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16:48:24

크라이슬러 빌딩


파일:World_map_green.png
역대 세계 최고 높이 건축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기원전 9500년~기원전 8000년 기원전 8000년~기원전 4000년 기원전 4000년~기원전 2650년 기원전 2650년~기원전 2610년
괴베클리 테페 제리코의 탑 아누 지구라트 조세르의 피라미드
5~6m 8.5m 13m 62.5m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팔레스타인|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라크|
파일:이라크 국기.svg
]]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
기원전 2610년~기원전 2605년 기원전 2605년~기원전 2600년 기원전 2600년~기원전 2570년 기원전 2570년~1311년
메이둠 피라미드 굴절 피라미드 붉은 피라미드 기자의 대피라미드
91.65m 104.71m 105m 146.6m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
1311년~1549년 1549년~1569년 1569년~1573년 1573년~1647년
링컨 대성당* 성모 마리아 교회 보베 대성당* 성모 마리아 교회*
160m 151m 153m 151m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1647년~1874년 1874년~1876년 1876년~1880년 1880년~1884년
기자의 대피라미드 성 니콜라스 교회 루앙 대성당 쾰른 대성당
146.6m 147m 151m 157.38m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1884년~1889년 1889년~1930년 1930년~1931년 1931년~1954년
워싱턴 기념비 에펠탑 크라이슬러 빌딩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169.29m 312m 319m 381m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1954년~1956년 1956년~1959년 1959년~1960년 1960년~1962년
KWTV 송신철탑 KOBR-TV 송신철탑 WGME TV 송신철탑 KFVS 송신철탑
480.5m 490.7m 495m 511.1m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1962년~1963년 1963년 1963년~1974년 1974년~1991년
WTVM 송신철탑 WIMZ-FM 송신철탑 KVLY 텔레비전 송신철탑 바르샤바 라디오 송신철탑*
533m 534.01m 628.8m 646.4m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
1991년~1998년 1998년 1998년~2008년 2008년~
KVLY 텔레비전 송신철탑 KRDK-TV 송신철탑* KVLY 텔레비전 송신철탑 부르즈 할리파
628.8m 629.1m 628.8m 829.8m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붕괴 사고 혹은 상층 구조물 제거로 후순위에게 기록을 내어준 건축물 }}}}}}}}}

파일:미국 국기.svg
역대 미국 최고층 마천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2664> 1754~1810년 <colbgcolor=#e6e6e6,#2d2f34> 크라이스트 교회 60 m / 1층
1754년 증축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
1810~1845년 파크 스트리트 교회 66 m / 1층
1810년 완공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1845~1846년 St. Paul's Episcopal Church 69 m / 2층
1845년 완공
버지니아주 리치먼드(버지니아)
1846~1869년 뉴욕 트리니티 교회 85 m / 1층
1846년 복원
뉴욕주 뉴욕시
1869~1985년 St Michael Catholic Church in Old Town 88 m / 1층
1869년 완공
일리노이주 시카고
1885~1890년 구 시카고상공회의소 건물 98 m / 10층
1890년 완공
일리노이주 시카고
1890~1894년 뉴욕 월드 빌딩 106 m / 20층
1890년 완공
뉴욕주 뉴욕시
1894~1908년 필라델피아 시청 167 m / 7층
1894년 부분완공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1908~1909년 싱어 빌딩 187 m / 47층
1908년 완공
뉴욕주 뉴욕시
1909~1913년 메트라이프 빌딩 213 m / 50층
1909년 완공
뉴욕주 뉴욕시
1913~1929년 울워스 빌딩 241 m / 57층
1913년 완공
뉴욕주 뉴욕시
1929~1930년 트럼프 빌딩 283 m / 70층
1929년 완공
뉴욕주 뉴욕시
1930~1931년 크라이슬러 빌딩 319 m / 77층
1930년 완공
뉴욕주 뉴욕시
1931~1971년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381 m / 102층
1931년 완공
뉴욕주 뉴욕시
1971~1973년 제1세계무역센터(붕괴 이전) 417 m / 110층
1971년 완공
뉴욕주 뉴욕시
1973~2013년 윌리스 타워 442 m / 108층
1973년 완공
일리노이주 시카고
2013~현재 제1세계무역센터 541 m / 104층
2013년 완공
뉴욕주 뉴욕시
}}}}}}}}} ||

파일:World_map_green.png
역대 세계 최고 높이 마천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1885년~1890년 1890년~1894년 1894년~1908년 1908년~1909년
홈 인슈어런스 빌딩 뉴욕 월드 빌딩 필라델피아 시청 싱어 빌딩
98m / 10층 106m / 20층 167m / 7층 187m / 47층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1909년~1913년 1913년~1930년 1930년 1930년~1931년
메트로폴리탄 생명보험타워 울워스 빌딩 40 월스트리트 크라이슬러 빌딩
213m / 50층 241m / 57층 283m / 70층 319m / 77층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1931년~1970년 1970년~1973년 1973년~1998년 1998년~2003년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구)제1세계무역센터 시어스 타워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1, 2
381m / 102층 417m / 110층 442.1m / 108층 451.9m / 88층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
2003년~2010년 2010년~
타이베이 101 부르즈 할리파
508m / 101층 828m / 163층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35px-Chrysler_Building_by_David_Shankbone.jpg
명칭 크라이슬러 빌딩
영문명칭 Chrysler building
위치 미국 뉴욕주 뉴욕시 맨해튼 406 렉싱턴 애비뉴
착공 1928년
완공 1930년
용도 사무
양식 아르데코
층수 지상 77층, 지하 1층
높이 318.9m
건축가 윌리엄 반 앨런[1]
소유주 만수르 빈 자이드 알나얀

1. 소개2. 높이 경쟁3. 기타4. 매체에서의 모습

1. 소개

미국 뉴욕시의 맨해튼 섬에 위치한 마천루. 건축가 윌리엄 앨런(William Alen)에 의해 설계되었다. 1928년 9월에 공사를 시작해서 1930년 5월에 완공되었다. 이로써 1889년 이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이었던 에펠 탑의 기록을 "건축물"로서 넘어섰다.

잠시 세계 최고 높이의 빌딩이었으며 아르데코 양식의 아름다운 외관으로 랜드마크가 된 건물이다. 지상 77층, 지하 1층의 구성. 크라이슬러사의 상징과도 같은 건물로 1930년부터 50년대까지 본사 소재지이기도 했지만, 실제 크라이슬러 그룹이 법인으로서 소유한 적은 없었다. 크라이슬러의 창업주였던 월터 크라이슬러개인적으로 발주한 건물이었기 때문.

2. 높이 경쟁

높이에 대한 재미있는 일화가 있는데, 크라이슬러 빌딩이 공사중일 당시에는 같은 뉴욕의 40 월 스트리트에 있는 맨하탄 은행 사옥과 가장 높은 빌딩을 두고 경쟁을 벌였었다. 게다가 이 40 월 스트리트는 윌리엄 앨런의 과거 동업자가 설계를 한 건물. 완공 자체는 40 월 스트리트가 더 빨라 짧게나마 세계 최고의 건축물이란 칭호를 얻었다. 그러나 앨런은 끝까지 완전한 설계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았고, 공사 막바지에 빌딩 내부에서 조립한 스테인레스 첨탑을 거의 하루만에 올림으로써 경쟁자를 곧 추월했다. 첨탑을 스테인레스를 이용한 것은 크라이슬러사의 상징인 자동차와 관련이 있었기 때문.

그러나 이 첨탑 이야기는 당시 신문에서는 완전히 묻혀버렸다. 첨탑을 올린 날인 1929년 10월 29일은 바로 세계 대공황의 시작을 알리는 검은 화요일이었다. 게다가 1년 후에 세워진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에 세계에서 제일 높은 빌딩이라는 이름을 뺏기고 말았다.(...) 그래도 벽돌을 이용한 빌딩으로는 아직도 세계 최고의 높이다. 이 부분은 2018년 3월 4일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뤄졌다.

3. 기타

원래 1층은 크라이슬러 자동차의 전시장이었지만 1978년에 리모델링하여 화려한 아르데코 양식의 장식을 가진 로비로 바꾸었다. 아프리카산 대리석으로 산업시대의 노동자들과 비행기와 기계 등을 그려넣었다.

특유의 아름답고 우아한 외관 덕분인지 크라이슬러 빌딩을 모티브로 하거나 오마주한 건축물들이 상당히 많다. 인근 도시 필라델피아의 리버티 플레이스를 비롯하여 두바이의 비즈니스 센트럴 타워1, 충칭의 쉐라톤 호텔이 그 예.

현재 이 건물의 소유주는 석유 갑부이자 맨시티 구단주로 유명한 만수르 빈 자이드 알나얀이다.

4. 매체에서의 모습

영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에서 밝혀진 바로 인하면 스파이더맨 트릴로지 시리즈피터 2가 마음이 심란하거나 해서 혼자 있고 싶을때 애용하는 장소다. 반면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시리즈피터 3은 1년 뒤에 완공 되면서 최고 높이 마천루 자리를 뺏어간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을 애용한다.

맨 인 블랙 3에서 제이가 과거로 시간여행을 할 때 이곳으로 온다. 시간여행 방식이 좀 괴이한데, 옥외에서 뛰어내리고 땅에 닿기 직전 시간여행 장치를 발동시키는 방식이다.[2]

Marvel's Spider-Man에서 랜드마크로 등장한다. 그외에도 게임의 3번째 DLC의 엔딩을 보고나면 자동으로 여기로 세이브 된다

영화 어벤져스에서 토르가 이 건물을 초대형 피뢰침 삼아 웜홀에서 나오는 치타우리들을 번개로 튀겨 죽인다.

같은 시리즈인 어벤져스: 엔드게임에서도 다시 한 번 등장하는데, 아이언맨이 2012년의 뉴욕으로 시간여행을 갔을 때 건물 첨탑에 앉아 뉴욕 전투 이후의 후속상황을 지켜본다.


영화 고질라에서 고질라를 향해 헬리콥터들이 미사일 2대를 쏘았으나, 고질라가 피해버려 뒤에 있던 이 건물이 대신 맞고 폭파된다.[3] 그걸 보고 로저 이버트를 패러디한 뉴욕 시장이 아주 길길이 날뛴다.


영화 문폴에서 지구에 바짝 다가온 중력에 의해 뽑혀 날아가 산간지방에 쳐박힌다.
[1] 1954년 5월 24일 사망[2] 시간이 과거로 흘러가는 도중 대공황 때문에 뛰어내리는 사람을 볼 수 있는 디테일이 있다.[3] 고질라의 체온이 무척 낮았던 탓에, 겨냥까지 하고선 발사된 열추적 미사일이 미처 포착을 하질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