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8 11:54:28

라이카


1. 기업
1.1. 독일의 광학회사1.2. 미국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회사1.3. 대한민국에 있었던 기업
2. 개
2.1. 처음 우주로 나가 지구 궤도를 비행한 의 이름2.2. 일부 견종들의 총칭
3. 인명
3.1. 문서가 존재하는 인물
3.1.1. 실존 인물3.1.2. 가상 인물
3.1.2.1. 만화 천상천하의 등장인물3.1.2.2. 게임 참마대성 데몬베인의 히로인3.1.2.3. 연희 시리즈의 등장인물
4. 창작물
4.1. 게임 메이플스토리보스 몬스터4.2. 횡스크롤 인디 게임4.3. 우에키의 법칙에 나오는 신기 전광석화4.4. 나나오아카리의 오리지널 곡4.5. 하츠네 미쿠VOCALOID 오리지널 곡4.6. 동방 프로젝트의 등장 로봇4.7. 트릭컬 리바이브의 등장 사도4.8. 뮤지컬 라이카

1. 기업

1.1. 독일의 광학회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이카(기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기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기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Leica M.jpg

1.2. 미국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회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이카 스튜디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 스튜디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 스튜디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대한민국에 있었던 기업

1970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타자기 생산 및 제본기, 복사기 판매 업체. 독일라이카가 영위 중인 광학 계열과 완전히 무관한, OA 분야의 업체이고 일본 미타공업(三田工業)[1]과 복사기 제휴를 맺었다. 1990년대를 전후하여 주력 생산품이었던 타자기 산업이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으로 인해 사양산업화되면서 이후에는 복사기 생산에 주력하다가 1995년 3월 말 부도가 난 후 도산했다.

대표이사는 김동석(현재 고인)으로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에 위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복사기 회사였다.

복사기 부문의 경우는 현재 일본계 기업인 교세라 도큐먼트 솔루션즈 코리아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2.

2.1. 처음 우주로 나가 지구 궤도를 비행한 의 이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이카(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간에 앞서 사상 최초로 우주비행으로 지구궤도를 돈 개이다.

다만 훗날 우주 경계선(고도 100km)을 재정의하면서 '최초로 우주로 나간 생명체'라는 칭호를 넘겨주게 되었다. 물론 이는 수십년 뒤에 정정된 것으로 당시에는 라이카가 우주비행을 한 최초의 생물로 알려졌다. 대기권 열권 문단 참조.

참고로 재정의된 기준으로 최초로 우주에 나간 지구 생명체로는 동물 최초는 1947년의 초파리, 포유류 최초는 1949년 알버트 2세라는 이름의 히말라야원숭이(133km 상공 도달), 개 최초로는 치간과 데자크(105km 상공 도달)라는 개들로 라이카보다 먼저 우주로 가는데 성공했다.

2.2. 일부 견종들의 총칭

Ла́йка/Laika

여러 견종들을 통틀어 부르는 명칭으로, 동시베리아 라이카, 핀란드 스피츠, 카렐리안 베어도그, 카렐로-핀란드 라이카, 노르보텐스페츠, 러시아-유럽 라이카, 서시베리아 라이카, 제르다바, 네네츠 목축 라이카, 사모예드, 추코트카 썰매견, 캄차카 썰매견, 사할린 허스키, 시베리아 허스키, 야쿠티안 라이카가 속한다.

3. 인명

3.1. 문서가 존재하는 인물

3.1.1. 실존 인물

3.1.2. 가상 인물

3.1.2.1. 만화 천상천하의 등장인물
Oh!Great의 만화 천상천하 17권에 등장하는 소녀. 롯카쿠 라이카(六角雷花). 집행부 선발 시합의 대회운영위원. 독일 라이카 사의 디지털 카메라 M8를 갖고 다니며 사진 찍는 걸 좋아한다.
3.1.2.2. 게임 참마대성 데몬베인의 히로인
파일:attachment/raikatin.jpg

니트로 플러스의 게임 참마대성 데몬베인에 나오는 히로인. 성우는 쿠로카와 나미.(참마대성에서는 모토야마 미나 명의)

...이지만 실상은 데몬베인의 시나리오 수록 후 남는 용량을 때우려고 우로부치 겐에게 니트로 전통[2]"니 꼴리는 대로 해라."를 시전, 그 결과 탄생한 히로인. 그래서 상호연관성을 가진 하도 루리알 아지프의 시나리오와는 달리 홀로 독립된 시나리오를 가졌다. 다른 작품에 비유해보자면 Fate/stay night헤븐즈 필 루트 격이라 할 수 있다. 정말로 Fate 내의 HF루트가 갖는 성격처럼 여러 이면의 진실이 밝혀진다든가 막나가는 전개를 보인다든가 하는 점에서 작품 중에서 갖는 위치가 매우 비슷하다.

스파이물에 가까운 시나리오를 가진 독자적인 루트를 가진 이른바 비정규 히로인이라 TVA인 기신포후 데몬베인에선 본인 루트가 짤려버리고 엑스트라로 전락하고만 비운의 캐릭터. 애니메이션 기념 드라마 CD에선 이걸 가지고 신세 한탄을 늘어놔 수많은 공감을 얻었다. 라이카의 라이벌인 산달폰은 드라마CD에서 네년 때문에 나까지 셋트로 짤렸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풀 네임은 라이카 크루세이드로 아캄시티 외각에 위치한 아캄교회에서 고아들을 돌보고 있는 수녀이다. 사립탐정일을 하며 매일을 굶고 지내는 다이쥬지 쿠로에게 한끼 식사를 주는 따뜻한 캐릭터. 독립된 세계관과 시나리오를 가진 탓에 데몬베인 안에서도 흔치않은 안경 속성임에도 불구하고 인기투표에서 엑스트라보다 표가 안 나오다 보니 웹사이트에서 제대로 언급되지도 않고, 애니메이션에선 캐릭터 자체가 거진 짤려버리는 사태가 일어났다. 아무리 봐도 머리스타일이 정말 기괴한 탓이 크다고 본다.

파일:attachment/c0024278_49ebfa2138444.jpg 그래서인가 기신비상에선 머리스타일이 수정되어서 나름 괜찮아졌다. "이 스타일로 참마대성에 나오지!!"라고 절규한 팬들도 상당하다고.

일련의 사태를 목도한 니트로 플러스는 이것을 캐릭터의 개성으로 채택, 소설판과 드라마 CD에서 인기에 집착하는 속이 씨커먼 여성으로 나오게 되었다. 인기를 위해서라면 누드는 아무것도 아니다며 훌훌 벗어 제끼는 모습을 보이며 동정표라도 달라며 울면서 칙칙하고 우울한 엔카를 부르는 등, 파묻혀 버린 캐릭터의 처절한 말로를 보여주어서 다음 인기투표에선 동정표를 대거 획득했다. 하지만 류가는 여전히 파묻힌 상태. 피의 괴이 빼고.

사실 그는 하도 재벌과는 별개로 블랙로지와 싸우며 아캄시티를 지키는 메타트론이다.

안티 크로스문 차일드 계획의 실험체로 산달폰(류가)가 폭주 했을 때 류가의 폭주를 막지 못한데다가 난전중에 끝없이 폭주하는 류가에게 공포를 느껴버려 결국 류가를 죽여버리고 만다. 이후 류가를 죽인 일에 대한 피해망상을 가진채 살아오다 탈주, 문차일드 실험을 강행한 안티 크로스에게 복수하기 위해 살아가고 있다. 한마디로 교회의 수녀인 모습은 일종의 위장이다. 그런데 드 마리니의 시계에 수록된 단편인 파괴의 서곡에선 고속으로 이동하는 사족보행 스테이지에 변신도 안하고 달려서 올라갈 정도다. 그리곤 서박사의 마이크를 강탈하고 엔카 열창.
  • 류가는 음비학에 의해 부활, 자신을 죽인 메타트론을 죽이려 하고 있다.
  • 류가의 이름과 설정은 라이카 루트에서만 언급된다.

시나리오 전반에 니트로 플러스 특유의 썩은 맛이 줄줄 흐른다. 라이카 루트에서만 밝혀지는 블랙로지 이면의 이야기가 제대로 진국. 산달폰 항목에 간단한 스토리라인이 있다.

슈퍼로봇대전 UX에서는 애니판 기준이라 메타트론으로 등장하진 않지만 리처드 크루거의 대사에서 간접적으로 말만 나온다.
3.1.2.3. 연희 시리즈의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소(연희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소(연희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소(연희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장소(연희 시리즈)의 진명.

4. 창작물

4.1. 게임 메이플스토리보스 몬스터

4.2. 횡스크롤 인디 게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aika: Aged Through Blood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aika: Aged Through Bloo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Laika: Aged Through Bloo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우에키의 법칙에 나오는 신기 전광석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기(우에키의 법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기(우에키의 법칙)#s-2.6|2.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기(우에키의 법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나나오아카리의 오리지널 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雷火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雷火#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雷火#|]]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하츠네 미쿠VOCALOID 오리지널 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이카(VOCALOID 오리지널 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VOCALOID 오리지널 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VOCALOID 오리지널 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 동방 프로젝트의 등장 로봇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이카(동방 프로젝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동방 프로젝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동방 프로젝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7. 트릭컬 리바이브의 등장 사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이카(트릭컬 리바이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트릭컬 리바이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트릭컬 리바이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 뮤지컬 라이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이카(뮤지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뮤지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카(뮤지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라이브러리컴퍼니창작 뮤지컬
[1] 1934년 설립. 1983~1993년까지 잉글랜드 프로축구팀 아스톤 빌라의 스폰서였다. 여기도 교세라에 인수되었다.[2] 첫 작품인 팬텀 자체가 애당초... 팬텀 오브 인페르노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