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 아너의 진영과 영웅 | ||||
| | | | |
기사 | 바이킹 | 사무라이 | 무림 | 아웃랜더 |
워든 | <colbgcolor=#c79e93,#6c4337> 레이더 | <colbgcolor=#99b3a1,#4c6654> 켄세이 | <colbgcolor=#c0aad5,#3f2955> 천지 | <colbgcolor=#b0c4de,#4F599F> 해적 |
컨쿼러 | 워로드 | 슈고키 | 장군 | 메자이 |
피스키퍼 | 버서커 | 오로치 | 여협 | 아피라 |
로브링어 | 발키리 | 노부시 | 소림 | 오셀로틀 |
센추리언 | 하이랜더 | 시노비 | 참호 | 크하툰 |
검투사 | 샤먼 | 아라무샤 | ||
블랙 프라이어 | 요르뭉간드르 | 히토기리 | ||
워몽거 | 바랑기안 친위대 | 쿄신 | ||
그리폰 | 소헤이 |
1. 개요
요르뭉간드르 Jormungandr [*] | |
| |
진영 | |
클래스 | 중갑 |
무기 | 슬레지해머 |
특징 | 무력화에 능숙함, 연속 공격에 능숙함 |
난이도 | 보통 |
성별 | 혼성 |
생명력 | 130 |
체력 | 140 |
출시일 | 2019년 8월 1일 |
우리는 기다렸다.
(We have waited.)
몇 년 동안 우리는 대의를 위해 피를 흘리고 몸을 바쳐왔다.
(For years we have bled, devoted our bodies to the great cause.)
이제 지축이 흔들리고..포효가 들릴지니..!
(Now the earth stirs. A rumbling calls.)
요르문간드여, 일어나라!
(Jormungandr, rise!)
네 분노를 불러와라!
(Bring your wrath!)
라그나로크가 온다!
(Ragnarok comes!)
한국 기준 2019년 8월 2일에 출시된 바이킹 진영 영웅이다.(We have waited.)
몇 년 동안 우리는 대의를 위해 피를 흘리고 몸을 바쳐왔다.
(For years we have bled, devoted our bodies to the great cause.)
이제 지축이 흔들리고..포효가 들릴지니..!
(Now the earth stirs. A rumbling calls.)
요르문간드여, 일어나라!
(Jormungandr, rise!)
네 분노를 불러와라!
(Bring your wrath!)
라그나로크가 온다!
(Ragnarok comes!)
북유럽 신화의 괴수인 요르문간드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망치의 형상과 공개 트레일러에서의 번개 연출로 보아 토르가 모티브로 보인다. 대사에서도 토르를 언급한다.
요르뭉간드르 여성 영웅의 이름이 훌다라고 밝혀져 훌다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은 요르뭉이라고 부른다. 해외쪽은 Jorm이라고 줄여 부르는 편.
2. 특징
장점 | ● 강력한 넉백, 그로 인한 지형으로 밀쳐냈을 때의 강력한 이득 ● 막기에 차단되지 않는 약공격 ● 구분하기 힘든 약, 강공격[2] ● 가불기 공격들이 대부분 가드브레이크를 무시함 ● 강공격 마무리에 붙어 있는 가불기 ● 활용도 높은 존어택 ● 매우 뛰어난 성능의 특수기들 |
단점 | ● 강공격 마무리/몸가불기의 추적력이 좋지 않음[3] ● 개활지에서 상대적으로 무력함 ● 낮은 방어 해제 후 강공격 피해량[4] ● 첫 강공격의 횡추적력이 좋지 않음[5] |
요르뭉간드르는 기본적으로 심리 요소의 강력함을 탑재한 채 이를 바탕으로 주변의 변수를 적절히 이용하여 폭딜을 우겨넣는 것이 주 운영법이다.
먼저 요르뭉간드르의 심리요소는 크게 뛰어난 성능의 기본기와 다양한 가불기에서 나온다.
우선 요르뭉간드르는 리워크 전의 한을 풀기라도 하듯 흠 잡을 데가 없는 준수한 기본기를 지니고 있다. 먼저 스태미나가 140으로 포 아너 내 3위의 높은 체력을 가지고 있으며, 500ms의 빠른 전진 몸가불 보유, 강공격, 약공격의 모션이 같아 모션으로 패리 타이밍을 예측할 수 없고, 존 어택은 첫타 시전 시 500ms의 속도에 이후 연계하여 시전하면 슈퍼아머와 이후 강공격, 약공격 연계가 보장되는 든든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거기에, 약공격 판정이 상급 약공이라 막기로 끊을 수 없어 후술할 캔슬/노 캔슬 존어택 연계심리가 매우 위협적이게 된다.
여기까지의 설명만 들어보면 기본기가 우월하니 기본기 중심으로 운영하는 워몽거 같은 캐릭터인가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영웅의 진정한 성능은 가불기를 위시한 기술들의 혼합에 있다.
일단 요툰 송별은 1타 이후 가드 브레이크로 발동하며, 700ms의 발동시간이 있고, 적중 시 26 대미지의 하마르 슬램을 맞출 수 있으며, 그 후 양쪽의 스태미나가 모두 회복된다.
여기에 패리 시, 가드 브레이크 시 발동되어 확정타 개념과 이후 가불기로 연계가 가능한 요툰 원한과 요툰 선물을 더하면 요르뭉간드르의 심리 요소는 완성된다.
이 영웅의 운영 특징은 이러한 심리요소가 유기적으로 혼합되어 최상의 성능을 내는 것과 이러한 심리요소에 주변 환경을 결부시켜 엄청난 변수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것에 있다.
먼저 정말 아무 때나 지를 수 있는 존어택의 존재가 포 아너 특유의 가위바위보 심리를 방해하는 것이 큰 방해요소다. 요르뭉간드르는 심리요소가 가불기 두 가지와 환경 요소 정도로 많지 않으나, 똑같이 저지불가 판정에 속도까지 똑같으며 이후 가불 심리가 확정적으로 들어가는 존어택과 약공격, 거기에 약공격과 모션이 같은데 슈퍼아머가 붙어있는 강공격이 모두 캔슬이 가능한 요툰 송별과 가불기를 어느 때고 캔슬하고 지를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버서커 이상의 가불 심리 요소를 가진 영웅이 버서커 수준의 캔슬 심리와 슈퍼아머로, 거기에 상급 약공격을 달고서 140의 높은 체력을 위시해 온갖 캔슬기를 뿌려대는 것이 1차 문제다.
2차 문제는 그렇게 기본기 요소로 갉아먹힌다고 해서 그렇다고 가불 심리가 위협적이지 않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첫 번째, 생가불기와 가드 브레이크 연계 확정타에는 넉백이 있어 환경요소 이용 가능 여부에 따라 요르뭉간드르의 확정 딜량이 천정부지로 솟아오를 여지가 있다. 즉 가불기를 맞으면 다른 영웅에 비해서도 위험하니 맞으면 안된다.
두 번째, 몸가불을 맞으면 강공격 한 대 대미지는 그렇다 치고 온갖 심리요소를 난사해 거의 바닥이 나버린 요르뭉간드르의 스태미나가 다시 풀충전이 됨과 동시에 상대 영웅이 불리 프레임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몸가불기를 맞으면 안된다.
즉 상대 입장에서는 심리 중 하나라도 잘못 찍으면 피 한 번 보는 게 문제가 아니라 '18+27 대미지로 피 1/3 증발+요르뭉간드르 가불 심리 다시 진입/온갖 캔슬기를 두드려 맞고 너덜너덜해진 상태에서 하마르 슬램 26 대미지+요르뭉간드르 이득 프레임+체력 풀충전' 이런 말도 안되는 수준의 베네핏이 돌아가게 된다. 여기에 상기한 압도적인 기본기를 바탕으로 존어택을 난사해 패리를 해봐도 약공격 한대/몸가불을 피해봐도 회피공격 한 대 라는 로우 리턴 초 하이 리스크의 심리 요소라서 기울어진 운동장이 되어버리는 것이 요르뭉간드르의 운영 주축이다.
현재 리워크가 되었다.
1. 요르뭉간드르의 약공과 강공의 모션이 똑같은 양손으로 잡고 휘두르는 모션으로 변경[6]
2. 공격 후[7] 몸가불이 적을 즉시 넘어트리고 캔슬이 가능함.
3. 가브 후 들어가는 강공의 모션 변경과 가브 후 들어가는 모든 강공에 밀쳐내기 효과
4. 강공격 무한류 연계 가능
5. 첫타후 들어가는 몸가불인 "요툰 송별"이 전방회피 몸가불로 변경
6. 락온하지 않은 대쉬 상태에서 강공 시 슈퍼아머 적용
7. 2타 약공의 회피불가 삭제
위의 리워크가 패치된 현재 시점, 본섭의 요르뭉간드르는 아피라, 컨쿼러, 천지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최상위 티어 영웅이 되었다. 어마무시한 가브 - 강공격이나 2타 가불 강공격의 넉백 거리를 통한 높은 딜 및 강력한 이지선다 심리나 한 번 실수하면 30딜이 꽂히는 미친 성능의 연계 몸가불도 OP지만, 무엇보다도 첫타만 아니라면 정말 아무 타이밍에나 질러댈 수 있는데다 슈퍼아머로 떡칠되고 딜까지 강력한, 심지어 캔슬까지 되는 존어택이 핵심이라는 평.
3. 기술
| |
미드가르드 폭발 | 약 → 약 |
미드가르드 강타 | 약 → 강 |
우트가르드 폭발 | 강 → 약 |
우트가르드 강타 | 강 → 강 |
우로보로스의 힘 | 연계기 도중 약 + 강 |
요툰 송별 | 모든 연계기 첫타 후, 방어 해제 |
구렁이 강타 | 전방 회피 → 강 |
뱀 고리 일격 | 좌/우 회피 + 약 |
요툰 쇄도 | 전방 회피 + 방어 해제 |
광신자의 활보 | (방어 모드가 아님) 질주 + 강 |
요툰 원한 | 쳐내기 → 방어 해제 |
요툰 선물 | 방어 해제 → 약 |
맹독침 | 방어 해제 → 강 |
- 응용
- (확정기) 강공 쳐내기 → 요툰 원한
- (확정기) 약공 쳐내기 → 상단 강공
- (확정기) 2타 강공 → 벽으로 밀쳐진 적에게 상단 강공
- (확정기) 방어 해제 → 요툰 선물 + 약공 or 강공 → 벽으로 밀쳐진 적에게 상단 강공
- (확정기) 요툰 선물 → 약공 or 벽으로 밀친 후 상단 강공
- (확정기) 요툰 송별 → 하마르 슬램(30)
- (확정기) 탈진 쳐내기 → 하마르 슬램(30)
요르뭉간드르의 운영은 강력한 넉백과 몸가불, 그리고 우로보로스의 힘에서 오기에 주변 지형에 큰 영향을 받는다.
우선 넉백은 가브 연계 강/2타 가불강에 달려 있는데, 보다시피 발동 조건이 워낙 간단해 협소한 공간이라면 심리를 거는 것이 매우 쉽다. 하지만 반대로 탁 트여서 벽이나 구조물이 없는 곳이라면 사실상 없는 옵션이므로 터를 잘 잡자. 중갑 역할군인 요르뭉의 특징을 십분 발휘해 거점에서 알을 박고 넉백으로 유리한 싸움을 하는 게 좋다.
요툰 송별은 맞추면 30딜 + 스태미너 충전, 캔슬 시 회피공 패링 or 가브 - 강 - 벽꿍 - 상단 강이라는 무시무시한 선택지를 제공하는 몸가불이다. 발동 조건도 간단해 막 내지르기도 좋지만, 패치를 통해 하마르 슬램의 슈퍼아머가 삭제됐고 상대가 회피했을 시 연계기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가브에 잡히니 주의하자.
마지막으로 요르뭉 운영의 핵심인 연계 존어택, 우로보로스의 힘은 24딜, 풀 슈퍼아머, 연계 타이밍 제한 없음, 캔슬 가능이라는 미친 옵션을 가졌으므로 애용해 주자. 상대가 내 공격을 회피했을 때 가브 잡힘 방지나 회피공 맞딜용으로도 훌륭하고, 커버하는 범위도 넓어 1대 다에서도 좋으며, 슈아 맞딜에 몇 번 당한 상대에게는 캔슬까지 섞어 주며 농락할 수 있다. 현재로서는 무결점에 가까운 사기 기술.
요르뭉간드르의 상징이었던 하마르 슬램은 아직까지도 건재하나 데미지가 심각하게 줄고 슈퍼아머까지 삭제되었다.
4. 특수기
백병전, 전멸전, 점령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웅별 특수기술. 적 영웅 처치, 아군 부활, 미니언 사살, 거점 점령 등으로 명예 점수를 획득하여 해금할 수 있다.4.1. ★
- 요툰 연고: 지속 | 요툰 쇄도, 송별, 선물, 원한을 적 영웅에게 적중시키면 생명력을 회복합니다
몸가불 판정의 배빵 기술을 적중시킬 때마다 생명력을 4 회복한다. 다굴당할 때는 전혀 의미가 없지만 1대 1로 싸울 때는 은근 스노우볼처럼 쌓이기에 무시할 정도는 아니다. - 전사자 명부: 지속 | 병사 처치 시 생명력과 체력 회복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요툰 연고가 당연히 더 좋지만 B가 주 전장이 되는 맵에서는 울며 겨자먹기로 끼게되는 스킬이다. 다만 매우 짧은 리치를 지닌 요르뭉간드르에게는 그리 맞지 않는 기술. - 활력: 지속 | 체력 소모량 감소
체력 소모량이 장난 아닌 영웅들에게 있는 공용 기술이다보니 어떤 상황에서도 최소한의 밥값은 한다. 난투에선 몰라도 1vs1에선 쉴 새 없는 공세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된다.
4.2. ★★
- 하마르의 호의: 지속 | 적 영웅에게 하마르 슬램을 명중시킨 후 일시적으로 방패를 획득합니다
5초동안 방패 40을 얻는다. 너프로 지속시간이 꽤나 낮아졌으나 여전히 전세를 뒤집거나 다시 복수를 발동할때까지 버티기엔 충분하다. 얻는 방패량을 높여주는 특전인 이지스를 발동시키면 더 좋다. 만약 장비 스킬 '복수심에 불탄 장벽'을 가지고 있다면 더 큰 시너지를 노려볼 수 있다. 분노가 끝나서 복수 장벽의 25 방패가 들어오기 전에 하마르의 호의 방패가 남아있다면 방패들이 시너지를 일으켜 복수가 끝났을 때 120가량의 방패를 15초 동안 얻을 수 있다. - 센추리언의 행차: 단기간 체력 무제한 획득
15초간 스테미너 무제한
전용 특수기나 걸출한 공용 특수기가 없는 다른 영웅들이라면 가치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요르뭉간드르에게는 하마르의 호의와 정의의 흘리기가 있어 쓸 필요는 없다. - 정의의 흘리기: 지속 | 쳐내기에 성공하면 짧은 시간 동안 높은 피해 감소 획득
패링 성공시 5초간 50% 피해감소 획득. 효과 종료 후 10초간 쿨다운
패링 실력이 뛰어나다면 선택. 적의 공격을 쿨 돌때마다 패링한다면 하마르의 호의보다 더 높은 효율을 낼 수도 있다. 다만 타 피해감소 버프와는 중첩되지 않으니 주의하자.
4.3. ★★★
- 광신자의 활보: 낮은 피해를 입히고, 밀치고, 체력을 모두 소진시키는 투사체를 발사합니다.
25의 피해를 주고 적을 탈진 상태로 만든다.
1vs1에서 바로 탈진 심리로 들어가 극딜을 넣을 수 있는 스킬. 난투에서는 복수 채워주기 딱 좋고 무엇보다도 팀들이 방해하며 아군에게 적중시 해당 아군을 탈진 상태로 만드는 탓에 그리 좋지만은 않다. 그래도 아군이 맞을 상황이 아니라면 원거리에서 집어던지는 것으로 훌륭한 지원이 가능하다....였으나 리워크 후에는 탈진 상태의 적에게 몸가불 및 가불기를 꽂아도 상대방이 넘어지지 않게 되어 성능이 많이 하락했다. 설령 넘어진다 한들 일어나면서 스태미나가 완전히 회복되는 건 덤. 그냥 독종을 사용하는 것이 더 이득이다. - 방패 관통: 지속 | 막기 피해량이 증가합니다.
막기 피해량이 18%에서 36%로 증가한다
적이 공격을 막을때 칩데미지가 쌓인다. 약공격 막기불가가 달린 요르뭉과 잘 맞지만 칩데미지가 구리니 취향이 아니면 쓰지 말자. - 독종: 지속 | 생명력을 잃을수록 피해 경감 상승
최대 체력의 50 미만일때, 피해감소 30%를 제공한다.
피해감소를 제공하는 나름 유용한 특성. 하지만 다른 피해감소 부여 스킬이나 특전들과는 중첩되지 않는다. 이것을 골랐다면 다른 스킬과 특전을 고르자.
4.4. ★★★★
- 신의 황혼: 약간의 피해를 입히고 근처 적들의 균형을 깨뜨리는 강력한 공격을 시전합니다
자신을 중심으로 투석기 범위 정도의 지역에 피해를 주고 상대를 모두 넘어뜨린다.[8] 시전시 약간의 선딜이 있으며 이 때 무방비 상태이지만 매우 강력한 슈퍼아머와 피해감소가 붙어있어 웬만큼 다굴을 당하지 않는 이상 죽거나 캔슬되지는 않는다.[9] 어떤 적이건 일단 한 대 맞기만 하면 바로 하마르 슬램을 꽂을 수 있기에 2단계의 하마르의 호의와 연계하여 싸우다가 적당한 순간에 복수까지 발동시키면 순식간에 전세를 뒤집을 수 있다. - 정찰: 모든 적에게 죽음의 표식을 부여하고 레이다에 표시. 성능은 발키리의 것과 같지만 차이점은 가끔 나팔 소리가 삑사리가 난다(...) 요르뭉의 벙찐 애니메이션은 덤.
- 자동 부활: 지속 | 처형으로 사망하지 않는 경우 사망 시 자동으로 부활
워로드가 가진 그것. 처형만 안 당하면 반피 정도로 부활한다. 다만 유저가 쓸 타이밍을 정할 순 없어서 다굴 당한후에 일어나서 또다시 얻어맞기도 한다.(...)
5. 대사
- 요툰 쇄도
- Heiðingi! – "헤이딩기!" – "Infidel!" – "이교도 녀석!"
- 요툰 송별, 요툰 선물
- Óverðugur! – "오베르두ㄱ싀!" – "Unworthy!" – "싸울 가치도 없는 놈이!"
오!만원!!!
요툰 쇄도 (탈진 상태의 적에게 시전 시)Leggðu þig! – "리ㄱ-두 딕!" - "Take a nap!" – "잠들어라!"[10]
- 하마르 슬램
- Engin miskunn! – "에인긴 미스쿤!" – "No mercy!" – "자비는 없다!"
- 강공격 마무리
- Valhöll! – "발-허ㄹ!" – "발할라!"[11]
- 요툰 원한
- Burt! – "벑-!" - "Away!" – "꺼져라!"
- 광신자의 활보
- Við hamar Þórs! – "븯 하마르 또ㄹ쉬!" – "By Thor's Hammer!" – "토르의 망치로!"
- 신의 황혼
- Ragnarök! – "라그나로크!" – "라그나로크!"
6. 기타
무기가 무거운 망치인데다 개발진들이 아예 힘을 장사로 표현하고 싶은건지, 처형중에서 비현실적으로 힘을 과시하는 처형이 꽤 많다. 기본 처형도 머리를 주먹으로 내려쳐 망치 손잡이에 갖다 박아버리질 않나, 망치로 머리를 터뜨리고 그 자리에 망치를 대신 꽂아버리는 처형도 있고, 서있는 상대에게 죽빵을 날려 망치 손잡이에 관통시키기까지 한다.말 참 많고 시끄러운 영웅으로 유명하다. 특히 목소리가 유독 하이톤으로 찢어지듯 외치는 남성 요르뭉간드르는 시끄러움의 정점을 찍을 정도.
여담으로 하마르 슬램으로 적을 처치하면 가끔 시체가 하늘로 틩겨져 날라가는 일이 발생한다(...). 또 포아너의 모든 영웅들 중 락온한 상태로 후방 회피를 연타하면 뒤로 돌아 구르는 대신 뒷구르기를 하는 유일한 영웅이다.
간혹 요르뭉 등의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 캐릭터 이름은 공식 한국어 명칭을 따름[2] 속도만 다르고 아예 똑같다.[3] 좌우로는 상당한 추적력을 보이나, 그 사거리가 발목을 잡는다...[4] 12의 피해를 주는데, 대신 공격 방향으로 적을 밀쳐내므로 이를 이용해 벽에 충돌시키면 강공격을 확정으로 먹일 수 있기에 큰 단점은 아니다.[5] 이상하게 횡강공격보다 상강공격이 상대방의 회피를 더 잘 추적한다.[6] 모션만 같고 애니메이션 재생 속도를 다르게 해놓아 약공, 강공의 심리전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게 해준다.[7] 강공만 되는건지 강공, 약공 둘다 되는지는 확인이 필요하다.[8] 그 어떤 튼튼한 슈퍼아머고 나발이고 무조건 넘어진다. 한때 슈고키와 아라무샤에게 있었던, 밀거나 쳐내기로 넘어지지 않는 확고부동 스킬이 있어도 무조건 넘어진다.[9] 몸 가불기를 맞으면 캔슬이 되긴 한다.[10] 리워크와 동시에 삭제되어 들을 방법이 없다.[11] 원어 발음이라 ㅂ왈홀ㅇ 비슷하게 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