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 투수 | <colcolor=#fd5a1e> 34 브루베이커 · 38 레이 · 43 벡 · 47 블랙 · 57 루케시 · 60 버드송 · 62 웹 · 63 페게로 · 65 루프 · 66 덩카이웨이 · 67 윈 · 68 밀러IL-60 · 70 부토 · 72 맥도날드 · 73 R.로드리게스IL-60 · 74 워커 · 76 비벤스 · 77 시모어 · 88 위즌헌트 · 93 게이지 · # 티드웰 | |
| 포수 | 14 베일리 · 21 키즈너 · # J.로드리게스 | ||
| 내야수 | 2 아다메스 · 10 슈미트 · 16 데버스 · 26 채프먼 · 49 피츠제럴드 · 50 코스 · 78 엘드리지 | ||
| 외야수 | 17 라모스 · 29 마토스 · 37 루시아노 · 51 이정후 · 53 메클러 · 58 맥크레이 · 59 엔카나시온 · 61 길버트 | ||
| | |||
| | }}}}}}}}} |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88번 | ||||
| 더스틴 린드 (2020~2023) | → | 카슨 위즌헌트 (2025~) | → | 현역 |
| | |
| <colbgcolor=#000><colcolor=#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No.88 | |
| 카슨 위즌헌트 Carson Whisenhunt | |
| 본명 | 카슨 리 위즌헌트[1] Carson Lee Whisenhunt |
| 출생 | 2000년 10월 20일 ([age(2000-10-20)]세) |
| 노스캐롤라이나 주 윈스턴세일럼 | |
| 국적 | |
| 학력 | 데이비 카운티 고등학교 - 이스트 캐롤라이나 대학교 |
| 신체 | 190cm | 97kg |
| 포지션 | 투수 |
| 투타 | 좌투좌타 |
| 프로 입단 | 2022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65번, SF) |
| 소속팀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5~) |
| 계약 | Pre-Arb / $760,000 |
| 연봉 | 2025 / $760,000 |
| | |
1. 개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소속 좌완 투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노스캐롤라이나 주 목스빌에 위치한 데이비 카운티 고등학교를 다녔다. 2019년 졸업반 시즌에 주 올스타에 선정되는 등 준수한 활약을 펼쳤으나, 2019 MLB 신인드래프트에서는 지명받지 못하고 이스트 캐롤라이나 대학교에 진학했다.2020년 1학년 시즌에는 불펜 투수로 8경기에 등판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시즌이 조기 종료되었다. 이후 여름에는 서머리그인 코스탈 플레인 리그(Coastal Plain League)에서 뛰었다.
2021년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하여 13경기에 선발 등판, 6승 2패 평균자책점 3.77을 기록했다. 특히 62이닝 동안 79개의 삼진을 잡아내며 9이닝당 11.5개의 높은 탈삼진율을 과시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시즌 종료 후 미국 대학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는 영예를 안았다. 국가대표팀에서는 폴 스킨스, 레지 크로포드 등 최고의 유망주들과 함께 뛰었으며, 2경기에 선발 등판해 6이닝 동안 10탈삼진 1볼넷, 1.5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자신의 가치를 증명했다.
2022년 시즌을 앞두고 그는 각종 매체에서 만장일치 프리시즌 올 아메리칸으로 선정되었고, 아메리칸 애슬레틱 컨퍼런스(AAC)의 '올해의 투수' 후보로 거론되는 등 MLB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이 유력한 최상위권 유망주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시즌 개막 직전, NCAA가 실시한 약물 검사에서 금지약물 양성 반응이 나와 시즌 전체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다.
드래프트를 앞두고 쇼케이스를 위해 케이프 코드 베이스볼 리그(Cape Cod Baseball League)에 참가했다. 이 리그에서 4경기에 선발 등판해 16이닝 동안 21개의 삼진을 기록하며 여전한 구위를 보여주었으나, 7.88의 높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실전 감각 저하 문제를 드러내기도 했다.
2.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2 MLB 신인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전체 65번으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 지명되었다. 자이언츠는 그의 1라운드급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해당 순위의 슬롯머니를 초과하는 1,866,200달러의 계약금을 안겨주었다.2.2.1. 2025 시즌
#!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7월 28일 카슨 랙스데일이 DFA되면서 40인 로스터에 등재되고 션 젤리가 마이너로 내려가면서 콜업되었다. 등번호는 88번을 받았는데, 자이언츠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88번을 단 선수가 됐다. 당일 피츠버그전에서 선발로 데뷔전을 치렀고, 1회초 2사에 닉 곤잘레스에게 솔로포를 허용, 직후 오닐 크루즈를 삼진으로 처리해 데뷔 첫 탈삼진을 잡아내며 이닝을 마무리했으나 2회초 1사 후 알렉산더 카나리오와 리오버 페게로에게 연속 볼넷, 헨리 데이비스를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아이재아 카이너-팔레파에게 역전 2타점 적시 2루타, 토미 팸에게 적시타를 맞고 총 넉 점을 내주며 초반에 다소 헤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래도 타선이 곧바로 넉 점을 뽑아주어 동점을 만들어주었고, 이후 5회초까지 추가 실점없이 막고 5이닝 4실점 3K로 데뷔전을 마쳤다. 팀은 7회초 카슨 시모어가 앤드류 맥커친에게 투런을 맞고 6:5로 패해 4연패에 빠졌다.
8월 3일 메츠전에서 1회말 1사에 프란시스코 린도어에게 솔로포를 맞았지만 타선이 프랭키 몬타스를 7실점으로 탈탈 털어버리며 득점지원을 넉넉히 받았고, 이후 5회말 제프 맥닐에게 안타, 2사 후 프란시스코 알바레스에게 적시 2루타를 맞고[2] 한 점 더 실점했지만 이후 6회말 프란시스코 린도어에게 볼넷을 내줬지만 후안 소토를 2루수 팝플라이로 처리하고 마운드를 내려가며 5⅓이닝 2실점(1자책) 4K로 호투, 팀도 12:4의 대승을 거두며 시즌 1승 및 데뷔 첫 승을 기록했다.
하지만 8월 9일 워싱턴전에서는 1회초 제임스 우드에게 리드오프 홈런, 3회초 1사에 폴 데용과 조시 벨에게 백투백 홈런을 맞아 솔로포만 세 개를 허용하고 4이닝 3실점 5K로 강판되었다. 평균자책점은 5.02가 되었고, 팀이 브래드 로드에게 6이닝 1실점 5K를 헌납하고 4:2로 패하며 시즌 1패 및 데뷔 첫 패전을 기록했다.
3경기 등판 후 8월 12일 타일러 피츠제럴드가 콜업되면서 마이너로 내려갔다.
3. 피칭 스타일
| <colbgcolor=#000><colcolor=#fd5a1e> 2025년 7월 28일 메이저리그 데뷔전 |
패스트볼은 주로 자연스러운 싱킹 무브먼트를 동반하는 투심 패스트볼/싱커를 구사한다. 평균 구속은 92-94 mph(약 148-151 km/h)에서 형성되며, 최고 96-97 mph(약 154-156 km/h)까지 기록한다. 가장 높은 구사율(트리플A 기준 약 46.1%)을 기록한 구종이나, 상위 레벨 타자들을 상대로는 헛스윙 유도율(14.77%)이 낮고 기대 가중 출루율(xwOBA .396) 및 기대 피안타율(xBA .332)이 매우 높게 나타나는 등 공략당하는 경향이 있다.
체인지업은 자이언츠 팜 시스템을 넘어 마이너리그 전체를 통틀어 최고의 체인지업 중 하나로 평가받는 구종이다. 평균 80 mph(약 129 km/h) 전후의 구속으로 패스트볼과 12-14 mph에 달하는 큰 구속 차이를 보이며, 타자 앞에서 급격하게 떨어지는 움직임이 일품이다. 트리플A에서 36.7%의 높은 구사율을 기록하며 가장 확실한 결정구 역할을 수행한다. 헛스윙 유도율이 35.46%에 달하고 기대 가중 출루율(xwOBA .217)은 매우 낮아 압도적인 위력을 보인다. 실제로 2024년 트리플A에서는 기록한 135개의 탈삼진 중 71개를 이 체인지업으로 잡아냈을 정도다. 2025년 메이저리그 데뷔 이후에도 5번의 선발 등판(23.1이닝)에서 35.6%의 헛스윙 유도율을 기록하며 마이너리그에서 보여준 위력을 빅리그에서도 재현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세 번째 구종으로 과거에는 커브볼을 구사했으나 프로 입단 후 슬라이더로 변화를 주었다. 평균 81.5 mph(약 131 km/h)의 구속에 깊은 종적인 움직임을 갖춰 땅볼 유도에 강점이 있다. 트리플A에서 약 17.1%의 구사율을 보였는데, 헛스윙 유도율이 37.70%로 오히려 체인지업보다도 높고, 기대 가중 출루율(xwOBA .243) 역시 매우 뛰어났다. 이 데이터는 슬라이더가 이미 구종 자체의 위력은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과제는 슬라이더를 더 자주, 그리고 불리한 카운트에서도 자신 있게 구사할 수 있는 커맨드를 확보하는 것이다. 슬라이더의 구사율을 높여 공략당하기 쉬운 패스트볼의 비중을 줄일 수 있다면 안정적인 선발 투수로 도약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4. 여담
- 이스트 캐롤라이나 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2022년 3월, 금지 약물 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NCAA로부터 잔여 시즌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다. 징계 확정 이후 SNS를 통해 겨울 휴가 기간 동안 복용한 보충제 때문에 양성 반응이 나온 것 같다며 사과문을 게재하였다.
5.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00>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d5a1e> 1위 (전체 13위) | 2위 (전체 98위) | 3위 | 4위 | 5위 |
| 브라이스 엘드리지 (1B) | 조슈아 곤잘레스 (SS) | 개빈 킬런 (2B/SS) | 자니 레벨 (SS) | 보 데이비슨 (OF) | |
| <rowcolor=#fd5a1e>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 다코타 조던 (OF) | 카슨 위즌헌트 (LHP) | 드류 길버트 (OF) | 레이너 아리아스 (OF) | 아르헤니스 카야마 (RHP) | |
| <rowcolor=#fd5a1e>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 키너 마르티네스 (RHP) | 제이콥 브레스너핸 (LHP) | 마우이 아후나 (SS) | 블레이드 티드웰 (RHP) | 조 위트먼 (LHP) | |
| <rowcolor=#fd5a1e>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 헤수스 로드리게스 (C/3B) | 트렌트 해리스 (RHP) | 트레버 맥도날드 (RHP) | 메이슨 블랙 (RHP) | 알베르토 라로셰 (RHP) | |
| <rowcolor=#fd5a1e>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 카를로스 구티에레스 (OF) | 트레버 코헨 (OF) | 디에고 벨라스케스 (SS/2B) | 헤렐미 말도나도 (RHP) | 루이스 데 라 토레 (LHP) | |
| <rowcolor=#fd5a1e>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 카를로스 데 라 로사 (LHP) | 유니오르 마르테 (RHP) | 워커 마틴 (SS) | 로렌소 메올라 (SS) | 웨이드 메클러 (OF) | |
| 출처 / 최종 편집일 : 2025년 9월 19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