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킹덤 러쉬 프론티어|킹덤 러쉬 프론티어]]
1. 개요
전작과는 다르게 시작시 1렙으로 시작하여 적을 잡고 레벨을 올리는 형식이 아닌 레벨이 고정되어 영웅마다 1레벨에서 10레벨까지 적들을 잡고 육성하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모바일은 4가지 이외의 영웅은 모두 유료이고 pc는 특정 레밸 마다 유료 영웅을 준다.본 문서는 모든 영웅의 스탯을 패시브 스킬(강인함 등)이 풀업된 상태로 서술한다. 이외의 인게임에서 증가하는 스텟(보루 등)은 따로 분리해서 서술한다.
전작처럼 여러 영웅을 묶어서 할인하는 영웅팩이 랜덤하게 나오며, 모든 영웅이 묶인 패키지의 가격은 17,000원이다.
여담으로 어째 영웅들이 하나같이 다크 히어로, 안티 히어로 느낌이 물씬 난다. 아마도 사령술사 타워처럼 움브라의 존재 때문에 선하든 악하든 참전했을 확률이 높다.
2. 무료 영웅
2.1. 알릭
챔피언,알릭 (Alric) "Blood and sand!" | |||
공격 형태 | 물리 | 체력 | 560 |
공격력 | 27 - 40 | 공중 공격 | O |
방어력 | 65% | 리스폰 | 20초 |
특징 | |||
| |||
검술 (Swordsmanship)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2 / 3 | 공격력이 2/4/6 증가 | |
특징 | |||
| |||
가시 갑옷 (Spiked Armor)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2 / 3 | 받은 데미지의 10/30/60%를 반사. | |
특징 | |||
강인함 (Toughness)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2 / 3 | 최대체력이 30/60/90 증가 | |
특징 | |||
| |||
돌풍 (Flurry)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적에게 빠르게 2/4/6번을 공격함. | |
특징 | |||
| |||
모래 전사 (Sand Warriors)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0 / 1 / 2 / 3 | 2 / 2 / 2 | 8초동안 싸우는 공격력 2-6, 체력 60/100/140의 모래전사 1/2/3마리를 소환함. | |
특징 | |||
|
- 대사 목록
"Blood and sand!" "I have no fear!" "Stay Frosty!" "Till shade is gone!" (사망 시)"Ahhh!" |
2.2. 암살자,미라지(Mirage)
|
(무료. Dunes of Despair부터 개방) |
"They won't see me coming."
원거리형 암살자 영웅. 3레벨부터 시작. 적이 멀리 있으면 원거리 공격을 하며 가까이 있으면 검으로 공격한다. 공격력은 약하지만[3] 공격 속도가 빠르고 사정거리가 길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딜을 넣을 수 있어서 전체적인 Dps가 매우 준수한 편이며 강력한 순간딜을 자랑한다.
일정 확률로 즉사공격을 하는 "치명적인 일격"은 물론, "그림자의 춤"도 범위 내에 적이 하나밖에 없는 경우 대상 하나에게 모든 딜이 들어가기 때문에 높은 체력을 가지고 있는 적이라도 순식간에 체력 게이지를 깎아낸다. 아군 뒤에서 원거리 지원을 하면서 스킬 딜을 하는 것이 이상적인 포지션으로, 만렙을 찍은 미라지의 일반공격은 공격력, 공격 속도 모두 석궁초소와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스킬 쿨타임 동안에도 괜찮은 딜을 뽑아내며, "정밀함"과 "그림자 회피"의 효과로 꾸준히 안정적인 딜링이 가능하다. 미라지의 주 특징은 영웅들 중에서도 최상위의 높은 스킬딜로 확률 즉사기까지 갖고 있기 때문에 체력으로 밀고 들어오는 적들을 굉장히 잘 잡아낸다. 스킬셋 중 조건부 발동이 달린 게 없는 것도 가산점을 줄 만한 부분. 허나 일반 공격만으로 높은 체력의 적들을 단독으로 잡는 데에는 무리 가 있어 스킬 쿨타임을 기다려줄 병영의 지원이 꼭 필요하다. 이동 속도가 빠른 것 또한 엄청난 강점. 이 게임에서 타워와 더불어서 지속적으로 게임에 영향을 가할 수 있는 영웅이 합류를 쉽게 할 수 있다는 건 엄청난 이점이다. 적재적소에 달려가서 약한 전선을 봐줄 수 있으며 공중의 적 또한 견제가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4]
일정 확률로 즉사공격을 하는 "치명적인 일격"은 물론, "그림자의 춤"도 범위 내에 적이 하나밖에 없는 경우 대상 하나에게 모든 딜이 들어가기 때문에 높은 체력을 가지고 있는 적이라도 순식간에 체력 게이지를 깎아낸다. 아군 뒤에서 원거리 지원을 하면서 스킬 딜을 하는 것이 이상적인 포지션으로, 만렙을 찍은 미라지의 일반공격은 공격력, 공격 속도 모두 석궁초소와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스킬 쿨타임 동안에도 괜찮은 딜을 뽑아내며, "정밀함"과 "그림자 회피"의 효과로 꾸준히 안정적인 딜링이 가능하다. 미라지의 주 특징은 영웅들 중에서도 최상위의 높은 스킬딜로 확률 즉사기까지 갖고 있기 때문에 체력으로 밀고 들어오는 적들을 굉장히 잘 잡아낸다. 스킬셋 중 조건부 발동이 달린 게 없는 것도 가산점을 줄 만한 부분. 허나 일반 공격만으로 높은 체력의 적들을 단독으로 잡는 데에는 무리 가 있어 스킬 쿨타임을 기다려줄 병영의 지원이 꼭 필요하다. 이동 속도가 빠른 것 또한 엄청난 강점. 이 게임에서 타워와 더불어서 지속적으로 게임에 영향을 가할 수 있는 영웅이 합류를 쉽게 할 수 있다는 건 엄청난 이점이다. 적재적소에 달려가서 약한 전선을 봐줄 수 있으며 공중의 적 또한 견제가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4]
하지만 체력과 방어력이 매우 낮아 원거리 화력에 노출되면 순식간에 쓰러져 버린다.[5] 만렙기준으로 300밖에 안되는 체력에 방어력이 없어서 마도사 말라가르의 공격을 받고 한방에 죽어버리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도 발생한다. 퀸콩의 던지기 패턴이나, 움브라의 레이저에 맞기라도 하면 빌빌 긴다. 또한 가장 큰 문제는 레벨링과 캐릭의 운영이 어긋난다는 것. 이 게임에서 영웅은 타워만큼이나 중요한 존재로 레벨링을 꾸준히 해주는 게 중요한데, 미라지는 짤짤이를 하다가 암살 타이밍에 빼서 대형적에게 스킬을 박아야 하는 특이한 구조 때문에 만렙이 아닌 이상 하나의 효율을 포기해야 한다. 그림자의 춤은 몰라도 치명적인 일격이 잡몹에게 들어가는 순간, 정신에 제대로 된 치명타가 박힌다. 그리고 미라지의 스킬이 적절한 적에게 들어가게 하는 것이 늘상 쉽지는 않다. 대부분 혼자 나와서 위협적인 경우는 거의 없다. 여럿이서 몰려다녔을 때 성가시는 경우가 백배는 더 많고, 정예몹과 잡몹이 섞여버리면 이거 나름대로 타게팅을 잡아주기가 힘들다. 잡아야하는 주술사는 안잡고, 옆에 있는 야만족에게 즉사를 터뜨리는 미라지의 모습을 보면 분통이 같이 터질 수 있다. 즉사가 확률이라는 것도 단점이라면 단점인데, 대부분의 확률게임을 접해보면 알겠지만 잘 터질 땐 잘 터지고 안터질 땐 안터지기 때문에 운빨의 요소를 무시할 수가 없다. 그래서 체력이 1천을 상회하는 적들을 상대론 편차가 생각보다 심하다. 그리고 작정하고 밀려들어오는 물량엔 매우 약하다. 영웅 도전과 강철 도전에서 두드러지는 약점으로, 특히나 사막맵에선 진짜 약한데, 하나하나 때려잡아도 전선을 유지시키기가 어렵고 결국은 밀리게 된다. 딜탱이 가능한 알릭/군중제어기와 반영구 펫을 거느리며 재생으로 몸을 유지하는 크로넌/해골로 끊임없이 피해를 때려박아 제압하는 브룩사와 달리 미라지는 작정하고 미는 물량에 대처하는 게 쉽지 않다. 그림자의 춤의 존재가 그나마 커버를 쳐주긴 하나, 물량은 나눠져서 큰 피해를 거의 못 입히는 경우가 부지기수. 다시 말해 물량 대처 능력은 크게 떨어지며 캐릭 자체가 불안정한 감이 있다.[6]
우수한 기동성을 이용해 동분서주하며 적절한 타겟에게 스킬이 들어가도록 컨트롤 해줘야 하는 상급자용 영웅.
"그림자 회피"의 효과로 가만히 세워둬도 조금씩 라인을 따라 뒤쪽으로 후퇴하기 때문에 길막용으로 쓰기에도 적합하지 않다고는 하지만 애초부터 미라지가 길막용 캐가 아니라서 큰 문제가 아니다. 뒤로 가서 짤짤이를 박으면서 스킬 쿨타임을 버는 것이 더 이득인 경우도 많고.
"그림자 회피"의 효과로 가만히 세워둬도 조금씩 라인을 따라 뒤쪽으로 후퇴하기 때문에 길막용으로 쓰기에도 적합하지 않다고는 하지만 애초부터 미라지가 길막용 캐가 아니라서 큰 문제가 아니다. 뒤로 가서 짤짤이를 박으면서 스킬 쿨타임을 버는 것이 더 이득인 경우도 많고.
오류 수정 패치로 스킬들이 트루 대미지를 주게 바뀌면서 할로윈 맵에서 쓸모가 많아졌다.
원거리 유닛인 미라지의 운영기반을 만들어주는 스킬.
하지만 전투를 벗어나서 체력 회복을 해야 하는데, 긴 사거리 때문에 전투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단점도 될 수 있다.
영웅의 생존률을 올려주지만 미라지를 라인에서 길막용으로 쓸 수 없게 만드는 기술. 때문에 1업글만 한뒤 마지막에 업글하는 것을 추천한다. 여담이지만 라인의 최후미에서는 발동하더라도 제자리다.
잔챙이와 정예몹 모두에게 좋은 효율을 보이는 특이한 스킬. 쿨타임도 꽤나 짧은 주력스킬이다.
확률 즉사기라서 즉사가 실패하는 순간 평범한 단일기가 되지만 15초짜리 스킬 치고는 데미지가 나쁘진 않다. 또한 이 기술에 타게팅된 적은 아주 잠깐 멈칫하므로 잠깐 무력화를 시킬 수 있다.
2.3. 크로넌
편집 중입니다.
야수왕,크로넌 (Cronan) "Blood and sand!" | |||
공격 형태 | 물리 | 체력 | 550 |
공격력 | 15 - 23 | 공중 공격 | X[7] |
방어력 | 없음 | 리스폰 | 20초 |
특징 | |||
굳이 알릭과 비교하자면 알릭은 대미지 누적으로 빠르게 적을 제거해 나가면서도 모래 전사를 통한 잡몹 길막이 가능한 딜탱형 디펜더고, 크로넌은 아군 포탑에게 모든 딜을 맡기고 온통 방어형, 길막, 버티기 위주로 스킬이 짜여져 있는 진퉁 디펜더이다. 만렙을 기준으로 체력은 550으로 꽤 되는 편이고, 재생 때문에 전선 유지력이 좋다.[9] 알릭과 비슷한 면이 있기 때문에 늑대류나 거미류를 잘 상대하며, 당연히 만날 수만 있다면 잠복벌레도 잘 잡는다. 물량 상대로는 알릭의 비해 저지력이 높다. 게다가 군중제어기를 갖췄기 때문에 상황을 조금이나마 뒤집을 수 있다. 운을 좀 타지만 포병과 연계가 가능한데, 포병과 코뿔소떼의 타이밍이 적재적소에 순차적으로 들어가면 적을 거기에 오래 묶어버리는 게 가능하다.[10] 그러나 공격력은 만렙 기준 15~23 밖에 안되는 처참한 수준이며,[11] 이는 멧돼지들의 스펙 또한 다를 게 없다. 탱킹용으로 만들어진 멧돼지들이 방어력이 일체없는 건 물론 체력은 모든 영웅보다도 낮고, 데미지는 2~8이라는 처참한 수준이라는 게 큰 단점이다. 즉 크로넌 자체는 잘 안죽는데, 그 놈의 멧돼지들이 종종 행방불명 된다. 그렇다고 리스폰이 빠르지도 않고, 안그래도 그렇게 빈약한 놈들이 크로넌보다 앞에 서기 때문에 적들을 먼저 맞이하며, 죽음을 맞이한다. 그래서 어느샌가 외롭게 채찍질을 날리는 크로넌도 종종 볼 수 있다. 머릿수의 장점이 그 누구보다 빠르게 종종 사라지며, 이는 크로넌이 알릭에 비해서 지속 교전 탱킹에서 밀리는 이유이다. 본인의 탱킹은 전혀 꿀리지 않지만, 팀차이를 당하기 때문에 공격력은 약한데 물량으로 오는 적들을 상대하는 것 이외에는 힘이 후달린다. 채찍질과 추후 출혈의 피해량이야 강력하긴 하지만, 순간적으로 적을 빠르게 잘라내지 못한다. 긴급하게 자르고 다른 쪽에 가야하는 상황이라면 결국 진퇴양난. 즉 혼자서 적을 처리하기 가장 힘든 두 영웅 중 하나로[12] 타워와의 협동이 가장 중요한 영웅이라고 볼 수 있다. 위에 적었듯 레벨링 또한 느리다는 것도 치명적인 약점. | |||
검술 (Swordsmanship)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2 / 3 | 공격력이 2/4/6 증가 | |
특징 | |||
| |||
가시 갑옷 (Spiked Armor)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2 / 3 | 받은 데미지의 10/30/60%를 반사. | |
특징 | |||
강인함 (Toughness)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2 / 3 | 최대체력이 30/60/90 증가 | |
특징 | |||
| |||
돌풍 (Flurry)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적에게 빠르게 2/4/6번을 공격함. | |
특징 | |||
| |||
모래 전사 (Sand Warriors)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0 / 1 / 2 / 3 | 2 / 2 / 2 | 8초동안 싸우는 공격력 2-6, 체력 60/100/140의 모래전사 1/2/3마리를 소환함. | |
특징 | |||
|
- 대사 목록
|
(무료. Crimson Valley부터 개방) |
"Master... Beastmaster!"
전투중에 쓰러지면 약 18초 후에 재소환된다.
공중 공격 및 이동 공격이 가능하다.
2.4. 부두마녀,브룩사(Bruxa)
|
(무료. Lost Jungle부터 개방) |
"The payment is fair."
딜링이 어마어마한 부두술사 영웅. 5레벨부터 시작한다. 준수한 기본 공격과 주변을 날아다니는 해골의 연계공격으로 강력한 폭딜을 날릴 수 있다. 또한 본체가 움직여도 주딜인 해골들이 계속 공격하기 때문에 본체를 이리저리 컨트롤 하면 사실상 무적인 상태로 슬로우와 공격을 퍼붓는 꼼수도 가능하다. 3렙 마법사 타워 정도의 역할은 가뿐히 해내며 새나 박쥐 등 공중형 유닛을 공중공격 타워 없이 홀로 막아낼 수도 있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이 있다면 원하는 타이밍에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희생의 해골" 스킬의 영향으로 의도치 않게 딜량 감소를 겪을 수 있으니 가급적 꾸준하게 적들을 죽여 해골을 보충할 수 있는 환경에서 딜을 넣어야 적절한 운영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마법공격 영웅이라 기생충, 나가, 거미 등등을 상대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무료영웅 중에 유일한 마법 공격을 하는 영웅이며, 그 덕에 물리 방어력이 존재하는 적들을 상대하기에 수월한 편이다. 이것이 강점이 될 때는 정글 스테이지 대지술사를 상대할 때로, 다른 무료영웅들이 대지술사에게 스킬을 박기 위해 타게팅하고, 마크하고 부족토템을 올리고 하는 등, 별 생쇼를 다해서 때려잡는 것에 반해 브룩사는 마법사 타워 하나만 지어준 채 업글만 시켜주면 대지술사를 어렵지 않게 제압할 수 있다. 부두술사라는 직업에 맞게 언데드 맵에서도 쓸만하다. 브룩사 또한 물량에 상당히 강한 편이다. 알릭과 크로넌은 물량을 묶어두는 것에 강하다면, 브룩사는 아예 때려잡는다. 적을 죽고 죽이는 난전에서 매우 강한 모습을 보이며, 물량을 오는 족족 제압하는 무적의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다.[14] 기본 구조는 짤짤이지만 이 순간만큼은 쉴새없는 폭딜러로 변모하며 아무도 막을 수 없게 된다. 거미들을 상대로 고전할 것 같지만[15] 해골들의 딜이 원최 살벌하고, 부두 주술의 존재 때문에 생각보다 잘 때려잡는다. 공중의 적도 스킬까지 박으며 노릴 수 있다는 것도 장기.
하지만 정예몹 같이 체력이 높은 적들을 상대로는 늘상 해골 수난시대를 겪어 딜이 급감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해골들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서 피해는 내려가고, 적을 때려잡지 못하니 해골 공급이 되지 않는 무한 순환을 맛볼 수 있다. 이 경우 공포의 오라를 조금씩 묻혀주는 거리에서 피해를 주는 운영 말고는 다른 해답이 없다. 무엇보다도 이런 특성 때문에 교전을 계속해서 강요받는다. 그리고 태생이 원거리인만큼 본인 또한 몸이 빈약하며, 딜량이 일관되지 않아서 다소곳 딜 계산이 까다롭다.
미라지와 비교하자면 이 쪽은 계속해서 지속딜을 누적시키는 전형적인 원거리 딜러라면 미라지는 한방에 폭딜을 퍼붓고, 빠른 기동성과 긴 사거리을 통한 유틸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참고로 브룩사가 미라지보다 체력이 50 더 높다.
브룩사가 이동중일 때도 해골은 공격을 한다.
적 하나당 최대 공격력은 18/36/54. "웃는 해골" 과 마찬가지로 이동중 공격 가능.
소비한 해골은 주변에서 적이 죽을 때마다 추가된다. 이 스킬을 찍지 않을 경우 브룩사의 해골은 2개밖에 저장하지 못하므로 빨리 찍도록 하자.
포병타워와 궁합이 매우 좋으며, 이동 속도가 빠른 적들을 조금이나마 잡아둘 수 있다.
여담으로 패치가 되기 전의 초기에는 5명이 아닌 맵 상의 같은 유형의 모든 적에게 대미지를 주었으나 지나친 성능으로 인하여 이내 패치되었다. 좀비나 사우리안처럼 물량으로 승부하는 몬스터 모두에게 보라색 바늘이 꽂히는 모습이 압권이었으나 이제는 볼 수 없게 되었다.
3. 유료 영웅
3.1. 블랙쏜선장
해상강도,블랙쏜선장 (Captain Blackthrone) "Where be the treasure?" | |||
공격 형태 | 물리 | 체력 | 630 |
공격력 | 40 - 59 | 공중 공격 | X[16] |
방어력 | 없음 | 리스폰 | 20초 |
특징 | |||
| |||
검술 (Swordsmanship)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2 / 3 | 공격력이 3/6/9 증가 | |
특징 | |||
| |||
소매치기 (Looting)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주변에서 적이 죽으면 10/20/30%의 추가골드를 획득함. | |
특징 | |||
| |||
강인함 (Toughness)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lackthorn_3.png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1 / 1 | 최대체력이 30/60/90 증가 | |
특징 | |||
| |||
폭탄 럼주통 (Rum and Bang)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상공에서 폭탄 럼주통을 터트려 4/6/8개의 불씨를 흩뿌리고 각 불씨는 12/14/15의 피해를 줌. | |
특징 | |||
| |||
크라켄 소환 (Release the Kraken)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3 / 3 / 3 | 3초동안 소용돌이 위로 지나가는 적 또는 위에 있던 적을 크라켄 다리로 속박시키고 초당 9데미지를 줌. 이후 해당 적의 이속이 잠시동안 20/50/75% 감속함. | |
특징 | |||
|
- 대사 목록
"Ahoy matey!" "Where be the treasure?" "Drink up, me hearties, yo-ho!" "Hoist t' colors!" (사망 시) "Yarg!" |
3.2. 니버스
대마법사,니버스 (Nivus) "Excelsior!" | |||
공격 형태 | 마법 | 체력 | 250 |
공격력 | 35 - 80 | 공중 공격 | O |
방어력 | 없음 | 리스폰 | 18초 |
특징 | |||
| |||
마법탄 (Magic Missile)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2 / 3 | 12/18/24의 마법 피해를 주는 유도 매직 미사일을 3/5/7개 발사. | |
특징 | |||
| |||
연쇄 주문 (Chain Spell)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다음 일반공격이 최대 2/3/4명의 적을 동시에 공격함. | |
특징 | |||
| |||
분해술 (Disintegrate)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3 / 3 / 3 | 범위내 모든 적의 체력의 합이 170/330/480 이하일때 전원 즉사시킴. | |
특징 | |||
| |||
비전의 손길 (Arcane Reach)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사거리가 10/20/30% 증가. | |
특징 | |||
| |||
비전술 집중 (Arcane Focus)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2 / 3 | 공격력이 2/4/6 증가. | |
특징 | |||
|
- 대사 목록
"Excelsior!" "Merlin's pants!" "A wizard is never late." "Boom-shaka-laka!" (사망 시) "Noooo!" |
3.3. 디어드레
여사제,디어드레 (Dierdre) | |||
공격 형태 | 마법 | 체력 | 540 |
공격력 | 11 - 32 | 공중 공격 | O |
방어력 | 75% | 리스폰 | 15초 |
특징 | |||
| |||
성스러운 빛 (Holy Light)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2 / 3 | 최대 2/3/4명의 유닛에게 각각 25/50/75씩 회복시키고 10/20/30% 확률로 죽은 아군을 되살림. | |
특징 | |||
| |||
축성 (Consecrate)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타워 하나에 6/10/14초동안 공격력 15/20/25% 버프를 걺. | |
특징 | |||
| |||
빛의 날개 (Wings of Light)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3 / 1 / 1 | 디어드레가 순간이동을 할수 있게되며, 디어드레가 승천한 지점과 도착 지점 주변에 있던 유닛들은 10/20/30초동안 20%의 추가 방어력을 얻음. | |
특징 | |||
| |||
축복받은 갑옷 (Blessed Armor)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방어력이 25/50/75%로 증가. | |
특징 | |||
| |||
고귀한 생명력 (Divine Health)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2 / 3 | cpfurdl 30/60/90증가. | |
특징 | |||
|
- 대사 목록
"Hallelujah!" "For the fallen!" "Purification is at hand..." "My faithful, join me!" "Say your prayers." (사망 시) "The Light, it shines..." |
3.4. 그로울
돌 거인,그로울 (Grawl) "Let there be rock!" | |||
공격 형태 | 물리 | 체력 | 900 |
공격력 | 24 - 37[20] | 공중 공격 | X |
방어력 | 50% | 리스폰 | 25초 |
특징 | |||
| |||
바위 던지기 (Boulder Throw)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멀리서 바위를 던져 적들에게 20-40/40-60/60-100의 범위 물리 피해를 입힘. | |
특징 | |||
| |||
대지 강타 (Stomp)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땅을 4/6/8회 내려쳐 타격당 주변 적들에게 12/14/16의 물리 피해를 주고 감속시키며 2/3/4초 스턴시킴. | |
특징 | |||
| |||
보루 (Bastion)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1 / 1 | 이동하지 않을시 공격력이 최대 6/12/18 증가. | |
특징 | |||
| |||
파편 주먹 (Shard Punch)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3 / 3 / 3 | 적에게 60/120/180의 무속성 피해를 주고[22] 만약 적의 현재체력의 3배가 그로울의 현재체력 이하일때 10/20/30% 확률로 즉사시킴. | |
특징 | |||
| |||
강인한 바위 (Hard Rock)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0 / 1 / 2 / 3 | 1 / 2 / 3 | 최대체력이 50/100/150 증가. | |
특징 | |||
|
3.5. 샤트라
하늘 사냥꾼,샤트라 (Sha'Tra) "Edih Nori!"[23] | |||
공격 형태 | 무속성[24] | 체력 | 400 |
공격력 | 37-49 | 공중 공격 | X |
방어력 | 40% | 리스폰 | 25초 |
특징 | |||
| |||
에너지 글레이브 (Energy Glaive)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22/30/35의 무속성피해를 주는 글레이브를 던지고 글레이브는 30/40/50% 확률로 다른적에게 튕길수 있음. | |
특징 | |||
| |||
오염 정화 (Purification Protocol)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1/2/3초간 드론을 생성하여 공격당 80/160/240의 무속성 피해를 줌. | |
특징 | |||
| |||
납치 (Abduction)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3 / 4 / 4 | 체력총합 250/600/1000이하인 1/2/3명의 적들(또는 아무 적 하나[25])을 납치. | |
특징 | |||
| |||
진동검 (Vibro Blades)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1 / 1 | 기본 공격이 물리 방어력을 무시할수 있으며 기본 공력력 총 5/10/15만큼 증가. | |
특징 | |||
| |||
최후의 초시계 (Final Countdown)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0 / 1 / 2 / 3 | 1 / 1 / 1 | 죽을때 샤트라가 터지며 주변 적들에게 100/160/220의 무속성 피해를 줌. | |
특징 | |||
|
3.6. 카르키노스
전투의 달인,카르키노스(Karkinos) "I am Karkinos!" | |||
공격 형태 | 물리 | 체력 | 500 |
공격력 | 34-62 | 공중 공격 | X |
방어력 | 35% | 리스폰 | 25초 |
특징 | |||
| |||
무쇠 집게발 (Iron Pincer)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3 | 공격력이 5/5/10증가. | |
특징 | |||
| |||
전투 철갑 (Battle Hardened)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1 / 1 | 카르키노스의 현재 체력이 최대 체력의 40%미만일때 공격당하면 35/50/65% 확률로 4초동안 무적이 됨. | |
특징 | |||
| |||
집게발 공격 (Pincer Attack)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집게를 뻗어 직선상의 적에게 15-35/25-75/50-100[29]의 무속성 피해를 줌 | |
특징 | |||
| |||
접착포 (Shoulder Cannon)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Karkinos_4.png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접착탄을 발사해 30/45/70의 물리 피해를 주고 맞은 적들을 4/5/8초동안 40/50/60% 감속시킴. | |
특징 | |||
| |||
굴 파기 (Burrow)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0 / 1 / 2 / 3 | 1 / 1 / 1 | 카르키노스가 지중이동을 하게되며 이속이 60/120/180% 증가. | |
특징 | |||
|
3.7. 수도사,쿠차오(Kutsao)
|
(₩6,000) |
"Shapeless like water."
권법가 영웅. 동일 가격의 영웅들에 비해 기본 능력치는 낮으며 맷집도 약한 축에 속하나 이런 단점을 다양한 스킬로 커버하는 영웅이다. 쿠차오의 막강한 1대1 능력은 독사권과 학권의 우수한 시너지에서 비롯된다. 자신과 대치하고 있는 적의 공격력을 60% 깎고, 60%의 확률로 공격을 회피하기 때문에 적이 쿠차오에게 가하는 공격을 이론상 16%까지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막강한 공격력을 자랑하는 준보스급 적이라 할 지라도 장시간 붙들어 놓으며 타워들과 함께 두들길 수 있다. 공격스킬 또한 범위공격, 단일대상 공격 스킬을 두루 가지고 있어 우수한 편이다. 이를 증명하듯 전갈, 처형집행자, 고릴론 같은 적들도 맨손으로 때려붙잡으나...
정작 쿠차오가 메인으로 붙잡고 있어야할 사우리안 폭군, 붉은껍질, 라이칸등에는 무력한 모습을 보인다. 전갈이나 처형집행자같은 적은 체력만 높지, 개별 스펙은 낮아서 물량으로 나와도 타워배치만 잘 되어있다면 쉽게 물리칠 수 있는 적이다. 허나 폭군같은 적은 체력은 물론, 공격력도 매우매우 높다. 따라서 아군에게 직접적으로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적인데 가장 붙잡아야될 적들을 상대로 무력한 모습을 보인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쿠차오의 모든 능력을 무의미하게 만들게 된다. 이를 기점으로 쿠차오는 후반부맵에선 제대로된 활약을 하기 어려워지며 그에따른 쿠차오의 활용도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이 모든것을 종합해 보았을 때 쿠차오는 카르키노스만큼이나 활용도가 제로에 가깝다.1대1을 하기엔 후반부 스펙높은 적들을 상대로 거의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데다 군중제어를 하기엔 범위스킬이 시원치 않은 상황이다. 가장 큰 문제는 기술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스킬인 표범권이 양날의 검이다. 분명히 단일로 7대가 들어가고 그 사이에는 적이 움직이는 못하는 것과 데미지는 받지 않는[30] 장점이 존재하나, 문제는 다수의 적이 몰려올 때 표범권 시전 시간동안 돌아다니다가 마크하는 적을 흘려버리는 경우가 있고 스킬의 배분도 잘 못한다. 적들이 여럿이서 뭉쳐있는 걸 보고 용권을 쓰게 적진 한가운데로 보냈는데 표범권이나 쓰다가 먼저 몇 명을 흘리고 시작하는 일이 다반사인건 물론이고 용권의 선딜레이로 인해서 원거리 공격에 맞아 먼저 녹아버리기도 하며 독사권과 호권을 잘 쓰지도 않는다. 특히나 호권이 제일 심각한데, 방어력을 무시하고 피해를 박는 호권이 쓰이는 일이 거의 없다. 표범권>용권>학권 두세 번>독사권>학권 한두 번-->호권 일반적으로 순서가 이렇다. 즉 쿠차오가 단일 적에게 확실하게 피해를 욱여넣을 수단을 잘 안쓴다. 그렇다고 쿨타임을 그렇게 감안해서라도 상위권의 이점을 가졌다면 그것도 아니다. 이미 쿠차오보다 딜링이 센 캐릭터는 물론이고 방어력을 무시하고 날려버리는 스킬을 가진 영웅들조차 이 정도로 쿨타임이 길지 않다. 심지어 그 메리트부터가 격이 다른 수준이라 비교가 성립되지 않는다. 스킬은 5개이나 사실상 3개로 싸우는 꼴이랑 다른게 없고, 스펙 자체도 저열해서 시간이 지날수록 운영이 버거워진다.[31][32] 스펙을 전체적으로 낮게 설정한 대신 스킬로 그것을 보안하는 구조를 갖췄으나, 정작 스킬의 활용이 매끄럽지가 않아서 성능이 처참해진 케이스.
각 웨이브의 어느 구간에서 상대하기 까다로운 적이 나오는지를 숙지하고 최적의 위치에 옮겨주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물량과 정예몹이 같이 온다면 물량을 먼저 상대시키는 게 낫다. 정예몹을 상대로 버티는 건 학권에 의존도가 높은 것은 물론이고 체력이 낮은 쿠차오가 치명상을 입을 확률이 크기 때문. 차라리 물량이라도 제거해서 타워의 포커싱을 정예몹에게 향하게 하는 게 낫다.
각 웨이브의 어느 구간에서 상대하기 까다로운 적이 나오는지를 숙지하고 최적의 위치에 옮겨주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물량과 정예몹이 같이 온다면 물량을 먼저 상대시키는 게 낫다. 정예몹을 상대로 버티는 건 학권에 의존도가 높은 것은 물론이고 체력이 낮은 쿠차오가 치명상을 입을 확률이 크기 때문. 차라리 물량이라도 제거해서 타워의 포커싱을 정예몹에게 향하게 하는 게 낫다.
여담으로 거북할 정도로 매우 강한 동양권 악센트를 사용하며 찰진 기합소리를 가지고 있다.
모티브는 드래곤볼의 그것으로 보인다.
최대 7번 공격하며 각각 14~42의 대미지를 준다.
여담으로 이 능력의 타이밍만 맞아떨어진다면 어떠한 데미지도 씹을 수는 있다. 흡혈도 타이밍이 잘맞으면 그대로 카운터 먹여서 회복할 기회도 안주고 보내줄 수 있다.
3.8. 단테
사냥꾼,단테 (Dante) "I'm the best at what I do." | |||
공격 형태 | 물리 | 체력 | 500 |
공격력 | 46-68 | 공중 공격 | O |
방어력 | 없음 | 리스폰 | 15초 |
특징 | |||
| |||
쌍권총 난사 (Akimbo Style)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쌍권총으로 4/6/8번 난사하여 각 발포당 40의 물리 데미지를 줌. | |
특징 | |||
| |||
은탄환 (Silver Bullet)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3 / 3 / 3 | 140/230/320의 무속성 피해를 주는 은탄환을 쏨. | |
특징 | |||
| |||
성수탄 (Holy Grenade)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적에게 성수탄을 던져 주문을 5/10/15초동안 봉인. | |
특징 | |||
| |||
권능의 유물 (Relic of Power)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적 하나의 방어력을 25/50/100% 감소시킴. | |
특징 | |||
| |||
빛의 봉화 (Beacon of Light)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0 / 1 / 2 / 3 | 1 / 1 / 1 | 단테 주변에 있는 아군들은 공격력이 15/30/50% 증가하고, 이 스킬을 찍을시 단테가 죽어도 유령 상태로 돌아다닐수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도 빛의 봉화가 적용됨. | |
특징 | |||
|
3.9. 카즈
전투군주,카즈(Kahz) "Where's the beef?" | |||
공격 형태 | 물리 | 체력 | 500 |
공격력 | 34-62 | 공중 공격 | X |
방어력 | 35% | 리스폰 | 25초 |
특징 | |||
| |||
황소 돌진 (Bull Rush)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한 적에게 돌진하면서 지나치는 모든 적을 2/3/4초동안 스턴시키고 10-20/15-35/20-50의 피해를 줌. | |
특징 | |||
| |||
피의 도끼 (Blood Axe)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1 / 1 | 매 공격이 10%확률로 2/3/4배의 무속성 피해를 줌. | |
특징 | |||
| |||
다이달로스의 미궁 (Daedalus' Maze)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출구와 가장 가까운 적을 카즈 앞으로 순간이동 시키고 2/4/6초동안 기절시킴. | |
특징 | |||
| |||
분노의 함성 (Roar of Fury)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3 / 3 / 3 | 모든 타워의 공격력을 4초동안 25/50/75% 상승시킴. | |
특징 | |||
| |||
파멸의 회오리 (Doom Spin)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회전을 해 16-48/32-96/48-144의 물리 피해를 줌. | |
특징 | |||
|
3.10. 드래곤,애쉬바이트(Ashbite)
|
(₩8,500) |
"Grrrr!"[33]
용 영웅. 8500원으로 살 수 있다. 비싼만큼 레벨은 6부터 시작하며, 이는 본하트도 마찬가지다. 공중을 날아다니고 피통은 많은 편이지만 방어력이 없으므로 대공다굴 당하면 금세 죽는다. 스킬들은 강력한 공중지원에 특화되어있다. 불덩이를 쏘며 대공, 대지 전부 공격가능. 단 최소 사거리가 있어서 바로 밑의 적이나 근접한 적에게는 공격을 못한다. 독 내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나 이 캐릭터의 공격범위가 정말 애매하기 때문에 배치가 가장 중요한 영웅이다. 잘못 배치해 놓으면 평타공격은 안하고 스킬만 쓰다가 게임이 끝나버리기도 한다. 대체로 타워 바로 위나 병영유닛 뒤에 놓는 것이 좋다.
특히나 이 캐릭터의 공격범위가 정말 애매하기 때문에 배치가 가장 중요한 영웅이다. 잘못 배치해 놓으면 평타공격은 안하고 스킬만 쓰다가 게임이 끝나버리기도 한다. 대체로 타워 바로 위나 병영유닛 뒤에 놓는 것이 좋다.
가장 눈에 튀는 특성은 당연히 비행. 원거리 적들이 있지 않은 이상 공격받을 일 자체가 없다는 건 정말 큰 장점으로 적들과의 상호작용이 대부분 일방적인 상태가 되기 때문에 기생충에게 먹힐 일도, 식인식물에게 삼켜질 일도, 모래괴물의 입속에 들어갈 일도 없다. 판타지에서 신을 제외하고 가장 절대적인 존재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캐릭터로 바다 한가운데에 배치하는 짓도 가능하며, 맵이라면 어디든지 배치가 가능하다. 원거리가 아닌 이상 타게팅이 불가하기 때문에 보스를 상대로 내뺄 필요도 딱히 없다.[34] 체력관리가 한결 쉬운 것도 비행에서 찾아오는 강점.
그럼에도 체력은 600이라 원거리들에게 다구리를 받는다고 해도 재빠르게 후퇴시키면 살릴 수 있다. 만렙 기준으로 피해량도 34~50으로 어지간한 영웅들 평균에 뒤지지 않는 화력이 나오는데다가, 이는 평타 피해량만의 수치일 뿐 불의 권능을 찍어서 패시브가 가해지면 피해량이 30이나 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는 훨씬 더 커진다. 딱 두 번만 쳐도 100에 근접하는 피해량이 무조건 나오는지라 박아넣는 피해수치는 웬만한 영웅들을 상회한다. 이에 견줄만한 건 극딜 마법사 영웅과 단테/카즈 정도. 하지만 더 무서운 사실은 애쉬바이트는 방어력과 저항력을 완전히 무시한다.[35] 두 용을 제외한 나머지 영웅들은 반드시 물리 아니면 마법 피해를 갖추고 있는데, 애쉬바이트는 애초에 화염이라서 유성우처럼 물리 방어와 마법저항을 씹어먹는다. 즉 어떤 방어를 두르고 나오던 화염 앞에 평등하게 바베큐로 바뀌게 되며, 유령에게도 화염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튀어나온 유령들을 대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안그래도 강한 피해를 지녔는데, 방어개념이 무의미하다는 점이 진짜 엄청난 강점. 그렇게 단단한 붉은 껍질도 애쉬바이트가 지속적으로 구워주고 있으면 생각보다는 빨리 잡는다. 길막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그리 눈에 튀는 약점은 아니다. 워낙에 강력해서 그 정도의 단점은 충분히 상회하며 부족한 길막 능력은 병영과 지원군을 적절히 배치하면 해결이 되며 피해량이 풀렙 타워만큼이나 뛰어나서 화력타워 대신 병영 하나 더 깔아도 충분히 적들을 때려잡는다. 또한 확률 즉사기를 갖추고 있으며, 불의 숨결이 다소 약한 지상 저지력을 보완해준다. 그리고 이런 놈이 독에 내성이 있어서 컨트롤이 조금 번거로운 걸 제외하면 진짜 좋은 영웅이다.[36]
다만 공중 유닛 주제에 공중을 향해 던지는 스킬이 아무것도 없다. 이상하게 공중 저지력이 조금 약한 영웅으로 이는 지상이지만 공중 유닛에게 스킬을 박을 수 있는 마법사류 영웅이나 샤트라와 비교된다. 그리고 위에 서술했듯 컨트롤이 조금 까다롭다. 액티브 스킬들의 사거리는 평타 사거리보다 긴데, 가끔씩 보면 액티브가 닿는 거리를 보고 평타가 닿을거라고 생각해서 방치했더니 위에서 관전을 하고 있는 경우도 종종 있고, 평타 사거리가 닿는 지 시험하려했더니 갑자기 액티브 스킬만 골라써서 체크가 늦어질 때도 있고, 특히나 공중에 떠있어서 위치확인은 안어렵지만 적을 인식하는 지 못하는 지는 한눈에 인지하기 어려울 때가 가끔 가다 있다. 그리고 확률 즉사기가 어느 암살자 영웅과 비슷하게 상황에 따라 편차가 심하며 기대할만한 건 아니다.
아군 영웅이지만 생김새는 악역에 가까운데 리니리아에서도 도대체 자기들을 돕는 이유를 모른다고.. 후작인 오리진에서도 아군새끼용으로 나오는데 파우스투스, 베레사드와 함께 창조되었고 기본적으로 착하지만 생김새 때문에 오해를 받는 모양.
아군 영웅이지만 생김새는 악역에 가까운데 리니리아에서도 도대체 자기들을 돕는 이유를 모른다고.. 후작인 오리진에서도 아군새끼용으로 나오는데 파우스투스, 베레사드와 함께 창조되었고 기본적으로 착하지만 생김새 때문에 오해를 받는 모양.
대미지가 약해보이지만 불의 권능을 합하면 86정도의 딜이 들어간다. 게다가 쿨타임도 짧고 사거리도 길어서 쓸만하다.
소형 적은 씹어먹어 즉사시키며 중/대형 적에게는 80/140/200 데미지 또는 20/30/40% 확률로 즉사시킨다.
용의 사각지대인 바로 아래 부분에 적이 지나가면 발동한다. 참고로 해양맵에 나오는 '배'도 잡아 먹을 수 있다.
광역공격을 하는 타워 옆에 깔리면 좋은 스킬. 포병이 없다고 해도 예쁘게 모인 적에 브레스 먹이기에도 좋다.
이 스킬은 워낙 딜레이가 길어서 애쉬바이트의 DPS를 깎아먹기 일쑤인데, 스킬이 발동하자마자 애쉬바이트를 다른 장소로 옮겨주면 모션이 스킵되면서 DPS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38]
사거리가 넓고 대미지가 상당히 좋은데다 쿨타임도 적당해서 잡몹처리용으로 안성맞춤이다.
어지간히 작은 몹이 아니면 반 정도는 맞는데다 불의 권능 효과까지 적용되므로 잡몹 처리 효과는 더 뛰어나다.
애쉬바이트 DPS의 핵심이므로 꼭 찍어주자. 먹이 사냥과 불의 숨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3.11. 드래곤,본하트(Bonehart)
|
(₩8,500) |
"Never laugh at an undead dragon!"
본 드래곤 영웅. 드래곤답게 애쉬바이트와 마찬가지로 공중을 날아다닌다. 특징으로는 독 내성을 지니고 있으며, 생명을 빨아들이는 망령 기사의 오라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는 바실의 2페이즈 또한 마찬가지. 애쉬바이트가 강력한 소수의 적에 효과적이라면, 본하트는 도트뎀과 전염을 통한 맵 전역 잡몹처리에 탁월한 편이다. 특히 전염과 전염폭발이 사기적일 정도로 연계가 좋다. 수로 밀려오는 게 상당히 골치 아픈 이 게임에서는 사기캐가 다름없다 그저 비싼 구매값이 압박일 뿐.[39]
킹덤 러쉬 프론티어 내의 최강의 캐릭터 그 자체. 언데드맵의 난이도를 확 낮춰버리는 일등공신으로, 애쉬바이트와 마찬가지로 비행/방어 무시/독 내성까지 다 갖추고 있는 만능 캐릭터다. 체력은 만렙 기준 650으로 높은 편에 속하고, 공격력은 20~59로 괜찮은 편. 역시나 사령술사 타워의 역병처럼 방어력과 저항력 전부 평등하게 팰 수 있다. 대다수의 장점이 애쉬바이트와 공유되며 단점도 공유하는 편이다. 하지만 위에 서술했듯 망령기사의 오라에게 체력을 빨리지 않는다는 것도 플러스 포인트.[40] 가장 강력한 건 역시나 물량 방어로 무려 광역 딜링기가 3개나 존재하며 연계가 터지면 물량으로 오는 적들이 전멸한다. 적절하게 스킬 쿨타임에 맞춘 컨트롤만 해준다면 전염병의 위력을 그대로 체험시켜준다. 정예몹과 잡몹이 섞일 때 딱 골라낼 수 있다는 게 장점. 비록 정예몹 자체는 조금 고전하지만[41] 그건 타워가 알아서 한다.
킹덤 러쉬 프론티어 내의 최강의 캐릭터 그 자체. 언데드맵의 난이도를 확 낮춰버리는 일등공신으로, 애쉬바이트와 마찬가지로 비행/방어 무시/독 내성까지 다 갖추고 있는 만능 캐릭터다. 체력은 만렙 기준 650으로 높은 편에 속하고, 공격력은 20~59로 괜찮은 편. 역시나 사령술사 타워의 역병처럼 방어력과 저항력 전부 평등하게 팰 수 있다. 대다수의 장점이 애쉬바이트와 공유되며 단점도 공유하는 편이다. 하지만 위에 서술했듯 망령기사의 오라에게 체력을 빨리지 않는다는 것도 플러스 포인트.[40] 가장 강력한 건 역시나 물량 방어로 무려 광역 딜링기가 3개나 존재하며 연계가 터지면 물량으로 오는 적들이 전멸한다. 적절하게 스킬 쿨타임에 맞춘 컨트롤만 해준다면 전염병의 위력을 그대로 체험시켜준다. 정예몹과 잡몹이 섞일 때 딱 골라낼 수 있다는 게 장점. 비록 정예몹 자체는 조금 고전하지만[41] 그건 타워가 알아서 한다.
후속작인 킹덤 러쉬 오리진에 등장하는 마법사 드래곤 영웅인 파우스투스(Faustus)의 타락한 모습이라는 설정이다. 킹덤 러쉬 오리진은 1편 킹덤 러쉬보다도 과거의 시점을 다루는 프리퀄 작품인데, 설정상으로 파우스투스는 엘프를 창조한 여신인 엘리니(Elynie)가 엘프들을 지키기 위해서 선택한 수호자이다. 파우스투스는 오랜 시간 동안 엘프들을 보호하고 가르쳐왔지만 어느날 오리진의 캠페인 최종보스인 거미여왕이 엘프들의 보물인 엘리니의 눈물(Tear of Elynie)을 훔쳐서 오염시켰고, 엘리니의 눈물과 연결된 파우스투스의 영혼도 같이 타락하여 본래의 몸과 기억을 잃어버리고 프론티어 시점의 본하트로 재탄생하였다.
프론티어의 다음 시간대 작품인 벤전스에서는 드래곤의 무덤 구역 땅에 뼈가 흩어진채로 등장한다.
단일 누킹으로도 괜찮고 잡몹은 그냥 녹아 사라지는 스킬.
꽤나 튼튼해서 길막도 되고 지속시간도 준수하며, 결정적으로 언데드 취급이라 사령술사 타워의 죽음의 기사가 뿜어내는 오라 버프를 받는다. 따라서 사령술사 타워 옆에 놓아두고 소환하면 상당히 질긴 탱킹력을 자랑한다.
최대 100의 대미지를 주며, 적과 닿아도 사라지지 않고 그대로 관통한다. 또한 숨겨진 능력(?)으로, 이 스킬을 올려야만 다른 모든 공격에 전염(추가 독뎀)공격이 붙는다.
최대 150의 대미지를 준다. 단점이 있다면 스킬 판정이 일시적으로 죽고 부활하는 판정[43]과 비슷한지라 다른 스킬을 한동안 쓰지 못해 방어선이 빈다는 것이다.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onehart_5.png * 불완전한 역병 : 적이 감염된 상태에서 죽으면 폭발하여 주변에 최대 90의 광역 대미지를 준다.
좀비 맵이나 거미러쉬 맵에서 굉장히 효과적인 스킬이다. 열명만 죽어도 900이나 되는 데미지가 무려 광역으로 들어가니 체력이 높은 적이 섞여있더라도 사이좋게 보낼 수 있다. 이 전염-데미지 연계가 중복이 되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딜이 가능하다. 체력이 각각 30, 90, 180, 270인 유닛이 뭉쳐있다고 할 때, 30인 유닛이 전염된 상태에서 죽는다면, 이 폭발로 90인 유닛이 죽게된다. 그런데 이 유닛 역시 전염폭발로 죽었기 때문에 '전염'된 것으로 처리되므로 또 한 번의 폭발로 처리되어 180의 유닛역시 동시에 죽으며, 마찬가지로 또 한 번의 폭발로 카운트되어 270의 유닛마저 동시에 죽게된다.
뿐만 아니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오는 체력 90 이상의 약한 몬스터들은 주변에 본하트가 없더라도 맨 앞줄에서 전염에 걸린 효과가 폭발로 인해 지속적으로 옮겨오기 때문에 매우 강력하다.
실험을 해보면 이 스킬과 '전염' 그 자체를 부여해주는 역병 구체 딱 두개만 찍더라도 같은 드래곤 캐릭터인 애쉬바이트와 동급의 성능을 낼 수 있다.
3.12. 사이탐
원숭이 신,사이탐(Saitam)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HeroProfile_Saitam.png "I am Saitam, mighty monkey!" | |||
공격 형태 | 물리 | 체력 | 400 |
공격력 | 21-39 | 공중 공격 | X |
방어력 | 45% | 리스폰 | 20초 |
특징 | |||
| |||
곤봉 회전 (Spinning Pole)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곤봉을 휘둘러 주변 모든 적에게 32/69/108의 범위 물리 피해를 줌. | |
특징 | |||
| |||
곤봉 폭풍 (Tetsubo Storm)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1 / 1 / 1 | 곤봉을 반으로 갈라 한 적에게 110/180/260의 물리 피해를 줌. | |
특징 | |||
| |||
원숭이 장풍 (Monkey Palm)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한 적을 1/2/3초동안 스턴시키고 5/10/15초 동안 마법능력을 봉인시킴. | |
특징 | |||
| |||
분노한 신 (Angry God)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3 / 3 / 3 | 저지불가 상태가 되며 모든 적이 받는 피해를 6초동안 25/45/65% 증가시킴. | |
특징 | |||
| |||
신성한 원기 (Divine Nature) | |||
레벨 | 영웅 포인트 | 효과 | |
1 / 2 / 3 | 2 / 2 / 2 | 초당 3/6/9의 체력을 회복함. | |
특징 | |||
|
4. 육성 불가능한 영웅
플레이어가 보유하거나 육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특정 맵에서만 지원군으로 등장하는 영웅. 이 분류의 속하는 모든 영웅들은 전부 레벨 10으로 등장한다."Dungeon's deep and cavern's old."
- 루린[45](Rurin Longbeard)
드워프 전사 영웅. The Dark Descent에서 등장하며 전형적인 탱커형 전사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해머로 땅을 내려치는 범위공격을 사용한다. 어느 정도의 유닛은 탱킹을 해낼 수 있고 광역이 대박 터지면 좋지만 알릭과 비슷한 레벨 기준으로 스킬빼고 밀리는 편. 심각한 건 부활시간으로 무려 35초로 용가리 시리즈보다도 부활시간이 5초 더 길다. 그나마 용가리들은 공중이라 피해는 거의 안받는 걸 고려하면 근접인 녀석이 이 정도 부활시간인 게 정말 심각하다. 다만 방어력 자체는 높기 때문에 탱커로써는 어느 정도 쓸만하다.
"Full sail ahead!"
- 검은 해적(The Black Corsair)
해적 영웅. Storm Atoll에서 등장하며 배를 타고 있기 때문에 애쉬바이트나 본하트처럼 수상 한가운데 서있을 수 있다. 바꿔 말하자면 땅 위를 이동하거나 길막은 불가능. 폭탄을 투척하여 공격하며 바닷물 위에 기뢰를 3개까지 설치하는 능력이 있는데 일반 잡몹들은 접촉하는 순간 바로 가라앉아버리는 대미지를 자랑한다. 해당 스테이지가 섬맵이라 지을 수 있는 타워의 최대 수가 제한적이니 만큼 적절한 곳으로 이동시켜 기뢰를 잘 설치해야 웨이브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어느쪽 전선이 더 절박한 지 잘 판단하고 옮겨주면 타워를 많이 짓지 않아도 난이도가 내려간다. 원거리 공격을 하는 적에게도 공격받지 않기 때문에 체력이나 방어력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46]
"Blah, blah, vampire emergency, blah."
- 루크레지아(Lucrezia)
여성 흡혈귀 영웅. Dusk Chateau에서 등장하며 근거리 이동은 느리지만 장거리를 이동할 때는 박쥐로 변신해서 이동하므로 평속은 유지한다. 10-20밖에 안 되는 약해빠진 평타와 빈약해 보이는 외양과 달리 아머타입은 High이며 보유한 스킬들의 위력이 매우 무시무시하다. 약 150의 흡혈 공격과 100~150의 근거리 범위 공격 능력이 있으며,[47] 후자는 동 맵에서 등장하는 뱀파레사들을 즉사시키는[48] 훌륭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뱀파레사들의 체력이 700~1000로 맷집도 세며 높은 마방에 흡혈 능력으로 아군과 지원군을 순삭시키는만큼 몰려오면 길막으로 뭉치게 만든 뒤 한가운데로 이동시켜 스킬 발동으로 대박을 노려보자. 유일하게 보스맵에 등장하는 지원영웅이다. 하지만 위에 서술했듯 공격력은 곱창 나있고,[49] 체력 회복은 무려 초당 20으로 사실상 위에 쓰여진 니부스와 카르키노스보다도 더 느리다.
루크레지아는 바실의 딸로 자신을 죽이러 온 바로 위에 언데드 헌터 단테와 사랑에 빠진 후 아버지인 바실에게 대들었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1] 크로넌이 이에 비슷하긴 하지만 멧돼지가 영구적인 것치곤 생각보다 스펙이 좋지 못해 여러차례 교전을 하다보면 어느샌가 사라져있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알릭의 모래전사는 지속시간이 존재하지만, 기생충의 먹잇감으로 던져줘 자멸시킬 수도 있으며 짧은 쿨타임 때문에 자주 나오므로 여러차례의 교전에선 훨씬 뛰어나다.[2] 이것마저 너프 후로, 전에는 방어력이 최대치였다.[3] 만렙기준 16~23으로 크로난 급 딜량을 자랑한다.[4] 단 공중의 적에게는 스킬을 박을 수 없다.[5] 사막 궁수들에게 노출될 경우 1초만에 죽는다. 그리고 정확히는 방어력이 없다.[6] 위에 석궁초소랑 비슷하다는 언급처럼 미라지도 석궁초소랑 거의 비슷하다. 석궁초소가 물량 대처 능력에서 약한 건 아니지만, 작정한 물량을 혼자 막는 건 한계가 있다. 게다가 속사포의 도움을 받는 석궁초소랑 달리 미라지는 그런 거 없다.[7] 스킬을 찍을경우 생기는 매는 공중공격이 가능하다.[8] 1순위로 코뿔소 떼를 풀업하고, 2순위로 채찍질을 올려주면 그나마 빠른 레벨링이 가능하다. 그 후엔 특성에 힘을 더 실어줄거면 멧돼지를, 파밍에 힘을 더 실어줄거라면 재생을 찍으면 된다.[9] 블랙쏜과 단테는 체력이 좀 있지만, 방어력이 없는 게 크로난과 같은데, 재생이 있는 크로난은 이들보다도 잘 버티는 편이다. 다만 둘 다 원거리 공격도 할 수 있다는 게 함정.[10] 물론 포병 풀업이 필수다.[11] 디어드레의 공격력은 11~37로 최대 데미지가 크로넌보다 높은 이상한 상황이다.[12] 다른 하나는 디어드레[13] 참고로 이 스킬을 제외하면 성전사의 동맥절단이 유일한 출혈 스킬로, 출혈 대미지로 100 명을 죽이는 헬난이도 도전과제를 클리어할 수 있게 도와주는 고마운 스킬이다.[14] 단 병영의 도움이 필요하긴하다.[15] 거미들의 경우는 마법 방어가 높다.[16] 기본적으로 지상 영웅이지만, 6초마다 원거리에서 총을 꺼내 공중 및 원거리 공격을 한다.[17] 숨겨진 능력도 있는데 아무런 스킬을 찍지 않더라도 용병캠프의 해적마냥 평타에 낮은 확률로 소매치기 스킬이 달려있다. 이 소매치기 스킬로도 암살자로 1만 골드를 훔쳐야하는 도전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18] 그로울이 900, 본하트가 650으로 블랙쏜이 본작 영웅들 중 3번째로 높은 체력을 보유하고 있다.[19] 스킬을 안올려도 프론티어 내 마법 영웅중 딜량이 1위다.[20] 보루 버프를 받을시 최대 42-55로 증가한다[21] 2위는 750의 벤전스의 지고우로 영웅 업그레이드가 있어야만 900으로 그로울과 같아진다.[22] 실제로는 약 200-250의 피해가 들어간다.[23] 뒤집으면 iroN hidE. 이 게임의 제작사 이름인 아이언하이드(Ironhide)이다.[24] 기본 타입은 물리이긴하지만, 진동검을 찍으면 물리 방어는 무시하고 샤트라는 물리 영웅이기 때문에 마법 방어는 차피 아무 영향을 주지못해 사실상 무속성이 된다.[25] 3레벨부터 적용[26]
[27] 얼핏 보면 자주포 달은 거북이처럼 생겼지만 양 손에 집게가 달려있고 해양 이동 뿐만 아니라 지중 이동을 한다거나 하는 점을 볼때 소라게에 더 가깝다.[28] 초당 25 회복으로 프론티어에서는 니버스와 함께 가장 느리다. 하지만 니버스는 사거리와 순간이동 덕분에 원거리 적만 조심해도 체력이 거의 닳지 않는다.[29] 3레벨에서는 수치와 다르게 약 100-200의 피해가 들어간다.[30] 단지 피해를 받지 않을 뿐, 대상지정이 안되는 것은 아니다.[31] 방어력이 없는 근접 영웅이라 타 근접영웅들에 비해서 몸이 약한 건 물론이고 체력도 근접 영웅 중에선 낮은 편일뿐더러, 방어력이 없는 영웅인 크로넌과 블랙쏜, 단테랑도 비교해보면 크로넌은 재생이 존재하며, 블랙쏜은 돈을 쓸어다와서 운영에 이점을 더해주며, 단테는 훨씬 더 범용적인 스킬과 더 강력한 딜링을 갖추고 있다. 애초에 훨씬 강한 용 시리즈랑 비교하는 건 당연히 말도 안되는 부분. 여포형 영웅이지만 결과적으로는 브룩사와 카즈의 딜링에 발끝도 못 미친다. 계속해서 싸워야하는 영웅임에도 공방 둘 다 영 좋지 않다.[32] 근접영웅의 특성상 때에 따라선 죽더라도 싸워야하는 경우가 없진 않지만, 쿠차오의 경우는 근접영웅이 스펙이 저열한지라 학권이 여러차례 터지지 않는 이상 지속전투에 약해서 죽을 확률이 높다. 캠페인 난이도까지는 어떻게든 끌고 갈 수 있는데 추가 스테이지 같은 경우엔 힘들다. 사막맵이나 정글맵 이런 곳에서 강하긴 하나, 이런 곳에서는 대다수의 유료영웅이 판을 치고 놀 수 있는 스테이지다. 그러지 못하는 건 운영으로 설계된 디어드레 뿐이다.[33] 모든 영웅 중 유일하게 대사가 없고 그르렁 거리는 소리만 낸다.[34] 공중을 직접적으로 타게팅하는 보스는 없지만, 다른 아군 유닛을 상대로 날린 공격이 종종 공중까지 닿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 특히 고릴론과 사우리안 폭군을 상대할 시에도 조심해야한다.[35] 이는 본하트도 공유하는 장점이기도 하다.[36] 야만족 사냥꾼의 독침에 하나라도 맞는다면 체력이 약한 영웅들은 반 이상 피가 까이는 건 일상다반사고 이는 그로울을 제외한 탱커들에게도 적지 않은 피해가 박힌다. 단 3대라도 맞는 날엔 당분간 뒤에서 관전해야한다. 그래서 독내성을 지닌 건 엄청난 메리트다.[37] 배틀 메카의 폐기물 투하랑 거의 비슷한 스킬이다.[38] 물론 캔슬해도 안개지대의 크기와 지속시간은 유지된다.[39] 그러나 이마저도 PC버전에서는 최종보스전맵에서는 모든 유료 영웅을 다 해금 시켜준다. 이 중 본 드래곤도 포함.[40] 망령 기사의 설명에는 산 자의 생명력을 빼앗는다고 나와있다. 하지만 본하트는 이미 한 번 죽은 언데드라서 안통하는 걸로 보인다.[41] 허나, 본 골렘덕분에 붉은 껍질이 아니라면 웬만한 정예몹마저 녹여버린다.[42] 레벨을 최대치로 올리면 질병 폭발과 범위가 비슷해진다.[43] 물론 부활 시간은 기존 부활보다 훨씬 짧다.[44] 이펙트만 이렇고 실 데미지는 들어가지 않는다.[45] 한국 정식 변역 명칭에선 루린까지만 변역되었다. 원래 명칭을 직역하자면 긴수염 루린. Longbeard가 성이라면 루린 롱비어드쯤 될 것이다.[46] 직접 보면 체력은 420, 방어력은 높음에 공격력은 80~100이다.[47] 둘 다 트루 데미지로 계산되어 물리 공격이 아예 안 먹혀들어가는 유령들도 상대가 가능하다.[48] 정확히 말하면 즉사라기 보단 뱀파레사한테는 원래 대미지의 10배의 추가 대미지가 들어가는데, 이 대미지가 어떤 난이도에서든 뱀파레사의 최대 체력보다 많기 때문에 맞으면 예외 없이 바로 죽는 것이다. 아예 뱀파레사 첫 등장시 나오는 팁에서 루크레지아의 특수능력에 몹시 취약하다고 대놓고 쓸 정도면 적극 활용하라는 뜻이나 마찬가지다.[49] 킹덤 러쉬 프론티어의 영웅 중 피해량이 가장 낮은 크로넌이 15~23인 걸 생각해보면 정말 평타는 심각하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킹덤 러쉬 프론티어|킹덤 러쉬 프론티어]]}}}{{{#!if external != "o"
[[킹덤 러쉬 프론티어]]}}}}}}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킹덤 러쉬 프론티어?uuid=e4d2ee7a-782e-4ffb-9c06-be3f784b34d8|r100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킹덤 러쉬 프론티어?uuid=e4d2ee7a-782e-4ffb-9c06-be3f784b34d8#s-5|5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킹덤 러쉬 프론티어?from=100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킹덤 러쉬 프론티어|킹덤 러쉬 프론티어]]}}}{{{#!if external != "o"
[[킹덤 러쉬 프론티어]]}}}}}}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킹덤 러쉬 프론티어?uuid=e4d2ee7a-782e-4ffb-9c06-be3f784b34d8|r100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킹덤 러쉬 프론티어?uuid=e4d2ee7a-782e-4ffb-9c06-be3f784b34d8#s-5|5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킹덤 러쉬 프론티어?from=100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