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이 코스타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개인 수상 | ||||
|
S.L. Benfica | ||
| ||
<colbgcolor=#c30000> 이름 | 후이 코스타 Rui Costa | |
본명 | 후이 마누에우 세자르 코스타 Rui Manuel César Costa | |
출생 | 1972년 3월 29일 ([age(1972-03-29)]세) | |
포르투갈 아마도라 | ||
국적 | [[포르투갈|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180cm | |
직업 | 축구 선수 (공격형 미드필더 / 은퇴) 축구 행정가 | |
소속 | <colbgcolor=#c30000> 선수 | SL 벤피카 (1990~1994) → AD 파페 (1990~1991 / 임대) ACF 피오렌티나 (1994~2001) AC 밀란 (2001~2006) SL 벤피카 (2006~2008) |
경영 | SL 벤피카 (2008~2021 / 단장) SL 벤피카 (2021~ / 회장) | |
국가대표 | 94경기 26골 (포르투갈 / 1993~2004) |
[clearfix]
1. 개요
"후이 코스타에 의해 포르투갈 축구의 새 시대가 열렸다."
에우제비우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출신 행정가. 선수 시절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 현재 SL 벤피카 회장을 맡고 있다.에우제비우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포르투갈 골든 제너레이션[1]과 피오렌티나, 밀란의 중원을 지휘했던 선수.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2.2. 국가대표
후이 코스타를 필두로 한 황금 세대의 1991 월드 유스 챔피언십 우승으로 혜성같이 떠오르며 에우제비우 이후 그저 그런 유럽 중위권 팀이던 포르투갈은 국제대회에서 강력한 팀으로 부상한다. 황금세대의 최전성기이던 유로 2000에서는 유로 디펜딩 챔피언 독일을 3:0으로 이겼다. 8강 잉글랜드전에서는 팀이 2:0으로 지고 있었지만 경기 내내 맹활약을 보여주며 동점골과 역전골을 킬패스로 어시스트하고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4강까지 진출하였지만, 4강에서는 당대 최강의 팀이던 프랑스에게 2:1로 석패하였다. 2002 한일 월드컵에서는 부상 때문에 미국과 폴란드전 2경기[2]밖에 못나왔고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3]홈에서 열린 유로 2004에서는 당시 동포지션에서 최고의 전성기를 보내고 있던 후배 데쿠에게 밀려 후보로만 간간히 출전했다. 팀은 결승까지 갔지만, 결승전에선 개막전에 상대로 만나 패배했던 그리스를 다시 만났고 또다시 패배해 결국 아쉽게도 준우승에 그쳤다.
3. 플레이 스타일
사실 앞서 언급한 두 선수에게 주전경쟁에서 밀린 것이 플레이 스타일이나 신체조건 때문이라고만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72년생인 후이 코스타가 나이를 먹으면서 자연스럽게 클럽과 대표팀에서 세대 교체가 된 부분도 있기 때문이었다. 후이 코스타는 2002-03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도움왕이었는데도 밀란이 카카를 영입한 건 그가 부진해서일리는 없고, 은퇴가 머지않은 그의 나이 때문에 후계자를 영입한 것. 2003년 당시에 후이 코스타는 만나이로 31살이라 당시 시대상으로는 슬슬 서브로 나올 만한 나이였다. 게다가 카카는 밀란에서의 첫 시즌인 2003-04 시즌에 완벽한 적응을 마치며 세리에 A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하면서 그 다음 시즌 밀란에서의 주전 확보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마찬가지로 데쿠도 이미 유로 2004가 개최되기 직전인 2003-04 시즌 엄청난 활약을 선보이며 소속팀인 포르투의 리그 우승, 타사 드 포르투갈 준우승, 그리고 그 누구도 예상을 하지 못한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에서의 우승을 이끌고, 본인은 이런 활약을 바탕으로 그 해 UEFA 올해의 클럽 축구 선수까지 차지했으니 당연히 유로 2004를 기점으로 해서 자연스럽게 포르투갈 대표팀에서의 주전이 될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버렸다. 게다가 카카는 82년생, 데쿠는 77년생이라서 한창 전성기대의 나이였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 ACF 피오렌티나
- 코파 이탈리아: 1995-96, 2000-01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1996
- AC 밀란
- 세리에 A: 2003-04
- 코파 이탈리아: 2003-04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2003
- UEFA 챔피언스 리그: 2002-03
- UEFA 슈퍼컵: 2003
-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준우승: 2004
- 포르투갈 U-20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 1991
- 포르투갈 U-21 축구 국가대표팀
- 툴롱 토너먼트: 1992
4.2. 개인 수상
- UEFA 유로 토너먼트의 팀: 1996, 2000
- UEFA 챔피언스 리그 도움왕: 2002-03
- 프리메이라 리가 이달의 선수: 2007년 9월
- 툴롱 토너먼트 MVP: 1992
- 툴롱 토너먼트 득점왕: 1992
- FIFA 100: 2004
- FIFA XI: 1998
- 코스메 다미앙 어워드 올해의 선수: 2007
- AC 밀란 명예의 전당
- 피오렌티나 올타임 XI: 2016
- IFFHS 올타임 포르투갈 드림팀: 2022
4.3. 수훈
- 엔히크 왕자 기사단 지휘관
5. 여담
- 카카랑은 특히 사이가 좋았는데, 카카가 막 이적한 03-04 시즌 초반에 기량을 발휘하지 못해 언론의 비난을 받자 인내심을 가지라며 카카를 응원해 준적도 있었고[4], 아직 경험이 부족한 카카에게 조언과 기술을 알려주기도 했다. 10살이나 어린데다 같은 포르투갈어를 쓰는지라 말도 통했을테니 본인도 카카를 후계자라고 생각한듯 하다.
- 2002년 월드컵 당시 한국과의 경기 이틀 전날 밤, 홍석천과 함께 7시간 동안 신명나게 술을 빨며 놀았던 포르투갈 선수 4명 중 하나라고 한다.[5]
- 권오중을 닮았다.
- 가브리엘 바티스투타와 사이가 좋다. 피오렌티나에서 영혼의 파트너로 뛰었으니 두말할건 없다. 바티스투타한테 포르투갈로 귀화하라고 했을정도.
6. 같이 보기
1 히카르두 · 2 파울루 페헤이라 · 3 후이 조르즈 · 4 J. 안드라데 · 5 F. 쿠투 · 6 코스티냐 · 7 피구 ⓒ · 8 프티 · 9 파울레타 10 후이 코스타 · 11 시망 · 12 킹 · 13 미겔 · 14 발렌트 · 15 베투 · 16 카르발류 · 17 C. 호날두 18 마니시 · 19 티아구 · 20 데쿠 · 21 누누 고메스 · 22 모레이라 · 23 H. 포스티가 |
|
[1] 루이스 피구, 세르지우 콘세이상, 누누 고메스, 파울레타등.[2] 폴란드전에서 1골 기록.[3] 결국, 후이 코스타는 2002 한일 월드컵 대한민국전에 출장하지 못해 교체멤버로 대기만 했고 박지성에게 결승골을 허용하여 패배한 걸 지켜보기만 했다...[4] 실제로 몇 경기 뒤에 카카는 이런 비난을 딛고 대활약 해서 세리에 올해의 선수상도 받고 발롱도르 후보에 오르기도 한다. 그리고 나중엔 발롱도르 수상자가 되었다.[5] 다른 3명은 페르난두 쿠투, 세르지우 콘세이상, 비토르 바이아. 심지어 당시 한국전에 출전하지 못한 후이 코스타를 제외한 나머지 세 명은 모두 한국전에 출전해 풀타임을 소화했다.애국자 홍석천
분류
- 1972년 출생
- 1990년 데뷔
- 2008년 은퇴
- 아마도라 출신 인물
- 포르투갈의 남자 축구 선수
- 축구 행정가
- 축구 경영인
- SL 벤피카/은퇴, 이적
- ACF 피오렌티나/은퇴, 이적
- AC 밀란/은퇴, 이적
- 포르투갈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참가 선수
- 포르투갈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
- UEFA 유로 1996 참가 선수
- UEFA 유로 2000 참가 선수
- UEFA 유로 2004 참가 선수
- 포르투갈의 FIFA U-20 월드컵 참가 선수
- 1991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포르투갈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