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리저널 유러피언 챔피언십 Formula Regional European Championship | |
| |
<colbgcolor=#012D5E> 정식 명칭 | <colbgcolor=#ffffff,#1c1d1f>포뮬러 리저널 유러피언 챔피언십 by 알핀 |
영문 명칭 | Formula Regional European Championship by Alpine |
창설 | 2019년 |
팀 | 10팀 |
섀시 공급 업체 | 타투우스 |
엔진 공급 업체 | 르노[1] |
타이어 공급 업체 | 피렐리 |
최근 드라이버 챔피언 |
하파에우 카마라 (2024) |
최근 팀 챔피언 |
프레마 레이싱 (2024) |
공식 웹 사이트 | |
공식 매체 |
1. 개요
|
2. 상세
GP3 시리즈와 FIA 포뮬러 3 유러피언 챔피언십이 2019 시즌부터 FIA 포뮬러 3 챔피언십으로 통합됨에 따라, 새로운 유럽 지역의 포뮬러 3급 섀시를 사용하는 챔피언십이 필요해지면서 생겨난 대회이다. 두 시리즈가 통합되면서 혼선을 피하기 위해 나머지 지역 포뮬러 3 챔피언십들이 모두 포뮬러 리저널로 변경되었고, 따라서 이 대회에도 포뮬러 리저널이라는 타이틀이 붙었다.초반 두 시즌에는 알파 로메오에서 엔진을 공급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해 타격을 입어 시리즈 지속이 어려워진 포뮬러 르노 유로컵을 합병하면서 르노에서 MR18DDT 엔진을 공급받기 시작했다. 또한 알핀과의 파트너십으로 2021시즌부터 2025시즌까지 포뮬러 리저널 유러피언 챔피언십 by 알핀으로 불렸다.
2026시즌부터 신형 섀시 도입과 함께 알핀과의 파트너십을 종료하고 토요타에서 엔진을 공급받게 되었으며, 기존 FIA의 공인만 받았던 것과 다르게 아예 FIA 챔피언십 지위를 얻고 FIA 포뮬러 리저널 유러피언 챔피언십으로 불리게 되었다.#
흔히 '로얄 로드'라고 불리는 카트→포뮬러 4→포뮬러 3→포뮬러 2→포뮬러 1의 과정에서 포뮬러 4와 포뮬러 3의 가교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대회다. 하지만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다 보니 올리버 베어먼이나 아비드 린드블라드처럼 FRECA를 스킵하고 바로 포뮬러 3로 가는 경우도 있고[2] 유로포뮬러 오픈, GB3 챔피언십, 유로컵-3처럼 다른 F3 하위 등급 챔피언십을 거치는 경우도 있다.
레이스 주말 포맷은 금요일에 각각 50분 길이의 FP1과 FP2가 진행되며, 20분의 퀄리파잉과 30분+1랩의 레이스가 토요일과 일요일에 각각 진행된다. 레이스에 맞춰 두 번의 퀄리파잉을 진행하기 때문에 리버스 그리드는 따로 적용하지 않는다.
FIA 슈퍼 라이선스 포인트는 챔피언십 1위부터 9위까지 25-20-15-10-7-5-3-2-1포인트를 부여받으며, 이는 2024년까지의 슈퍼 포뮬러와 같은 수치이다.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모든 경기를 생중계한다.
타투우스사의 T-318 섀시를 사용하며, 2022년부터 유로컵-3 차량과 비슷하게 푸시 투 패스 시스템이 적용되어 드라이버는 최대 15초 동안 추가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다.
3. 공식 규정
- 팀 및 드라이버 목록 : https://formularegionaleubyalpine.com/teams-and-driver/
- 대회 규정 : https://formularegionaleubyalpine.com/the-rules-and-regulations/
- 차체 규정 : https://formularegionaleubyalpine.com/the-car-and-engine/
4. 포인트 시스템
레이스 포인트 시스템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포인트 | 25 | 18 | 15 | 12 | 10 | 8 | 6 | 4 | 2 | 1 |
포뮬러 1을 비롯해 많은 시리즈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포인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폴 포지션과 패스티스트 랩 보너스 포인트는 없다.
5. 팀 및 드라이버 라인업
2025 포뮬러 리저널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팀 및 드라이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5 시즌 | |||||||
소속 | 국적 | 성명 | No. | |||||
| | 류루이치 | 5 | |||||
| 난다붓 비롬바크디 | 7 | ||||||
| 마테오 데 팔로 | 8 | ||||||
| | 리 카나토 | 19 | |||||
| 카토 타이토[1] | 89 | ||||||
| 에반 질테어 | 95 | ||||||
| | 야마코시 히유 | 6 | |||||
| 페드로 클레로 | 22 | ||||||
| 디온 고우다[R][3] | 55 | ||||||
| | 라시드 알 다헤리 | 14 | |||||
| 프레디 슬레이터 | 27 | ||||||
| 도리안 핀 | 28 | ||||||
| 잭 비튼 | 45 | ||||||
| | 니키타 베드린[4] | 10 | |||||
| 팀 게르하르즈[R] | 50 | ||||||
| 야로슬라프 베셀라호 | 96 | ||||||
| | 마세오 카피에토 | 9 | |||||
| 발레리오 리니첼라 | 12 | ||||||
| 마이클 벨로프[6] | 20 | ||||||
| 재커리 데이비드 | 미정 | ||||||
| | 에두아르드 보르냐[R] | 2 | |||||
| 아르튀르 에게터[R] | 3 | ||||||
| 카츠페르 슈투카 | 35 | ||||||
| | 아디티야 쿨카르니[9] | 15 | |||||
| 사케르 알 마오셰르지[R] | 16 | ||||||
| | 미정 | 미정 | |||||
| 미정 | 미정 | ||||||
| | 나카무라 진 | 11 | |||||
| 엔초 델리니 | 23 | ||||||
| 아크샤이 보라 | 31 | ||||||
| | 예루이헝 | 21 | |||||
| 엔조 푸조 | 74 | ||||||
| 조반니 마스키오 | 99 |
[1] 카토는 일본 국적이지만, 프랑스 라이선스로 출전하고 있다.[R] 루키 트로피 대상자[3] 고우다는 인도 국적이지만, 영국 라이선스로 출전하고 있다.[4] 베드린은 러시아 국적이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 국적 선수의 참가가 금지되어 이탈리아 라이선스로 출전하고 있다.[R] [6] 벨로프는 러시아 국적이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 국적 선수의 참가가 금지되어 키르기스스탄 라이선스로 출전하고 있다.[R] [R] [9] 쿨카르니는 인도 국적이지만, 영국 라이선스로 출전하고 있다.[R]
}}}}}}}}} ||
6. 역대 챔피언
연도 | 이름 | 소속 팀 | 포인트 | 비고 |
2019년 |
프레데릭 베스티 | 프레마 파워팀 | 467 | 초대 챔피언, 최다 득점 챔피언 |
2020년 |
잔루카 페테코프 | 359 | ||
2021년 |
그레고아 소시 | ART 그랑프리 | 277 | 최저 득점 챔피언 |
2022년 |
디노 베가노비치 | 프레마 레이싱 | 300 | |
2023년 |
안드레아 키미 안토넬리 | 300 | ||
2024년 |
하파에우 카마라 | 309 |
6.1. 루키 챔피언
연도 | 이름 | 소속 팀 | 포인트[3] |
2019년 |
프레데릭 베스티 | 프레마 파워팀 | 506 |
2020년 |
잔루카 페테코프 | 430 | |
2021년 |
아이작 하자르 | R-ace GP | 166 |
2022년 |
레오나르도 포나롤리 | 트라이던트 레이싱 | 83 |
2023년 |
마르티니우스 스텐스후네 | R-ace GP | 261 |
2024년 |
노아 스트룀스테드 | RPM | 121 |
7. 역대 팀 챔피언
연도 | 팀명 | 포인트 |
2019년 |
프레마 파워팀 | 870 |
2020년 | 842 | |
2021년 |
R-ace GP | 481 |
2022년 |
프레마 레이싱 | 531 |
2023년 | 512 | |
2024년 | 575 |
8. 문서가 있는 출신 인물
8.1. 포뮬러 1 진출자
(괄호 안에 F1 출전 경력, FRECA 챔피언은 기울임체, 현역 F1 드라이버는 볼드체로 표시)- 가브리에우 보르툴레투 (2025~)
- 아이작 하자르 (2025~)
- 안드레아 키미 안토넬리 (2025~) - 2023년 FRECA 챔피언
- 프랑코 콜라핀토 (202416R~24R, 20257R~)
8.2. 포뮬러 2 진출자
(괄호 안에 F2 출전 경력, FRECA 챔피언은 기울임체, 현역 F2 드라이버는 볼드체로 표시)- 가브리엘레 미니 (202412R, 2025~)
- 댄 틱텀 (201812R, 2020~2021)[4]
- 데니스 하우게르 (2022~20241~12R)
- 디노 베가노비치 (202413~14R, 2025~) - 2022년 FRECA 챔피언
- 라우런스 판 회펀 (202512R~)
- 레오나르도 포나롤리 (202414R, 2025~)
- 마르티니우스 스텐스후네 (202512R~, 2026~)
- 사미 메게투니프 (2025)
- 세바스티안 몬토야 (2025~)
- 아르튀르 르클레르 (2023)
- 엔조 피티팔디 (20215R~7R~20241R~12R)
- 올리버 괴테 (202411R~14R, 2025~)
- 위리 빕스 (20207R~10R~2022)
- 제이크 휴즈 (202010R~20221R~8R)
- 제인 말로니 (202214R, 2023~2024)
- 조슈아 뒤르크센 (2024~2025)
- 존 베넷 (202413R~14R, 2025~)
- 폴 아론 (2024)
- 프레데릭 베스티 (2022~2023) - 2019년 FRECA 챔피언
8.3. 포뮬러 3 진출자
(괄호 안에 F3 출전 경력, FRECA 챔피언은 기울임체, 현역 F3 드라이버는 볼드체로 표시)- 그레고아 소시 (2022~2023) - 2021년 FRECA 챔피언
- 나카무라 진 (2026~)
- 노아 스트룀스테드 (202410R, 2025~)
- 노엘 레온 (2024~)
- 니콜라 라코르테 (2025~)
- 니키타 베드린 (2023~20251R)[5]
- 로만 빌린스키 (2025~)
- 리 카나토 (2026~)
- 마리 보야 (2023~)
- 마테오 데 팔로 (2026~)
- 마티아스 자가제타 (2024~)
- 브란도 바도어 (2025~)
- 알레상드로 쥐스티 (2025~)
- 야마코시 히유 (2026~)
- 엔초 델리니 (2026~)
- 올리버 라스무센 (2021~20222R~3R)
- 우고 우고추쿠 (2025~)
- 제임스 와튼 (20247R, 2025~)
- 찰리 부르츠 (2024~)
- 테오필 나엘 (2025~)
- 투카 타포넨 (20249R, 2025~)
- 팀 트람니츠 (2024~)
- 페드로 클레로 (2026~)
- 프레디 슬레이터 (20252R, 8R, 2026~)[6]
- 하파에우 카마라 (2025) - 2024년 FRECA 챔피언
- 헤세 카라스케도 주니어 (20255R~6R, 2026~)
[1] 알핀 브랜드를 사용하고는 있지만, 공식적인 제조사는 르노이다.[2] 베어먼과 린드블라드 모두 포뮬러 리저널 중동 챔피언십에 참가한 기록이 있긴 하지만, 둘 다 포뮬러 3 데뷔 시즌을 앞두고 몸풀기 성격으로 파트타임 출전한 것이기에 리저널 단계를 거쳐서 올라갔다고 보기는 힘들다. 린드블라드의 경우 포뮬러 2 데뷔 시즌인 2025년에는 포뮬러 리저널 오세아니아 챔피언십에 풀타임 출전해 챔피언 타이틀까지 따내기도 했다. 포뮬러 리저널 중동과 오세아니아의 경우 기후적 특성을 이용해 다른 대륙의 시리즈가 본격적으로 개막하기 전 시즌을 끝내기 때문에 FRECA를 비롯해 F3, 심지어는 F2에 진출한 드라이버까지도 메인 시리즈 개막에 앞서 몸풀기나 FIA 슈퍼 라이선스 포인트 획득을 위해 출전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안드레아 키미 안토넬리처럼 한 시즌에 FRECA와 포뮬러 리저널 중동 챔피언을 동시에 달성하는 경우도 있고, F2 출전 3년차에 포뮬러 리저널 아시안 챔피언십(당시 F3 아시안 챔피언십)에 출전해 챔피언을 따내면서 양민학살을 제대로 시전한 저우관위 같은 케이스도 있다.[3] 경기 결과에서 루키들만 따로 집계한 포인트이다. 루키들이 상위권에 포진해 있을 경우 전체 포인트와 차이가 없는 경우도 있다.[4] FRECA가 설립되기 전 이미 데뷔전을 치렀다.[5] FRECA 출전 후 F3로 승급한 것이 아닌, F3에 풀타임 출전하면서 FRECA를 병행한 특이한 케이스다. 특히 2024 시즌에는 1, 3, 5, 7~10라운드에 출전했는데, 파트타임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많은 라운드다.[6] FRECA 시즌이 개막하기 전 이미 F3 데뷔전을 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