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04:59:42

클루카이(소녀전선2: 망명)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소녀전선의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HK416(소녀전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뉴럴 클라우드의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클루카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소녀전선의 캐릭터:
HK416(소녀전선)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뉴럴 클라우드의 캐릭터:
클루카이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nopad>
{{{#!wiki style="margin: 0 -10px -6px"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직업별 ]
{{{#!wiki style="margin: -6px -1px -5px; font-size: 13.5px;"
파일:GF2_UI용_센티널.png파일:GF2_UI용_센티널_W.png
센티널
[[네메시스(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네메시스.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네메시스
]][[샤크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샤크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샤크리
]][[리타라|
파일:GF2_프로필_리타라.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리타라
]][[롯타|
파일:GF2_프로필_롯타.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롯타
]][[페리티아|
파일:GF2_프로필_페리티아.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페리티아
]][[토로로(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토로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토로로
]][[경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경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경구
]][[모신나강(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모신나강.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모신나강
]][[파파샤(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파파샤.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파파샤
]][[마키아토(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마키아토.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마키아토
]][[클루카이(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클루카이.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클루카이
]][[강우(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강우.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강우
]]
파일:GF2_UI용_뱅가드.png파일:GF2_UI용_뱅가드_W.png
뱅가드
[[캐롤릭|
파일:GF2_프로필_캐롤릭.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캐롤릭
]][[베프리|
파일:GF2_프로필_베프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베프리
]][[울리드|
파일:GF2_프로필_울리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울리드
]][[대연(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대연.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대연
]][[조휘(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조휘.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조휘
]][[벨카(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벨카.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벨카
]][[페이(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페이.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페이
]][[추화|
파일:GF2_프로필_추화.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추화
]]
파일:GF2_UI용_서포트.png파일:GF2_UI용_서포트_W.png
서포트
[[콜펜|
파일:GF2_프로필_콜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콜펜
]][[치타(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치타.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치타
]][[나강(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나강.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나강
]][[크세니아(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크세니아.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크세니아
]][[수오미(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수오미.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수오미
]][[드셰브니(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드셰브니.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드셰브니
]][[센타우레이시(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센타우레이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센타우레이시
]][[미슈티|
파일:GF2_프로필_미슈티.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미슈티
]][[레나(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레나.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레나
]][[벡터(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벡터.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벡터
]][[스프링필드(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스프링필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스프링필드
]][[유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유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유희
]]
파일:GF2_UI용_불워크.png파일:GF2_UI용_불워크_W.png
불워크
[[그로자(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그로자.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불워크.png

그로자
]][[사브리나(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사브리나.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불워크.png

사브리나
]][[안도리스|
파일:GF2_프로필_안도리스.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불워크.png

안도리스
]][[페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페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불워크.png

페리
]]

}}}
}}}
}}}
[ 무기별 ]
||<width=600><table bgcolor=#dbdae0,#141618><(>
파일:GF2_UI용_HG.png파일:GF2_UI용_HG_W.png
권총
[[콜펜|
파일:GF2_프로필_콜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콜펜
]][[나강(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나강.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나강
]][[크세니아(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크세니아.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크세니아
]][[페이(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페이.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페이
]]
파일:GF2_UI용_SMG.png파일:GF2_UI용_SMG_W.png
기관단총
[[치타(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치타.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치타
]][[수오미(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수오미.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수오미
]][[파파샤(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파파샤.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파파샤
]][[레나(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레나.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레나
]][[조휘(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조휘.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조휘
]][[벡터(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벡터.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벡터
]][[페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페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불워크.png

페리
]]
파일:GF2_UI용_RF.png파일:GF2_UI용_RF_W.png
저격소총
[[네메시스(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네메시스.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네메시스
]][[모신나강(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모신나강.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모신나강
]][[마키아토(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마키아토.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마키아토
]][[드셰브니(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드셰브니.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드셰브니
]][[스프링필드(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스프링필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스프링필드
]]
파일:GF2_UI용_AR.png파일:GF2_UI용_AR_W.png
돌격소총
[[그로자(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그로자.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불워크.png

그로자
]][[샤크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샤크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샤크리
]][[토로로(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토로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토로로
]][[경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경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경구
]][[대연(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대연.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대연
]][[센타우레이시(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센타우레이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센타우레이시
]][[클루카이(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클루카이.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클루카이
]][[미슈티|
파일:GF2_프로필_미슈티.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미슈티
]][[강우(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강우.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강우
]][[벨카(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벨카.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벨카
]][[안도리스|
파일:GF2_프로필_안도리스.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불워크.png

안도리스
]][[유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유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유희
]]
파일:GF2_UI용_MG.png파일:GF2_UI용_MG_W.png
기관총
[[리타라|
파일:GF2_프로필_리타라.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리타라
]][[페리티아|
파일:GF2_프로필_페리티아.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페리티아
]]
파일:GF2_UI용_SG.png파일:GF2_UI용_SG_W.png
산탄총
[[롯타|
파일:GF2_프로필_롯타.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롯타
]][[베프리|
파일:GF2_프로필_베프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베프리
]][[사브리나(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사브리나.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불워크.png

사브리나
]][[추화|
파일:GF2_프로필_추화.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추화
]]
파일:GF2_UI용_BLD.png파일:GF2_UI용_BLD_W.png
도검
[[캐롤릭|
파일:GF2_프로필_캐롤릭.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캐롤릭
]][[울리드|
파일:GF2_프로필_울리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울리드
]]
[ 속성별 ]
## 연소
파일:GF2_UI용_연소.png
연소
[[캐롤릭|
파일:GF2_프로필_캐롤릭.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캐롤릭
]][[샤크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샤크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샤크리
]][[치타(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치타.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치타
]][[크세니아(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크세니아.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크세니아
]][[경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경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경구
]][[센타우레이시(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센타우레이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센타우레이시
]][[벡터(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벡터.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벡터
]][[페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페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불워크.png

페리
]][[추화|
파일:GF2_프로필_추화.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추화
]]
파일:GF2_UI용_전도.png
전도
[[모신나강(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모신나강.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모신나강
]][[레나(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레나.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레나
]][[강우(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강우.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강우
]][[벨카(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벨카.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벨카
]][[안도리스|
파일:GF2_프로필_안도리스.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불워크.png

안도리스
]]
파일:GF2_UI용_탁류.png
탁류
[[콜펜|
파일:GF2_프로필_콜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콜펜
]][[토로로(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토로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토로로
]][[사브리나(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사브리나.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불워크.png

사브리나
]][[조휘(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조휘.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조휘
]][[스프링필드(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스프링필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스프링필드
]]
파일:GF2_UI용_산성.png
산성
[[네메시스(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네메시스.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네메시스
]][[나강(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나강.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나강
]][[페리티아|
파일:GF2_프로필_페리티아.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페리티아
]][[클루카이(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클루카이.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클루카이
]][[미슈티|
파일:GF2_프로필_미슈티.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미슈티
]]
파일:GF2_UI용_빙결.png
빙결
[[롯타|
파일:GF2_프로필_롯타.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롯타
]][[수오미(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수오미.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수오미
]][[마키아토(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마키아토.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마키아토
]][[드셰브니(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드셰브니.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드셰브니
]]
파일:GF2_UI용_물리.png
물리 전용
[[그로자(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그로자.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불워크.png

그로자
]][[리타라|
파일:GF2_프로필_리타라.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리타라
]][[베프리|
파일:GF2_프로필_베프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베프리
]][[울리드|
파일:GF2_프로필_울리드.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울리드
]][[파파샤(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파파샤.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센티널.png

파파샤
]][[대연(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대연.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대연
]][[페이(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페이.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뱅가드.png

페이
]][[유희(소녀전선2: 망명)|
파일:GF2_프로필_유희.png
파일:GF2_아이콘_병종_서포트.png

유희
]]

}}} ||
취소선: 한국 서버 미출시 인형
클루카이
Klukai
파일:GF2_클루카이.png
<colbgcolor=#0f1a1e,#010101><colcolor=#ffffff,#e0e0e0> 레어도 정예
소속 H.I.D.E. 404
속성
파일:GF2_아이콘_UI_표준탄.png
표준탄 산성
직업
파일:GF2_UI용_센티널_W.png
센티널
무기 돌격소총 / H416
모델 SST-05
언어별 표기 파일:중국 국기.svg 可露凯
파일:일본 국기.svg クルカイ
파일:미국 국기.svg Klukai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중국 국기.svg 쫑커(钟可)[1]
파일:일본 국기.svg 노나카 아이

1. 개요2. 관련 매체
2.1. 공식 미디어
3. 인게임 정보
3.1. 능력치
3.1.1. 육성 재화
3.2. 스킬
3.2.1. 일반공격: 신속 섬격3.2.2. 액티브: 정밀 폭진3.2.3. 액티브: 강세 섬멸3.2.4. 결전기: 크리티컬 드라이브3.2.5. 패시브: 엘리트 프라이드
3.3. 마인드 보강3.4. 뉴럴 헬릭스3.5. 결합도
4. 운용
4.1. 인형 무기4.2. 무기 파츠4.3. 제대 구성
5. 평가6. 작중 행적7. 스킨
7.1. 스피드 스타7.2. 별빛의 섬광
8. 대사9. 기타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캐릭터 소개
파일:GF2_array_header_right.png

소녀전선2: 망명》에 등장하는 센티널 전술인형.

2. 관련 매체

2.1. 공식 미디어


PV

파일:GF2_클루카이_3.png
캐릭터 상세 설명

전작에서 HK416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던 전술인형. 각인한 총기는 HK416. 소개 영상에서 H.I.D.E. 404 현역 대장이라고 한다.

3. 인게임 정보

3.1. 능력치

[include(틀:소녀전선2: 망명/기본 능력치, 이름=클루카이,
약점1=산탄, 약점2=전도,
공격=1031, 방어=592, 체력=2226, 안정지수=10,
치명타=20%, 치명타피해=120%,
공격보너스=10%, 방어보너스=0%, 체력보너스=0%,
이동력=6,)]

3.1.1. 육성 재화

인형 레벨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장 보고|
파일:GF2_아이템_전장 보고.png

575,689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부스트 스톡|
파일:GF2_아이템_부스트 스톡 T1.png

1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부스트 스톡|
파일:GF2_아이템_부스트 스톡 T2.png

24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부스트 스톡|
파일:GF2_아이템_부스트 스톡 T3.png

2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부스트 스톡|
파일:GF2_아이템_부스트 스톡 T4.png

5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19,00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구간별 상세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e0e0e0> 구간 소모 재료
Lv. 1-2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장 보고|
파일:GF2_아이템_전장 보고.png
]] 5,224
Lv. 21-3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장 보고|
파일:GF2_아이템_전장 보고.png
]] 15,86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부스트 스톡|
파일:GF2_아이템_부스트 스톡 T1.png
]] 4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1,000
Lv. 31-4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장 보고|
파일:GF2_아이템_전장 보고.png
]] 61,465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부스트 스톡|
파일:GF2_아이템_부스트 스톡 T1.png
]] 6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부스트 스톡|
파일:GF2_아이템_부스트 스톡 T2.png
]] 8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2,000
Lv. 41-5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장 보고|
파일:GF2_아이템_전장 보고.png
]] 203,05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부스트 스톡|
파일:GF2_아이템_부스트 스톡 T2.png
]] 16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부스트 스톡|
파일:GF2_아이템_부스트 스톡 T3.png
]] 8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4,000
Lv. 51-6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장 보고|
파일:GF2_아이템_전장 보고.png
]] 290,09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부스트 스톡|
파일:GF2_아이템_부스트 스톡 T3.png
]] 12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부스트 스톡|
파일:GF2_아이템_부스트 스톡 T4.png
]] 5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12,000
}}}}}}}}} ||
뉴럴 헬릭스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사 컨덕터|
파일:GF2_아이템_전사 컨덕터 1.png

2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사 컨덕터|
파일:GF2_아이템_전사 컨덕터 2.png

2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사 컨덕터|
파일:GF2_아이템_전사 컨덕터 3.png

4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사 컨덕터|
파일:GF2_아이템_전사 컨덕터 4.png

8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사 컨덕터|
파일:GF2_아이템_전사 컨덕터 5.png

12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사 컨덕터|
파일:GF2_아이템_전사 컨덕터 6.png

16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베이직 정보 코어|
파일:GF2_아이템_기본 정보 코어.png

21
18
11
8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98,000
83,000
98,000
83,00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노드별 상세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e0e0e0> 레벨 노드 소모 재료
15 1-02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사 컨덕터|
파일:GF2_아이템_전사 컨덕터 1.png
]] 2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1,000
20 2-01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베이직 정보 코어|
파일:GF2_아이템_기본 정보 코어.png
]]
3
3
1
1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3,000
2-02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사 컨덕터|
파일:GF2_아이템_전사 컨덕터 2.png
]] 2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2,000
2-03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베이직 정보 코어|
파일:GF2_아이템_기본 정보 코어.png
]]
3
3
1
1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3,000
25 3-02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사 컨덕터|
파일:GF2_아이템_전사 컨덕터 3.png
]] 4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4,000
30 4-01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베이직 정보 코어|
파일:GF2_아이템_기본 정보 코어.png
]]
3
3
1
1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8,000
4-02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사 컨덕터|
파일:GF2_아이템_전사 컨덕터 4.png
]] 8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4,000
4-03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베이직 정보 코어|
파일:GF2_아이템_기본 정보 코어.png
]]
3
3
1
1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8,000
35 5-02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사 컨덕터|
파일:GF2_아이템_전사 컨덕터 5.png
]] 12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10,000
40 6-01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베이직 정보 코어|
파일:GF2_아이템_기본 정보 코어.png
]]
3
3
2
2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12,000
6-02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전사 컨덕터|
파일:GF2_아이템_전사 컨덕터 6.png
]] 160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12,000
6-03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베이직 정보 코어|
파일:GF2_아이템_기본 정보 코어.png
]]
3
3
2
2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12,000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60px> 60 ||<width=60px> 확장키 ||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베이직 정보 코어|
파일:GF2_아이템_기본 정보 코어.png
]] 3
[[소녀전선2: 망명/소모품#사르디스 골드|
파일:GF2_아이템_사르디스 골드.png
]] 15,000
||

}}}}}}}}} ||

3.2. 스킬

스킬 고유명사 상세
[강산_퍼붓기] [독성_침투] [추가_이동] [방어_감소Ⅱ] [패닉] [제어_효과] [호승심]

3.2.1. 일반공격: 신속 섬격

||<table align=center><table width=800><tablebordercolor=#0f1a1e,#010101><tablebgcolor=#dddddd,#383b40><bgcolor=#373f45><width=15%> 파일:GF2_AR_기본공격.png ||<bgcolor=#0f1a1e,#010101><color=#ffffff,#e0e0e0>신속 섬격
일반공격 / 단일
파일:GF2_아이콘_UI_표준탄.png표준탄
||
안정 피해: 3
반경 8칸 이내의 적 하나에게 공격력 80% 물리 피해를 준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마인드 보강 & 사거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v.1
이 스킬의 최대 레벨은 Lv.1입니다.
파일:GF2_센티널_AR_사거리.png
사거리
8

작용 범위
목표
}}}}}}}}}

3.2.2. 액티브: 정밀 폭진

||<table align=center><table width=800><tablebordercolor=#0f1a1e,#010101><tablebgcolor=#dddddd,#383b40><bgcolor=#373f45><width=15%> 파일:GF2_클루카이_Skill_1.png ||<bgcolor=#0f1a1e,#010101><color=#ffffff,#e0e0e0>정밀 폭진
액티브 / 범위 / 디버프
파일:GF2_아이콘_UI_표준탄.png표준탄 파일:GF2_UI용_산성.png산성

파일:GF2_아이콘_UI_리몰딩 소모.png
리몰딩 소모
3
||
안정 피해: 3
주위 반경 8칸 이내의 적 하나에게 공격력 80% 범위 산성 피해를 준다. 추가로 한 번 공격해 대상 및 그 주위 반경 3칸 이내의 모든 적에게 공격력 60% 범위 산성 피해를 주고 모든 대상을 중심으로 1칸 끌어당긴다.
아무 대상이라도 처치한 경우 결전기 크리티컬 드라이브의 쿨타임 -1턴, 자신은 리몰딩 지수를 2점 얻는다. 처치하지 못한 경우 대상에게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 효과를 1스택 2턴 간 부여한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마인드 보강 & 사거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v.2 (중추·Ⅳ)
제1타 위력이 공격력 100%로 상승. 추가타 시, 대상의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 1스택마다, 피해 배율 +5%. 약점 공격 시 엄폐 보호를 15% 무시한다.
파일:GF2_센티널_AR_사거리.png
사거리
8

작용 범위
목표
}}}}}}}}}

초탄은 적 1인에게만 피해를 입히고 주위의 적에게까지 범위 피해를 입히진 않는다. 스킬 설명의 범위 산성 피해는 안정 지수 60% 대미지 감소를 무시하는 광역기 판정이라는 뜻이다. 단일 공격이 아니므로 경구, 수오미 등의 단일계 지원사격도 받을 수 없다.

리몰딩 지수는 (초탄 1) + (3칸 범위 내 명중 숫자 X)만큼 회복한 뒤에 추가로 2를 더 회복한다.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는 결과적으로 적 1인에게4스택(기본 3 + 추가분 1), 주변 3칸 이내 적에겐 2스택이 부여된다. 디버프는 범위 피해이지만 디버프가 걸린 해당 적에게만 피해를 입힌다. 스택이 쌓일 때 지속 시간이 최대 2턴까지 갱신된다.

3.2.3. 액티브: 강세 섬멸

||<table align=center><table width=800><tablebordercolor=#0f1a1e,#010101><tablebgcolor=#dddddd,#383b40><bgcolor=#373f45><width=15%> 파일:GF2_클루카이_Skill_2.png ||<bgcolor=#0f1a1e,#010101><color=#ffffff,#e0e0e0>강세 섬멸
액티브 / 범위 / 디버프
파일:GF2_UI용_산성.png산성

파일:GF2_아이콘_UI_리몰딩 소모.png
리몰딩 소모
3
||
안정 피해: 1
주위 반경 8칸 이내의 한 타일을 선택해 그 주위 반경 3칸 이내의 모든 적에게 공격력 90% 범위 산성 피해를 주고 독성 침투[독성_침투][강산_퍼붓기] 효과를 2턴 간 부여한다. 이미 독성 침투 효과를 보유한 대상에게 주는 피해 +1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마인드 보강 & 사거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v.2 (중추·Ⅰ)
이미 독성 침투[독성_침투][강산_퍼붓기] 효과를 보유한 대상에게 주는 피해 +30%.
대상이 쓰러지지 않아도 독성 침투의 사망 시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독성 침투 효과가 추가되어, 행동 종료 시 부여자가 그 주위 반경 3칸 범위 안 독성 침투 효과를 가지지 않은 적에게 독성 침투 효과를 2턴 간 부여한다.
Lv.3 (중추·Ⅴ)
효과 범위 +2칸, 위력이 공격력 110%로 상승.
독성 침투[독성_침투][강산_퍼붓기]의 확산 범위 +1칸, 주는 피해가 공격력 80%로 상승.
대상이 산성계 디버프를 가진 경우 공격하기 전에 독성 침투 효과를 2턴 간 부여한다.
독성 침투 효과가 추가되어, 클루카이의 액티브 공격을 받을 때 받는 피해 +30%.
파일:GF2_클루카이_Skill_2_사거리.png
사거리
8

작용 범위
3
}}}}}}}}}

3.2.4. 결전기: 크리티컬 드라이브

||<table align=center><table width=800><tablebordercolor=#0f1a1e,#010101><tablebgcolor=#dddddd,#383b40><bgcolor=#373f45><width=15%> 파일:GF2_클루카이_Skill_3.png ||<bgcolor=#0f1a1e,#010101><color=#ffffff,#e0e0e0>크리티컬 드라이브
결전기 / 범위
파일:GF2_UI용_산성.png산성

파일:GF2_아이콘_UI_턴 쿨타임.png
턴 쿨타임
6
||
주위 4칸 밖에서 8칸 십자 범위 안의 한 타일을 선택해 돌진하여 경로상 너비 5칸 안의 모든 적에게 공격력 100% 범위 산성 피해를 주고 6칸 추가 이동[추가_이동]을 얻는다. 적을 2기 이상 명중한 경우 이 스킬을 최대 1회 더 시전할 수 있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마인드 보강 & 사거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v.2 (중추·Ⅲ)
명중한 적 하나마다 주는 피해 +10%, 최대 +50%, 보스에게 명중한 경우 무조건 +50%. 적을 2기 이상 명중하거나 보스에게 명중한 경우 이 스킬을 최대 1회 더 시전할 수 있다. 공격하기 전 범위 안 모든 적에게 방어 감소Ⅱ[방어_감소Ⅱ], 독성 침투[독성_침투][강산_퍼붓기] 효과를 2턴 간 부여한다.
Lv.3 (중추·Ⅵ)
엄폐를 무시한다. 효과 범위의 너비 +2칸, 그리고 패닉[패닉] 효과를 2턴 간 부여한다.
스킬 사용 후 필드 전체 적의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 효과와 독성 침투[독성_침투] 사망 시 효과를 발동한다.
파일:GF2_클루카이_Skill_3_사거리.png
사거리
--

작용 범위
목표
}}}}}}}}}

파일:GF2_클루카이_Skill_3_범위.png
사거리 감소 디버프를 무시하며, 언덕을 넘을 수도 있다. 언덕 고저차를 무시하고 피해를 입힌다.

3.2.5. 패시브: 엘리트 프라이드

||<table align=center><table width=800><tablebordercolor=#0f1a1e,#010101><tablebgcolor=#dddddd,#383b40><bgcolor=#373f45><width=15%> 파일:GF2_대연_Skill_P.png ||<bgcolor=#0f1a1e,#010101><color=#ffffff,#e0e0e0>엘리트 프라이드
패시브 / 디버프 / 버프 ||
자신은 제어 효과[제어_효과] 효과에 면역이 된다. 액티브 공격으로 피해를 줄 때 대상에게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 효과를 1스택 2턴 간 부여한다. 스킬 사용 후 호승심[호승심] 효과를 1스택 얻는다.
클루카이의 액티브 스킬 또는 다른 아군의 산성 공격으로 피해를 1회 줄 때마다, 자신은 리몰딩 지수를 1점 얻는다. 리몰딩 지수를 3점 얻을 때마다, 결전기 쿨타임 -1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마인드 보강 & 사거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v.2 (중추·Ⅱ)
전투 시작 시 호승심[호승심] 효과를 3스택 얻는다. 다른 아군의 산성 공격으로 피해를 1회 줄 때도 호승심 효과를 1스택 얻는다. 호승심의 최대 중첩 상한이 4스택으로 상승.
리몰딩 지수를 3점 얻을 때마다,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 효과를 가진 적에게 강산 퍼붓기 효과를 1스택 부여하고, 결전기 쿨타임 추가로 -1턴.
강산 퍼붓기에 효과가 추가되어, 클루카이의 액티브 공격 또는 다른 아군이 산성 피해를 줄 때, 강산 퍼붓기 효과를 가진 대상에게 추가로 강산 퍼붓기 효과를 1스택 부여한다. 방어력 -1%, 최대 중첩 수 +5스택.
파일:GF2_패시브_사거리.png
사거리
자신

작용 범위
목표
}}}}}}}}}

리몰딩 지수 회복 효과는 피해를 입힌 적 1명당 하나마다 발동하며, 리몰딩 지수가 최대치인 상태에서 초과 회복 되더라도 쿨타임 감소 효과는 적용된다.

3.3. 마인드 보강

효과
<colbgcolor=#eeeeee,#1c1c1c> 중추·Ⅰ 파일:GF2_클루카이_Skill_2.png 액티브: 강세 섬멸
이미 독성 침투[독성_침투][강산_퍼붓기] 효과를 보유한 대상에게 주는 피해 +30%.
대상이 쓰러지지 않아도 독성 침투의 사망 시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독성 침투 효과가 추가되어, 행동 종료 시 부여자가 그 주위 반경 3칸 범위 안 독성 침투 효과를 가지지 않은 적에게 독성 침투 효과를 2턴 간 부여한다.
중추·Ⅱ 파일:GF2_클루카이_Skill_P.png 패시브: 엘리트 프라이드
전투 시작 시 호승심[호승심] 효과를 3스택 얻는다. 다른 아군의 산성 공격으로 피해를 1회 줄 때도 호승심 효과를 1스택 얻는다. 호승심의 최대 중첩 상한이 4스택으로 상승.
리몰딩 지수를 3점 얻을 때마다,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 효과를 가진 적에게 강산 퍼붓기 효과를 1스택 부여하고, 결전기 쿨타임 추가로 -1턴.
강산 퍼붓기에 효과가 추가되어, 클루카이의 액티브 공격 또는 다른 아군이 산성 피해를 줄 때, 강산 퍼붓기 효과를 가진 대상에게 추가로 강산 퍼붓기 효과를 1스택 부여한다. 방어력 -1%, 최대 중첩 수 +5스택.
중추·Ⅲ 파일:GF2_클루카이_Skill_3.png 결전기: 크리티컬 드라이브
명중한 적 하나마다 주는 피해 +10%, 최대 +50%, 보스에게 명중한 경우 무조건 +50%. 적을 2기 이상 명중하거나 보스에게 명중한 경우 이 스킬을 최대 1회 더 시전할 수 있다. 공격하기 전 범위 안 모든 적에게 방어 감소Ⅱ[방어_감소Ⅱ], 독성 침투[독성_침투][강산_퍼붓기] 효과를 2턴 간 부여한다.
중추·Ⅳ 파일:GF2_클루카이_Skill_1.png 액티브: 정밀 폭진
제1타 위력이 공격력 100%로 상승. 추가타 시, 대상의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 1스택마다, 피해 배율 +5%. 약점 공격 시 엄폐 보호를 15% 무시한다.
중추·Ⅴ 파일:GF2_클루카이_Skill_2.png 액티브: 강세 섬멸
엄폐를 무시한다. 효과 범위의 너비 +2칸, 그리고 패닉[패닉] 효과를 2턴 간 부여한다.
스킬 사용 후 필드 전체 적의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 효과와 독성 침투[독성_침투] 사망 시 효과를 발동한다.
중추·Ⅵ 파일:GF2_클루카이_Skill_3.png 결전기: 크리티컬 드라이브
엄폐를 무시한다. 효과 범위의 너비 +2칸, 그리고 패닉[패닉] 효과를 2턴 간 부여한다.
스킬 사용 후 필드 전체 적의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 효과와 독성 침투[독성_침투] 사망 시 효과를 발동한다.

클루카이는 명함 만으로도 다수전에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성능을 보인다. 보스전에서도 활약이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 마인드 보강은 Ⅲ, Ⅵ이다.
  • 중추·Ⅲ
    결전기가 보스에게 적중해도 2회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방어 감소Ⅱ[방어_감소Ⅱ], 독성 침투[독성_침투]를 부여하고 피해량이 증가한다.
    다수전에 특화되어 있는 클루카이가 보스전에도 1인분 이상이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 돌파. 다만 서클원 중에 6돌파 클루카이가 있으면 그쪽을 빌려 쓰게 되어 있음 + 3돌파에 들어가는 비용에 비해 활용도(확장 훈련 등 인형 조력을 빌릴 수 없는 콘텐츠에 그침)가 부족함 등의 이유로 비추천하는 의견도 있다.
  • 중추·Ⅵ
    결전기가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 독성 침투[독성_침투]의 효과를 터트려 여러 회에 걸쳐 범위 피해를 입히고, 이를 통해 미슈티로 강화된 페리티아의 범위 지원 사격이 발동하고 그 때 마다 클루카이는 리몰딩 지수와 결전기 쿨 타임을 돌려 받는다.
    클루카이가 보스전에서도 0티어의 게임 체인저로 등극하게 해주는 돌파.

3.4. 뉴럴 헬릭스

키 리스트
<colbgcolor=#eeeeee,#1c1c1c> 고유키
2-01
파일:GF2_클루카이_Perk_20-1.png 치명적인 속박
턴 시작 시, 적이 하나뿐일 경우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 효과를 1스택 2턴 간 부여한다. 그리고 리몰딩 지수를 2점 얻는다.
고유키
2-03
파일:GF2_클루카이_Perk_20-2.png 일거에 박살
결전기 크리티컬 드라이브가 적을 하나만 명중한 경우, 피해량 +30%.
고유키
4-01
파일:GF2_클루카이_Perk_30-1.png 무자비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 효과 추가, 안정 붕괴한 대상에게 주는 피해 +15%.
고유키
4-03
파일:GF2_클루카이_Perk_30-2.png 튼튼한 등
다른 아군이 지원 공격할 때마다, 자신은 리몰딩 점수를 1점 얻는다.[50]
고유키
6-01
파일:GF2_클루카이_Perk_40-1.png 극한의 선을 넘어
결전기 크리티컬 드라이브 효과 범위 너비가 3칸으로 좁아지는 대신, 줄어든 1칸마다, 주는 피해 +10%.[51]
고유키
6-03
파일:GF2_클루카이_Perk_40-2.png 운명의 반격 순간
보유자가 독성 침투[독성_침투]의 피해를 받고 쓰러지지 않을 경우 강산 퍼붓기[강산_퍼붓기] 효과를 1스택 2턴 간 얻는다.
공용키 파일:GF2_클루카이_Perk_All.png 반복되는 살의
'''
공격 보너스 5.0%
'''
턴 시작 시, 자신의 리몰딩 지수가 가득 찬 경우 다음 액티브 공격으로 주는 범위 피해 +10%.

리몰딩 지수 회복에 도움이 되는 4-03을 고정으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54]

그 외에는 잡몹 처리를 위해서 디메리트가 없는 4-01, 6-03 등을 쓰는 것이 편하다.

만약 3돌 이상[55]이라면 키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 2-03 : 무난한 보스용 키[56]
  • 6-01 : 보스에게는 효과적이지만, 범위 감소와 이동 제약 때문에 평소에는 쓰기 불편한 점이 많다[57]

[include(틀:소녀전선2: 망명/뉴럴 헬릭스 능력치
, 합계공격=204, 합계체력=333, 합계방어=88
, 합계공격보너스=10%
, 노드1공격=39, 노드1방어=21
, 노드2체력=80, 노드2공격보너스=5%
, 노드3공격=47, 노드3방어=29
, 노드4체력=110, 노드4공격보너스=5%
, 노드5공격=55, 노드5방어=38
, 노드6공격=63, 노드6체력=143
)]

3.5. 결합도

[include(틀:소녀전선2: 망명/캐릭터 결합도,
캐릭명=클루카이,
선호선물상종류1=,
선호선물중종류4=,
선호선물하종류5=,
@능력치02공격={n},
@능력치02체력={n},
@능력치03체력={n},
@능력치03방어={n},
@능력치04공격={n},
@능력치04방어={n},
@능력치05공격={n},
@능력치05체력={n},
@능력치합계공격={n},
@능력치합계체력={n},
@능력치합계방어={n},
@공용키이름={공용키이름},
공용키치명타=,
공용키치명타피해=,
공용키공격보너스=,
결약가능=
)]

4. 운용

4.1. 인형 무기

클루카이의 전용장비가 없다면 토로로의 전용장비인 슈팅스타를 대체품으로 사용해도 쓸만하다.
다만 클루카이의 전용무기인 스킬라는 깡공이 높은 편이고, 슈팅스타의 효과를 받을 수 없는 강산성 투하, 독성 침투 등의 패시브 공격까지 보정해주기 때문에 여유가 된다면 전용무기를 뽑는 것도 괜찮은 편이다.

4.2. 무기 파츠

[include(틀:소녀전선2: 망명/무기 파츠 추천,
강산 증폭=,
능력치1=공격 보너스, 능력치2=공격, 능력치3=치명타, 능력치4=치명타 피해)]

4.3. 제대 구성

잡몹 처리를 위해선 미리 양념을 쳐줄 범위 공격 캐릭터와, 3스 쿨타임을 보정해주는 지원사격 캐릭터만 정도만 있어도 충분히 단독으로 잘 쓸 수 있다. 3돌 이상을 올려서 보스전에 사용할 때는 미슈티, 페리티아와 함께 쓰면 된다.

5. 평가

뛰어난 기동성을 가진 범위 공격 중심의 캐릭터이다. 롯타 등의 범위 캐릭터와 조합[58]하면 잡몹 맵에서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미슈티, 페리티아와의 산성 조합도 괜찮은 편이지만 잡몹 처리 수준이라면 꼭 조합을 맞출 필요 없이 어떤 조합에서든 단독으로 활약이 가능하다. 이렇듯 서포트가 크게 필요하지 않은 육각형 성능 때문에 본의 아니게 클루카이를 지원해주는 포지션으로 나온 미슈티의 평가와 인식을 나락으로 보내버렸다.

대신 운용의 핵심인 3스킬의 효과 발동이 적 2기 이상 처치라는 조건을 달고 있어 이를 만족할 수 없는 단일 보스전에선 상대적으로 약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3돌 이상이라면 해당 조건이 적 2기 이상 명중 또는 보스 명중으로 완화되면서 범위 공격 캐릭터임에도 단일 공격 캐릭터와 엇비슷해질 정도로 보스전에서도 괜찮은 성능을 보여준다. 6돌을 달성한 클루카이는 3스킬의 범위가 양 옆으로 1칸씩 더 확장되면서 기존의 역할이 더욱 강화되는 것은 몰론, 강산성 투하 디버프 스택을 쌓는 속도도 더욱 빨라지면서 잡몹과 보스 가리지 않고 녹여버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종합하자면 기본 명함만으로도 잡몹전에 특화된 성능을 보이며, 3돌파부터는 보스전까지 커버가 가능한 것도 모자라 6돌파까지 가면 모든 콘텐츠에서 압도적인 성능을 보여주는 캐릭터다. 이로 인해 출시 이후부터 성능 평가 상위권을 내려온 적이 없으며, 6돌파를 도달한 클루카이는 아예 성능 우열을 가릴 필요도 없이 만능으로 평가 받는다. 이 때문에 서클 컨텐츠의 핵심인 흙먼지 전선에서 6돌 클루카이가 있다면 매번 빌려갈 정도이다.

다만 클루카이는 범위 공격 캐릭터이기 때문에, 순수한 단일 딜량은 확장키와 스프링필드의 보조를 받아 매 턴 3번씩 쏘는 토로로에게 밀리는 편이다.

6.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HK416(소녀전선)/작중 행적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스킨

7.1. 스피드 스타

파일:GF2_클루카이_스킨1_임시(중국어).jpg

이벤트 무료 배포 스킨.

7.2. 별빛의 섬광

파일:GF2_클루카이_스킨2_임시(중국어).jpg

상점 판매 스킨.

8. 대사

  • 어조
    • 01: 아, 그래?
    • 02: 그래.
    • 03: 계속해.
    • 04: 좋소.
    • 05: 조심해.
    • 06: 작전 개시.
    • 07: 흥.
    • 08: 비켜.
    • 09: 쓸데없는 짓을.
    • 10: 포기하시지.
  • 스킬
    • 01: 현실을 직시해.
    • 02: 딱 3초 주지.
    • 03: 여기다.
    • 04: 경계를 유지하시오.
  • 처치: 목표 침묵.
  • 승리: 흥. 너희들의 실수는, 404를 적으로 돌렸다는 거야.
  • 패배: ...일시 퇴각. ...내 판단 미스야.
  • 결전기: 지금이라도 항복해.
  • 일상
    • 01: 뭘 하고 있냐고요? 보면 아실 텐데요... 경비 신청, 정기 기록 보존, 의뢰 사전조사와 준비... 대장으로서 할 일이 산더미예요. 그로자나 메이링처럼 든든한 조수가 있는 것도 아니고.
    • 02: 목베개... 커피 사이펀... 여름 이불...? 하아... 이 녀석들, 또 내가 안 보는 틈에 쓸데없는 걸 구매 신청서에...
    • 03: 예전엔 마음속에 쓸데없는 망설임이 있었어요. 그걸 버리고 나서야 깨달았죠. 404를 이끌 수 있는 건 저 뿐이고, 404의 미래가 곧 저 자신을 증명하는 최고의 증거가 되리라는 걸요.
    • 04: 404에 약자는 필요없어요. 그 애들이 아무리 하기 싫어해도, 제가 반드시 최강의 전술인형으로 키워보이죠.
    • 05: 임무 때문에 계속 타다 보니까, 점점 대형 바이크가 좋아지더라고요. 의외의 수확이라고 할 수 있겠죠.
  • 타이틀: 소녀전선 2: 망명.
  • 로그인: 늦으셨네요? 기다렸다고요.
  • 영입: H.I.D.E.404 현 대장, 엘리트 인형 클루카이, 무사히 도착. 오랜만이에요, 지휘관.
  • 강화
    • 01: 그럭저럭이네.
    • 02: 나름 성과가 있네요.
    • 03: 훈련 시간을 늘려야겠어.
    • 04: 별 거 아니죠.
    • 05: 두려우신가요?
  • 정비실

9. 기타

  • 전작 소녀전선과 외전작 뉴럴 클라우드에서 등장했던 만큼, 후속작인 소녀전선 2에서의 등장 여부에 대해 많은 관심을 받기도 했다. 2018년에 공개된 극초창기 티저 영상에서 단독으로 등장했긴 했지만, 제작인력이 물갈이 되고 초창기의 기획과 개발 리소스가 대부분 폐기되면서 클루카이의 등장이 불확실해진 상태[59]였기 때문. 이후 일본 기사를 통해서 성우 노나카 아이가 소녀전선 2에서 클루카이 역으로 녹음을 마쳤다는 정보가 공개되었고, IGC 2023 강연에서 우중PD가 소녀전선 2의 클루카이의 실루엣을 공개한 것으로 등장이 확정되었다.#
  • 이렇게 강력한 성능과 두터운 팬덤을 가진 만큼 글로벌 서버에서는 서비스 초기부터 클루카이의 출시 시기에 대해 커뮤니티에서 매번 갑론을박이 오갔는데. 한국 서버의 클라이언트 유출 데이터에서 3월 20일에 출시된다는 사실이 밝혀져# 큰 화제가 되었다. 물론 클라이언트를 뜯은 데이터지 공식적으로 밝혀진 정보는 아닌 만큼 속단은 금물이지만, 처음 클라이언트 유출로 공개된 대연과 마키아토 픽업 일정이 그대로 진행되었던 만큼 거의 확실한 정보로 보는 시선이 많은 편. 이렇게 일정이 나온 이유로는 앞서 유출된 일정에 있는 센타우레이시의 개편된 개인 스토리 이벤트가 중국 서버에서 25년도 초에 진행된 점, 개편된 스토리의 내용이 대연 이벤트 ~ 원일점 이벤트 사이를 다루는 스토리인 점을 감안할 때 스토리 진행과 최대한 연계하려는 의도로 점쳐지고 있다.
  • 뉴럴 클라우드 당시에 사용한 이름과 발음은 같으나 스펠링이 다른데, 선본 번역가가 밝힌 바에 따르면 영어 이름이 어색해지지 않도록 바꿨다고 한다.#
  • 2024년 5월 17일 방송에서 실루엣이 처음 공개되었을 때, 근접 무기로 추정되는 실루엣이 있어 근접 공격 캐릭터로 출시되는게 아니냐는 추측이 일부 있었다. 이후 캐릭터 소개 PV에서 실제로 근접 무장도 사용하긴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설정상이고, 인게임에서는 스킬 연출에서만 쓰는 모습이 나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클루카이 본인이 소전 2에서 404 소대의 리더로 활동하게 된 계기가 소녀전선의 이벤트인 은염색 현상에서 간접적으로 암시되었는데, 앞으로 더 흉흉해질 세상에서 어느 쪽으로도 특출나지 못한 404 소대가 살아남으려면 더 냉정하고 이성적인 리더가 필요하다 생각했다고 한다. 다만 지휘관이나 안젤리아에게 감정적으로 너무 깊게 얽매인 현재의 UMP45(리바)로는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는 듯. 다만 그런 것 치곤 10년만에 지휘관과 재회했을 때 몇 년 동안 메세지를 보냈는데 왜 답장이 없었냐고 말하며 우는 모습을 보여서# 웃음벨이 되기도 했다.
  • N주년 기념 메시지.
    {{{#!folding [1주년 메세지]
지난 1년 동안 우리는 좋은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고 생각해요.
404소대의 특성상 지휘관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우리 관계가 변한 건 아니에요.
앞으로도 나와 404는 지휘관의 든든한 협력자가 되겠어요.
}}}

10. 둘러보기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1a1e,#010101><bgcolor=#0f1a1e,#010101>
파일:GF2_logo.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e0e0e0><colbgcolor=#0f1a1e,#010101> 스토리
콘텐츠
시스템
아이템
기타
관련 사이트
}}}}}}}}} ||

파일:404_Squad_Logo_Square.png
H.I.D.E. 404 1조

Those who don't exist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GF2_프로필_클루카이.png
파일:GF2_프로필_미슈티.png
파일:GF2_프로필_벨카.png
파일:GF2_프로필_안도리스.png
클루카이 미슈티 벨카 안도리스
}}}}}}}}} ||
[1] 인형소극장에서도 HK416을 맡았다.[강산_퍼붓기] 행동 종료 시, 부여자가 공격력 12% 범위 산성 피해를 준다. 추가적인 1스택마다 피해 계수 +12%. 클루카이의 공격 또는 다른 유닛에게서 산성 피해를 받을 때 +1스택, 지속 시간 초기화. 최대 중첩 10스택. 부여자가 쓰러질 때 해제된다. 산성계 디버프, 정화 불가.[독성_침투] 행동 종료 시, 강산 퍼붓기1스택 받는다. 지속 시간 2턴. 쓰러질 때 부여자가 보유자 및 그 주위 반경 3칸 이내의 모든 적에게 독성 침투2턴 간 부여한다. 그리고 공격력 60% 범위 산성 피해를 준다. 부여자가 쓰러질 때 해제. 산성계 디버프.[추가_이동] 1회 이동할 수 있지만 다른 지시를 사용할 수 없다.[방어_감소Ⅱ] 방어력 -30%. 방어 디버프.[패닉] 기초 이동력이 1칸으로 감소, 공격력 -30%, 주는 안정 피해 -4점. 디버프.[제어_효과] 도발, 도피, 유도, 기절 효과를 포함한다.[호승심] 주는 산성 피해 +5%, 최대 중첩 8스택. 정화 불가 버프.[강산_퍼붓기] [강산_퍼붓기] [강산_퍼붓기] [독성_침투] [강산_퍼붓기] [독성_침투] [강산_퍼붓기] [독성_침투] [강산_퍼붓기] [추가_이동] [방어_감소Ⅱ] [독성_침투] [강산_퍼붓기] [패닉] [강산_퍼붓기] [독성_침투] [제어_효과] [강산_퍼붓기] [호승심] [호승심] [강산_퍼붓기] [독성_침투] [강산_퍼붓기] [호승심] [강산_퍼붓기] [방어_감소Ⅱ] [독성_침투] [강산_퍼붓기] [강산_퍼붓기] [패닉] [강산_퍼붓기] [독성_침투] [패닉] [강산_퍼붓기] [독성_침투] [방어_감소Ⅱ] [독성_침투] [강산_퍼붓기] [독성_침투] [강산_퍼붓기] [강산_퍼붓기] [50] 클루카이의 사거리 밖에서 지원사격이 발생해도 적용된다. 지원사격 이외에 사브리나의 반격, 마키아토의 매복 공격 등은 회복이 적용되지 않는다[51] 파일:GF2_클루카이_Skill_3_Perk_40-1_범위.png[독성_침투] [강산_퍼붓기] [54] 해당 키가 없으면 3스 쿨타임을 돌리는데 큰 애로사항이 생긴다.[55] 클루카이는 잡몹 처리에 뛰어난 범위 공격 캐릭터이기 때문에 단일 딜량이 부족하여 일반적인 보스전에서 비효율적이다. 하지만 3돌부터는 3스 강화로 보스전에도 활약할 수 있다.[56] 3돌이 아닐 경우엔, 3스가 1스보다 단일 딜량이 약하므로 2-03을 쓰지 않는 게 낫다.[57] 보스전 이외에는 다른 키를 사용하는 게 낫다. 키를 매번 바꾸기 귀찮다면 2-01을 써도 무방하지만, 길드 레이드 시즌에는 빌려가는 사람을 위해서라도 6-01을 끼워주는 게 좋다.[58] 미리 양념을 쳐두면 클루카이 3스의 2킬 조건을 채우거나, 2스의 처치 시 연쇄 폭발을 유도하기 편해진다[59] 1차 PV에서 404소대의 완장을 찬 인물이 등장한 점, 레나와 리바가 대화하는 CG에서 G11과 함께 데포르메된 모습으로 등장한 점, 1차, 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에서 리바와 레나가 등장하는 점, 인기 캐릭터이니 만큼 등장이 유력하다는 추측은 많았지만 어디까지나 추측이었을 뿐 확정된 정보가 없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