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MBC 연말 시상식 | ||
MBC 가요대제전 | ||||||||
역사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2015년 | 2017년 | 2020년 | }}}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
2023 MBC 가요대제전: 꿈의 기록 (2023) 2023 MBC Gayo Daejejeon: Record of Dreams | |
<colbgcolor=#000><colcolor=#99eaff> 방송일 | 2023년 12월 31일 ~ 2024년 1월 1일 |
방송 시간 | 1부 20:30 ~ 22:302부 22:50 ~ 01:10 |
채널 | MBC |
개최 장소 | MBC 일산 드림센터 D6 스튜디오 MBC 글로벌미디어센터 방송센터 A스튜디오 서울 세종대로 |
기획 | 정윤정 |
연출 | 김문기 |
AD | 정동식 |
작가 | 김효선, 김화현, 이나연, 강예솔, 이혜진, 홍수경, 민서하 |
진행 | 임윤아, 민호, 황민현 |
출연자 | &TEAM, (여자)아이들, 2AM, CRAVITY, aespa, ATBO, ATEEZ, BEBE, BOYNEXTDOOR, DAY6, ENHYPEN, FANTASY BOYS, 프로미스나인, ITZY, IVE, LUCY, NCT 127, NCT DREAM, NCT U, NiziU, NMIXX, RIIZE, SHINee, STAYC, Stray Kids, ZEROBASEONE, 권은비, 백호, 다이나믹 듀오, 더보이즈, 영탁, 원탑, 윤상, 이영지, 이적, 장민호, 주주 시크릿, Kep1er, 폴킴, 효연 (총 40팀) |
다시보기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선정성, 언어) |
링크 | |
[clearfix]
1. 개요
역대 MBC 가요대제전 | ||||
2022 MBC 가요대제전 | → | 2023 MBC 가요대제전 | → | 2024 MBC 가요대제전 |
2023년 12월 31일에 개최되는 MBC 가요대제전. 부제는 꿈의 기록.
2. 진행자
진행자 | ||
민호 | 임윤아 | 황민현 |
- 임윤아, 민호, 황민현이 진행을 맡는다. 가요대제전의 상징답게 임윤아가 9년 연속의 기록을 세웠고, 민호는 2018년 이후 5년 만에 진행자로 복귀하였다. 황민현은 데뷔 후 처음 연말 시상식 진행자[1]로 발탁되었다.
3. 공개 정보
3.1. 예고편
3.2. 스틸컷
4. 기획 의도
올 한 해 음악과 함께 기록한 꿈의 무대가 시작된다! 세대와 장르를 넘나드는 꿈같은 무대부터 누군가의 꿈이 될 K-POP 아티스트들의 스페셜 퍼포먼스까지! 오직 <가요대제전>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최초, 최고의 순간들을 K-POP의 또 다른 꿈의 공간, <2023 MBC 가요대제전>에서 확인하세요! |
공식 홈페이지 |
5. 공연 목록
||<tablealign=center><tablewidth=650><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000><rowcolor=#99eaff><width=8%> 순서 ||<width=38%> 출연자 || 타이틀 ||<width=12%> 보기 ||
6. 시청률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px><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000><rowcolor=#99eaff><width=12.5%> 회차 || 시간 ||<width=25%> 전국 ||<width=25%> 수도권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e5e5e5> 1부 | 20:30 - 22:50 | 3.7% | 4.1% |
2부 | 22:50 - 01:10 | 4.1% | 4.6% |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 [범례] 최저 시청률 ・ 최고 시청률 |
7. 특징
2023년 11월 6일 MBC와 HYBE가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극적인 화해가 이뤄졌고, 가요대제전 MC로 HYBE 소속인 가수 겸 배우 황민현을 발탁하며 2018년 이후 5년만에 HYBE 소속 아티스트들이 출연했다.[4] 최종적으로 출연이 확정된 HYBE 소속 가수는 &TEAM, 백호, BOYNEXTDOOR, ENHYPEN, 프로미스나인으로 군백기 중인 방탄소년단과 연말을 앞두고 스케줄 조정이 여의치 않았던 NewJeans, LE SSERAFIM, 세븐틴,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불참했다.[5]2022년 말~2023년에 데뷔한 신인 가운데 보이그룹은 &TEAM, BOYNEXTDOOR, ZEROBASEONE, RIIZE, FANTASY BOYS 5개 팀이 출연하고, 3세대는 물론 2세대인 SHINee, 2AM이 출연진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걸그룹은 JYP의 일본 현지화 그룹 NiziU가 SBS 가요대전에 이어 유일하게 신인으로 출연진에 포함되었고 데뷔 7년 이상이 된 2017년 이전 데뷔한 걸그룹들은 출연하지 않았다.[6] 이 때문에 남성 출연진이 여성 출연진의 2배 가까이 되는 성비 불균형이 다른 2023년 연말 가요제와 동일하게 발생했다.[7]
윤상, 이적[8], 폴킴, 다이나믹 듀오[9] 등 비아이돌 아티스트를 비롯하여 아이돌 솔로로 권은비, 백호, 효연이 3사 중 유일하게 출연을 확정지었다.[10] 또, 트로트 가수 가운데 영탁이 2년 연속, 장민호가 데뷔 후 처음으로 출연을 확정하였고, DAY6가 2018년 KBS 가요대축제 이후 5년 만에[11], LUCY는 데뷔 3년 만에 처음으로 연말 가요제 무대에 서게 되었다.
그밖에도 스트릿 우먼 파이터 2의 우승팀 BEBE가 스페셜 스테이지를 꾸미며 이례적인 댄스팀 출연이 성사되었다. MBC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의 프로젝트 그룹 원탑[12]과 주주 시크릿[13]도 출연을 확정지으며 2021년 MSG 워너비 이후 2번째로 자사 연말 가요제에 나오게 되었다.
이렇듯 2023년에도 지상파 3사 연말 가요제 중 가장 다양한 아티스트 라인업을 꾸리며 다양성을 중시하는 기조를 이어갔다. 출연진 연차 정리
아티스트간 콜라보레이션 무대는 의외였다는 평이 있다. 다이나믹듀오, 전소연의 무대와 효연, BEBE의 무대가 대표적이다. 일각에서는 다이나믹듀오, BEBE, 이영지가 모두 가요대제전 라인업에 포함되어 있었기에 세 팀의 콜라보를 기대하는 시청자들도 있었다.
7.1. 야외 공연
- 2017년 이후 6년 만에 서울 보신각 제야의 종 타종 행사를 중계하고 카운트다운이 진행된 뒤 세종대로에서 갖는 무대 공연이 있으며[14] 세종대로 공연엔 ZEROBASEONE, ENHYPEN, 더보이즈, 오마이걸이 참여하며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세종대로에서도 삼원 생중계되었으며[15] 유튜브에서는 KBS NEWS 채널의 현장 생중계, 서울시 채널의 '라이브 서울'을 통해서도 볼 수 있다.[16]
8. 평가
앞서 개최된 KBS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이나 SBS 가요대전과 달리 방송국 공개홀에서 진행되었다 보니 현장감이 덜하고 연말 가요제보다는 평소 보던 음악 방송을 보는 것 같다는 반응이 많았지만, 카메라, 음향, 조명 등이 호평받으며 출연 아이돌 팬덤 사이에서는 오히려 이게 제일 낫다는 반응이 우세했다. 그리고 KBS나 SBS와 달리 아이돌에만 편향되지 않고 다양한 장르로 라인업을 구성한 것 역시 볼거리가 다양하다는 호평을 받았다.다만 앞선 다른 연말 가요제들과 마찬가지로 남성 출연진 비중이 여성 출연진들의 2배 가까이 되어 남녀 성비가 지나치게 맞지가 않았던 데다[17], 대부분의 걸그룹들을 1부에 몰아서 출연시켜 2부에 출연한 걸그룹은 aespa, (여자)아이들, ITZY 3팀이 전부였고 12시 카운트 다운 직후 막바지엔 남성 아티스트로만 구성하여 마무리한 부분 역시 아쉬웠다는 평도 있다.
9. 기타
- SBS 연기대상이 12월 29일로 앞당겨 진행되면서 동시간대 개최되는 연말 시상식이 KBS 연기대상 하나밖에 없었다. SBS는 원래 일요일의 정규 프로그램인 미운 우리 새끼를 정상 편성했고[18], 방송이 끝난 뒤인 밤 11시 20분, 새해 카운트다운 프로그램으로 <전 국민 힐링쇼-푸바오와 할부지> 앙코르를 편성했다.[19] 해당 프로그램이 0시 50분경에 끝났지만 SBS는 새해 카운트다운 프로그램을 별도로 편성하지 않은 대신 현대자동차 광고 스폰서로 새해 카운트다운을 했다.[20]
- 이번해 역시도 지난해처럼 3사 가요제 중 유일하게 생방송 전 출연진들의 레드카펫 순서가 없었다.[22]
- 연말 가요제 편성에 따라 이날 탐사기획 스트레이트와 태어난 김에 세계일주 3는 결방되었다. MBC 뉴스데스크는 편성 시간에 전혀 지장을 받지 않은 대신 가요대제전 방송이 광고 시간을 빼면 편성 시간보다 조금 늦게 방송되었다.
- 스페셜 스테이지로 민호와 황민현의 콜라보, 윤상과 RIIZE의 콜라보, 이영지와 안유진의 콜라보, 다이나믹 듀오와 전소연의 콜라보, 폴킴과 미연의 콜라보, 효연과 BEBE의 콜라보, 현진과 예지의 콜라보가 있었다.
- MBC 가요대제전 역사상 처음으로 중간광고 공지에 별도의 자막이 사용됐다. 따라서 MBC 3개 연말 시상식 모두 별도의 광고시간 공지를 사용했다.[25]
- 지상파 연말 가요제 전체에서 별도의 이동식 세로형 스크린이 처음 적용되었다. 이 화면은 메인 화면 앞에 배치된 것으로, A뉴스스튜디오에 설치된 것과 유사하지만 화면이 양쪽에 하나씩 2개가 있고 가로로 움직인다는 점이 다르다.
- 2020년 이후 3년 만에 프로그램 로고 밑에 1, 2부 구분을 따로 하지 않았지만, 다시보기를 통합본으로 제공하지는 않았다.
- 여담으로, 이 해에는 예년 가요대제전과는 다르게 노래 가사 자막이 등장하지 않았다.
[1] 예능 프로그램이나 음악 행사에서의 MC 경험은 여러번 있었고, 2022년에는 안양대학교 대동제의 특별 MC로 초청된 적 있다.[2] 새해 카운트다운 직전 무대.[3] 새해 카운트다운 직후 무대.[4] 프로미스나인 멤버인 백지헌이 MC 공개와 혼동하여 라인업 공개 전 라이브 방송에서 가요대제전 출연을 알리는 해프닝이 있었다.[5] NewJeans, LE SSERAFIM, 세븐틴은 31일 일본 제74회 NHK 홍백가합전에 출연했다.[6] 이런 기조는 2023년 연말 가요제 모두 공통이었다. 2023년은 연차가 긴 걸그룹들의 활동이 뜸했기에 일어난 일.[7] 특히 자사 오디션 방과후 설렘을 통해 결성된 걸그룹 CLASS:y는 FANTASY BOYS보다 먼저 결성됐음에도 불구하고 출연하지 못했다.[8] 연말 가요제로는 2020 SBS 가요대전 in DAEGU 이후 3년 만이며 MBC 가요대제전은 2013년 이후 10년 만에 출연한다.[9] 2014년 이후 9년 만의 출연이다.[10] 권은비는 2020년 IZ*ONE 멤버로, 백호는 2019년 뉴이스트 멤버로, 효연은 2015년 소녀시대 멤버로 출연한 이후 첫 출연이다.[11] 이때는 DAY6 노래가 아닌 역대 JYP엔터테인먼트 명곡 콜라보 무대로만 출연했기 때문에 자신들의 노래로 연말 가요제에 서는 것은 2015년 데뷔 후 8년 만에 처음인 셈.[12] 유재석과 하하는 무한도전 멤버들과 MC를 맡았던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출연이며 김종민은 코요태로 출연한 전년도에 이어 2년 연속 출연한다.[13] 이미주는 러블리즈 활동 당시 마지막으로 출연했던 2019년 이후 4년 만의 첫 출연이다.[14] 세종대로 일대 새해맞이 공연을 지상파에서 중계하는 건 2009년 KBS가 중계한 이후 14년 만이며 MBC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세종대로 새해맞이 공연을 중계한다.[15] 가요대제전 생방송에서는 직접 시청자들에게 송출되지 않았다.[16] '2023 제야의종 카운트다운' 12m 초대형 '자정의 태양' 뜬다
새해맞이 12m 초대형 '자정의 태양' 서울 도심서 뜬다..K팝 공연도[17] 이러한 현상은 3세대 걸그룹들이 고연차로 접어들며 단체 활동보다 개인 활동 위주로 변한 데다, 4대 대형 기획사를 제외한 중소 기획사 걸그룹이 4세대 들어 IVE, STAYC(심지어 이 두 팀의 소속사인 스타쉽엔터테인먼트와 하이업엔터테인먼트도 모기업이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이다.) 등 극소수를 제외하면 대중적 인기를 얻지 못한 점, 특히 연내에 데뷔한 신인 걸그룹들의 화제성이 너무 없었던 영향도 있다. 실제로 멜론 뮤직 어워드와 더팩트 뮤직 어워즈는 신인상을 2022년과 반대로 보이그룹만 수여했으며 마마 어워즈는 여자 신인상을 탄 tripleS를 시상식장에 초청조차 하지 않았고 수상소감도 VCR로만 때웠다. KBS와 SBS 역시 자사 연말 가요제에 연내 데뷔한 신인 걸그룹 중 그 어느 팀도 출연시키지 않았다.[18] SBS는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항저우 아시안게임 때도 폐회식 생중계 대신 미우새 정상 편성을 택했다.[19] [20] [21] 2015년 가요대제전의 부제목은 가요대백과였다.[22] Stray Kids, NiziU 등 출연진 일부가 같은 날 열리는 NHK 홍백가합전 출연으로 인해 사전 녹화만 진행하고 본 방송에는 불참했기 때문으로 추정.[23] 멤버 앤톤이 윤상의 아들이다.[24] 보이그룹 비투비의 멤버 임현식과 '사랑의 썰물'을 부른 아버지 임지훈이 출연했다.[25] 평소에는 평일 뉴스데스크가 별도의 광고시간 공지를 사용한다. 내용은 "잠시 후 'MBC 날씨'가 이어집니다". 이후 이듬해 5월 20일부터 스포츠뉴스 시작 전에 중간광고가 나오는 걸로 바뀌면서 "'뉴스데스크' 잠시 후 계속됩니다"라고 바뀌었다.
새해맞이 12m 초대형 '자정의 태양' 서울 도심서 뜬다..K팝 공연도[17] 이러한 현상은 3세대 걸그룹들이 고연차로 접어들며 단체 활동보다 개인 활동 위주로 변한 데다, 4대 대형 기획사를 제외한 중소 기획사 걸그룹이 4세대 들어 IVE, STAYC(심지어 이 두 팀의 소속사인 스타쉽엔터테인먼트와 하이업엔터테인먼트도 모기업이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이다.) 등 극소수를 제외하면 대중적 인기를 얻지 못한 점, 특히 연내에 데뷔한 신인 걸그룹들의 화제성이 너무 없었던 영향도 있다. 실제로 멜론 뮤직 어워드와 더팩트 뮤직 어워즈는 신인상을 2022년과 반대로 보이그룹만 수여했으며 마마 어워즈는 여자 신인상을 탄 tripleS를 시상식장에 초청조차 하지 않았고 수상소감도 VCR로만 때웠다. KBS와 SBS 역시 자사 연말 가요제에 연내 데뷔한 신인 걸그룹 중 그 어느 팀도 출연시키지 않았다.[18] SBS는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항저우 아시안게임 때도 폐회식 생중계 대신 미우새 정상 편성을 택했다.[19] [20] [21] 2015년 가요대제전의 부제목은 가요대백과였다.[22] Stray Kids, NiziU 등 출연진 일부가 같은 날 열리는 NHK 홍백가합전 출연으로 인해 사전 녹화만 진행하고 본 방송에는 불참했기 때문으로 추정.[23] 멤버 앤톤이 윤상의 아들이다.[24] 보이그룹 비투비의 멤버 임현식과 '사랑의 썰물'을 부른 아버지 임지훈이 출연했다.[25] 평소에는 평일 뉴스데스크가 별도의 광고시간 공지를 사용한다. 내용은 "잠시 후 'MBC 날씨'가 이어집니다". 이후 이듬해 5월 20일부터 스포츠뉴스 시작 전에 중간광고가 나오는 걸로 바뀌면서 "'뉴스데스크' 잠시 후 계속됩니다"라고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