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e5e5e5 | 주요 주주 | |
포르쉐 SE|니더작센 주|카타르 투자청|캐피탈 그룹 | ||
주요 인물 | ||
페르디난트 포르셰|볼프강 포르셰|볼프강 뒤르하이머|페르디난트 피에히|올리버 블루메|슈테판 빙켈만 | ||
계열사 및 사업부 | ||
승용차 | 폭스바겐(제타)|포르쉐|스코다|세아트(쿠프라|시하오)|스카우트|아우디 AG(아우디 스포트|아우디(중국)|람보르기니(두카티)|벤틀리) | |
상용차 | 트라톤 SE(만 트럭 & 버스ㆍ네오플란|스카니아|인터내셔널|VWCO) | VWCV | |
고성능 제조사 | 아우디 스포트 | |
모터스포트 | 폭스바겐 모터스포트|아우디 스포트|쿠프라 레이싱 | |
사라진 브랜드 | 아우토 우니온(NSU|데카베|반더러|호르히) | |
이륜차 | 두카티 | |
해양 | 폭스바겐 마린 | |
공장 | 폭스바겐 공장 목록 | |
디자인 | 이탈디자인 주지아로 | |
디지털 | 디코니움|카리아드 | |
모빌리티 | 모이아 | |
서비스 | 페이바이폰 | |
기술 | IAV | |
부동산 | 폭스바겐 임모빌리엔 | |
물류 | 폭스바겐 그룹 플릿 인터내셔널|폭스바겐 그룹 공급|폭스바겐 항공 서비스 | |
산업 | 폭스바겐 산업 모터 | |
금융 | 폭스바겐 파이낸셜 서비스|포르쉐 파이낸셜 서비스|벤틀리 파이낸셜 서비스|람보르기니 파이낸셜 서비스|폭스바겐 리싱 유한회사 | |
에너지 | 만 에너지 솔루션|일렉트리피 아메리카|일렉트리피 캐나다 | |
기타 | 폭스바겐 그룹 테크놀로지 | |
합자 회사 | 부가티 리막|제타|폭스바겐 그룹 차이나(VGC)|FAW-폭스바겐|SAIC 폭스바겐|폭스바겐 안후이 | |
해외 지사 | 폭스바겐 그룹 코리아|폭스바겐 그룹 인디아|폭스바겐 그룹 오브 아메리카|폭스바겐 오브 남아프리카|폭스바겐 그룹 캐나다|폭스바겐 그룹 말레이시아|폭스바겐 그룹 아일랜드|폭스바겐 그룹 유나이티드 킹덤|폭스바겐 그룹 이탈리아|폭스바겐 그룹 타이완|폭스바겐 호주|폭스바겐 아르헨티나|폭스바겐 데 멕시코|폭스바겐 도 브라질 |
폭스바겐 채터누가 공장 Volkswagen Chattanooga Assembly Plant, TN | |
<colbgcolor=#001F53><colcolor=#FFF> 개요 | |
국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위치 | 테네시 주 해밀턴 카운티 채터누가 |
상세 주소 | 8001 Volkswagen Dr, Chattanooga, TN |
우편 주소 | 37146 |
개장 연도 | 2011년 |
소유 기업 | 폭스바겐 |
규모 | 6㎢ 180,000㎡ (시설) |
좌표 | 북위 35도 4분 49.03초 서경 85도 8분 8초 |
홈페이지 | # |
지도 | |
[clearfix]
1. 개요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인 폭스바겐에서 미국 테네시 주 채터누가에 지은 자동차 제조 공장이다.2. 역사
원래 해당 지역은 24㎢ 부지의 규모를 자랑하는 곳이었고,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을 거치면서 연간 14,000t의 TNT를 제조하던 VAAP(의용군 탄약 공장)의 부지가 있었다. 공장은 저장고 근처 벙커가 있던 곳이었다. 또한, 인근에 하이킹, 자전거 및 산책로, 피크닉 구역, 엔터프라이즈 사우스 네이처 파크와 같은 시설들이 존재하고 있다.폭스바겐이 환율 변동을 피하고 미국 자동차 시장 동향을 살피면서 확장된 공급망 문제에 대한 취약성을 잠재적으로 줄이려는 목적을 위해 2008년 미국 현지에 공장 건설을 발표한 바 있었다. 초기에는 592,000대 규모를 생산할 수 있도록 확장하려는 계획도 존재하였다.
2011년 5월부터 정식 가동되기 시작했다. 1988년 웨스트몰랜드(펜실베이니아 주) 공장[1]의 폐쇄 이후 다시 미국에서 생산을 시작하게 되었다. 파사트 NMS의 현지화율은 85% 정도로 NAFTA 국가들의 부품을 85% 이상 사용한 것이 특징이었다. 해당 공장의 인건비는 27달러로 GM, 포드 등의 공장에 비해서는 낮은 선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1년 4월부터 파사트 B7 차량을 NMS(New Midsize Sedan)라는 이름을 붙여 2022년까지 생산하였다. 이후 2017년에 아틀라스, 2020년에 아틀라스 크로스 스포츠와 2022년에는 ID.4 순으로 생산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는 NMS 파사트가 판매된 적이 있었다. 수출 시장은 멕시코, 캐나다 및 중동 국가들이 있었다.
3. 생산차량
폭스바겐의 채터누가 공장 생산 차량 | |
적용 차량 | 생산기간 |
<colbgcolor=#fff> 2017년~현재 | |
아틀라스 | |
2020년~현재 | |
아틀라스 크로스 스포츠 | |
2022년~현재 | |
ID.4 |
4. 단종차량
폭스바겐의 채터누가 공장 과거 생산 차량 | |
적용 차량 | 생산기간 |
<colbgcolor=#fff> 2011년~2022년 | |
파사트 NMS |
[1] 1978년에 가동하기 시작했지만, 지역의 노동 문제와 지역 정부-폭스바겐 간의 네트워크 체계가 잘 이루어지지 못해 10년 만에 폐쇄된 바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