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4 03:08:25

의도는 좋았다

취지는 좋았다에서 넘어옴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SqualidScreechingAddictedForm|토론]]을 통해 예시 등재 금지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https://namu.wiki/thread/SqualidScreechingAddictedForm|토론]] - 예시 등재 금지'''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1. 개요2. 설명3. 옹호4. 철학적 관점에서5. 관련 어록

1. 개요

Road to hell is paved with good intentions.
지옥으로 향하는 길은 선의로 포장되어 있다.
서양 속담
좋은 의도로 시작한 일이 예상 밖의 나쁜 결과를 불러왔을 때 사용되는 표현이다.

멸망에 처한 세계인간들을 구해내거나 서로가 서로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어떠한 장치를 만들거나 시스템, 계획 등이 나와 있지만 어떠한 이유로 의도와는 다르게 나아가 안 그래도 안 좋았던 세계를 더 막장으로 치닫게 하거나 자신들의 계획에 이용하는 등 안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우가 많다. 고의가 아니라는 것도 여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크게 안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는 가능성을 염두에 둔 상태로 하는 것(주로 도박)과 꼭 좋아질 거라고 예상했는데 정작 상상도 못한 방식으로 안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는 것으로 나뉜다.

반대로 딱히 좋은 의도는 없었는데 결과는 좋은 경우도 있다. 자세한 건 결과는 좋았다 문서 참조.

2. 설명

현실에서는 주로 높으신 분들의 안일한 탁상행정과 판단, 당연히 그렇게 논리가 이루어지겠다고 생각하며 'A를 하면 어떻게 되니까 당연히 B가 되겠지'라는 생각이 대부분이거나 이론적으로 볼 때 더없이 완벽할 것 같은 생각을 철저한 준비도 없이 이론만 믿고 바로 시작해 버릴 때 쉽게 일어난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는 너무나도 크기 때문이다. 그 외에는 해외에서 먼저 도입하여 성공적으로 정착하게 된 것을 자국의 실정에 맞게 현지화하지도 않고 있는 그대로 들여오다가 실효는 별로 거두지 못하고 부작용만 커져서 오히려 없는 것이 더 나은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앞의 두 경우 모두 의도는 좋았으나 과정이 안 좋은 경우에 해당하며, 사전적 의미의 설레발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와 1:1 대응은 아니지만 약간 비슷한 속담으로 "뱁새가 황새 따라가면 가랑이가 찢어진다"는 말도 있다.

탁상행정 사례에서는 계획한 사람이 욕을 먹어 피해를 보기도 한다. 물론 동정적으로 바라봐주는 시선들도 어느 정도 있긴 하다. 좋은 의도로 했는데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왔다고 비아냥거리기만 하는 것은 지나친 결과지상주의라는 비판도 있고, 또 아예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이도저도 아니게 되어 결국 도태된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계획을 실행한 결과, 해악이 너무나도 안 좋아 그 정도가 심해지게 되고, 사전에 그러한 결과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었는데 듣지 않아서 나온 결과라면 변호의 여지도 없다. 그리고 본인 뇌 속에는 선의로 느껴졌으나 타인에게는 최악의 악의로 다가올 수 있다. 항상 의도가 좋다고 생각하기 전에 여러 관점에서 생각해보고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런 짓을 잘 하는 사람들이 주로 책상에서 공부만 오래한 사람들인데, 경험이 부족하다 보니까 인간사 돌아가는 것에 대해 너무 순진하게만 파악하기 때문이다. 공부 및 이론에는 무쌍을 찍는 인간들의 특징이 의욕만 넘쳐서 일을 벌여놓는 습성이 강하고, 경험을 많이 한 사람들의 특징은 반대로 어떤 일을 할때 조심스럽고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강하다.

누군가를 돕는 사람들 중에도 이런 경우가 꽤나 있는데, 실제로 도움이 되는 것을 중요시하는게 아니라 내가 남을 돕고 있다는 자기 만족감이 우선인 전후가 뒤바뀐 사람들을 경계해야 한다. 그들은 스스로가 하는 일이 좋은 일이라는 착각에 빠져 있고 남이 거부하는 상황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직접 악의를 뿌리는 사람보다 알아채기 힘들게 문제를 더 크게 만든다. 이런 사람들이 열심히 하면 할수록 주변 사람들은 에너지를 잃어버리게 된다.

이런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항상 계획에 어떤 불순한 의도가 섞이지 않았는지 자신을 살피면서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토론을 해야 하고, 폭넓은 시각으로 일을 검토해야 한다. 대부분 이렇게 의도는 좋았다라고 시행한 일이 최악의 결과를 가져오는 결과가 적지 않으며, 그 결과물 또한 어마어마한 사회적 손실을 초래하며, 이후 되돌릴 수 없는 경우가 많아서이다.

3. 옹호

인간은 전지전능하지 않기에 계획 당시에서는 예상할 수 없었던 부분[1][2]에서 문제가 생기는 것까지 책임을 물을 수는 없다. 계획에 불순한 의도가 있었던 것 아니냐며 따지는 것도 계획의 변수나 허점을 고민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세우는 것보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개선을 시도한 주도자를 무작정 비난하며 의미 없고 소모적인 논쟁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문제가 발생한다.[3]

"공부 및 이론에는 무쌍을 찍는 인간들의 특징이 의욕만 넘쳐서 일을 벌여놓는 습성이 강하고, 경험을 많이 한 사람들의 특징은 반대로 어떤 일을 할 때 조심스럽고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주장도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있으며 나아가 '경험을 많이 한' 사람들을 '책상에서 공부만 한 사람'과 대조시켜서 지나치게 어떤 '보수적'인 대처법을 찬양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경험을 많이 했기 때문에[4] 그 경험에 지나치게 의지한 나머지 어떠한 상황에 대한 개선을 거부하며 고인물이 되어 버리고 자칫 개선의 기회를 놓쳐 최악의 결과를 초래하는 사례도 분명히 존재한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나타내는 '경험의 함정(Experience Trap)이라는 시사 경제 용어도 존재한다.[5]

명백히 나쁜 결과가 나왔는데도 의도는 좋았다는 이유만으로 무작정 변호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지만, "어차피 좋은 결과가 안 나올 게 뻔한데 의도만 좋아 봤자 아무 소용 없으니 아무 것도 하지 말고 놔 둬라"며 처음부터 이건 이래서 안 되고 저건 저래서 안 될 거라는 식으로 부정적인 결과만을 전제하면서 이를 예방한다는 핑계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개선하려는 시도를 무작정 회피하는 것 역시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위험에 대한 계산만 머릿속으로 굴리면서 아무런 대책이나 계획도 세우지 않는 것은 예방이 아니다.

4. 철학적 관점에서

철학 사상마다 다를 것이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론은 애초에 사람은 '나쁜 의도로' 무언가를 행한다는게 불가능하다고 본다. 이는 "선(善, 좋음)은 모든 것이 욕구하는 것"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명제를 근거로 삼는다. 언뜻 보면 모든 이가 선을 원한다는 말은 뜬금없어 보일 수 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간음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간음자가 원하는 것은 '쾌락'이며 쾌락은 그 자체로는 분명히 '좋은 것'이라는 점을 그는 지적한다. 간음을 저지르는 사람이 원하는 것은 '쾌락'이지 '죄과의 추악함'은 아닐 것이니까. 물론 '가정 파괴'나 '사회적 평판의 추락' 등도 아닐 것이다.

윤리학적으로 잘잘못을 살펴보자면 대표적으로 공리주의, 덕 윤리학, 의무론 관점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 공리주의는 결과론이기에 결과론적으로 재앙을 불러왔으니 틀렸다는 입장
  • 덕 윤리는 그 사람은 선하니 비난할 수 없다는 입장
  • 의무론이라면 결과를 떠나 그 행위 자체가 옳은 일인지를 따질 텐데, 사실 의무론도 일단 좋은 의도로 일을 하는게 중요하다고 여기고, 방법이 다른 상황에서 잘못된 결과를 이끄는게 아니라면 비난하지 않을 것이다.

5. 관련 어록

The road to hell is paved with good intentions.[6]
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로 포장되어 있다.
유럽 속담[7]
지옥은 선의로 가득 차있거나 욕망으로 가득 차있다.
프랑스 신학자 베르나르 드 클레르보에서 기원
The attempt to make heaven on earth invariably produces hell.
지상에 천국을 만들려는 시도는 지옥만을 만들어낼 뿐이다
〈열린사회와 그 적들〉 2권[8][9][10]
Some of the worst things imaginable have been done with the best intentions.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것들 중 일부는 좋은 의도에서 생겨나지.
앨런 그랜트[11]
All bad precedents begin as justifiable measures.
아무리 나쁜 결과로 끝난 일이라고 해도 애초에 그 일을 시작한 동기는 선의였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모든 기예(技藝, techne)와 탐구(methodos), 또 마찬가지로 모든 행위와 선택은 어떤 좋음을 목표로 하는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좋음을 모든 것이 추구하는 것이라고 옳게 규정해 왔다.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1.1-
“선(善, 좋음)의[12] 근거는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가욕구적 이유이며 악은 선에 반대 대립되기 때문에 어떤 악이 악인 한 자연적 욕구에 의해서도 동물적 욕구에 의해서도 의지인 지성적 욕구에 의해서도 욕구될 수 없다. 그러나 어떤 악은 우유(偶有)적으로 욕구되는데 그것은 그런 악이 어떤 선을 수반하는 한에 그런 것이다. 그리고 이런 것은 어떤 욕구에서도 나타나는 것이다. 사실 자연적 능동자가 박탈(결여)이나 부패(파괴)를 지향하지 않고 형상(形相, 이데아를 말함)을 지향한다. 이런 형상에는 다른 형상의 박탈이 결부된다. 그것은 또한 어떤 것의 출산을 지향하는데 이런 출산은 다른 것의 파멸인 것이다. 사자가 사슴을 죽이는 것도 음식을 지향하는 것인데 그 음식에 동물의 살해가 결부된다. 마찬가지로 간음자가 지향하는 것은 쾌락인데 그 쾌락에는 죄과(罪科)의 추악함이 결부된다.
어떤 선에 결부되는 악은 다른 선의 박탈이다. 그러므로 악이 그것에 결부된 좋음(善)이 그 악에 의해 박탈되는 선 이상으로 욕구되는 것이 아니라면 악은 비록 우유적일지라도 요구될 수 없을 것이다.”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1.19.9-
좋은 의도였다면 나쁜 결과를 가져왔어도 용서할 수 있지만, 좋은 목적을 가지고 나쁜 수단을 써서는 안된다.
토마스 아퀴나스, 이중결과의 원리

[1] 대표적으로 가족계획사업으로 대표되는 대한민국의 산아제한정책을 들 수 있다. 60~70년대에는 다산이 실제로 이미 심각한 문제이긴 했는데 일자리와 복지가 너무 미비했기 때문에 그 많은 인구를 다 먹여살릴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경제가 성장하고 어느 정도 산아 조절이 되었으면 적당한 시기에 산아제한을 풀어야 했는데 그 타이밍을 놓쳐버린 것. 결국 성비 불균형 등 여러 문제를 일으켰고, 다른 문제들이 겹치면서 점점 악화되기만 하는 바람에 현재의 극단적인 저출산에 이르게 되었다.[2] 실제로 가족계획사업의 폐지를 주도한 김종인 당시 보건사회부 장관이 이를 다룬 모던코리아"누구에게나 계획은 있었다"에서 곧장 시작하자마자 정확히 타이밍을 놓쳐버렸다고 말했다.[3] 어떤 의미에서는 이런 식으로 개선을 외치는 주창자에 대한 '순수성'을 트집잡는 이것 자체야말로 '의도는 좋았다'의 전형적인 사례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분명히 불순한 의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도 있고 그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사람'이 문제였다고 해서 그 '계획'이나 '발상'까지 부정하고 무의미한 것으로 치부해버릴 수는 없기 때문이다.[4] 이 경험을 많이 했다는 말도 기준이 딱히 없기는 마찬가지다.[5] 당연히 이렇게 본인의 경험에 빠져 시대의 변화를 파악하지 못하고 도태되어 버리는 인간들에게도 의도는 좋았다는 말이 적용될 수 있다. 어쨌든 본인들 입장에서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책상물림만큼이나 경험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다. 예방보다 더 좋은 해결책이 없기는 하지만 사람이 예언자도 아니고 모든 것을 완벽하게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리고 무언가에 대한 예방을 하려고 해도 그러한 상황에 대한 성공 혹은 실패의 경험이나 그것을 통해서 얻은 데이터 자료가 없이는 예방 계획도 세울 수 없다. 이와 관련해서 항공업계에서는 모든 안전규정은 로 쓰여졌다(All aviation regulations are written in blood)라는 말이 존재한다.[6] 좋은 의도로 한 행동이 오히려 지옥처럼 끔찍한 결과를 불러올 수 있으므로, 아무리 좋은 의도의 계획이 있어도 올바른 판단과 행동이 뒤따라야만 좋은 결과가 나온다는 뜻이다.[7] 소설 〈멋진 징조들〉에서는 이건 거짓말이고, 지옥으로 가는 길은 얼어죽은 방문 외판원들로 포장되어 있다고 주장한다.[8] 1권의 9장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Even with the best intentions of making heaven on earth it only succeeds in making it a hell—that hell which man alone prepares for his fellow-men 국내판의 번역은 다음과 같다. 지상에 천국을 건설하고자 하는 최선의 의도가 있다 해도, 그것은 단지 하나의 지옥, 인간만이 그의 동포를 위해 준비하는 그런 지옥을 만들 뿐이다.[9] 이것과 비슷한 의미로 Those who promise us paradise on earth never produced anything but a hell라고 했다고 한다. 번역하자면 지상낙원을 약속한 자들은 지옥만을 만들어냈다. 존 위노클이 쓴 In Passing: Condolences and Complaints on Death, Dying, and Related Disappointments의 144쪽에 나온다.[10] 이 말도 지상에 천국을 만들려는 시도는 지옥만 만들 뿐이니 천국을 만들겠다는 시도나 노력 자체를 무의미한 것으로 치부해 버리려는 체념적 사고의 핑계거리가 될 뿐이라고 반론할 수 있다.[11] 조수인 빌리가 벨로시랩터의 알을 훔친 걸 들키고 나서 '최악의 결정이지만 좋은 의도(연구비를 충당하려고)에서였어요' 라고 변명하자 던진 말이다. 그랜트 박사는 이 말을 하면서 이 공원을 만든 사람들이나 너나 별 다를 바가 없다고 쏘아붙인다. 즉 쥬라기 공원 자체가 '좋은 의도에서 생겨난 최악의 것들' 중 하나라는 것. 실제로 쥬라기 공원을 만든 존 해먼드 (영화판)은 아이처럼 순수한 이상을 가진 인격자이지만, 이 공원을 둘러싼 사람들의 욕심과 야망으로 여러 명이 목숨을 잃는 사태를 만들어낸 꼴이 됐다.[12] 여기서 말하는 善은 '좋음'이라는 의미로 파악하는게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