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14:16:51

토야 키쿠노스케


파일:SMA.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Musician
Base Ball Bear CHEMISTRY Cody・Lee(李) DJ OZMA
iri krage LiSA milet
OKAMOTO'S PUFFY UNICORN UNISON SQUARE GARDEN
나나오아카리 니시노 카나 도쿄 스카 파라다이스 오케스트라 마고코로 브라더스
무라시타 코조† 사카구치 아미 삼보마스터 아다치 카나
야기 카이리 여왕벌 오쿠다 타미오 키무라 카에라
키시단 후지패브릭
Actor
나가세 리코 나리타 료 니카이도 후미 모리 나나
사쿠라이 카이토 와타나베 다이치 츠치야 타오 쿠라 유키
쿠라시나 카나 쿠로시마 유이나 타카다 리호 타케다 리나
히라이 아몬
Voice actor
미즈노 사쿠 야노 히나키 야마구치 료타로 이나미 안쥬
쿠스노키 토모리 토야 키쿠노스케 페이튼 나오미
Comedian
바이킹
}}}}}}}}} ||
<colbgcolor=#434a59,#010101><colcolor=#cedbea,#e3e3ee> 토야 키쿠노스케
戸谷 菊之介 | Kikunosuke Toya
<nopad> 파일:토야키쿠노스케_프로필.jpg
이름 토야 키쿠노스케
([ruby(戸, ruby=と)][ruby(谷, ruby=や)] [ruby(菊, ruby=きく)][ruby(之, ruby=の)][ruby(介, ruby=すけ)], Kikunosuke Toya)
출생 1998년 11월 30일 ([age(1998-11-30)]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5cm
직업 성우
소속사 소니 뮤직 아티스트
활동 시기 2018년 ~ 현재
취미・특기 게임(RPG, 액션게임), 재즈 피아노, 트롬본, 암기 · 암보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공식 프로필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출연작
2.1. 애니메이션2.2. 게임2.3. 프로젝트2.4. 오디오 드라마/보이스 코믹2.5. 라디오/방송
3. 기타

1. 개요

일본남성 성우.

2017년 10월에 열린 제6회 아니스토텔레스에서 특별상을 수상하여 소니 뮤직 아티스트에 소속되었으며 2018년에 게임 《윈드 보이즈!》의 키요시마 오우세이 역으로 데뷔하였다.[1] 2022년 8월 5일, 2022년 4분기 《체인소 맨》의 덴지 역으로 발표되어 애니메이션 첫 주인공을 맡았다.

덴지 역의 애니메이션 연기에 대해서 초창기에는 비판이 많았으나,《체인소 맨》과 콜라보한 게임[2]에서 감독의 지시 없이 덴지를 연기한 영상이 공개되면서 재평가되어 팬들의 호평이 급증했다. 충분히 팬들이 생각하던 덴지의 나사빠진 이미지를 연기할 수 있는데도, 본편에서는 완전히 무미건조한 책읽기 연기로 일관하는 것은 '영화같은 애니'에 집착하던 감독 나카야마 류의 지시에 따랐을 뿐이라는 것이 나카야마의 인터뷰를 통해 확정되었다. 4화에선 피가 부족해서 불완전한 체인소 맨이 된 상태에서의 나사 빠진 연기를 잘 해내 다시 평가가 반등하였다. 그 이후 매화 좋은 연기를 보여주며 호평을 받았으며, 감독이 교체된 체인소 맨 극장판 레제편에서 훨씬 발전한 연기력을 보여주어 연기력 논란을 종결시켰다. 이에 1기의 나카야마 류 감독은 "이렇게 덴지 연기를 잘하는 성우를 그렇게 밖에 못 써먹었냐." 라고 욕을 먹고 있다. 다른 작품에서도 신인치고 좋은 연기를 보여주고 있으며 점점 활동을 늘려가는 중.

오가타 메구미가 운영하는 성우학원 Team BareboAt에 3년간 다녔다. 그래서 자신의 스승은 오가타 메구미라고 공언한다. 중학생 때부터 개그맨이 되고 싶어서 이것저것 하다가 우연히 참가한 연극 워크샵을 계기로 '연기로 사람들을 웃길 수 있지 않을까'란 생각을 하게 되어 배우나 성우라는 선택지가 늘어났고, 아니스토텔레스에서 특별상을 받은 후 진심으로 성우가 되기 위해 이 학원에 다니며 연기의 기초부터 배웠다. 성우도감 인터뷰 오가타 메구미는 매우 엄격했으며 학원에서는 한 번도 칭찬을 받은 적이 없다고 한다. 하지만 오가타가 하는 지적은 다 일리가 있고 "이 사람에게 인정을 받으면 성공할 것이다." 라는 생각으로 배웠다고 한다. 그리고 데뷔하니까 오가타가 DM으로 격려의 말을 보내줘서 감격했다고 한다. # 졸업 이후로는 자주 안 만났던 것 같으나 푸른 미부로라는 작품에 함께 출연하면서 다시 만났다.

학창 시절 재즈를 좋아해서 트롬본 연주를 했으며 학교 선배 몇 명은 음악계에서 활동 중이라고 한다. 공식 유튜브에는 트롬본 연주 커버곡을 올리고 있다.재생목록 이런 경력이 있어 폐활량이 좋은지 긴 대사를 전부 한 호흡으로 해버릴 수 있는, 성우로서 상당한 장점을 갖추었다.

자필 프로필간토라고만 써놨기에 일단은 수도권 출신이다. 공식 프로필에 의하면 도쿄 출신이라고 한다. 친한 성우로 바바 준페이가 있는데 Team BareboAt에서 같이 연기를 배운 사이라며 절친이라고 한다.

2. 출연작

볼드체는 주연급 캐릭터

2.1. 애니메이션

2.2. 게임

  • 2020년
    • 아적기원 - 레오나르도, 병사B, 엔지니어

2.3. 프로젝트

2.4. 오디오 드라마[5]/보이스 코믹

2.5. 라디오/방송

  • 라디오 더블 디어 시즌 6(2023년 1월~3월) - 우메다 슈이치로와 공동 진행
  • 코이코이 라디오(2023년 4월 15일~)
  • MAN TWO MONTH RADIO 戸谷菊之介のとやかく言わずに聞くのすけ!(2023년 6월 5일~7월 31일)

3. 기타

  • 고등학교 때는 SHINee민호를 닮았다는 이야기를 자주 들었다고 한다. #

[1] 다만 캐스팅은 2018년부터 시작하여 2019년 3월 28일에 모두 공개되었지만 게임 출시는 2021년 11월 15일에서야 이뤄졌다.[2]몬스터 스트라이크》와 《하얀고양이 프로젝트》.[콜라보] [콜라보] [5] 라디오 드라마, 드라마 CD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