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유희왕 러시 듀얼'의 용어}}}에 대한 내용은 [[유희왕 러시 듀얼/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희왕 러시 듀얼/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희왕 러시 듀얼/룰#함정 카드|함정 카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TCG 전반에서 쓰이는 용어}}}에 대한 내용은 [[꽝카드]]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꽝카드#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꽝카드#|]]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인터넷 밈}}}에 대한 내용은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유희왕 러시 듀얼'의 용어: }}}[[유희왕 러시 듀얼/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희왕 러시 듀얼/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희왕 러시 듀얼/룰#함정 카드|함정 카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TCG 전반에서 쓰이는 용어: }}}[[꽝카드]]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꽝카드#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꽝카드#|]]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인터넷 밈: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 <colbgcolor=#b13><colcolor=#fff> OCG | OCG 시리즈 (부스터 팩 · 덱 빌드 팩 · 스트럭처 덱) 듀얼리스트 팩 | 컬렉터즈 팩 | 엑스트라 팩 | |||||
| 게임 룰 | 마스터 듀얼 | 스피드 듀얼 | 제네시스 룰 리미트 레귤레이션 (OCG | TCG | KCG) | ||||||
| 규칙 및 용어 | 공식 룰 용어 | 비공식 용어 | 룰 효과 | 효과 외 텍스트 | 특수 재정 특수 승리 | 턴 구성 | 우선권 | 체인 시스템 | 소생 제한 룰 헷갈리기 쉬운 룰 | 오역 | ||||||
| 카드의 종류 | 몬스터 카드 (소환 · 레벨 · 속성 · 종족) | 마법 카드 | 함정 카드 | ||||||
| 역사 | 1기 | 2기 | 3기 | 4기 | 5기 | 6기 | 7기 | 8기 | 9기 | 10기 | 11기 | 12기 | 13기 | ||||||
| 기타 | 평가 | 논란 및 사건 사고 | 카드군 | 스토리 및 설정 숏 애니메이션 |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 }}}}}}}}} | |||||
1. 개요
| |
| 함정 카드 중 하나인 매직 실린더 |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함정 카드
함정 카드는 마법 카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효과로 전투를 서포트합니다. 하지만, 마법 카드와의 큰 차이점은, 상대 턴에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마법 카드가 공격적인 효과가 많은 반면, 함정 카드는 방해, 기습과 같은 효과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다만, 상대의 플레이에 맞추어 발동하므로, 사용이 까다로운 카드입니다.
함정 카드는 마법 카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효과로 전투를 서포트합니다. 하지만, 마법 카드와의 큰 차이점은, 상대 턴에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마법 카드가 공격적인 효과가 많은 반면, 함정 카드는 방해, 기습과 같은 효과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다만, 상대의 플레이에 맞추어 발동하므로, 사용이 까다로운 카드입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공식 룰 북 신 마스터 룰 대응 버전 1.0에서 발췌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에 등장하는 카드 분류의 일종.
2. 역사
참고로 원작 초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애초에 매직&위저드는 플레이어가 마법사, 몬스터는 마법사가 부리는 하수인 같은 개념이었기 때문에 마법 카드와 몬스터 카드만 존재했다. 이러한 설정을 고려해보면 함정 카드라는 개념은 다소 동떨어지는 게 느껴질 것이다.[1] 하지만 세트 후 상대 턴에 발동할 수 있는 함정 카드의 도입은 애니메이션에서 저 카드가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긴장감 유발과 허를 찌르는 극전개로 나아가기 정말 좋고, 실제 게임에서도 심리전을 유도하기 때문에 모티브가 된 매직 더 개더링이나 이후에 나온 카드게임들(ex. 하스스톤, 섀도우버스 등)과도 차별화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특징이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선 처음부터 등장한다.[2]OCG 초창기엔 "함정" 카드답게 상대의 턴에 발동하여 상대를 방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서로가 마음놓고 전개, 공격 등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카드였다. 그러나 듀얼 환경이 점점 가속화되자, 일단 세트하고 발동해야 하므로 상대의 견제를 받을 수 있으며, 자신 턴에는 바로 발동할 수가 없어서 속도가 느리다는 이유로 채용률이 크게 감소한 상태다. 예전에는 6~9장까지 메인 덱에 들어가곤 했는데 지금은 1~3장 들어갈 정도로 매우 줄었고, 대부분은 사이드 덱에 들어가거나 아예 빠지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패에서 상대의 전개를 곧바로 막을 수 있고 서로의 발동을 막기도 까다로운 패 트랩이 주요로 채택되기 시작한 이후보다는 범용 함정 카드보다는 함정 카드들은 각 카드군의 서포트 성능이 뛰어난 전용 함정 카드들이 주로 쓰이고 있다. 이런 전용 함정 카드들은 까다로운 조건 없이 발동할 수 있는 프리 체인 효과를 가지거나, 묘지에서 제외시키고 독특한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차별화 요소를 가진 경우가 많다. 아예 무한포영, 레드 리부트처럼 패 트랩 역할을 겸하는 범용 함정 카드도 존재한다.
다만 함정 카드보다 패 트랩에 대한 견제가 많이 늘었다는 점을 역으로 이용해서, 작정하고 강력한 범용 함정 카드들을 우겨 넣어 첫 듀얼에서 우위를 가져가는 덱도 제법 보인다. 상대가 사이드 덱에서 함정 카드 견제 카드를 꺼낼 것 같다 싶으면 바로 함정 카드를 사이드 덱의 패 트랩으로 바꿔서 대응할 수도 있다.
아예 엘드리치, 충혹마, 라뷰린스 등 다수의 함정 카드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설계된 덱도 존재한다. 이러한 덱 타입을 함떡이라 부르며, 함정 카드가 느린 발동을 대가로 받은 강력한 견제력을 보조하며 상대를 압도적으로 찍어누르는 방식을 골자로 하고 있다.
3. 설명
함정이라는 분류 특성상 상대를 방해하는 효과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카드 배경색은 자주색 계열이며, 함정 카드를 나타내는 한자는 罠이다.패에서 곧장 발동할 수 있는 마법 카드와는 달리,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함정 카드는 필드에 뒷면으로 세트부터 해야 하고, 세트한 턴에는 발동할 수 없다. 속공성이 부족한 대신, 상대 턴에도 자유롭게 발동 가능한 프리 체인 효과라는 점을 강점으로 삼고 있다.
아래에는 예외의 카드들.
패에서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있는 경우: 마법 카드처럼 패에서 즉시 마법 / 함정 존으로 떨어지며 발동한다. 속공 마법과 달리 세트하는 절차조차 필요 없이 상대 턴에 발동할 수 있다.
- 처형인-마큐라 (금지, 에라타 이후 1턴에 1번 제한)
- 제트로이드
- 버블 일루전
- 델타 크로우 - 안티 리버스
- 블랙 버드 클로즈
- 블랙 소닉
- 허공의 흑마도사
- "~일 경우, 이 카드의 발동은 패에서도 할 수 있다."라는 텍스트가 있는 함정 카드[3]
세트한 턴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있는 경우,
- 부비트랩E
- 왕가의 신전 (금지, 에라타 이후로 1턴에 1번 제한)
- 검은 날개의 마술사
-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
- 트랩트릭
- 트랩트랙
-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 "~하고,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도 있다."라는 텍스트가 있는 함정 카드[4]
함정 카드의 스펠 스피드는 기본적으로 2이며, 카운터 함정은 3이다. 즉 함정 카드는 발동 조건만 만족하면 어느 때나 발동할 수 있으며, 체인 발동도 가능하다.
- 속공 마법은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가 스펠 스피드 1이지만, 함정 카드는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 역시 스펠 스피드가 2다. 즉 상대 턴에도 프리 체인으로 묘지에서 효과 발동을 할 수 있다.
- 그 특성상, 함정 카드를 코스트로 보내고 다른 효과를 발동하고, 바로 그 함정 카드의 묘지 효과를 체인 발동하는 플레잉도 가능하다.
- 카운터 함정이라도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는 스펠 스피드가 2다. 3이 아니다.
유희왕 애니메이션에서는 특수한 방법으로 함정 카드를 발동하는 클리셰가 있으나, 대부분 OCG에서 반영되지 않거나 발매되지 않았다. 예시로 트랩 부스터. 그래도 이와는 별개로 상기한 카드들처럼 세대마다 꾸준히 관련 효과를 가진 카드들이 발매되고 있다.
스카레드 코쿤과 같은 장착하는 효과를 가진 함정 카드도 있다. 이러한 카드들을 통칭 '장착 함정'이라고 부르나, 장착 마법과 달리 룰상 '장착 함정'이라는 카테고리가 개별적으로 존재하진 않는다. 보통은 일반 함정으로 분류된다.[5]
4. 종류
함정 카드는 일반, 지속, 카운터의 3가지 종류가 있다.4.1. 일반 함정
참고 카드. 이 카드는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이다.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일반 함정
함정 카드의 사용 순서는, 기본적으로 한 번 마법 & 함정 존에 뒤집어 놓아야 하고,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 없습니다. 다음 턴 이후에는 어느 턴에나 발동할 수 있게 됩니다.
효과 사용이 끝난 일반 함정은, 일반 마법과 마찬가지로 효과의 처리가 끝나면 묘지로 보내집니다. 발동을 하면 효과를 방해하기 어려운 것도 동일합니다. 하지만 함정 카드에는, 세트한 턴이나 발동 조건이 갖추어지기 전에 상대에게 파괴될 가능성이 항상 있기 때문에, 사용을 하는 데 있어서 상대에 대한 전략적인 플레이가 중요합니다.
함정 카드의 사용 순서는, 기본적으로 한 번 마법 & 함정 존에 뒤집어 놓아야 하고,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 없습니다. 다음 턴 이후에는 어느 턴에나 발동할 수 있게 됩니다.
효과 사용이 끝난 일반 함정은, 일반 마법과 마찬가지로 효과의 처리가 끝나면 묘지로 보내집니다. 발동을 하면 효과를 방해하기 어려운 것도 동일합니다. 하지만 함정 카드에는, 세트한 턴이나 발동 조건이 갖추어지기 전에 상대에게 파괴될 가능성이 항상 있기 때문에, 사용을 하는 데 있어서 상대에 대한 전략적인 플레이가 중요합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공식 룰 북 신 마스터 룰 대응 버전 1.0에서 발췌
||일반 마법과 마찬가지로, 1번 사용하면 묘지로 보내진다.[6]
옛날에는 상대의 특정 행동을 트리거로 해서 발동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시대가 흐르며 듀얼 흐름이 가속화되자 이런 카드들은 도태되었다. 현재는 훨씬 널널한 조건 또는 아예 프리 체인으로 발동 가능한 카드가 주류를 차지한다.
4.2. 지속 함정
참고 카드. 이 카드는 스킬 드레인이다.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지속 함정
지속 마법과 마찬가지로, 발동 후에는 필드에 계속해서 남아 효과를 발휘하는 함정 카드입니다. 또한 지속 함정 중에는, 효과 몬스터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가진 카드도 있습니다.
상대의 행동을 방해하거나, 점차적으로 상대에게 데미지를 주는 효과가 많은 것이 이 카드의 특징입니다.
지속 마법과 마찬가지로, 발동 후에는 필드에 계속해서 남아 효과를 발휘하는 함정 카드입니다. 또한 지속 함정 중에는, 효과 몬스터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가진 카드도 있습니다.
상대의 행동을 방해하거나, 점차적으로 상대에게 데미지를 주는 효과가 많은 것이 이 카드의 특징입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공식 룰 북 신 마스터 룰 대응 버전 1.0에서 발췌
||지속 함정은 기본적으로 지속 마법과 동일하다. 지속물이므로, 일반적으로는 카드의 발동을 무사히 처리한 후부터 지속 효과가 작동한다. 또한 필드에서 벗어나는 순간 효과 처리가 모조리 중단된다. 그러나 함정이기 때문에 발동하는 절차는 일반 함정과 동일하며, 스펠 스피드가 2라서 체인 발동 역시 가능하다.
스킬 드레인, 마법 봉인의 방향제, 군웅할거, 어전시합, 센서 만별 등등 플레이어의 행동에 엄청나게 강력한 제약을 가하는 파워 카드가 의외로 많이 소속되어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듀얼 환경이 점차 가속화되면서 한 턴에 효과를 수없이 발동하는 메타가 찾아오자, 그것을 모두 통째로 정지시키는 지속 함정의 가치가 올라간 것.
4.3. 카운터 함정
참고 카드. 이 카드는 신의 심판이다.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카운터 함정
카운터 함정은, 기본적으로 카드의 발동에 대항하여 발동하는 함정 카드로, 그 카드의 발동 자체를 무효로 해버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 마법이나 일반 함정 등으로부터의 효과에 방해받지 않는 카드로도 유효하지만, 이 타입의 함정 카드는 발동을 위한 조건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카운터 함정은, 기본적으로 카드의 발동에 대항하여 발동하는 함정 카드로, 그 카드의 발동 자체를 무효로 해버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 마법이나 일반 함정 등으로부터의 효과에 방해받지 않는 카드로도 유효하지만, 이 타입의 함정 카드는 발동을 위한 조건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공식 룰 북 신 마스터 룰 대응 버전 1.0에서 발췌
||일반 함정과 비슷하게 한 번 발동하고 나서 바로 사라지지만,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에서 유일하게 스펠 스피드가 3으로, 다른 종류의 어떤 카드보다도 스펠 스피드가 높기 때문에 카운터 함정에 대한 체인은 카운터 함정으로만 가능하다. 그래서 일반적인 퍼미션 효과로는 카운터 함정을 막을 수가 없다. 체인 싸움에서의 절대적인 우위를 대가로, 카운터 함정들은 LP, 패 등 별도의 발동 코스트를 요구하거나, 특정한 카드군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약을 달아놓는다.
- 그러나 스펠 스피드 3은 체인의 가능, 불가에서만 우위를 갖는 것이므로 카운터 함정의 발동 전에 이미 유효한 지속 효과를 무시하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가 앞면 표시로 있으면 카운터 함정도 발동이 차단된다.
- 왕궁의 포고령이 앞면 표시로 있는 상태에서 카운터 함정을 발동하면 해당 카운터 함정은 무효화된다.[7]
- 카운터 함정의 효과 처리 중 몬스터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에게는 영향이 없다.[8]
- 마술사의 왼손이 유효하면서 앞면 표시 마법사족 몬스터를 컨트롤중이면 카운터 함정 발동도 무효화 및 파괴할 수 있다.
일반 함정은 경우에 따라 아무 때나 발동할 수 있는 카드도 어느 정도 있는 데 반해, 카운터 함정은 "카운터"라는 이름대로 특정 행동에 체인을 거는 형식으로밖에 발동할 수 없다. 예외는 다이놀피어 리비전 정도인데, 이 카드 역시 발동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카운터 함정 카드를 복사하는 효과다.
주로 몬스터의 효과, 몬스터의 소환, 마법 & 함정 카드의 발동 등을 무효로 하는 효과가 다수를 차지한다.
- 카운터 함정은 기본적으로 발동을 무효로 한다. 효과를 무효로 하는 카운터 함정 카드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 또한 마법 / 함정 카드의 경우 카드의 발동을 무효로 한다.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를 무효로 하지 않는다.[9] 단 한 가지 예외는 흔들리지 않는 연이다.
- 그 특성상 이미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지속물 마함이 발동한 효과, 묘지에서 마함을 제외하고 발동하는 효과 등은 카드의 발동이 아니므로 카운터 함정으로 못 막는다.
일부 카운터 함정 카드는 묘지 등에서 발동하는 효과가 추가로 붙은 경우가 있는데, 이런 효과는 스펠 스피드가 3이 아니라 2라서 다른 유발 즉시 효과로 체인할 수 있다.
[1] 몬스터는 마법사가 소환하는 소환수, 마법은 마법사 본인이 사용하는 마법이다. 하지만 마법사가 함정을 파는 건 다소 어울리지 않는다.[2] 하스스톤에도 주로 상대 턴에 상대를 방해하는 비밀 카드가 있으나, 발동 조건 충족시에 강제로 발동해서 함정 카드처럼 유동적인 대응이 불가능하다.[3] 무한포영, 길항승부, 도미나스, 레드 리부트 등.[4] 홀티아의 충혹마, M∀LICE<C>MTP-07 등.[5] 마찬가지로 장착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 역시 있으나 따로 장착 카테고리가 분류되어 있지는 않다. 장착 카테고리가 존재하는 카드는 장착 마법뿐. 다만, 몬스터 중 장착했다가 몬스터 존에 특수 소환이 가능한 효과에 대해서는 유니온(유희왕)이라는 카테고리를 분류해두었다. 몬스터 존에 특소 가능한 효과가 따로 없다면 유니온이 아니라 그냥 효과 몬스터로 분류된다.[6] 예외적으로 필드 위의 몬스터의 장착 카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쇠사슬 폭탄이나 음모의 방패 같은 카드나, 몬스터로서 특수 소환되는 일부 변종 함정 몬스터는 필드에 남는다.[7] 발동은 가능하고 코스트가 필요한 카운터 함정이라면 코스트 또한 지불되지만, 일방적 손해이기 때문에 '함정 카드 발동'을 트리거로 하는 다른 카드의 효과를 사용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의미는 없다.[8] 소환에 성공하여 이미 필드에 나와 함정 면역을 적용중인 상태 기준으로, 소환을 아예 무효로 해버리는 신의 심판 등은 타이밍이 '소환 성공 전'이므로 와일드맨의 소환을 막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한 쇼커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어떤 카운터 함정이 '그 후 필드의 몬스터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식의 부수적 효과를 포함한다면 이미 함정 면역이 유효한 상태의 와일드맨을 그 효과로 파괴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9] 모든 상황에 대한 전지전능한 대처를 표방하는 신의 충고, 타키온 트랜스미그레이션조차 이것은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