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10:41:51

히어로(메이플스토리)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메이플스토리에서 수백 년 전 검은 마법사를 봉인한 자들}}}에 대한 내용은 [[영웅(메이플스토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영웅(메이플스토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영웅(메이플스토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메이플스토리에서 수백 년 전 검은 마법사를 봉인한 자들: }}}[[영웅(메이플스토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영웅(메이플스토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영웅(메이플스토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font-size:0.9em; letter-spacing: -0.8px; margin: 0 auto; max-width: 100%; width: 650px; border-radius: 6px; border: 1px solid #2d343c; margin-top: 7px;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10px 0px; color: #fff; max-width: 99.5%; min-width:40%; min-height:2em"{{{#!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5px 0px; color: #fff; max-width: 97%; min-width:40%; min-height:2em"}}}

히어로 Hero
파일:job_bg.png
파일:메이플_전사.png
[[메이플스토리/직업#전사 계열|{{{#fff 전사}}}]]

파일:히어로 일러스트.png
종족
인간

홈타운

주무기

보조무기

주스탯
STR(힘)

부스탯
DEX(민첩)

출시일
2003년 4월 29일(정식 오픈)

전직트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vertical-align: bottom"
성우정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0%; vertical-align: bottom"
표기

[ 펼치기 · 접기 ]
||<-3><bgcolor=#ae1922,#ae1922> 표기 ||
<colbgcolor=#fad18d,#fad18d> GMS/MSEA <colbgcolor=#fff,#191919> 1차: Swordman -> 2차: Fighter
-> 3차: Crusader -> 4차: Hero
JMS 1차: ファイター -> 2차: ソードマン
-> 3차: ナイト -> 4차: ヒーロー
CMS 1차: 战士(전사) -> 2차: 剑客(검객)
-> 3차: 勇士(용사) -> 4차: 英雄(영웅)
TMS 1차: 劍士(검사) -> 2차: 狂戰士(광전사)
-> 3차: 十字軍(십자군)
-> 4차: 英雄(영웅)


1. 개요2. 직업 소개3. 스탠딩 일러스트4. 일러스트 외형5. 역사6. 성능
6.1. 스킬 목록6.2. 특징6.3. 운용
6.3.1. 사냥6.3.2. 보스
6.3.2.1. 공략
6.4. 스펙
7. 평가
7.1. 장점7.2. 단점7.3. 기타
8. 육성 가이드9. 스킬 보이스10. 여담
10.1. 관련 이미지
11. 유명인 유저12. 관련 문서13. 둘러보기


1. 개요

파일:히어로 스켈레톤 일러스트.gif
스켈레톤 일러스트

{{{#!wiki style="border-left: 15px solid"
메이플스토리모험가 전사 중 화력 특화 직업. 메인 컨셉트는 전투의 달인.[1]

2. 직업 소개

파일:히어로 일러스트.png
히어로
Hero
파일:전사_아이콘.png 전사

전투의 극의
공간마저 베어내는 극의에 달한 전투 능력이 특징인 전사입니다.

쉴 새 없이 적을 공격하여 콤보를 쌓을수록 검격의 위력이 강해지며, 쌓인 콤보를 콤보 카운터로 분출하며 시원한 일격을 가합니다.
종족
모험가[2]
이동 방식
점프
주요 스탯
STR[힘]

3. 스탠딩 일러스트

CHARACTER INFO

스탠딩 일러스트

파일:히어로(남) 스탠딩.png

남성

파일:히어로(여) 스탠딩.png

여성

4. 일러스트 외형

CHARACTER INFO

일러스트 외형

파일:남성 히어로 패키지.png
파일:여성 히어로 패키지.png
<colbgcolor=#d1d4d6> 헤어 모험가 히어로 헤어
한벌옷 모험가 히어로 아머
신발 모험가 히어로 부츠
무기 모험가 히어로 소드


리멘에서 NPC로 등장하는 모험가는 "랑드 얼굴"을 하고 있다.

5.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어로(메이플스토리)/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어로(메이플스토리)/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어로(메이플스토리)/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성능

6.1. 스킬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특징

히어로의 특성화 스킬은 콤보 어택이다. 콤보 카운터 자체는 몇 대 치면 바로 최대치가 되며 소모되지 않기 때문에 상시 유지할 수 있다.[3] 각종 딜 관련 능력치를 올려주며, 특히 최종 데미지를 크게 올려주므로 히어로는 메이플스토리의 직업 중 최고 수준의 스킬 공격력을 만들 수 있다.

공격 일변도의 단순하고 효율적인 스킬 구성을 가진 딜러다. 기동력도 모험가 전사 직업군 중에서는 가장 낫다.[4] 그리고 별다른 시너지는 없지만 무적기와 슈퍼 스탠스도 갖추고 있어 안정성 또한 준수한 편이다.

6.3. 운용

6.3.1. 사냥

과거 소드 오브 버닝 소울의 지속 시간이 75초였을 때에는 남는 45초 정도를 소오버 없이 광역기를 사용해야 해서 타 직업에 비해 사냥 피로도가 높은 편이었다. 현재는 소오버의 고정 모드가 120초로 변경됨에 따라 가동률이 100%가 되어 6차 전직 및 3야누스 기준으로 매우 넓은 맵을 제외하면 제자리 사냥이 가능하고, 덕분에 사냥 피로도 역시 매우 낮아졌다. 라라불독처럼 사냥에서 강점을 가진 직업 정도는 아니지만, 사냥 피로도 측면에서는 평균 이상의 평가를 받고 있다.

5차 전직 이후 사냥 시에는 30레벨 기준 가동률 100%인 소드 오브 버닝 소울을 고정 상태로 깔고, 남는 공간은 에르다 파운틴을 설치하고 남는 공간에서 더블 점프 +레이징 블로우를 사용하고, 블리츠 실드, 레이지 업라이징, 콤보 데스폴트 등의 광역기를 맵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면 된다.[5]

6차 전직 후에는 6차 공용 코어인 '솔 야누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솔 야누스 : 새벽 모드를 위에서 설명한 설치기들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레벨만 뚫어도 사냥터를 잘 선정하면 레블과 광역기들를 번갈아가며 사용하면서 편하게 사냥이 가능하다. 솔 야누스를 10레벨이나, 20레벨을 찍어서 순환의 고리 소환 가능 횟수를 증가시키면 제자리 사냥도 가능할 정도로 사냥이 편해진다. 30레벨을 찍으면 지속 시간 역시 소오버와 같은 2분으로 증가하기에 소오버와도 쿨이 거의 같이 돈다.[6]

6.3.2. 보스

옛날부터 보스전 하면 알아줬던 직업이고 조작이 쉬워서[7] 인기가 많았던 직업이다. 어지간한 스킬들이 죄다 최종 데미지에 관여하기도 하고, 5차 이후 강력한 극딜기와 무적과 슈퍼 스탠스, 보호막과 같은 유틸기들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본 투자 대비 효율이 좋다.

단, 상술했듯이 사이클이 단순한 것과는 별개로, 스킬들의 후딜이 다른 직업들에 비해 길고 캔슬기도 없기에 상위 보스로 올라갈수록 보스 패턴을 예상하고 스킬을 사용할 지 말 지를 머리속에서 생각하고 사용해야 해서 보스전 피로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히어로는 최대 HP의 일정 비율로 피해를 입히는 공격을 포함한 피격 데미지 감소 스킬이나 회복 스킬이 없기에 스우루시드와 같이 데미지가 자잘하게 계속 들어오는 보스들 상대로는 상성이 나쁜 편이다.
  • 평딜
평딜은 레이징 블로우를 사용하고, 쿨타임이 돌 때마다 '레이지 업라이징+오라 블레이드+파이널 블레이드[8]'를 사용하는 것이 전부이며, 그 외에는 60초마다 적에게 인사이징 디버프를 묻히거나 30초마다 소드 일루전 → 레이지 업라이징+오라 블레이드+파이널 블레이드 콤보로 약간의 누킹을 가하는 것이 끝이다.
  • 극딜
SEQUENCE

시퀀스 설정

시퀀스
파일:에픽 어드벤쳐(모험가 전사) 아이콘.png 파일: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 아이콘.png 파일:소드 오브 버닝 소울 아이콘.png 파일:발할라 VI 아이콘.png 파일:소울 컨트랙트 아이콘.png 파일:80003034_icon.png 파일:콤보 인스팅트 아이콘.png

2분

파일:에르다 노바 아이콘.png
시퀀스
파일:소드 일루전 아이콘.png 파일:레이징 블로우 VI 아이콘.png

6분

파일:에르다 노바 아이콘.png
시퀀스
파일:소드 일루전 아이콘.png 파일:스피릿 칼리버 아이콘.png 파일:레이징 블로우 VI 아이콘.png


극딜도 시퀀스로 버프를 다 켠 다음 오로지 레이징 블로우만 사용한다.[9] 소드 오브 버닝 소울은 일반 상태가 30레벨 기준으로 지속 시간 20초 극딜기로 변경된 이후로 일반 모드만 사용한다.[10]

하지만 6차 전직 이후에는 구조적인 손해가 발생한다. 스피릿 칼리버에 소드 일루전의 최종 데미지 증가 효과를 적용시켜야 하는데, 오리진 시전 시간동안 일루전 버프의 지속시간이 그대로 흘러가기 때문에 오리진 시전 후 남은 인스팅트는 일루전 버프 없이 써야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스팅트 유지 중 스피릿 칼리버에 추가타가 발생하지만, 추후 딜량이 부족하면 패치를 하기 위한 목적인지 데미지를 매우 낮게 책정해 실질적인 의미는 없다.[11]
6.3.2.1. 공략
  • 하드 힐라
    오래된 보스인데다 위협적인 패턴도 장기전에서만 나오기 때문에, 갓 메이플을 시작한 유저가 아니라면 크게 어려운 점은 없다.
  • 카오스 자쿰
    히어로가 상대하기 쉬운 고정형 보스이지만, 손바닥 찍기가 1.5초 주기로 오기 때문에 버프를 준비하다가 의문사하는 경우가 생긴다. 다만, 인레이지의 타깃 수 감소가 없어졌기 때문에 팔이 다 떨어져 폭주 모드로 진입하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 카오스 핑크빈
    석상 중 휘긴은 공격 반사를, 아리엘은 공격 무시와 공격 반사를 거는데, 히어로는 매직 크래쉬를 이용하여 버프를 지울 수 있기 때문에 석상을 처치하기는 쉬운 편이다. 핑크빈 역시 즉사기가 없고 체력 비례뎀과 공반과 각종 디버프들 뿐이기에 만병통치약과 물약을 넉넉히 준비해간다면 저스펙 유저라도 무난히 클리어할 수 있다.
  • 노멀 시그너스
    공반을 매직 크래쉬로 파훼할 수 있고 토네이도는 어퍼 차지로 피할 수 있다. 쏟아져 나오는 잡몹들과 각성 기사단장 패턴만 조심하면 무난하게 클리어할 수 있다. 크게 위협적인 잡몹은 없으나, 무적 버프를 걸어주는 신수는 빠르게 잡아주자.
  • 카오스 반반
    딱히 상성이랄 게 별로 없는 무난한 보스. 공 던지기와 땅 찍기를 피하는 데 실패했다면 주저 없이 콤보 데스폴트를 활용하자. 근접 딜러 치고는 사거리도 길어서 날개와 낙하물 패턴에서 넉백 당하지 않고 딜을 넣을 수 있고 발할라나 바디 오브 스틸로 넉백을 무시할 수도 있다.
  • 카오스 블러디 퀸
    • 분노의 얼굴: 펫물약을 지정해두자. 느리고 몸집이 큰 블러디 퀸은 아낌없이 맞아주기 때문에 프리딜을 넣을 수 있다. 퀸이랑 겹친 위치에 있기만 하면 브레스에 맞을 일은 거의 없다.
    • 희열의 얼굴: 끌어당기기 패턴 때 퀸의 뒤로 이동해 딜을 넣으면 된다.
    • 비탄의 얼굴: 매직 크래쉬를 이용하여 공반을 파훼할 수 있다. 특수 언데드화는 비탄의 얼굴때 딱 한번만 쓰는 패턴이므로 무적기로 회피할 수 있다.
    • 유혹의 얼굴: 하트 폭탄은 맞아도 큰 상관은 없지만 피격 직전에 윗점이나 돌진으로 피할 수 있다. 패치로 인레이지가 단일기가 아니게 변경되어 거울을 깰 때 인레이지를 끌 필요가 없어졌다.
  • 카오스 피에르
    카오스 피에르에게는 딱히 위협적인 패턴이 없고, 여차하면 콤보 데스폴트로 회피할 수 있다. 2페이즈에 해당하는 분열이 문제인데, 히어로에게는 단일 대상 스킬이 없어 분열하게 되면 꽤 골치아파지기에 분열하기 전에 처치하는 것, 소위 분열컷이 권장된다. 분열을 했더라도 죽고 부활해서 패면 전혀 문제가 없으므로, 버프 프리저가 없어진 후 분열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 카오스 벨룸
    무난하다. 콤보 데스폴트는 물론이고 블리츠 실드로 꼬리 패턴을 대비할 수 있다. 선딜이 0에 가까운 돌진은 덤. 문제는 딜링인데, 계속 땅 속에 숨는 카벨의 특성상 콤보 인스팅트의 딜효율이 상당히 떨어진다. 소드 오브 버닝 소울의 설치 효율도 크게 떨어지므로, 일반형 운용이 권장된다.
  • 하드 매그너스
    무난하다. 스펙만 충분하다면 발할라의 슈퍼 스탠스를 이용해 존 안에서 처리할 수 있다. 4차 스킬 레이징블로우의 y축도 높은 편이라 매그너스가 올라갔을 때도 딜링 할 수 있다.
    레이지 업라이징과 소드 일루전을 통해서 추가 딜링을 하면 좋다. 운석을 피할 수단은 콤보 데스폴트와 블리츠 실드 뿐이라 유의하는 것이 좋다.
  • 카오스 파풀라투스
    카파풀을 상대하기 쉬운 몇 직업 중 하나. 악랄한 시계폭탄을 회피할 수단이 2개(콤보 데스폴트, 블리츠 실드)나 되는데다 사용 주기도 짧다. 레이저 패턴도 콤보 데스폴트로 회피할 수 있고, 움직임이 느린 파풀라투스의 특성상 소드 오브 버닝 소울을 설치 상태로 운용하면 효율적이다. 무엇보다 알람 패턴에서 프리딜이 보장되기에, 히어로에게는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은 보스. 카오스 벨룸과 하드 매그너스를 클리어하는 정도의 스펙이라면 도전해볼만 하다.
  • 스우
    불리하다. 6차 전직 이후에는 레이징블로우 VI의 X축 사거리가 길어져서 스우가 밀격을 시전할 때에 마주보고도 전선 방출에 맞지않고 조금 떨어진 채로 스우를 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긴 하나 전체적으로 패턴이 즉사기로 유저를 공격하는 것이 아닌 체력을 조금씩 갉아먹는 방식이라 유틸의 대부분을 데스폴트 하나에만 의존하는 히어로에게 불리하다. 또한 히어로 스킬 대부분이 후딜레이가 심하기 때문에 기계팔을 보고도 피하기가 힘들다.
    1페에서는 소오버를 중앙에 설치 해놓고 딜을 하면된다. 딜 욕심을 부리다가 전류 방출 패턴 나올때 윗점 선딜 때문에 죽을 수 있기 때문에 윗점보단 Y축 판정이 구린 것을 이용해 점프+블링크로 피하는게 좋다.
    2페에서는 레이징 블로우의 후딜 때문에 소형 기계팔을 보고 피하며 스우를 공격하는 컨트롤이 쉽지 않다. 여기에 더해 리마스터 스우가 2층까지 생겼는데 윗점을 사용한다면 공격 판정이 되어 시드링을 교체를 할 수 없어서 불편하다. 위치 제어 프로토콜이 예고 이펙트가 발동했을 때 돌진이나 플래시 슬래시를 통해서 즉각적으로 기절과 넉백을 회피할 수 있고, 돌진을 통해 낙하물 사이를 쉽게 피해갈 수 있다. 설령 피격돼서 머리 위에 이펙트가 나왔다면 안전한 곳에서 빠지길 기다리거나 2초 세고 데스폴트를 쓰면 튕겨나가지 않는다.
    3페에서는 상단 폭격[12]과 레이저 함포, 구속 프로토콜을 콤보 데스폴트를 활용하여 생존할 수 있으며, 스우의 밀격을 슈퍼 스탠스를 통해 버텨내며 딜을 할 수 있다. 7초 주기로 텔레포트하므로 소드 일루전과 레이지 업라이징이 빗나가지 않도록 조심해야한다. 레이저 함포가 발동중일 때 스우가 너무 멀리있다면 오라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 데미안
    히어로에게 많이 까다로운 보스. 데스폴트, 돌진으로 어렵지 않게 패턴을 회피할 수 있기에 생존은 쉬운 편이나, 기동성이 좋지 않은 히어로에게 이리저리 움직이고 날아오르는 데미안의 특성상 딜할 타임이 나오지 않는 불리함을 가지고있다. 때문에 2페이즈에서 데미안이 심연의 결정과 반대의 방향으로 돌진하게끔 유도하는 포지션을 잡는 것이 좋으며,[13] 데미안이 도망친다면 블링크나 플래시 슬래시로 재빨리 추격해야 한대라도 더 때릴 수 있다. 데미안이 공중으로 떴다면 레이지 업라이징이나 인사이징, 오라 블레이드를 통해 추가 딜링을 가하자. 소드 오브 버닝 소울의 설치 데미지는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그냥 달고 다니는 게 낫지만 2페에서는 데미안이 공중에 올라갔을 때도 계속 공격하므로 데미안 밑에 설치해두면 조금이라도 딜을 더 할 수 있다.[14] 일반적으로 스우보다는 높은 스펙이 요구된다.
  • 가디언 엔젤 슬라임
    극딜주기가 120초라 예전의 가엔슬이였다면 웨이브 주기에 맞지 않았지만[15] 2025년 7월 패치로 그로기 주기가 약 3분에서 2분으로 감소해 예전보다 극딜을 더 쾌적하게 넣을 수 있게 되어 극딜주기의 문제가 해결되었다. 가디언 웨이브 방어 후 나오는 그로기 상태는 15초이고 콤보 인스팅트의 지속시간은 20초이기 때문에 그로기가 끝난 후 바인드를 걸어 남은 극딜 시간 동안 마저 딜을 넣으면 좋다. 레블의 후딜이 길어 밀격을 못 피하고 점프에 비석을 띄우는 일이 잦으니 슬라임과 같은 층에 있지 않도록 하자. 적절한 데스폴트 사용으로 레이저를 완벽하게 피할 수 있다.
  • 루시드
    1페에서는 한쪽에 조금 치우치게끔 소오버를 깔고 반대쪽에서 딜을 넣어서 루시드랑 골렘을 같이 패는 구간을 늘리는 것이 좋다. 후딜 때문에 골렘에 깔려 어이없게 데스 카운트를 낭비하는 경우가 있기에 폭탄이 아니라면 데스폴트를 아끼는 편이 좋으며, 소환수 패턴이 발생하면 타이밍을 맞추어 데스폴트 → 윗점 → 블링크로 회피할 수 있다. 2페이즈 이후로는 짧은 쿨 무적기를 가진 직업답게 크게 어렵지 않은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레이저 패턴에서 기동성이 좋지 않아 답답한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발판이 많은 맵이므로 리프 어택과 플래시 슬래시를 적절히 활용하면 패턴 회피에 도움이 된다. 루시드가 맵을 돌아다닐 때에는 레이징 블로우의 넓은 Y축을 이용해 추적하며 딜링하기 쉽다. 하드 루시드일 경우 낭떠러지로 떨어지기 전에 플래시 슬래시나 리프 어택을 통해 버틸 수 있다.

  • 무난하다. 달빛 게이지가 다른 직업에 비해 늦게 차는 경우가 있어 첫 공간이동이 발생하기 전 패턴을 조금 의식해서 피할 필요가 있다. 윌 뒤에서 장풍만 피하면 데카를 소모하는 경우는 없다. 데스폴트는 윌의 장풍을 피하기 위해 아껴 두자. 자주 텔레포트를 하는 보스 특성상 소드 일루전이 빗나가는 경우가 많으므로 타이밍을 잘 보고 쓰는 것이 좋다.
    윌의 넉백 + 상태이상 공격에 노출되기 쉽다. 따라서 바디 오브 스틸 코어를 장착하는 게 추천된다. 윌이 넉백을 하기 전에 돌진으로 윌의 뒤로 이동하거나 멀어지자.
    솔플을 할 경우에는 3페이즈에서 윌의 독 패턴 주기가 소드 일루전의 주기인 30초와 거의 일치하므로 독 패턴마다 소드 일루전을 쓸 수 있다. 따라서 솔플의 경우 소드 일루전은 되도록 독 패턴에 맞추는 것이 좋다. 3페이즈의 내려 찍기 패턴 때, 타이밍을 맞춰 돌진을 쓰면 흰 눈과 노란 눈 모두 피할 수 있다. 3페이즈는 고정형 보스이므로 소오버를 항상 중앙에 설치해두어야한다.
  • 더스크
    무난하다. 눈이 열려있는 시간과 콤보 인스팅트의 지속시간이 비슷하기 때문에 눈이 열린 후에 걸어두는 것이 좋다. 콤보 인스팅트는 20초 지속이고 더스크의 눈이 열려있는 시간도 약 20초 정도이기 때문. 물론 더스크가 끌어당기고 있는 상태에서도 딜링을 할 수는 있지만 딜을 하다가 스턴 운석을 맞게 되면 빨려들어가 사망 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사용하는 것이 리스크가 덜할 수 있다. 소드 오브 버닝소울을 맵 중앙에 깔아놓으면 알아서 공격을 하기 때문에 레이저 패턴 때 추가적으로 딜을 할 수 있다. 공포 패턴에서는 쿨짧은 무적기인 데스폴트가 있기 때문에 생존에 매우 도움이 되는 편이며 이때는 그냥 소오버를 들고다니는 편이 낫다. 다만 히어로는 발할라, 플래시 슬래시등의 유틸을 더스크에서 빛을 발하기 힘들고 긴 무적이 없기 때문에 공포 패턴에서는 데폴과 의지를 적절한 타이밍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진 힐라
    무난하다. 가급적 진 힐라와 붙어서 딜하고 중앙으로 유도하는 것이 좋다. 돌진과 플래시 슬래시 스킬로 일반 공격을 피하기 쉽다. 그러나 이러한 플레이의 문제는 1페이즈 낫찍기 패턴에 취약하다는 것인데 이럴 때 블리츠 실드나 데스폴트로 막아주면 생존에 도움이 된다. 파란 바인드에 걸렸을 때는 날아가는 순간에 플래시 슬래시나 리프 어택[16]을 써주면 멀리 날아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욕망의 현신은 오라 블레이드로 제거해주면 좋다. 뼈 파동은 초앞보뒤를 이용하여 회피할 수 있지만 피해야 하는 자리에 실이 있거나 독구름, 잡몹등이 있다면 데스폴트를 아낌없이 써주는 것이 좋다. 사령 스우나 데미안은 슈퍼 넉백을 쓰기 때문에 일루전이나 레업라를 이용하여 빠르게 제거해주는 것이 좋다. 바디오브 스틸을 채용하면 넉백을 방지할 수 있기에 도움이 된다. 솔플에서는 더블 점프 후 콤보 데스폴트를 써서 시전 동작 동안 채집키를 연타해 모든 패턴을 무시하고 안전하게 제단을 해제 할 수 있다.
  • 듄켈
    불리하다. 기동성이 좋지 않은 문제 때문에 좋은 평가는 못 받는다. 그러나 대처법은 명확하다.
    리마스터로 추가된 오라 블레이드와 플래시 슬래시가 매우 좋은 성능을 보인다.
    • 기동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블링크를 쓰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점프 타이밍을 잘못 맞춰 줄라이의 스나이핑에 맞을 것 같을 때 체공 기능으로 피할 수 있다. 또한 윗점을 쓰고 블링크를 통하여 조금 위로 올라가면 듄켈의 검기를 피할 수 있다.
    • 블리츠 실드를 반드시 채용할 것. 듄켈의 사선 운석이 떨어질 때 이를 블리츠 실드를 통해 지워주는 것이 좋다.
    • 모험가 전사의 윗점은 발동 속도가 약간 느리다. 고로 엘보가 나올 것을 예상하여 반박자 빠르게 써야 한다.[17]
    • 데스폴트는 상황 잘 봐서 써야 하지만, 연속 공격이 훅 들어온다 싶으면 아끼지 말아야 한다.
    • 빛기둥과 사선이 동시에 나올때는 딜하지 말고 생존 위주로 하자.
  • 검은 마법사
    무난하다. 전반적으로 데스폴트의 짧은 쿨타임이 검은 마법사에서 유용하다.
    1페이즈의 경우 아이온과 얄다바오트를 같이 공격해야하는데 파이널 어택이 단일적에게만 들어가서 딜적으로 손해가 있다.
    2페이즈에서는 검은 마법사는 고정형이기 때문에 소오버를 설치해두면 권능때도 계속 공격할 수 있다. 녹스피어는 돌진이나 플래시 슬래시를 이용하여 회피하도록 하자. 2페에서 데카가 주로 까이는 상황은 다크 폴링, 녹스피어, 모닝 스타폴이 겹치는 경우인데 히어로는 짧은 쿨 무적기 데스폴트로 이를 회피할수 있어 생존이 나쁘지 않다. 3페이즈의 경우도 소오버를 설치하면 도움이 된다. 단 소오버를 설치하는 딜레이가 꽤 길기 때문에 검은 마법사의 밀격을 맞지 않도록 조심하자. 딜링 방식은 레블 3~4번을 때리고 엎드리는 식으로 하면 된다. 레블의 후딜레이가 생각보다 길기 때문에 숙련되지 않았다면 레블횟수를 줄이는 것이 좋다.
    3페이즈 권능의 주기가 데스폴트보다 길기 때문에 이론상 권능이 올때마다 항상 데스폴트를 사용할수 있다. 따라서 데스폴트는 가급적 권능이 나오는 경우 ,사선 운석이 나오고 발판이 없는경우, 강화레이저가 겹치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하자.
    4페이즈는 히어로가 자체 피흡기가 모전링크를 제외하고는 없기 때문에 창조를 달고 딜하는 것이 좋다. 창조를 달고 딜해야 하기 때문에 딜적으로 손해를 본다. 또한 히어로 특성상 근접딜러이기 때문에 탄막이 나오는 검은 마법사를 공격하기가 쉽지않다. 이때도 역시 소오버를 설치해 최대한 딜 효율을 높이는 것이 좋다. 블리츠 실드와 자동회복을 사용하면 4페이즈 피관리에 도움이 된다. 하얀색 폭발 전조 이펙트를 보자마자 데스폴트를 아끼지 않는 습관을 들이자.
  • 선택받은 세렌
    듄켈과 비슷하게 기동성이 뛰어나진 않아 패턴 겹침 파훼가 쉽지 않은 점은 취약점이지만 권능을 포함한 치명적인 요주의 패턴들을 짧은 쿨의 무적기인 데스폴트로 자주 회피할 수 있어 생존은 유리한 편이다. 다만 소오버의 경우 크기도 작고 긴 돌진을 자주 하는 세렌 특성상 유도를 잘 하지 않으면 바인드 타이밍 외에는 고정형으로 딜을 뽑아내기 어려우니, 숙련도가 낮거나 해방 무적이 없다면 일반형으로 쓰는 것이 추천된다.
    • 2페이즈 권능 패턴 때 기동성이 좋지 않은 모전 특성상 파티격을 할 경우 다음 시간대로 파훼하려다가 파훼 범위에 들어가지 못하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 데스폴트로 본인이 살더라도 파티원들이 죽을 수 있다.
    • 석양에서는 패턴 하나하나가 전부 위험하기 때문에 맞을 거 같다 싶으면 데스폴트를 아끼지 말고 과감하게 질러주는 것이 권장된다.
    • 여명에서는 기동성이 좋지 않은 히어로의 단점이 드러난다. 콤보 데스폴트를 사용하자마자 플래시 슬래시를 사용하고 돌진으로 연계하면 데미지를 받지않고 세렌의 반대편으로 이동할 수 있다. 콩알탄으로 인해 좌우반전에 걸리고 여기에 이어 콤보로 현신, 기상에 맞으면 걸리는 슬로우 디버프를 조심해야 한다.
  • 감시자 칼로스
    일장일단이 있다. 윗점의 선딜과 부족한 기동성 때문에 2-1, 2-2, 2-3 파훼 때 보호막에 들어가지 못할 수도 있다. 또, 칼로스의 일반 공격을 보고도 후딜 때문에 회피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윗층에서 바로 아래층의 칼로스를 때릴 수 있다는 점을 최대한 활용해야한다.
    2페이즈에서 권능 파훼 직후 칼로스가 중앙에서 그로기 상태가 걸리므로 소오버를 설치해두자. 그로기 시간이 15초로 길기 때문에 바인드를 연계하면 히어로의 극딜을 온전히 전부 맞아줄 수 있는 보스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한 가지 알아두면 좋은 점은, 오라 블레이드와 레이지 업라이징, 레이징 블로우는 1페이즈와 2페이즈 모두 윗층에서 아래층을 때릴 수 있지만, 소드 일루전은 1페이즈에서는 윗층에서 아래층에 있는 칼로스를 때릴 수 없기에 칼로스가 텔레포트할 때 미리 소드 일루전을 쓰면서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 카링
    전반적으로 불리하다.
    1페이즈의 경우 주력기의 후딜레이 때문에 혼돈을 맡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2페이즈의 경우 카링이 시도때도 없이 날아다니는데 소오버의 지속 시간이 길고 기동성이 느린 히어로는 딜을 넣기가 쉽지 않다.
    3페이즈도 주력기의 후딜이 발목을 잡는데, 특히 3페 도올의 경우 후딜 및 선후 경직 때문에 패턴을 못 피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생존 측면에서 불리하다.
  • 림보
    2페이즈의 스펙터 C의 경우 에어본 패턴을 사용하는데 에어본을 미처 피하지 못했을 때 데스폴트를 써주면 도움이 된다. 스펙터 D의 경우 역시 장풍을 피하는데에도 데스폴트가 유용하게 쓰인다. 피하기가 힘든 상황일때 데스폴트를 아낌없이 써주도록하자.
    데스폴트의 진가는 3페이즈에서 발휘되는데 림보 흑에서 침식수치를 가장 많이 갉아먹는 패턴인 잡아채는 손아귀(안아줘요)패턴을 데스폴트를 이용하여 회피하면 된다. 데스폴트의 쿨타임과 안아줘요 패턴의 쿨타임이 비슷하기 때문에 거의 확정적으로 회피가 가능하다. 림보 백에서도 진리의 괴물(비명)패턴을 데스폴트로 거의 확정적으로 회피가 가능하기 때문에 생존력은 매우 좋은 편이다.
  • 발드릭스
  • 최초의 대적자

6.4. 스펙

  • 5, 6차 스킬은 30레벨 기준이다. 4차는 쓸만한 컴뱃 오더스를 적용해 31레벨 기준.
참고하면 좋은 나무위키 문서
SPECS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eeeeee><bgcolor=#f8ca00,#f8ca00> 무기 관련 ||
능력치 수치 무기 이름 및 상승 요인
<colbgcolor=#fad18d,#fad18d>무기 상수1.34[18]
1.44[19]
한손검/한손도끼
두손검/두손도끼
공격 속도8단계
7(~8)단계
한손무기 5단계/두손무기 4단계, 웨폰 마스터리 +1, 웨폰 액셀레이션 +2, 쓸만한 윈드 부스터 +1
한손무기 한정으로 자력 최대 공속(8단계) 도달 가능
두손무기 한정으로 조건부 최대 공속(8단계) 도달 가능
숙련도90%기본 20%, 웨폰 마스터리-어드밴스드 콤보 +70%
보조 무기 강화 가능 여부방패 착용 시 가능방패/메달
공격 관련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주 스탯 - STR+15%+80메이플 용사 +15%, 웨폰 액셀레이션 +20, 피지컬 트레이닝 +30, 바디 오브 스틸-패시브 +30
부 스탯 - DEX+30피지컬 트레이닝 +30
공격력+81(~130)어드밴스드 콤보 +20[20], 스피릿 블레이드 +30, 어드밴스드 파이널 어택 +31(하이퍼 패시브-보너스 데미지 +20), {발할라 +50}
데미지+0(~51%)(웨폰 마스터리 - 도끼 착용 시 +5%, 에픽 어드벤쳐 +10%, 바디 오브 스틸 +36%[21])
보스 데미지+20%어드밴스드 콤보-보스 킬러 +20%[22]
최종 데미지202.5(~220.65)%웨폰 마스터리 10%, 인레이지 25%, 어드밴스드 콤보-리인포스 120%[23], {오라 웨폰 6%}
몬스터 방어율 무시51(58.84)%컴뱃 마스터리 51%, (오라 웨폰 16%)
속성물리
0%만큼 속성 내성 무시
관련 스킬 없음
추가 타격없음관련 스킬 없음
데미지 분산없음관련 스킬 없음
기타없음
방어 관련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방어력+200아이언 바디 +200
상태 이상 내성30(~210)인듀어 +30, (발할라 +100, 바디 오브 스킬 +80)
모든 속성 내성30(100)%인듀어 +30%, (바디 오브 스킬 +100%)
스탠스100%워리어 마스터리 +40%, 스탠스 +60%
슈퍼 스탠스가능플래시 슬래시, 발할라(30초), 바디 오브 스틸(18초)
MP 가드 여부불가능관련 스킬 없음
피격 데미지 감소-40%아이언 바디 -10%, 스피릿 블레이드 -30%
최대 HP 비례 피해 감소없음관련 스킬 없음
가드 가능 여부불가능관련 스킬 없음
크리티컬 관련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크리티컬 확률40(70)%기본 5%, 웨폰 마스터리 +15%, 찬스 어택 +20%, (발할라 +30%)
추가 크리티컬 확률+50%
100%
소드 오브 버닝 소울 +50%
레이징 블로우 마지막 공격 및 강화 레이징 블로우 마지막 2번의 공격
크리티컬 데미지+20%인레이지 +20%
최종 평균값135~155%
HP, MP 관련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최대 HP 증가+20%+1500+20n아이언 바디 +20%, 워리어 마스터리 - 레벨 당 +20, 바디 오브 스틸-패시브 +1500
HP 회복초당 35%
4초마다 4%
인빈서블 빌리프 - 현재 HP가 최대 HP의 15% 이하일 경우 3초 동안 자동 발동
셀프 리커버리
공격 시 HP 회복없음관련 스킬 없음
스킬 코스트MP
최대 MP 증가+0관련 스킬 없음
MP 회복4초마다 4%셀프 리커버리
공격 시 MP 회복없음관련 스킬 없음
콤보 충전공격 시 81% 확률로 +1~2
피격 시 30% 확률로 +1
콤보 어택-콤보 시너지 (어드밴스드 콤보-보너스 찬스 습득 시 2개 충전 확률 +20%)
콤보 시너지
회복 포션 효율+0%관련 스킬 없음
이동 관련
능력치 수치 스킬 이름 및 상승 요인
이동 속도122%워리어 마스터리 +22
최대 이동 속도160%기본 140%, 워리어 마스터리 +20
점프력110%워리어 마스터리 +10
더블 점프워리어 리프
상단 점프워리어 리프 - ↑ + 점프키
일정 거리 이동돌진 - 전방 500만큼 이동
기타 이동기플래시 슬래시 - 주위에 있는 적을 추격
밀격/끌격 기술 관련
능력치 관련 스킬
밀격돌진[24] - 1회에 12명을 밀어내며 500만큼 이동
넉백없음
끌격없음
보조 공격 기술 관련
능력치 관련 스킬
추가 공격기어드밴스드 파이널 어택/파이널 어택 VI - 76(기존 61 + 하이퍼 패시브-보너스 찬스 15)% 확률로 172%/266% 데미지로 3회 공격
발할라/발할라 VI - 검술 계열 스킬 사용 시 일정 시간마다 520%/1010%의 데미지로 2번 공격하는 검격 3개씩 발생, 최대 12회 발생
콤보 인스팅트-공간의 상처 - 레이징 블로우 사용 시 일정 시간마다 400%의 데미지로 6번 공격하는 균열 3회 발동
퓨리어스 엣지-검의 상흔 - 직접 공격 5번 적중 시, 277% 데미지로 3번 공격, 32회(1명에겐 4회)까지 발동, 최대 5(콤보 인스팅트 10)개
보조 공격기소드 오브 버닝 소울-일반 상태 - 공격 스킬 사용 시 일정 시간마다 1490%의 데미지로 6번 공격, 20초 지속
소드 오브 버닝 소울-고정 상태 - 공격 스킬 사용 시 일정 시간마다 400%의 데미지로 6번 공격, 120초 지속
도트 데미지인사이징 - 60초 동안 2초 당 165%/266%
유틸 기술 관련
능력치 관련 스킬
능력치 감소스카링 소드-자상 디버프 - 명중률 -20%, 공격력 -30%
인사이징/인사이징 VI-디버프 - 크리티컬에 한해 데미지 26(파티원 한정 11)% 증가
버프 불능매직 크래쉬 - 22초
버프 해제매직 크래쉬 - 공격력/마력 증가, 물리/마법 방어력 증가, 하드 스킨[25][26]
버프 무시스피릿 블레이드-공격 반사 - 적의 공격 반사 무시
행동 불능스피릿 칼리버 - 10초, 절대 행동 불가
무적콤보 데스폴트 - 시전 중, 약 1.7초, 무적
스피릿 칼리버 - 시전 중, 절대 무적
부활없음
사망 1회 방지없음
기타없음
기타
능력치 수치 상승 요인
버프 지속 시간 증가+0%관련 스킬 없음
회피 후 버프없음
공격 반사스피릿 블레이드 - 데미지의 500%를 반사
기타없음
육성 보너스
능력치 수치 평가
링크 스킬인빈서블 빌리프[27]진 힐라나 윌 2페이즈 같은 회복 불가를 무시하지 못하고, 대다수 보스들의 최대 HP 비례 피해 수치는 15% 밑으로 맞춰서 발동시키기 매우 까다롭기에 보스전 상성을 탄다.
공격대원 효과STR 10/20/40/80/100 증가평범하게 전사와 해적(힘)을 위한 효과. 퍼센티지 영향은 받지 않는다.

7. 평가

단순하고 직관적인 스킬 구성을 바탕으로 꾸준히 공격을 이어나가는 순수 딜러. 최종 데미지 수치가 높고 보총뎀 합이 낮아서 자본 투자 효율은 높으나, 콤보 데스폴트의 무적에 지나치게 의존하는지라 조작 난이도에 비해 운용 난이도는 어렵다.

7.1. 장점

  • 쉽고 간단한 조작 및 운용법
    평딜, 극딜 모두 레이징 블로우가 주력이고, 캔슬이나 별도의 컨트롤 테크닉이 필요치 않다. 평딜 시 레이지 업라이징이나 오라 블레이드 등이 끼어들기는 하지만, 이를 감안해도 조작이 단순하다. 발할라+바디 오브 스틸을 통해 슈퍼 스탠스를 최대 50초 가까이 유지할 수 있어 극딜 안정성도 좋다.
  • 높은 최종 데미지 증가량
    다른 직업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최종 데미지 수치를 갖고 있다. 기본적으로 웨폰 마스터리와 어드밴스드 콤보, 패시브화된 인레이지를 통해 상시 202.5%에 도달할 수 있는데, 이 수치는 전 직업을 통틀어도 손에 꼽을 만큼 높은 수치다. 주력기인 레이징 블로우 자체의 원킬컷은 낮지 않지만, 보스전용 온오프 스킬이었던 인레이지가 패시브화되면서 원킬컷이 급격히 하락했다. 여기에 소드 일루전 사용 시 8초 동안 추가로 최종 데미지를 끌어올릴 수 있고, 극딜 중 콤보 인스팅트와 오라 웨폰을 통해 추가로 최종 데미지를 확보할 수 있어 실전에서 적용되는 수치는 더 높아진다.[28]
    반면 상시 보공 및 데미지 총합(보총)은 20~25%에 불과하다. 기본 추가되는 크리티컬 데미지도 높지 않은데, 이는 다시 말하자면 높은 투자 효율로 직결된다.[29] 또한 높은 최종 데미지 덕분에 공용 스킬[30]을 사용할 때 장점이 된다. 공용 스킬은 어떤 직업이 사용하든 퍼뎀이 통일되어 있어서 기초 능력치가 뛰어난 직업이 유리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 점은 파운틴과 야누스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7.2. 단점

  • 뻑뻑한 조작감
    모험가 전사 특유의 액션 딜레이와 단축키에 더블 점프 스킬을 넣을 수 없는 문제[31]때문에 조작감과 피로도 측면에서 불편함을 유발한다. 위쪽 방향 점프기인 어퍼 차지는 땅에 붙어야만 사용이 가능한데다 점프 높이도 그리 높진 않아서 답답함을 유발한다.[32] 그래도 돌진 사거리가 모전 중 가장 길고, 플래시 슬래시가 순수 이동기로 개편되면서 기동성은 탈전사급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 기나긴 액션 딜레이, 떨어지는 순간 대처력
    레이징 블로우, 레이지 업라이징, 오라 블레이드, 발할라, 소드 오브 버닝 소울, 소드 일루전 등 주력 기술들이 모두 사용 후 액션 딜레이가 심하게 길다. 특히 오라 블레이드는 파이널 블레이드 발동을 위해 2번을 연속해서 써야 하기 때문에 체감이 심하며 쿨이 짧아 사용 빈도마저 아주 높다. 소오버 역시 설치 모드 사용 후 심각한 경직이 발생하며, 심지어 무적기인 데스폴트조차 사용 후 경직이 심해서 데폴을 사용하고도 죽는 상황이 발생한다.
  • 지속 피해에 취약
    콤보 데스폴트와 블리츠 실드 덕에 즉사기나 잠깐 사이에 막대한 피해가 들어오는 패턴에 대한 대응 능력이 좋지만, 회복기와 뎀감기는 전무하므로 적은 피해가 계속해서 들어오는 상황에서는 대응할 수단이 없다. 특히 검은 마법사 이후의 상위 보스들은 즉사기보다는 지속 짤짤이 피해가 주요 패턴인 경우가 많아 부각되는 단점이다. 패턴를 꾸준히 회피함과 동시에 쓸만한 홀리 파운틴, 창조의 아이온 등의 스킬을 잘 활용하여 대처해야 한다.
  • 피해량 누수 문제
    • 퓨리어스 엣지의 구조 문제
      퓨리어스 엣지는 발동한 자리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주는 스킬인데, 보스가 움직여도 따라가지 않으므로 바인드 도중이 아니면 누수가 너무 심하다. 움직이지 않는 허수아비를 칠 때에는 퓨리어스 엣지의 비중이 15~20%까지도 나오지만, 구조 문제상 실제 보스전에서의 비중은 이것보다 훨씬 적다.
    • 콤보 인스팅트의 공격 범위 문제
      5차 전직 출시 당시부터 있었던 문제로, 피격 판정이 작은 보스에 한해 콤보 인스팅트 사용 중 보스 몬스터와 근접할 시, 콤보 인스팅트의 공간의 상처가 일부 적중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가까이 붙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피해량 누수가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 이질적인 극딜 구조
    김창섭 디렉터의 25년 9월 밸런스 패치로 인해 구조개선을 한다는 명목으로 액션 딜레이를 줄이는 대신 스킬의 계수를 낮추었지만, 오리진에 묻어나는 5차 버프와 극딜기도 함께 약해져 극딜 타이밍에 오리진을 쓰는 대신 준 극딜에 오리진을 쓰는 것이 더 강해지는 괴상한 구조가 되었으며 극딜 압축이 안돼는 단점은 여전하다. 이는 현재 극딜버프와 오리진을 함께 돌리는 직업이 절대 다수인 메이플에서 파티플레이에 지대한 애로사항이 생기고, 솔로 플레이에서도 평딜 비중이 높아지게 되어, 극딜 직업이었던 기존과 너무 달라져 불쾌감을 유발하고 성능도 떨어지게 되었다. 유저들은 차라리 롤백하라는 반응이 많다.

7.3. 기타

  • HEXA 매트릭스의 낮은 강화 효율
    6차 전직 후 5차 스킬 코어 강화 중에서 소오버와 인스팅트를 제외한 나머지 두 스킬을 강화할 할 이유가 전무하다. 콤보 데스폴트는 무적, 소드 일루전은 최종뎀 순간 증폭 때문에 쓰는 스킬이다. 소드 일루전은 HEXA 매트릭스 강화 진도 후반에는 강화를 하지만, 특히 콤보 데스폴트는 효율이 너무나 낮아 다른 모든 코어를 거의 마스터한 시점에서도 열 가치조차 없을 정도. 둘 다 퍼뎀 보고 쓰는 스킬이 아닌데도 기능 강화 및 추가 효과가 전무해서, 스킬 자체의 최종 데미지에만 관여하니 강화 코어를 개방하고 강화할 가치가 낮다. 그러나 이를 뒤집어 말하면 마스터리 코어 풀강 이후 솔 야누스+소오버+인스팅트 풀강하면 나머지 강화 코어는 레벨을 대충 올려도 된다는 얘기나 마찬가지라, 선택과 집중 측면에서는 오히려 이점이 된다.
  • 대외적 이미지와 추천 무기 간 차이
    검술의 달인으로 소개되는 직업인 만큼 공식 일러스트와 스킬 이펙트 또한 두손검 기준으로 제작되고, 2차 전직 시에도 두손검인 왕푸를 지급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두손도끼의 성능이 더 좋다. 웨폰 마스터리에 붙은 '도끼 사용 시 데미지 5% 증가' 때문이다. 심지어 자유전직도 HEXA 매트릭스 초기화라는 막대한 페널티 때문에 6차 전직 이후로는 막힌 마당이라, 자유전직에 대비할 이유도 없다.[33] 캐시 무기를 착용하면 무기가 노출되지 않지만, 이미지와 콘셉트를 중시하는 일부 유저들에게 지적되는 요소다.[34]

8. 육성 가이드

8.1. V 매트릭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어로(메이플스토리)/스킬#스킬 코어|스킬 코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어빌리티


레전드리 어빌리티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15~20% 증가

상태 이상에 걸린 대상 공격 시 데미지 7~8% 증가

공격력 15~21 증가 / 버프 지속시간 32~38% 증가 / 크리티컬 확률 15~20% 증가

반드시 갖춰야 할 옵션은 없지만, 효율만 따지면 사실상 보공+상추뎀 고정. 3번째 줄은 취향 따라 갈린다.
  •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증가 (레전드리 20%)
    통칭 보공. 히어로는 최종 데미지가 높고 기본 보총뎀 총합이 20~25%밖에 되지 않아 보공 효율이 좋다. 따라서 어빌리티 첫째 줄이 추천된다.
  • 상태 이상에 걸린 적 공격 시 데미지 증가 (유니크 8%)
    통칭 상추뎀. 스카링 소드의 자상과 인사이징의 디버프가 상태 이상으로 판정되므로, 사실상 추가 보공이다. 레전드리 첫줄 옵션의 경우 10%가 최대라 보공 옵션의 절반에 불과하므로, 둘째~셋째 줄에서 유니크 옵션으로 뽑는다.
  • 버프 지속시간 증가 (유니크 38%)
    통칭 벞지. 버프 지속시간이 적용되는 스킬이 없지만, 데미지 효율이 좋고 극딜기인 인스팅트의 지속시간이 20초로 조금 길어서 소울 컨트랙트(엔버 링크)의 지속시간을 늘려주는 버프 지속시간 증가의 효율이 좋은 편이다. 하지만 이걸 노리고 멸망전을 할 수준은 아니므로 버프 지속시간과 공격력 중 먼저 나오는 걸 쓰면 된다.
  • 공격력 증가 (유니크 21)
    어빌리티에서 반드시 수급해야 할 게 없는 직업이 아주 무난하게 고를 수 있다. 엔버 링크 극딜 외에는 사용처가 전무한 버프 지속과 비교하자면 평딜 강화나 사냥에도 도움이 되는등 좀 더 범용성이 높다.
  • 크리티컬 확률 증가 (유니크 20%)
    통칭 크확. 히어로의 기본 크확이 25%로 낮을 때는 필요한 옵션이었으나, 40%로 상향된 이후에는 필수는 아니다. 그래도 여전히 크확이 높은 건 아니고, 유니온 공격대원이나 아티팩트, 링크 스킬에서 크확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여전히 효용이 있다. 크확이 이미 높은 편이라면 버프 지속이나 공격력으로 바꾸는 것을 추천한다.



레전드리 어빌리티

아이템 드롭률/메소 획득량 18~20% 증가

아이템 드롭률/메소 획득량 13~15% 증가

공격력 15~21 증가 / 일반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7~8% 증가 / 크리티컬 확률 15~20% 증가

  • 아이템/메소 획득 확률 증가 (레전드리 20%, 유니크 15%)
    통칭 아획/메획. 사냥용 어빌리티 프리셋에 갖춰놓는다.
  • 일반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증가(유니크 8%)
    사냥용 프리셋에 아획과 메획을 넣고 나면 가장 무난한 옵션. 필수까지는 아니지만 존재하면 사냥에 그럭저럭 도움은 된다.

8.3. 메이플 유니온

  • 신궁, 나이트로드
    (크리티컬 확률 1/2/3/4/5% 증가)
    모든 직업에게 유용한 옵션이지만, 히어로는 크리티컬 확률이 낮은 편이기에 더 효과적이다.
  • 메르세데스
    (재사용 대기시간 2/3/4/5/6% 감소)
    미묘하게 어긋나는 쿨타임을 맞춰주는 역할을 하기에 필수적인 효과이다.
  • 은월
    (크리티컬 데미지 1/2/3/5/6% 증가)
    크리티컬 데미지는 모든 직업에게 효과적이다.
  • 블래스터
    (방어율 무시 1/2/3/5/6% 증가)
    히어로는 기본 방무가 50%로 높기 때문에 우선 순위가 높은 옵션은 아니다.
  • 데몬어벤져
    (보스 공격 시 데미지 1/2/3/5/6% 증가)
    링크 스킬의 데미지(+10%)와 합적용되어 링크까지 적용한다면 실질적으로는 15%를 챙길 수 있기에 유용하다.

8.4. 하이퍼 스탯

  • 데미지: 필수 하이퍼 스탯. 히어로는 기본 데미지가 0%이기 때문에, 데미지 증가의 효율이 뛰어나다.
  • 크리티컬 확률: 히어로는 기본 크리티컬 확률이 낮기 때문에, 약간 모자란 크확은 하이퍼 스탯으로 보충하면 좋다. 다만 5포인트 이후로는 포인트당 효율이 크게 감소하므로 유니온 공격대원 배치 효과와 적절히 조율하여야 한다.
  • 보스 공격력: 10레벨 이상에서 상승폭이 가장 큰 필수 하이퍼 스탯.
  • 크리티컬 데미지: 보스 공격력과 마찬가지로 필수 하이퍼 스탯.
  • 방어율 무시: 히어로는 기본 방어율 무시가 50%로 높기 때문에 우선순위는 떨어지나, 모든 직업에게 10레벨까지는 투자가 권장된다.

8.5. 잠재능력

주무기와 보조무기는 보공%와 공% 위주[35]로, 엠블렘은 방무%와 공% 위주로 방어구와 장신구는 STR%로 채택한다.[36] 기본 방무를 50%나 가지고 있는 직업군이므로 육성 초반에는 2줄까지 채택하되, 링크, 유니온, 하이퍼 스탯, 칠요의 몬스터파커 세트, 노블레스 스킬, 장비 기본 방어 무시율과 세트 옵션 등을 얻어가며 1~0줄까지 줄여나간다. [37]

그외의 정보는 항목 참조.

8.6. 추천 사냥터

  • 1 ~ 60: 모멘텀 패치로 저렙 테마던전인 엘로딘, 골드비치, 엘리넬, 리에나 해협이 본인의 레벨에 맞게 경험치를 주도록 바뀌었으므로, 빈약한 범위로 사냥을 하기보다는 테마던전들을 클리어하는 것이 좋다.
  • 60 ~ 70: 조용한 습지, 군영
  • 70 ~ 80: 하늘계단
  • 80 ~ 90: 사헬지대2
  • 90 ~ 100: 관계자외 출입금지, 알카드노 연구소 C-2 구역
  • 100 ~ 110: 하늘 둥지2
  • 110 ~ 115: 기계실
  • 115 ~ 120: 삐뚤어진 시간
  • 120 ~ 130: 꼬여버린 시간
  • 130 ~ 140: 시련의 동굴2
  • 140 ~ 150: 시간의 신전, 커닝타워
  • 150 ~ 160: 커닝타워 화장품 매장, 망각의 길
  • 160 ~ 170: 지구방위본부
  • 170 ~ 180: 미래의 문 연무장, 무기고
  • 180 ~ 190: 여우골짜기, 버려진 발굴지역 2
  • 190 ~ 200: 탐정 레이브의 사건일지, 전사들의 결전지, 기계무덤
  • 200 ~ 209: 블랙헤븐 내부 미로5 & 7, 상단 왼쪽 줄기, 상단 오른쪽 줄기, 풍화된 분노와 슬픔의 땅, 풍화된 슬픔과 즐거움의 땅, 암석의 영토, 동굴의 서쪽길2, 동굴의 동쪽길2, 동굴 아래쪽, 동굴 위쪽, 아르마의 은신처, 숨겨진 호숫가, T-boy의 연구열차3, 숨겨진 연구열차
  • 210 ~ 219: 알록달록 숲지대3, 길쭉 동글숲1 & 2, 몽땅 동글숲1, 츄릅포레스트 깊은 곳, 격류지대 1~3, 고래산 초입, 숨겨진 일리야드 들판, 머쉬버드 숲3, 숨겨진 머쉬버드 숲
  • 220 ~ 224: 무법자들의 거리2 & 3, 닭이 뛰노는 곳2 & 3 , 본색을 드러내는 곳1 & 3, 춤추는 구두 점령지1, 악몽의 시계탑 1~3층
  • 225 ~ 229: 물의 숲, 흙의 숲, 서리와 번개의 숲 1 & 2, 맹독의 숲, 동굴 윗길, 동굴 윗길 깊은 곳 2, 동굴 아랫길, 동굴 아랫길 깊은 곳 1 & 2, 동굴 아랫길 깊디 깊은 곳, 다섯 갈래 동굴, 다섯 갈래 동굴 사잇길, 정령의 나무 밑 동굴, 다섯 갈래 동굴 윗길
  • 230 ~ 234: 산호 숲으로 가는 길4, 형님들 구역2, 그림자가 춤추는 곳2~4, 폐쇄 구역 & 2, 그날의 트뤼에페2~4
  • 235 ~ 239: 생명이 시작되는 곳2 & 7, 거울빛에 물든 바다2 & 4 & 6, 거울에 비친 빛의 신전2~4
  • 240 ~ 244: 빛이 마지막으로 닿는 곳 5, 끝없이 추락하는 심해 3, 5
  • 245 ~ 249: 사상의 경계2 & 3, 미지의 안개1 & 2 & 6, 공허의 파도2~4 & 6
  • 250 ~ 254: 고통의 미궁 내부1 & 2 & 5, 고통의 미궁 중심부1 & 4~7, 고통의 미궁 최심부1 & 6 & 7
  • 255 ~ 260: 세계의 눈물 하단1, 세계의 눈물 중단3, 세계가 끝나는 곳 1-4~1-6 & 2-3 & 2-5 & 2-7
  • 260 ~ 264: 격전의 동쪽 성벽 4, 왕립 도서관 제 5구역, 왕립 도서관 제 2 & 3구역, 불타는 도서관 제 5구역
  • 265 ~ 269: 낭만이 저무는 극장 5, 종착지 없는 횡단열차 4, 무법자들이 지배하는 황야 2 & 3 & 4
  • 270 ~ 274: 성문으로 가는길 1 & 2, 성문으로 가는길 3, 점령당한 골목 1&2, 볕 드는 실험실 1
  • 275 ~ 279: 빛이 약한 여름 5, 생기가 돌아오는 봄 1, 참혹한 흔적의 겨울 3 & 4
  • 280 ~ 284: 외곽 전투지역 1, 최하층 통로 5, 동쪽 외곽지역
  • 285 ~ 289: 거대 산호 군락 1, 잔잔한 해안가 3, 휘감기는 숲 2, 휘감기는 숲 3, 어둠이 내리는 나무줄기 1, 어둠이 내리는 나무줄기 3, 가라앉은 유적지 2, 가라앉은 유적지 4, 숨이 멎어드는 동굴 4

9. 스킬 보이스

히어로 스킬 보이스
IGNITION
오리진 스킬 보이스
NEW AGE

CHARACTER INFO

스킬 보이스

2차 스킬

파일:플래시 슬래시 아이콘.png
플래시 슬래시
"간다!"
"막을 수는 없다!"

3차 스킬

파일:브레이브 슬래시 아이콘.png
브레이브 슬래시
"베어주지!"

파일:오라 블레이드 아이콘.png
오라 블레이드
"검기 발사!"

파일:스카링 소드 아이콘.png
스카링 소드
"이름은 기억해주마."

4차 스킬

파일:레이징 블로우 아이콘.png
레이징 블로우
"검과 하나되어!"
"내가 곧 검이다!"

파일:인사이징 아이콘.png
인사이징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이것이 나의 검이다!"

하이퍼 스킬

파일:발할라 아이콘.png
발할라
"고대의 전사들이여!"
"전설로 기억되리!"

파일:레이지 업라이징 아이콘.png
레이지 업라이징
"받아보아라!/받아내보아라![남]"
"쏟아내주마!"

5차 스킬

파일:소드 오브 버닝 소울 아이콘.png
소드 오브 버닝 소울
"나의 오랜 친구여!"
"검이여, 나와 함께!"

파일:콤보 데스폴트 아이콘.png
콤보 데스폴트
"모든 것을 담아서!"

파일:콤보 인스팅트 아이콘.png
콤보 인스팅트
"숨을 곳은 없다!"
"검이 이끄는 대로!"

파일:소드 일루전 아이콘.png
소드 일루전
"흔적조차 남기지 않겠다!"
"막아보아라!"

6차 스킬

파일:스피릿 칼리버 아이콘.png
스피릿 칼리버
"위대한 영웅의 혼이여, 나의 검에 깃들어라!"
"영혼의 힘이 깃든 검술의 극의를 목도하라!"
"내 모든 것을 걸어, 너희들의 영혼까지 모조리 베어주마!"

DESTINY 업데이트를 통해 모든 모험가 직업군에게 보이스가 생겼다.

모험가 직업군의 공통점은 1차 스킬에 보이스가 없다는 것으로, 2차 전직을 통해 루트를 정한 이후 2차 스킬부터 보이스가 탑재되기 시작한다.

10. 여담

파일:external/file.gamedonga.co.kr/Maple070424_02.jpg 파일:메이플스토리 전사_서비스 초기.png 파일:attachment/untitled_24.png 파일:메이플스토리 전사 뉴 일러스트(2020.08.20)2.png
구 일러스트
  • TCG 발매 이후 바뀐 외형이기 때문에 디폴트 네임이 없었으나 메이플스토리 논술 레벨업 이란 학습동화에서 '카루'란 이름으로 등장해, 몇몇 트위터 성향 팬덤에서는 이걸 디폴트 네임으로 사용하고 있다.
  • 별명이 다양하다. V 매트릭스 도입 이전 암울했던 시대를 상징하는 '힘없로'와 '힚없롮', 검성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이를 변형해서 조롱의 의미로 사용하는 '검1성', '히어로'를 줄여서 발음하는 '혀로' 등이 있다. 그리고 검성 컨셉과 괴리되게 두손도끼 드는게 더 세서 산적이라는 별명도 있다.
  • 과거 히어로의 콘셉트는 콤보를 통한 마검사의 이미지가 강했다. 콤보 어택의 스킬 이펙트도 솔로몬의 대 펜타클이 새겨진 마법진이 나타나는 이펙트였고, 패닉 이외에도 '코마'라는 스킬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콘셉트는 레드 패치 이후 분노하는 광전사로 변경되면서 사라졌다. 다만 이와는 별개로 꾸준히 직업 콘셉트 논란은 생겨나는 편. 분노 콘셉트는 데몬어벤져, 콤보를 통한 전투 시스템은 아란이 가져가버렸기 때문. 때문에 모험가 3차 리마스터에서는 검성과 연관성이 없는 분노와 불꽃 이펙트를 삭제하고, 검성을 메인 콘셉트로 한 이펙트를 강화 및 검성 콘셉트를 강화했다.[39] 정작 컨셉과는 정반대로 두손도끼가 더 세서 그런지 검성이 아니라 산적 아니냐는 소리도 나오고 있다. 원래 분노를 바탕으로 바바리안 컨셉으로 하려다 검술을 바탕으로 한 소드마스터 요소를 서서히 섞느라 생긴듯 하다.
  • 전용 무기는 두손도끼인데, 이펙트는 죄다 두손검이다. 리마스터 이전에는 장비한 무기에 따라 이펙트도 바뀌었지만, 리마스터 이후로는 어퍼 차지나 레이징 블로우조차도 검만 나오고 도끼가 안 나오게 됐다. 같은 모험가 전사인 팔라딘이 검을 들어도 둔기가 나오는 것을 보면, 두손검이 너무 히어로의 이미지와 단단히 결합됐을 뿐만 아니라 간지가 워낙 안 나서(...) 이렇게 됐을 가능성도 있다. 일러스트에서도 전부 검을 들고있는 걸 보면 그냥 도끼가 아니라 두손검을 전용 무기로 보는게 편할듯 하다. 그러나 두손도끼가 더 세서 공식에서 내세우는 컨셉과 괴리감이 큰 편. 이를 감안했는지 캐릭터 생성창에는 검술의 극의가 아니라 두손도끼 사용을 감안하여 전투의 극의라고 얼버무리고 있다.
  • 아크나 제로, 블래스터 등 4분 극딜이었던 직업들 중에서도 유독 부각될 정도로 웃음벨 취급을 받았다. 정체성이 뚜렷한 다른 세 직업과 달리, 히어로는 검성이라는 별명 이외에는 이렇다 할 고유 이미지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2차 창작에서는 4분 극딜 얘기만 나오면 히어로가 얼굴마담으로 써먹힐 정도로 절찬리에 활용됐던 전적이 있었다. 물론 이그니션 3차 업데이트에서 4분 주기 직업 전원이 2분 주기로 변경되면서, 그간 히어로를 놀렸던 다른 직업들을 역으로 무릎꿇리며 비하당한 값을 수금하는 밈도 생성됐다.
  • RED 패치, The BLACK 홍보 애니메이션 등 대규모 패치 때마다 나오는 홍보영상과 일러스트에 비숍과 함께 모험가 대표로 얼굴을 비추는 경우가 많다. 패스파인더 스토리 애니메이션에 나이트로드, 캡틴, 비숍과 함께 있는 모습, 홀로 검을 휘두르는 모습이 나온다. NEO 업데이트와 함께 공개된 애니메이션 숙적에서 인간사냥꾼 줄라이와 대치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파일:용사 히어로_1.gif
  • NEXT 패치로 아케인 리버의 스토리가 개편된 이후 리멘에서 모험가 전사 대표로 출연하게 되었다.[40] 인게임 내에선 히어로가 아니라 '모험가'로 등장했으며, 검은 마법사 4페이즈에서 일격을 날릴 때 직업 공통으로 콤보 데스폴트와 비슷한 연출이 나오는 것을 보면 공식에선 히어로를 모험가 대표는 물론 디폴트 대적자로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 히어로가 영웅 뿐만 아니라 '주인공'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으므로 어찌보면 제일 잘 어울린다고도 할 수 있다.
  • 2023년 20주년 직업 편지로 나온 모험가 전사로부터에서의 편지 내용은 "우리의 모험, 함께 해줘서 고마워. 함께였기에 더욱 힘을 낼 수 있었어."라는 내용이 남긴다.
  • 여성 히어로의 경우는 DESTINY 업데이트로 캐릭터 디자인이 추가된 후로 별다른 캐릭터성이 없었는데, 2025년 3월부터 뜬금없이 바보 이미지가 잡혀 인지도가 높아졌다. 이는 한 유저의 여성 히어로를 주인공으로 한 만화 시리즈와 이를 소재로 한 일그러진 히어로콘메이플스토리 인벤, 메이플스토리 채널 등에서 인기를 얻었기 때문. 덕분에 디폴트 대적자로 이미지가 잡힌 남성 히어로에 대비해 여성 히어로는 코믹 메이플의 도도를 연상시키는 개그 캐릭터로 인식이 잡혀 웃음벨 취급을 받고 있다. 특히 두손도끼를 휘두르며 검 타령하는 스킬 사운드도 바보 이미지를 부각시킨다.
  • 이벤트 NPC 토벤머리 용사의 직업이 히어로이다. 여담으로 헤비고인물 유저 컨셉임에도 인기무기인 두손검도 성능픽인 두손도끼이 아닌 이미지상 상징성 때문인지 한손검을 사용하고 있다.

10.1. 관련 이미지

  • DESTINY 업데이트로 추가된 고유 일러스트를 제외하면, 아래의 일러스트들은 넥슨측에서 공식적으로 히어로의 일러스트라고 인정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대다수 유저들이 히어로의 일러스트로 받아들이고 있고, 업데이트된 고유 일러스트도 아래 일러스트들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을 보면 사실상의 준공식 일러스트라고 할 수 있다.
파일:2등신혀로.jpg
파일:히어로_레드2.jpg
파일:히어로_레드3.jpg
레드 패치 영상
  • 레드 패치로 업데이트된 모험가 영상에서 최초로 등장했다. 검으로 석상을 베어내거나, 발록에게 최후의 일격을 날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영상 후반부에서는 검은 마법사와 대적하는 모험가들의 정 중앙에 서 있다.
파일:한가위모험가.jpg
2017년 설날 일러스트
  • 2017 설날 이벤트 일러스트에서 등장한다. 책을 보며 만두를 먹고 있다.
파일:히어로_검은 마법사.jpg
검은 마법사 영웅집결
  • 검은 마법사 영웅집결 애니메이션에서는 모험가 마법사와 함께 등장한다.
파일:Screenshot_20190131-105048_YouTube.jpg
패스파인더 업데이트 영상
  • 패스파인더 업데이트 영상에서도 등장한다. 마찬가지로 수련을 하고 있는 모습. 2등신으로 나온 레드 영상에 비해 우월한 비율을 보여준다.[41]
파일:히어로 신규일러 초기안.png
메이플 2021 썸머 업데이트
  • 여름 쇼케이스때 선공개된 모험가 리마스터 신규일러 히어로다. 히어로가 아니라 팔라딘이 아니냐고 부정하는 유저도 있을정도로 반응이 굉장히 안좋았다. 결국 헤어스타일, 무기, 색감등이 수정되어 지금의 일러스트가 되었다. 다만 지금의 일러스트도 주인공상에서 엑스트라상으로 퇴화했다며 불만은 여전한 편이다.
파일:키잉키잉 배리어 브레이커 히어로.jpg
파일:메이플 모험의서 썸네일.jpg
메이플스토리 DESTINY | 모험의 서(書)
  • 캡틴과 함께 무너진 블랙헤븐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스우에게 맞서는 모습으로 나온다. 모험의 서 영상 썸네일로 적용됐다.
파일:칼로스 히어로2.jpg
파일:칼로스 히어로.jpg
감시자 칼로스 트레일러
  • 멈추지 않는 탑 카로테에서 감시자 칼로스와 홀로 대적하는 모습으로 등장했다.
파일:중메엠 히어로.png
  • 중국 메이플 M에서 사용되는 일러스트.

11. 유명인 유저

12. 관련 문서

13. 둘러보기

CLASS
메이플스토리 최초의 10직업


파일:히얼루 썸네일.png파일:괄라딘 썸네일.png파일:하바닼나 썸네일.png파일:불독 직업 썸네일.png파일:썬콜 직업 썸네일.png파일:비숍 직업 썸네일.png파일:보마 직업 썸네일.png파일:신궁 직업 썸네일.png파일:표도 썸네일.png파일:단도 썸네일.png
파일:신직업_화살표.png

파일:바퍼 직업 썸네일.png파일:캡틴 직업 썸네일.png


[1] 캐릭터 생성 소개란에는 두손도끼 사용을 감안해서 검술의 극의가 아니라 전투의 극의라고 표시되어 있다.[2] 패스파인더, 듀얼블레이드, 캐논슈터를 제외한 모험가는 1차 전직에서 직업군, 2차 전직에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다. 4차 전직 이후 자유 전직을 통해 모험가 종족의 같은 직업군 내에서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직업을 변경할 수 있다.[3] 과거에는 패닉, 샤우트, 콤보 데스폴트를 사용하면 콤보 카운터를 소비했으나, 리마스터가 진행된 현재는 콤보 카운터를 소모하는 스킬이 없다. 자세한 내용은 히어로(메이플스토리)/리마스터 이전 스킬 참고.[4] 돌진 거리가 팔라딘과 다크나이트에 비해 약간 더 길고, 플래시 슬래시라는 이동기를 가지고 있다.[5] 스킬창에서 소오버 스킬을 우클릭하면 커스텀 커맨드가 켜지는데, 이렇게 하면 소오버를 ↓ 방향키를 누르지 않고 그냥 사용해도 고정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다. 물론 소오버의 일반 상태가 20초 지속 극딜기라서 보스전에서 고정 모드를 쓰지 않고, 때문에 보스전을 할 때에는 커스텀 커맨드를 꺼야 한다.[6] 다만, 30레벨까지 솔 야누스를 레벨업하기 위해서는 솔 에르다 조각만 6268개가 들고, 메소로 치환하면 대략 400억 메소 이상이 들어간다. 본인이 사냥을 즐겨하는지 유무와, 자신의 목표 레벨이 높고 낮음에 따라 적절하게 솔 야누스 레벨을 올리는 것을 권장한다.[7] 모험가 전사 특유의 둔탁함은 감수해야 한다.[8] 파이널 블레이드는 6차 마스터리 코어인 '오라 블레이드 VI/퓨리어스 엣지'를 찍은 상태에서 오라 블레이드를 1번 사용하고 2초 이내에 다시 사용 시 강화되어 나가는 것을 말한다.[9] 참고로 콤보 인스팅트로 발동되는 '공간의 상처'는 레이징 블로우로만 발동하기에 극딜 타임에는 레이지 업라이징도 안 쓰고 평타만 때리는게 더 세다.[10] 과거에는 일반 상태와 고정 상태 모두 75초였고, 고정 상태가 데미지는 근소하게 낮은 대신 공속이 일반 모드보다 빨라서 고정형 보스들에게는 고정 상태를 주로 사용했고, 루시드 2페이즈처럼 이동속도가 빠르거나 이나 칼로스 2페이즈처럼 순간이동이 잦은 보스들 상대로는 일반 상태를 주로 사용했다.[11] 대략 레이징 블로우 1~2회 휘두른 계수와 비슷하다.[12] 섬멸 모드일 때, 약 3번에 걸쳐 플레이어와 같은 위치에 있는 레이저가 폭발하는 패턴[13] 물론 밀격을 맞아버리면 경직으로 말짱 헛고생이 된다. 반드시 앉아서 피해주자.[14] 1페는 너무 높아서 소오버가 안닿는다.[15] 보스돌이의 경우 스펙이 좀 된다면 패턴을 보기 전에 인스팅트 극딜을 2번 써서 삭제해버릴 수도 있고, 다른 보스에서 극딜 쿨을 돌리고 가엔슬에 입장해도 그로기 때 극딜이 돌아오게 시간을 맞출 수 있어서 시간상 유리함을 가져갈 수 있었다. 하지만 2025년 6월 패치 이후로는 오리진 스킬을 포함해 모든 스킬 쿨이 초기화되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다.[16] 리프 어택은 아랫 방향키를 누른채로 연타해야한다[17] 엘보는 듄켈이 직접 공격을 할 때만 나오기 때문에 패턴을 보고 예상할 수 있다.[18] 원래 1.24지만, 히어로만의 무기 상수 보정을 받는다.[19] 원래 1.34이지만, 히어로만의 무기 상수 보정을 받는다. 따라서 히어로를 본캐로 육성할 경우 반드시 두손무기를 사용해야 한다.[20] 콤보 카운터당 +2(최대 10개)[21] 피격 시 +6%, 최대 6중첩[22] 콤보 카운터당 +2%, 최대 10개[23] 콤보 1개당 12%, 최대 10개[24] 모험가 3전사들 중에서 돌진 거리가 가장 길다.[25] 크리티컬을 제외한 공격 무시[26] 스킬 설명과 다르게 공격 반사 및 무효도 가능[27] 현재 HP가 최대 HP의 15% 이하가 되었을 때 자동 발동되어 3초 동안 1초마다 최대 HP의 35% 회복. 재발동 대기시간 240초[28] 어드밴스드 콤보 상태에서 소드 일루전을 사용하면 8초 동안 301.5%가 되며, 5차 스킬인 콤보 인스팅트를 사용하면 354.3%, 오라 웨폰까지 사용하면 최대로 올릴 수 있는 능력치 표기 수치로는 381.55%다. 여기서 능력치 외적으로 찬스 어택의 최종 데미지 25% 증가도 받을 수 있기에 실질적인 최종 수치는 501.94%이다.[29] 보총 데미지는 합적용되는 스펙이기 때문에 같은 수치가 추가되더라도 기존 수치가 낮을수록 효율이 좋다. 예를 들어 보공 40%가 추가됐을 때 기존 보총이 20%였다면 약 1.33배의 피해량 상승을 누릴 수 있으나, 기존 보총이 100%였다면 1.2배 상승에 그친다. 크리티컬 데미지, 공격력% 등에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30] 에르다 샤워, 에르다 파운틴, 스파이더 인 미러, 크레스트 오브 더 솔라, 솔 야누스 등[31] 사소해 보이지만 같은 키를 2번 누르는 것과 2개의 키를 쓰는 것은 매우 큰 차이가 난다. 특히 점프 후 스킬 연계나 점프 높이, 반응성에서 보고 피하느냐, 눈뜨고 맞느냐 수준이기 때문에 키셋이 미어터져도 점프 스킬을 키셋에 넣을 수 있다면 배정을 한다.[32] 여담으로, 모전 공통의 문제로, 어퍼 차지가 공격 판정이기에 보스 패턴을 피하기 위해 윗점을 사용했는데, V매트릭스 특수 코어인 '일격필살'이 터져서 극딜 때 일격필살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33] 다른 모험가 전사인 팔라딘은 두손둔기, 다크나이트는 창에 보너스를 주고 일러스트와 이펙트도 각각 해당 무기에 초점을 두었다.[34] 직업별 통계분석을 보면 두손검을 사용하는 유저가 더 많은데, 범용성 측면의 문제로, 두손검의 매물이 훨씬 더 많고 아케인 무기를 쓰는 수준에서는 데미지 5%정도는 큰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히어로, 팔라딘, 소울마스터, 카이저 등 두손검이 주무기인 직업이 많으니 제네시스 무기 해방 전까지는 두손검을 구하기가 더 쉽다. 물론 제네시스 무기 이후에는 두손검은 성능 면에서 장점이 없는 것이 맞다. 그런데도 전투력이 높을수록 제네시스 두손검 사용자의 비중이 더 많다. 아무래도 전투력이 높은 유져들은 플에이한 시간이 더 긴 경향이 있고, 이런 유져들은 6차 전직 출시 전에 제네시스 해방을 두손검으로 완료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35] 히어로는 보총뎀 효율이 높아 무기와 보조에서 모두 보보공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보총뎀이 500%를 넘어간다면 보공공도 고려된다.[36] 장갑은 레전드리면 무조건 크리티컬 데미지, 그 외에는 마찬가지로 STR %[37] 방어율 무시 380% 보스가 출시된 이후로는 모든 내실이 완벽한 경우, 또는 마약 시즌인 경우를 제외하면 한 줄 정도까지는 유지하는 편이 좋다. 솔플 위주의 유저라면 더더욱 그렇다.[남] [39] 다만, 히어로의 사냥 성능 개편과는 별개로 유저들은 히어로의 스킬 이펙트(대표적으로 콤보 어택 등)가 밋밋할 뿐만 아니라 색상은 빨간색 대신 주황색/노란색(즉, 귤색이나 골든 옐로우) 위주로 나오게되면서 팔라딘의 노란색 이펙트와 겹치게 되어 차라리 히어로의 스킬 이펙트 일부를 원래대로 되돌리고, 히어로의 이펙트 색상을 빨간색이나 파란색으로 바꿔서 통일해달라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이 문제는 6차 강화스킬을 통해 빨간색 계열로 이펙트가 완성되며 해결되었다.[40] 외형이 히어로 일러스트 코디 세트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으며, 성형은 "랑드 얼굴"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스탠딩 일러스트도 그대로 활용되었다. 단, 플레이어가 모험가 직업군일 경우 히어로가 출연하지 않고 본인의 캐릭터가 나오며 닉네임도 그대로 나온다.[41]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을 기점으로 메이플스토리 캐릭터 등신비율이 전통의 2등신에서 3.5등신으로 트렌드가 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