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놀이 | 가상 군사 대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한민국 국군 | [[대한민국 국군 vs 조선인민군| 북한 일본 중국 대만 러시아 미국 |
조선인민군 | [[대한민국 국군 vs 조선인민군| 한국 일본 중국 미국 | |
미군 | [[한국군 vs 미군| 한국 북한 일본 중국 러시아 세계연합군 소련 베네수엘라 | |
자위대 | [[한국군 vs 자위대| 한국 북한 중국 러시아 미국 소련 | |
러시아군 | [[한국군 vs 러시아군|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우크라이나 NATO 폴란드 | |
'''[[소련군| 소련군]]''' | [[소련군 vs 자위대| 일본 미국 | |
'''[[중국인민해방군| 인민해방군]]''' | [[한국군 vs 중국군| 한국 북한 대만 일본 인도 러시아 미국 베트남 필리핀 Quad | |
대만군 | [[한국군 vs 대만군| 한국 중국 | |
이란군 | [[사우디아라비아군 vs 이란군| 사우디 이스라엘 미국 | |
다자간 | 한미연합군 vs 북중연합군 | |
기타 | 영국군 vs 프랑스군 | 인도군 vs 파키스탄군 | 독일군 vs 폴란드군 | 태국군 vs 캄보디아군 | }}}}}}}}} |
| VS | |
대한민국 국군 | 캄보디아 왕립군 |
양국 군사력 현황 2024년 기준 | ||
<rowcolor=#fff,#fff> 대한민국 | 병력(평시) | 캄보디아 왕국 |
36.5만여 명 | <colbgcolor=#e2e3e5,#818283><colcolor=#000000,#fff> 육군 | 7.5만여 명 |
7만여 명 (해병대 2.9만여 명 포함) | 해군 | 2800여 명 |
6.5만여 명 | 공군 | 1500여 명 |
- | 국가 헌병대 | 3만여 명 |
50만여 명 | 합계 | 11만여 명 |
200만여 명 (사관후보생, 전시근로소집, 대체복무 인원 등 포함) | 예비병력 | 10만여 명 |
대한민국 육군 | 육군 | 캄보디아 왕립 육군 |
<colbgcolor=#b0cae1,#8099af><colcolor=#000000,#fff> 12개(해병대 포함) | 군단(급) | <colbgcolor=#eab186,#b68159><colcolor=#000000,#fff>- |
36개(해병대 포함) | 사단 | 11개 |
32개(해병대 포함) | 여단(독립여단) | 2개 |
2,200여 대(해병대 포함) | 전차 | 420여 대 |
3,100여 대(해병대 포함) | 장갑차 | 580여 대 |
5,600여 문(해병대 포함) | 포 | 320여 문 |
310여 문 | 다련장/방사포 | 420여 문 |
발사대 60여 기 | 지대지 유도무기 | 미보유 |
대한민국 해군 | 해군 | 캄보디아 왕립해군 |
90여 척 | 전투함정 | 16 척 |
10여 척 | 상륙함정 | 3 척 |
10여 척 | 기뢰전함정 (소해정) | 미보유 |
20여 척 | 지원함정 | 미보유 |
10여 척 | 잠수함정 | 미보유 |
대한민국 공군 | 공군 | 캄보디아 왕립공군 |
410여 기 | 전투임무기 | 미보유 |
50여 기 | 공중기동기(2020) | 5 기 |
190여 기 | 훈련기(2020) | 1 기 |
740여 기 | 헬기(육·해·공군) | 26여 기 |
1. 개요
대한민국 국군과 캄보디아군 간의 대결을 다룬 문서이다.2. 전쟁 가능성
대한민국과 캄보디아가 전면전을 벌일 가능성은 전혀 없다. 일단 두 나라가 전쟁을 해서 얻을 이익이 없으며, 거리가 너무 멀고 사이에 여러 나라들이 끼어 있는데다, 현대 사회에서 함부로 전쟁을 하면 지탄을 받는데 러시아나 미국 급의 강대국도 아닌 대한민국과 캄보디아가 그런 리스크를 무릅쓰고 전쟁을 시도하는 건 불가능하다.만일 한국과 캄보디아의 사이가 극적으로 약화되었다 하더라도 전쟁을 하기보다는 다른 수단을 강구하면 될 일이다. 캄보디아 범죄단지로 인해 한국인이 피해를 당했을때도 처음엔 캄보디아 당국이 비협조적이였지만 미국과 영국등 국제사회에서 이슈화되고, 한국에서 ODA 재검토 카드를 꺼내자 캄보디아 당국의 협조를 얻어낼수 있었다. 또한 실제 전쟁을 일으키기보다 국제적인 여론전에 나서는 게 현실적으로는 백번 낫다. 캄보디아는 한국에 쳐들어갈만한 군사적인 여력자체가 없기 때문에 국제사회에 한국을 질타하거나 중국이나 일본을 통해 한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할 것이며, 한국은 캄보디아의 저항의지를 무너뜨리기 위해서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등의 주변국과의 긴밀한 협조를 할 것이다. 특히 캄보디아가 바다로 나가기 위해서는 타이 만을 거쳐야 하는 만큼 만약 주변국의 도움을 받아 해상봉쇄가 이뤄진다면 경제적으로 엄청난 타격을 줄수 있을 것이다.
3. 시나리오
일단 규모와 실전 경험 등으로 봤을때 한국군이 캄보디아군을 압도할것으로 보이며, 캄보디아 왕실군은 한국군이 아닌 L-SWAT(…)와 비교해야 간신히 승리할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캄보디아군 역시 전차와 PHL-03 MLRS 등 양,질적으로 한국군보더 열세지만 한국군에게 아예 없는것 보다는 위협적인 무기를 가지고 있고, 과거 한국 정부의 지원과 군수뇌부간 교류로 한국군의 전술을 일부나마 체득하고 있기 때문에 캄보디아를 작전지역으로 가정하고 싸울 때에는그러나 캄보디아는 항공전력이 없고 해상 전력 역시 열세를 피할 수 없기에 만일 한국군이 캄보디아에 상륙작전을 전개한다면 사전에 공격준비사격 등 캄보디아의 전략자산을 충분히 무력화시키거나 태국, 베트남과 사이가 안 좋은 인접국가들과의 외교적 교섭을 통하여 이들을 교두보로 확보한 뒤에야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캄보디아는 한국제 중고차를 다량으로 수입하고 있고,캄보디아군 일부는 한국제 차량을 도입[1]하고 한국제 보병장비[2]로 무장하고 있으며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구사하는 이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작전수행 시에는 항상 피아식별에 주의하도록 하되, 캄보디아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민사작전시에는 지난 베트남 전쟁에서의 민사작전에서 얻은 교훈을 되살려 한국군의 주 타격대상은 평범한 캄보디아 주민이 아닌 범죄조직과 이들에게 영합하는 훈센 일가와 같이 부패한 관료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일반 주민과 투항자, 앙코르와트 등의 문화유산은 보호대상이라는 사실을 부각시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후 범죄조직과 이와 유착한 훈 센 등의 부패관료는 처벌하되, 노로돔 시아모니 캄보디아 국왕과 왕실의 경우 이들이 캄보디아 내의 부패관료, 중국 범죄자본과 유착관계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지만 이들을 함부로 처벌해 캄보디아인들의 민심을 잃기보다는 연합군 점령하 일본에서의 쇼와 천황의 사례처럼 과거 유착혐의를 부각, 보호를 빌미로 권한을 대폭 축소시켜 상징적인 존재로 남기고, 국왕으로서의 권위를 이용해 캄보디아인들에게 훈센 정권 몰락 후 한국을 위시한 국제사회의 캄보디아 통치를 합리화시키는것이 향후 국제사회의 시각과 전후 외교관계 복원에 있어 합리적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