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 아너의 진영과 영웅 | ||||
| | | | | |
| 기사 | 바이킹 | 사무라이 | 무림 | 아웃랜더 |
| 워든 | <colbgcolor=#c79e93,#6c4337> 레이더 | <colbgcolor=#99b3a1,#4c6654> 켄세이 | <colbgcolor=#c0aad5,#3f2955> 천지 | <colbgcolor=#b0c4de,#4F599F> 해적 |
| 컨쿼러 | 워로드 | 슈고키 | 장군 | 메자이 |
| 피스키퍼 | 버서커 | 오로치 | 여협 | 아피라 |
| 로브링어 | 발키리 | 노부시 | 소림 | 오셀로틀 |
| 센추리언 | 하이랜더 | 시노비 | 참호 | 크하툰 |
| 검투사 | 샤먼 | 아라무샤 | 버츄오사 | |
| 블랙 프라이어 | 요르뭉간드르 | 히토기리 | ||
| 워몽거 | 바랑기안 친위대 | 쿄신 | ||
| 그리폰 | 소헤이 | |||
| 크하툰 Khatun[*] | |
| | |
| 진영 | |
| 클래스 | 암살 |
| 무기 | 킬리지 |
| 특징 | 연속 공격에 능숙함, 약한 속임수 전문가 |
| 난이도 | 어려움 |
| 성별 | 여성 |
| 생명력 | 125 |
| 체력 | 120 |
| 출시일 | 2025년 1월 23일 |
1. 개요
2025년 1월 23일 추가된 포 아너의 신규 영웅으로 아웃랜더 진영의 첫 번째 암살자 클래스로 몽골 제국과 칭기즈 칸을 모티브로 한 영웅이다.공식 한국어 명칭은 '크하툰'으로 공개되었는데, Khan(칸)의 여성형 명사인 Khatun(카툰)에서 비롯됐다. 크하툰으로 표기된 이유는 몽골어 발음 때문인 것으로 보이는데, 카툰의 몽골어 표기인 'Хатун'에서 Х는 마찰음이기에 실제로 'ㅋ흐'에 가깝게 발음하기 때문이다. 사실 '크하툰'이란 명칭도 올바른 몽골어 표기가 아니며, 굳이 따지자면 '하틍'이 그나마 원래 명칭에 가까운 한국어 표기이다.
2. 특징
| 장점 | ● 소프트캔슬을 이용한 심리전이 강력함 ● 전방향 흘리기 기술인 공포와 분노로 공격 회피 및 반격에 능함 ● 공포와 분노 진입 시 유연한 상황 대처가 가능함 ● 공포와 분노 파생 기술들의 뛰어난 추적력과 전진성 ● 피의 분노로 적을 오랫동안 무방비 상태로 만들 수 있음 |
| 단점 | ● 피의 분노(찌르기) 계열 공격 사용 시의 낮은 처형 가능성 ● 슈퍼아머에 취약함 |
기본 약공격은 긴 칼에 걸맞게 공격 범위 판정이 매우 넓지만 500ms 발동에 1타 12대미지, 2타 14대미지라는 평범한 스펙을 가졌다.
강공격은 800ms 타격, 24 대미지에 공격 범위가 넓은 편이며 소프트캔슬 기능이 다양하게 달려 있다. 기본적으로 강공격 도중에 다른 방향 약공격·강공격으로 소프트캔슬할 수 있고 이 솦캔 공격은 무조건 1타 공격으로 판정된다.[2] 강공격 도중에 방어해제를 누르면 400ms 몸가불기인 발차기가 나가며 적중하면 약공격이 확정이다. 그리고 강공격 도중에 회피를 누르면 전방향 흘리기 상태가 되는 공포와 분노 자세에 돌입한다. 특이사항으로 이 소프트캔슬들은 1타 강공격이든 2타 강공격이든 동일하게 발동할 수 있다. 기존 영웅들은 강공격 소프트캔슬이 있어도 특정 타수 강공격이나 특정 방어방향 강공격에서만 솦캔이 가능하다는 제약이 있었는데 크하툰은 매우 자유로운 소프트캔슬이 가능한 것이다.
범위 공격의 경우 800ms 발동에 24 대미지, 발동 전 캔슬이 가능하다. 일반 강공격에 비해 상술한 소프트캔슬들이 불가능하지만, 약공격에 준할 정도로 가드 브레이크에 잘 잡히지 않으며 처형도 가능하다.
크하툰의 앞회피 강공격은 일반 강공격처럼 캔슬, 다른 방향 소프트캔슬, 발차기, 공포와 분노 진입이 가능하다. 추적용 기술이라 추적력이 매우 좋다.
횡회피 약공격들은 넓은 공격 범위에 방어당해도 저지되지 않고 이후 2타 연계나 공포와 분노 진입이 가능하다.
크하툰은 범위 공격을 포함한 대부분의 일반 공격의 후딜레이 때 회피를 누르면 공포와 분노 자세에 진입한다. 이 동안 크하툰은 상대를 향해 빠르게 돌진하여 이후 800ms 동안 흘리기가 가능한 모든 공격을 자동으로 흘리는, 완전막기 자세 비슷한 상태가 된다. 다만 이때 가불기·몸가불기를 맞으면 그대로 피격당하며, 가드 브레이크에 잡혀도 풀 수 없어진다.
크하툰은 공포와 분노 자세에서 약공격, 강공격, 범위공격, 회피의 4가지 행동을 자유롭게 쓸 수 있다. 하지만 자세 진입 후 공격까지 333ms~400ms의 짧지 않은 선딜레이가 필요해서 경우에 따라 가드 브레이크에 취약해질 수도 있다.
- 이때의 약공격은 전방향 400ms에 적중하는 매우 빠른 10 대미지 공격이 되며 좌우로 쓸 경우 범위 판정이 매우 넓다.
- 강공격은 추적력이 좋은 800ms의 10 대미지 가불기 찌르기가 되고 적중하면 이후 피의 분노 연계기를 쓸 수 있다.
- 범위공격은 왼쪽으로 공격방향이 고정되지만 500ms 발동 · 16 대미지로 성능이 괜찮고 범위 판정도 넓으며 방어당해도 연계를 지속할 수 있다.
- 공격 대신 회피를 하면 공포와 분노를 취소하고 바로 회피나 회피공격이 가능하다. 이 회피를 통해 공포와 분노 심리전을 몸가불기로 파훼하려는 상대를 역공할 수 있고, 앞회피 강공을 통해 발차기를 먹일 수도 있다.
공포와 분노 자세에서 강공을 누르면 나가는 피의 분노는 가드 불가 찌르기 공격이다. 이 찌르기에 상대가 적중하면 상대는 아무 행동도 할 수 없는 무방비 고정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도 약공격, 강공격, 범위공격, 회피가 가능하다. 추가 입력을 안 하면 크하툰이 상대를 밀치는데 이것으로 상대를 벽에 부딪히게 할 수 있다. 피의 분노 계열 찌르기는 흘리기 확정타, 패링 시 강공격 등으로 다양하게 발동시킬 수 있으며 이후 연계도 동일하다.
- 찌르기 후 약공격을 하면 400ms로 8의 대미지를 입히며 상대를 짧게 경직시키고, 1타 공격 연계를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연계에 비해 대미지가 너무 낮아서 자주 쓰이진 않지만 연계들 중에선 공격의 후딜레이가 독보적으로 짧기 때문에 적들에게 둘러싸였을 때 다음 공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 찌르기 후 강공격을 누르면 1600ms 동안 2번에 걸쳐 10+10의 대미지를 주는 찌르기를 한다. 첫 10 대미지와 두 번째 10 대미지 사이의 간격이 900ms로 매우 길기 때문에 아군이나 적군의 공격에 끊기기 쉬우며, 제대로 발동하면 못해도 2000ms(2초) 씩이나 상대를 무방비 상태로 묶어둘 수 있다. 종합 대미지가 제일 높아 대미지 누적이 뛰어나지만 이 기나긴 시간동안 크하툰도 무방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황을 잘 보면서 써야 한다. 공격 후의 프레임 이득이 없거나 불리하여 주도권이 넘어갈 수 있다.
- 찌르기 후 범위공격을 누르면 두 칼을 좌에서 우로 넓게 휘둘러 800ms에 12 대미지를 준다. 이 공격은 슈퍼아머를 적용받는다. 발동이 좀 느리고 대미지도 낮지만 범위가 매우 넓고 슈퍼아머까지 받을 수 있어서 난전 때 크하툰이 주로 사용하게 되는 기술이다. 공격 후의 프레임 이득이 없거나 불리하여 주도권이 넘어갈 수 있다.
- 찌르기 후 회피를 누르면 회피와 회피 공격, 흘리기가 가능하다. 찌른 후 회피는 빠르게 나가기에 확정타를 넣기가 여의치 않으면 회피로 안정성을 챙기는 게 좋다.
- 찌르기 후 가만히 있으면 크하툰이 꿰뚫은 상대를 강하게 밀친다. 이때 적이 벽에 부딪히거나 낭떠러지에 떨어질 수 있고, 부딪힌 적에게는 일반 강공격이 확정이다.
피의 분노 계열 찌르기는 공포와 분노 중 강공격(10 대미지), 흘리기 후 강공격(5 대미지), 가드 브레이크 후 강공격(5 대미지), 공격 패리 후 강공격(8 대미지)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약공격 패리 후엔 종합 28 대미지를 확정으로 줄 수 있어 가치가 높고, 강공격 패링에도 가불 찌르기를 날려 가불기-가브 심리전을 걸 수 있으니 강력하다. 다만 찌르기 연계는 처음의 저 낮은 대미지로 상대를 죽여야 처형이 가능한데, 확실하게 처형을 하고 싶다면 범위공격을 날리면 된다.
약공격 위주로 몰아치는 것에 능한 영웅이며 흘리기와 회피를 통한 대처 능력이 높다. 하지만 주력기인 찌르기 연계가 대미지를 욱여넣기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고, 심지어 흘리기 확정타가 슈퍼아머에는 씹힌다는 큰 단점도 있어서 종합적인 평가는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 애매함 ~ 무난함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버프를 받아 흘리기 이후 발차기를 발동할 수도 있게 되었지만 평가가 크게 오르진 않았다.
3. 기술
| | |
| 말 조련사 | 약 → 약 |
| 굶주린 독수리 | 약 → 강 |
| 야생마 | 강 → 약 |
| 범위 공격 | 약 + 강 |
| 대초원의 지배자 | 전방 회피 → 강 |
| 대초원의 거주자 | 좌/우 회피 → 약 |
| 신속한 바람 달리기 | (방어 모드가 아님) 질주 → 약 |
| 무시무시한 강타 | (강공격 도중) 약 |
| 불길한 일격 | (강공격 도중) 강 |
| 공포의 발차기 | (강공격 도중) 방어 해제 |
| 공포와 분노 | (강공격 도중) → 회피 |
| 분노 상승 | 공포와 분노 후 → 약 |
| 분노의 폭풍 | 공포와 분노 후 → 약 + 강 |
| 피의 분노 | 공포와 분노 후 → 강 |
| 귀중한 제어 | 피의 분노 후 → 약 |
| 가차없는 평화 | 피의 분노 후 → 강 |
| 궁극의 권한 | 피의 분노 후 → 약 + 강 |
| 신속한 형벌 | 흘리기 → 강 |
| 잔혹한 형벌 | 쳐내기 → 강 |
| 맹렬한 형벌 | 방어 해제 → 강 |
- 응용
- (확정기) 피의 분노 → 약공격
- (확정기) 피의 분노 → 강공격
- (확정기) 피의 분노 → 범위 공격
- (확정기) 피의 분노 → 밀치기[3] → 상대 벽꿍 → 강공격
- (확정기) 공포의 발차기 → 약공격
- (확정기) 흘리기 → 방어 해제(공포의 발차기) → 약공격
4. 특수기
백병전, 전멸전, 정복전 또는 돌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웅별 특수기술. 적 영웅 처치, 아군 부활, 미니언 사살, 거점 점령 등으로 명예 점수를 획득하여 해금할 수 있다.4.1. ★
- 가차 없음: 지속 | 약한 속임수는 체력이 소모되지 않습니다.
약한 속임수란 공격 취소(E)를 누르지 않고 다른 공격으로 잇는, 소프트캔슬을 의미한다.
- 돌격: 발동하면 짧은 시간 동안 이동속도 상승
- 현상금 사냥꾼: 지속 | 다른 영웅 처치 시 생명력과 체력 회복
4.2. ★★
- 잔혹: 지속 | 모든 피의 분노 연계기가 적중한 후 공격력이 잠시 증가합니다.
- 격려: 자신과 아군이 주는 피해가 증가하고, 병사들의 전투속도를 향상
- 처형인의 숨 돌리기: 지속 | 적 영웅을 처형할 때 처형 시간에 따라 생명력을 추가로 획득합니다
4.3. ★★★
- 위협적: 지속 | 영웅을 처치하면 짧은 시간 동안 근처 적에게 가하는 피해가 증가하는 오라를 얻습니다.
- 강인함: 지속 | 잠금 해제되면 최대 생명력 상승
- 방패 관통: 지속 | 막기 피해량이 증가합니다
4.4. ★★★★
- 궁극의 형벌: 피의 분노 연계기로 이어지는 빠른 공격을 수행합니다.
- 화살 세례: 여러 지역에 중간 피해를 주는 공중 공격
- 재생: 지속 | 전투에서 벗어나면 생명력 재생
5. 대사
대사는 출신인 만큼 몽골어로 되어 있다. 그간 등장한 모든 여성 캐릭터 중에서 압도적으로 거칠고 허스키한 목소리 톤이 특징.- 피의 분노 흘리기 또는 후딜캔 회피, 솦캔 회피 후 강공격
- Хэтэрхий их үг - "헤테르히 이흐 윅" - "Too much words!" - "말이 너무 많군!"
- Чимээгүй - "치메그위" - "Be silent!" - "닥치거라!"
- 특수기 - 돌격
- Хчрбэлф - "후르뎨르프" - "Hurry up!" - "서두르자!"
- 특수기 - 격려
- Ялалт - "얄라트" - "Victory!" - "승리를!"
- Урагшаа - "우라크샤아" - "Forward!" - "전진하라!"
- Зориг - "조릭!" - "Bravery!" - "담대하라!"
- Гялс - "갸르스!" - "The Flash!" - "빛의 속도로!"
- Харьмой - "하르모이!" - "Homeward!" - "무사귀환을!"
- 특수기 - 궁극의 형벌
- Захирагда - "자히라그다" - "Obey!" - "복종해라!"
- Нааш ир - "나쉬 이르" - "Come here!" - "이리와라!"
- Энх тайван - "엔흐 타이반" - "Peace!" - "평화를!"
- 특수기 - 화살 셰레
- Үхлийн бороо - "윅흘린 보로오" - "Rain of death!" - "죽음의 비!"
- Харваачид аа - "하르바치드 아!" - "Archers!" - "사수들이여!"
- Гох - "고흐!" - "(Pull the) Trigger!" - "(시위를)당겨라!"
- 팀원에게 부활 시
- Та шагнал хуртнэ - "타 샤그날 후르트네" - "You'll be rewarded." - "너는 보상을 받게 될것이다."
- Та (?) болно - "You'll be (?)"
- Гүнээ хүндэтгэе - "군네 훈데트게예" - "I appreciate it." - "진심으로 감사한다."
- Холбоотон - "홀보오톤" - "Ally!" - "전우여!"
6. 기타
- 출시된 당시의 이벤트 스토리에 따르면 수장격 크하툰의 본명은 '굴진'이라고 한다. 굴진은 본래 평범한 마을에 사는 아이였으나 다른 몽골 부족에 의해 마을이 학살당했고, 겨우 살아남아 처절한 훈련과 전투 끝에 여러 부족으로 흩어져 있던 몽골을 제국으로 통합시켰다.[4] 제국을 만든 이후 군대를 이끌고 히스무어 전역을 침략하며 자신이 다스리는 몽골 제국이 히스무어에도 평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한다. 히스무어 침공의 첫걸음은 기습으로 시작됐다. 굴진이 무림 세력의 지도자이자 참호인 '지 장군'과 사전에 협약을 맺고, 호르코스를 치기로 한 것이다. 호르코스 교단의 수장이자 아폴리온의 추종자인 아스트레아(Astrea)는 항구에서 대규모 군대를 집결하여 지 장군과 조약을 맺는 중에 굴진의 습격을 받게 된다. 이 습격으로 호르코스 대군은 궤멸되었으며 아스트레아는 크하툰에게 생포되었다. 습격 당시 굴진을 마주한 아스트레아는 굴진에게 공포를 느꼈다고 전해진다.
- 출시 당시의 게임 메인화면에선 굴진으로 추정되는 크하툰이 워몽거 아스트레아로 보이는[5] 누군가를 붙잡아 무릎 꿇려 놓고는 당장이라도 처형할 것처럼 목에 칼을 갖다 대고 있다. 공식 일러스트에서 크하툰은 몽골 병사들이 들고 있는 가마에 앉아 워몽거의 투구를 오른발로 밟고 있다.
- 몽골 출신 영웅이지만, 정작 몽골 하면 떠오르는 기마술과 활, 매사냥이 어떤 형태로도 등장하지 않아 아쉽다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우스갯소리로, 여성으로 나온 것에 대해 남성 캐릭터로 만들면 유럽의 PTSD가 재발하기 때문이라는 농담이 있다.
[*] 캐릭터 이름은 공식 한국어 명칭을 따름[2] 즉 이 소프트캔슬만 쓰면 스테미나가 다할 때까지 무한연계도 된다.[3] 첫 찌르기 후 가만히 있으면 상대를 밀친다.[4] 모티브인 칭기즈 칸의 실제 생애와 매우 비슷한 내용이다.[5] 워몽거는 아폴리온의 후계자를 자처하는 호르쿄스 교단 세력의 고위 간부들의 이름이며 수장인 아스트레아의 명을 따른다. 이 워몽거가 누구인지 명확하지는 않으나, 크하툰 출시 당시의 스토리에서 크하툰이 아스트레아를 포로로 잡았다는 언급이 있는 것을 보아 아스트레아 본인일 확률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