안동시 풍천면 하회1리와 하회2리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이대로라면 하회마을도 화마에 삼켜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
3월 26일 20시 45분
파일:영덕대지삼거리8시45분사진11000059128.jpg 파일:영덕대지삼거리8시45분사진21000059127.jpg
영덕군 대지리 삼거리쪽 산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 21시 13분, 안동시 임동면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 21시 39분 중앙고속도로 기도4교 CCTV를 보면 뒤에 산불이 확산된 것을 볼 수 있다.
* 21시 50분 병산서원 3 ㎞ 앞까지 산불이 접근했다. 서원 관계자들은 서원에 물을 뿌리며 화재에 대비하고 있다. #
3월 26일 23시 00분
파일:미천교_20250326_2300.jpg 파일:기도4교_20250326_2300.jpg
의성군 옥산면 신계2리 마을을 기룡산에서 내려온 산불이 위협하고 있다. 매봉산 위로 산불이 타오르고 있다.

====# 27일 #====
3월 27일 00시 29분
파일:Screenshot_20250327_002914.jpg
시간 차 경과를 나타낸 NASA의 FIRMS 지도.
* 오전 12시 경, NASA의 FIRMS 지도가 업데이트되면서 여러 세부사항을 유추할 수 있게 되었다.
* 전날과 비교하여 산불의 대규모 확산은 감지되지 않았다. 외부 화선이 주황색(6~12시간 전 최초 관측)으로 대략적인 관측이 가능해졌고, 그 내부는 진화 작업과 소실로 인한 복사열 소멸로 인해 전날보다 면적이 크게 감소했다. 외부 화선을 고려한 산불의 전체 면적 또한 대부분 변화가 없었다.
* 안동호 주변에서는 전날에 비해 화재가 크게 감소했다. 수자원이 뒷받침된 진화 작업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 안동시 풍천면과 의성군 신평면, 의성읍, 영양군 입암면 일대에서 새로운 산불(빨간색)이 관측되어 산불이 확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월 27일 01시 50분
파일:미천교_20250327_0150.jpg 파일:대사3교_20250327_0100.jpg
의성군 옥산면에 산불이 이어지고 있다. 천등산 남쪽으로 마을 가까이에 산불이 타오르고 있다.
* 안동시 병산서원 인근 산불이 약한 바람에 밤새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별다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그 일대에 연무가 걷히면 헬기를 띄워 인근 야산에 물을 뿌려 산불 접근을 선제적으로 차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
* 05시 기준, 전날 18시에 23.5%까지 떨어졌던 진화율이 44.3%까지 다시 상승하였다. 피해 규모는 5개 시·군을 합쳐 33,204 ㏊이며, 잔여 화선은 355.4 ㎞이다. 오후 시간대 전까지 바람이 잦아드는 타이밍에 진화를 급속히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이 날 전국적으로 비 예보가 있으나, 산림청에서는 산불 지역의 예상 강우량을 5mm 미만으로 보고 산불 진화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그 동안 기온이 높고 매우 건조한 상태였는데 적어도 습도는 높여주기에 진화에는 큰 영향이 없더라도 새롭게 확산하는 불을 저지하는데는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했다. #
* 서산영덕고속도로 청송휴게소 양방향 건물이 전소되었다. #
* 09시 30분,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재난 위기경보를 ‘경계’ 단계로 상향 발령하였다. 영덕 방송보조국의 전소와 청송 방송보조국의 전력공급 중단으로 송출 기능이 마비된데 따른 조치이다. #
* 10시 29분, 안동시 남후면 무릉리에서 안동 시내 방면으로 방향을 틀어 현재 시민안전에 총력중이다.#
* 11시 45분, 안동시 남후면 고상리, 고하리, 상아리에도 추가로 대피령이 발령됐다. #
* 12시 15분, 영덕군에서 실종됐던 60대 산불감시원이 숨진 채 발견되었다. #
* 13시 25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와 영양군 입암면 양항리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
3월 27일 13시 27분
파일:Screenshot_20250327_164336.jpg
13시쯤 발생한 청송-영양 방면의 산불 확산이 FIRMS에 감지됐다.
3월 27일 15시 30분
파일:10000005838.jpg
영덕군 지품면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 14시 36분, 안동시 임동면 갈전리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3월 27일 15시 21분
파일:오후3시21분3월27일안동국곡1000059188.jpg
비현실적일 정도로 격렬하게 타오르는 모습이다. 국곡 지점에서 또다시 발생한 산불이다.
* 15시 27분, 안동시 길안면 송사리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 15시 55분, 청송군 안덕면 고와리, 지소리, 신성리, 노래리, 근곡리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 17시 04분, 영양군 석보면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
* 미국 가시 적외선 이미지 센서(S-NPP위성) 열 탐지를 통해 산불 확산 속도가 시속 8.6 ㎞로 확인되었다고 산림청이 발표했다. 이는 국내에 보고된 산불 중 최고 확산 속도이다. #
* 안동시,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되었다. #
3월 27일 17시 26분
파일:영덕지품9터널화재3월27일목요일1000059180.jpg
이미 산불이 발생했던 영덕군 지품면 지품9터널 야산에서 다시 산불이 발생해 번지고 있다.
3월 27일 17시 50분
파일:고상산불사진31000059186.jpg 파일:고상산불사진11000059184.jpg
안동시 고상리의 중앙고속도로 고상지점 인근 야산에서 산불이 꽤 크게 발생했다. 연무로 굉장히 뿌옇게 보이는 상황이다.
* 17시 30분, 진화지인 안평면의 산불은 다행히도 소량의 비와 진화 작업을 통해 강풍이 불기 전 거의 진압이 된 상태이다. 대기 중이던 많은 소방차들도 일부를 제외하곤 지휘본부로 복귀 중인 상황. 또한 의성군 철파리의 공립요양병원에서 타 지역으로 이송한 환자들도 다시 돌아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18시, 진화율은 61.5%이다.
* 18시 30분을 기점으로 약 10분 동안 의성군에 소나기 구름이 지나가며 굵은 빗방울이 쏟아졌다. 비록 짧게 내렸지만 앞으로 화재 진화에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안평면 쪽은 비가 극소량 내렸지만 진화가 거의 완료 된 상황이었고, 25일 심각했던 단촌면에 꽤나 많은 비가 내려서 진화효과가 컸다.# 추가로 기상청은 청송에 오후 7∼8시, 영덕에 오후 8시 각각 약한 비 예보를 내렸다. #
3월 27일 19시 20분
파일:100000059.jpg
밤이 되자 화선이 보이기 시작했다.
3월 27일 20시 2분
파일:용덕2리송천앞산산불1000059222.jpg
영덕군 지품면 용덕2리 송천앞산 산불이 며칠째 지속되고 있다.
3월 27일 20시 10분
파일:s200816.png
안동시 고상리의 중앙고속도로 고상지점 인근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을 진압중이다.
3월 27일 20시 15분
파일:청송청운일두마을산불8시15분1000059219.jpg
청송군 청운리 일두마을 뒷산쪽에 큰 산불이 발생했다.
3월 27일 20시 42분
파일:용덕2리중구마을산불1000059221.jpg
영덕군 지품면 용덕2리 중구마을 근처 야산에서 큰 산불이 발생했다.
* 21시 41분, 영양군 석보면 원리1리, 원리2리에도 추가로 대피령이 발령됐다. #
* 산림청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일부 지역에 내린 비로 주불 진화에는 부족한 양이었지만 다른 지역으로 확산이나 비화될 가능성은 작아졌다며 주왕산영양읍 확산 위험 지역에 적극적으로 진화 인력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의성 안동 산불의 사망자가 1명 늘어 이번 2025년 3월 영남권 산불의 총 사망자를 28명으로 집계했다. #

====# 28일 #====
3월 28일 00시 05분
파일:Screenshot_20250328_000503.jpg
시간 차 경과를 나타낸 NASA의 FIRMS 지도.
* NASA의 FIRMS에 따르면 27일 낮에 발생한 안동, 청송, 영양에서의 소규모 확산(주황색)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산불의 면적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백색으로 표기된 곳은 산불이 관측된 지 하루 이상이 경과된 지역이다.
* 0시 8분, 안동시 남후면 고상리, 고하리에도 추가로 대피령이 발령됐다.#
* 0시 경부터 의성군 및 인근 지역에 꽤나 굵은 비가 내리고 있어서 진화에 도움이 상당히 될 것으로 보여진다. 의성군의 경우 비가 내리는 중에도 산 곳곳에 특히 나무 아래의 낙엽에는 여전히 군데군데 불이 나 있거나 불꽃이 살아나는 부분도 있어서 소방장비 및 인력들이 대기 및 진화 중에 있다. 1시 30분 기준, 1시간 강수량으로 주왕산에 약 2.0㎜의 비가 관측되었다. AWS 지점
3월 28일 02시 10분 경
파일:고상산불무섭다헉.jpg
비가 조금씩 내렸지만 여전히 고상지점 쪽에서 화염이 보인다.
3월 28일 03시 30분 경
파일:고상_250328_033038.png 파일:고하_250328_033049.png
대피령이 발령된 고상리, 고하리 인근에 산불이 이어지고 있다.
* 7시 기준, 진화율은 83.7%로 올라갔다. 밤 동안 전국적으로 훑고 내려갔던 비가 의성과 청송, 영덕 지역에 비를 뿌리고 내려가면서 땅이 모두 젖었다. 오후에도 산불 영향권인 울진, 영양, 청송 동부, 영덕에는 시간당 1㎜ 정도의 약한 비가 예보되어 있다. 다만 순간 최대풍속이 초속 10∼15m 이상인 강풍이 불어닥칠 것으로 예보돼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오전부터 차고 건조한 북서풍이 유입됐고, 당분간 비 소식도 없을 것으로 예보됐다. 따라서 소방 당국은 오늘 중으로 주불을 진화하는 데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 밝혔다.
* 12시 기준, 진화율 94%, 잔여 화선은 57㎞이다. 일몰 전 주불 진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14시 30분 기준, 의성군과 영덕군 진화가 완료됐다. 총 진화율은 95.4%이며 잔여 화선은 약 50㎞ 수준이다.
* 다음 날인 29일 토요일 산불 발생 피해 지역에 순간최대풍속 20m/s의 강한 바람이 예보되어 있어 잔불이 재발화할 가능성이 생기고 있다.
* 16시 23분을 기준으로 영양 산불의 주불 진화가 완료됐다.#
* 16시 49분경 산불 발생 149시간만에 주불 진화가 발표되었다. #
* 18시 20분부터 산불로 통제됐던 중앙고속도로 의성IC예천IC 구간, 서산영덕고속도로 동상주IC북의성IC 구간의 양방향 통행이 재개되었다.
* 21시 30분경 청송군에 위치한 청송양수발전소 인근[20]에서 산불이 재발화하여 관내 전체에 정전 우려가 있다며 정전에 대비해달라는 재난문자를 발송하였다. #

====# 29일 #====
3월 29일 02시 45분
파일:Screenshot_20250329_081105.jpg
새벽 1시~3시경 안동시 방면에서 산불의 재발화가 감지됐다.
  • 05시경 산불 재확산으로 중앙고속도로 남안동IC~서안동IC 양방향이 통제되었다. # 남후면 고하리에서 잔불이 되살아났다고 한다. # 이후 진화를 완료하여 9시 15분경 양방향 통행이 재개되었다.
  • 09시 소방당국은 안동 남후면에서 재발화한 산불은 진화 완료하여 잔불 정리중이라고 밝혔으며, 의성 신평면과 청송 양수발전소 일대, 영양 석보면에서 재발화한 산불은 현재 주불 진화중이라고 밝혔다.
  • 11시 소방당국은 안동 남후면과 의성 신평면에서 재발화한 산불은 진화 완료하여 잔불 정리 중이라고 밝혔으며, 청송 양수발전소 일대, 영양 석보면에서 재발화한 산불은 현재 주불 진화중이라고 밝혔다.
  • 15시 소방당국은 모든 재발화한 산불을 진화 완료하여 잔불 정리중이라고 밝혔으며, 주말 동안 잔불에서 다시 연기가 올라오는 등 일시적으로 불씨가 살아날 수 있다고 전했다.
====# 30일 #====
3월 30일 02시 26분
파일:Screenshot_20250330_105307.jpg
새벽 2시경 영양군 방면에서 산불의 재발화가 감지됐다.
  • 3시 34분, 청송군 일대에서 산불이 재발화해 청송군 부남면 감연리와 대전리[21], 파천면 신흥리에 추가로 대피령이 발령됐다. #
  • 8시, 청송군 일대에 재발화한 산불의 진화가 완료되었다.
  • 18시 40분, 서산영덕고속도로 북의성IC ~ 청송IC 구간의 통행이 재개되며 서산영덕고속도로 전구간의 통행이 재개되었다. 청송휴게소점곡휴게소는 화재로 전소되었기 때문에 당분간 화장실과 주차장만 운영하는 임시 휴게소 형태를 갖춘 채 재개한다.
====# 31일 #====

2.2. 4월

2.2.1. 1일




[1] 직선거리로 9~10 km가 되는 거리다.[2] 안계면 산불이 고속도로 바로 옆까지 다가와 위협하고 있다.[3] 광케이블 단선으로 인해 3월 22일 23시 이후부터 ITS 국가교통정보센터 상주분기점 ~ 영덕IC 구간 CCTV 제공 서비스가 일시중지 되어, 이 지점의 CCTV 재생 아이콘을 눌러도 영상이 나오지 않는다.[4] 안평 805 ㏊, 안계 145 ㏊.[5] 특히 풍천면에서 멀지 않는 곳에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안동 하회마을과 인구 2만의 경북도청이전신도시가 있다.[6] 파일:단촌철교202503251620.jpg 파일:점곡SA202503251620.jpg[7] 중앙고속도로 노선 자체가 대형 화물트럭이 많이 다니는 노선이다보니, 1차로는 화물 트럭들이 후진으로 빠져나가고 있으며, 2차로는 일반 차량들이 역주행으로 빠져나가고 있다.[8] 이후 불은 입암면까지 번졌다.[9] 안동 산불의 영향으로 3월26일 길원여고, 경안고, 생과고 제외 안동시내의 모든 고등학교가 원격수업으로 전환되었고 3월 모의고사 일정도 미뤄졌다.[10] 법무부는 당초 안동교도소와 경북북부제1~3교도소, 경북직업훈련교도소 등에 수용된 총 3500여명을 이감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26일 교정본부 직원들의 신속한 진화 활동과 바람 방향 변화로 경북북부제2교도소 약 500명만 대구지방교정청 산하 교정기관으로 보냈다.[11] 재난으로 인해 특정 통신사의 통신이 마비됐을 때 다른 통신사의 망을 사용할 수 있게 로밍 하는 것이다.[12] 행정구역과 비교하면, 서울시 면적(606 ㎢)의 2배 이상, 울산시(1062 ㎢)의 1.5배이다.[13] Reader's Digest, "Great Disastors", 1994. 참조.[14] 이곳에는 250만㎡ 규모의 국립생태원 산하 멸종위기종복원센터가 있다. 전날인 25일 국립생태원은 동식물 총 28종 4907개체를 산불 진행과 다른 방향으로 나눠서 옮겼다고 밝혔다.[15] 나각산터널~의성휴게소, 단촌철교-영덕IC 구간의 일부 CCTV의 작동이 재개되었다. 복구가 되지 않은 CCTV들은 네이버 지도에 아예 뜨지 않는 상태다.[16] 파일:4시30분창수면대피령1000059080.jpg[17] 이곳에도 또 하나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도산서원이 있다. 또한 여기서 산불이 더 확산될 경우 영주시와 봉화군도 산불 영향 지역에 들어가게 된다.[18] 파일:주왕산산불로인한달산면대피령1000059087.jpg[19] 이곳은 이송 절차가 이루어진지 얼마 안되어 화재 피해를 입었다.[20]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신흥리 일대다.[21] 기사에서는 대'천'리로 기재되어 있는데 청송군에 대천리라는 행정구역은 없다. 해당 행정구역은 경북 한정으로 성주군, 영양군 영양읍/입암면, 영천시, 청도군에만 존재한다. 속보성 기사라 오탈자가 난 것을 미처 확인하지 못 하고 그대로 게시했을 가능성이 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2025년 의성-안동 산불|2025년 의성-안동 산불]]}}}{{{#!if external != "o"
[[2025년 의성-안동 산불]]}}}}}}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2025년 의성-안동 산불?uuid=97c04f6d-75e9-40b6-8039-a1d9df131bbf|r46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2025년 의성-안동 산불?uuid=97c04f6d-75e9-40b6-8039-a1d9df131bbf#s-2|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2025년 의성-안동 산불?from=466|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2025년 의성-안동 산불|2025년 의성-안동 산불]]}}}{{{#!if external != "o"
[[2025년 의성-안동 산불]]}}}}}}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2025년 의성-안동 산불?uuid=97c04f6d-75e9-40b6-8039-a1d9df131bbf|r46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2025년 의성-안동 산불?uuid=97c04f6d-75e9-40b6-8039-a1d9df131bbf#s-2|2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2025년 의성-안동 산불?from=466|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