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30 01:44:27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


🌍 세계의 견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관련 문서: 견종 · 분류:국제 공인 견종
국제애견연맹의 정회원국인 대한민국의 한국애견연맹이 지정한 국제 공인 견종 10그룹으로 구분
<colbgcolor=#eee,#000>그룹종류 (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견종만 가나다순 정렬)
1벨지언 쉽독 · 보더 콜리 · 부비에 데 플랑드르 · 브리어드 · 셰틀랜드 쉽독 · 스키퍼키 · 오스트레일리안 켈피 · 올드 잉글리시 십독 · 웰시 코기 · 저먼 셰퍼드 독 ·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 · 코몬도르 · 콜리 · 푸미 · 풀리 · 크로아티안 셰퍼드 독
2그레이트 데인 · 그레이트 피레니즈 · 까나리오 · 나폴리탄 마스티프 · 뉴펀들랜드 · 도고 아르헨티노 · 도베르만 핀셔 · 도사견 · 라페이로 도 알렌테조 · 레온베르거 · 로트와일러 · 마스티프 · 미니어처 슈나우저 · 미니어처 핀셔 · 버니즈 마운틴 독 · 보르도 마스티프 · 복서 · 불도그 · 불마스티프 · 사플라니낙 · 샤페이 · 세인트 버나드 · 아펜핀셔 · 에스트렐라 마운틴 독 · 오브차카 · 센트럴 아시아 셰퍼드 도그 · 카네 코르소 · 캉갈 · 티베탄 마스티프 · 필라 브라질레이루
3맨체스터 테리어 · 미니어처 불테리어 · 베들링턴 테리어 · 불테리어 · 스코티시 테리어 · 스태퍼드셔 불테리어 · 실키 테리어 ·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 · 요크셔 테리어 · 웨스트 하이랜드 화이트테리어 · 잭 러셀 테리어 · 폭스 테리어
4닥스훈트 계열
5그린란드견 · 기슈견 · 라이카 · 바센지 · 사모예드 · 시바견 · 시베리안 허스키 · 시코쿠견 · 아키타견 · 알래스칸 말라뮤트 · 알래스칸 클리카이 · 재패니즈 스피츠 · 진돗개 · 차우차우 · 파라오 하운드 · 포메라니안
6달마시안 · 로디지안 리지백 · 바셋 하운드 · 블러드 하운드 · 비글 · 해리어
7아이리시 세터 · 잉글리시 세터 · 포인터
8골든 리트리버 · 라고토 로마뇰로 · 래브라도 리트리버 · 코커 스파니엘
9꼬똥 드 툴레아 · 라사압소 · 말티즈 · 보스턴 테리어 · 볼로니즈 · 비숑 프리제 · 시추 · 재패니즈 친 · 치와와 · 카발리에 킹 찰스 스파니엘 · 티베탄 테리어 · 파피용 · 퍼그 · 페키니즈 · 푸들 · 프렌치 불도그 · 하바니즈
10그레이하운드 · 보르조이 · 살루키 · 스코티시 디어하운드 · 아이리시 울프하운드 · 아자와크 · 아프간 하운드 · 이탈리안 그레이하운드 · 휘핏
}}}}}}}}} ||
<nopad>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
Československý vlčák / Czechoslovakian wolfdog
파일:체코슬로바키안 울프독.jpg

1. 개요2. 역사3. 특징4. 여담

1. 개요

파일:ceskoslovensky-vlcak-venku-na-prochazce-1024x595.jpg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유래한 견종.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늑대개다.

체코슬로바키아 견종 중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지만 의외로 체코, 슬로바키아에서 둘 다 국견이 아니다. 체코의 국견은 체코마운틴독, 체스키포섹, 프라하래터 세 종이고, 슬로바키아의 국견은 슬로바키안하운드이다.

2. 역사

냉전 시기 체코슬로바키아의 군부와 과학계는 늑대뽕을 치사량 직전까지 거나하게 맞은 상태였다. 그들은 늑대의 체력과 용맹함, 강인함에 매료되었고 이런 강점들을 군사적인 용도에 쓰기 위해 이들을 가축화하기로 했다.
파일:eurasian wolf.jpg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의 원형인 유라시아늑대.
이들은 이런 발상을 실행에 옮기기로 했고, 카르파티아산맥에 서식하던 늑대 아종인 유라시아늑대와 저먼 셰퍼드를 대에 걸쳐서 교잡시키기로 했다. 그들의 목표는 늑대의 체력과 전투력, 셰퍼드의 온순한 성격과 충성심 그리고 높은 지능을 합친 '가축화된 늑대'를 만드는 것이었다.

늑대와 셰퍼드의 교잡 1, 2세대에선 늑대의 야성이 전혀 지워지지 않아 시원하게 말아먹었고, 무려 수십 년이 지나도록 누대된 뒤 그들의 목표치에 근접하게 되었다. 구 동구권이 무너지고 나서야 비로소 체코슬로바키아 과학자들의 일생을 쏟아부은 결과물을 국경수비에 믿고 맡길 수 있게 되었다.

유라시아늑대를 저먼셰퍼드와 수십 년이란 세월에 걸쳐 교잡하고, 사나운 개체들은 도태시키고 온순한 개체끼리만 계속 번식시킨 결과, 늑대의 사나운 기질은 완전히 사라지고 저먼셰퍼드의 온순한 기질만이 남게 되었다.

이에 FCI는 단순히 늑대 피가 섞인 개가 아닌, 훈련이 가능하고 인간에게 위협적이지 않은 견종이 맞다고 보고 1989년에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를 공식 견종으로 인정하게 된다. 즉 전문 사육사가 아닌 일반인이 키워도 될 정도로 온순한 반려동물로 인정받았다는 뜻이다[1].

현재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들은 군견으로서 체코와 슬로바키아 국경을 지키며 맹활약하고 있다.

3. 특징

파일:reptile-20210216-144008-008.jpg
수컷 표준 몸무게는 26~35kg, 암컷 표준 몸무게는 20~26kg로 골든 리트리버와 비슷하거나 약간 작은 덩치다. 특출나게 거대한 개체들은 40~50kg 정도 나가는 경우도 있다.
파일:reptile-20210216-144008-001.jpg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의 표준적인 외형.
사실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는 일반적으로 북미산 팀버울프 등이 아닌, 유리시아늑대를 섞어 만든 견종이다. 카르파티아의 유라시아늑대는 털색이 은백색에 가까운 팀버울프와는 달리 털색이 갈색톤이 강한 편이다. 여기에 어두운 갈색톤의 저먼셰퍼드와 교잡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늑대와는 모색에서 살짝 차이가 있는 편이다.
파일:e4c55503e88e5e2c07bbdc62f3f0628d.jpg
주둥이 모양도 늑대와 확실히 다른데, 야생 늑대의 주둥이는 소시지처럼 동글동글한데 반해,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의 주둥이는 저먼셰퍼드 특유의 날카로운 콧대를 유지하고 있다. 입술도 야생 늑대보다 검은색 부분의 면적이 넓은 편.

사람도 사람마다 외모가 다 다르듯,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도 외형에 개체차가 있는 편이어서 그냥 늑대 모색 셰퍼드 같은 개체도 있고 진짜 늑대랑 똑같이 생긴 개체도 있는데, 전자는 체크슬로바키아 늑대개 도그쇼에서 낮은 점수를 받는다. 전자의 경우 어두운 홍채색, 처지는 입술, 길어서 펄럭거리는 귀 등이 특징이고 후자의 경우 밝은 호박색 홍채색, 입을 다물고 있어도 늑대처럼 입꼬리가 올라가는 입술, 짧고 곧게 선 귀 등이 있다.

비싼 돈 내고 늑대모색 셰퍼드를 굳이 키우고 싶은 사람은 없을 테니 개체를 고를 때의 꿀팁을 주자면, 새끼일 때 최대한 귀가 일찍 펴지는 개체를 고르는 것이 좋다. 사실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 개체의 외형을 보는 것인데, 자세한 건 이 블로그 글[2]을 참고하자.

공식적인 견종으로 인정받았고, 그냥 늑대와 비슷한 외모를 가진 일반 대형견이다. 물론 대형견 자체가 키울 때 상당한 난이도를 요구하고, 알래스칸 말라뮤트 같은 온순하기로 유명한 대형견들도 사람을 해치는 사고가 종종 일어나는 걸 보면 단순히 일반 대형견이라고 만만하게 보면 안 되며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3].

'늑대'라는 동물에서 공격성이 사라지고 늑대와 비슷한 외모 및 지능과 신체능력만이 남은 개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4] 즉 공격성을 제외한 다른 특징들은 늑대의 특징이 강하게 묻어 나온다 보면 된다.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를 논할 때 빼먹을 수 없는 특징이라면, 뭐니 뭐니 해도 비상식적인 수준의 정신 나간 체력. '저 녀석, 지치기는 하는 건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팔팔하게 돌아다닌다.

이 체력, 즉 활동량 문제는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를 키우려고 마음먹었을 때 가장 큰 난관이자 첫 관문이기도 하다. 비글 같은 견종들은 덩치라도 작지, 이 답도 없는 녀석은 덩치까지 사람을 찍어 누를 정도로 크기 때문에 파괴규모도 비글과는 비교가 안된다. 한마디로 초대형 지랄견이 되는 것이다.

늑대 피가 흐르는 녀석들답게 지들끼리 팩(무리)을 만들어서 끼리끼리 몰려다닌다.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는 새끼 때부터 같은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를 알아보며 같이 옹기종기 모여 다니며, 억지로 떼놔도 다시 지들끼리 뭉쳐서 몰려다닌다. 따라서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를 여러 마리를 키우는 사람은 그야말로 장관을 볼 수 있는데, 사고도 지들끼리 몰려다니며 치기 때문에 이쪽에 우르르 몰려들어 닥치는 대로 때려 부수고, 저쪽에 우르르 몰려들어 다 뒤집어엎는 호러스러운 광경을 목격할 수 있다. 한마디로 덩치는 캉갈만 하고, 썰매개를 압도하는 체력을 가진 비글 성격의 초대형 지랄견이다.
파일:53656016_1255121967971437_6805006618267222016_n.jpg
알파독 개념 존재 유무에 대해 논란이 있는 다른 견종들과는 달리,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는 늑대 무리 특유의 알파독 개념이 분명히 존재하며(정확히는 그 기질이 희석되지 않았으며), 이 탓에 새끼 때부터 주인이 자신보다 위에 있는 존재임을 상기시켜 주는 훈련과정이 필수이다.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는 야생 늑대와는 달리 상대가 알파독이 아니라고 막 공격해 대는 양아치는 아니긴 하지만 일단 주인이고 주인이니만큼 통제를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

수명은 12~16년 정도로 다른 대형견들과 비슷하다.

늑대의 피가 진하게 흐르는 만큼 주로 하울링을 한다는 점도 특징. 시베리안 허스키시바견의 중간 느낌인데 이 덕분에 덩치에 비해 의외로 조용한 견종이다.

4. 여담

파일:vlcak-75081691_denik-630.jpg
성견일 때의 엄청나게 험상궂은 외모와는 달리 새끼는 그야말로 동네 똥개같은 비주얼을 자랑한다. 사실 똥개가 유전적으로 늑대에 매우 가깝단 걸 생각하면 당연하긴 하다.

귀가 일찍 서야 늑대처럼 귀가 멋있게 자란다고 한다. 귀가 늦게 서는 개체들은 셰퍼드처럼 귀가 흐느적거리게 자라는 편. 참고로 귀가 서고 난 직후의 새끼는 묘하게 시바견 새끼를 닮았다.

파일:pu028e8volkoie.jpg
체코에서 늑대개 품종 만들기에 감명받은 러시아에서 1990년대 군견용 늑대개 품종을 만들다가 실패했다. 2000년대 이후 카스피해늑대와 셰퍼드를 교접시켜 성공하는데 이 늑대개 품종이 볼코소브다.
[1] 애초에 개라는 동물도 늑대 중에서 인간을 잘 따르고 흉폭성이 덜한 개체끼리 교배시키고, 거기서도 공격성을 드러내는 개체들을 거르고 또 걸러 만들어진 종이다. 체코슬로바키아 늑대개도 생김새만 늑대지 사실상 다른 대형견들과 동일하다는 것.[2] #[3] 대형견은 아무리 온순하다고 해도 절대 주의를 늦춰서는 안 된다. 당장 이성적인 사고가 가능한 인간도 욱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동물들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게다가 대형견은 기본적으로 힘과 덩치가 상당하여 단순히 욱한다거나, 또는 (자기 딴에서) 하위 개체들을 훈육시킬 목적으로 입질하는 것이 사람한테는 치명상으로 다가올 수 있다.[4] 다만 늑대저먼 셰퍼드의 교잡을 반복하여 생긴 견종이기에 순종 늑대와 100% 완벽하게 같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