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0131><tablebgcolor=#010131><tablecolor=#ffc224> 김용 소설이 원작인 2차 창작물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2px" | 원작 소설 저자 | |||
| | ||||
| 작품 목록 | ||||
| 드라마 | ||||
| <colbgcolor=#EEEEEE,#666666><colcolor=black,white> 1970년대 | ●사조영웅전 (1976) · ●신조협려 (1976) · ●의천도룡기 (1978) | |||
| ♠설산비호 (1978) | ||||
| 1980년대 | ●사조영웅전 (1983) · ●신조협려 (1983) · ●신조협려 (1984) · ●의천도룡기 (1984) · ●의천도룡기 (1986) · ●사조영웅전 (1988) | |||
| ★천룡팔부 (1982) · ■소오강호 (1984) · ♣녹정기 (1984 - 홍콩) · ♣녹정기 (1984 - 대만) · ■소오강호 (1985) · ♠설산비호 (1985) | ||||
| 1990년대 | ●의천도룡기 (1994) · ●사조영웅전 (1994) · ●신조협려 (1995) · ●신조협려 (1998 - 싱가포르) · ●신조협려 (1998 - 대만) | |||
| ★천룡팔부 (1990) · ♠설산비호 (1991) · ■소오강호 (1996) · ★천룡팔부 (1997) · ♣녹정기 (1998) · ♠설산비호 (1999) | ||||
| 2000년대 | ●의천도룡기 (2001) · ●사조영웅전 (2003) · ●의천도룡기 (2003) · ●신조협려 (2006) · ●사조영웅전 (2008) · ●의천도룡기 (2009) | |||
| ■소오강호 (2000) · ♣소보와 강희 (2001) · ■소오강호 (2001) · ★천룡팔부 (2003) · ♠설산비호 (2007) · ♣녹정기 (2008) · ◈서검은구록 (2009) | ||||
| 2010년대 | ●신조협려 (2014) · ●사조영웅전2017 (2017) · ●의천도룡기2019 (2019) | |||
| ★천룡팔부 (2013) · ■소오강호 (2013) · ♣녹정기 (2014) · ■신소오강호 (2018) | ||||
| 2020년대 | ●사조영웅전2024 (2024) · 사조영웅전: 화산논검 (2025) · ●김용무협세계: 신조협려2026 (2026) | |||
| ♣녹정기 (2020) · ★천룡팔부 (2021) · ♠비호외전 (2022) | ||||
| 영화 | ||||
| 1950년대 | ●사조영웅전 (1958) | |||
| 1960년대 | ●신조협려 (1960) · ●의천도룡기 (1963) · ●의천도룡기 (1965) | |||
| ♠설산비호 (1964) | ||||
| 1970년대 | ●사조영웅전 (1977) · ●사조영웅전: 속집 (1978) · ●의천도룡기: 대결국 (1978) | |||
| ★천룡팔부 (1977) · ■소오강호 (1978) · ♠설산비호 (1978) | ||||
| 1980년대 | ●사조영웅전: 제3집 (1981) · ●의천도룡기 (1981) · ●신조협려 (1982) · ●양과와 소용녀 (1982) · ●마전도룡 (1984) | |||
| ♠비호외전 (1980) · ★신천룡팔부 (1982) · ♣녹정기 (1983) · ♠신비호외전 (1984) | ||||
| 1990년대 | ●의천도룡기: 마교교주 (1993) | |||
| ■소오강호 (1990) · ■동방불패 (1992) · ♣녹정기 시리즈 (1992) · ■동방불패2 (1993) · ♣정패위소보지봉지구녀 (1993) · ♠비호외전 (1993) · ●동사서독 (1994) · ★신천룡팔부: 천산동모 (1994) | ||||
| 2010년대 | ●무림타이치- 장삼풍 (2018) | |||
| ♣몽회녹정기 (2011) | ||||
| 2020년대 | ●의천도룡기: 구양신공 (2022) · ●의천도룡기: 성화웅풍 (2022) · ●사조영웅전 : 협지대자 (2025) | |||
| ♠설산비호: 8인의 악인 (2022) · ★천룡팔부: 교봉전 (2023) | ||||
| 2차 창작 관련 문서 | ||||
| 전체 | ●사조영웅전 · ●신조협려 · ●의천도룡기 (드라마) | |||
| ♣녹정기 · ♠설산비호외전 · ■소오강호 (드라마 / 영화) · ★천룡팔부 | ||||
| 관련 둘러보기 틀 | | ||||
| CCTV-8 드라마 천룡팔부 (2021) 天龙八部 Demi-Gods and Semi-Devils | ||
| <nopad> | ||
| <colbgcolor=#302A34><colcolor=#F9C506> 별칭 | 천룡팔부 2021 天龙八部 2021 | |
| 장르 | 시대극[1], 무협물, 가상역사물 | |
| 방송 기간 | 2021년 8월 14일 ~ 2021년 9월 4일 | |
| 방송 횟수 | 50부작[2] | |
| 제작 | 창요우톈샤(畅游天下), 텐센트 펭귄 픽처스, 신리미디어(新丽传媒) | |
| 채널 | CCTV-8 아시아앤(AsiaN) | |
| 제 작 진 | <colbgcolor=#302A34><colcolor=#F9C506> 연출 | 위롱광(于荣光) |
| 극본 | 위안즈단(袁子弹) | |
| 원작 | 김용 저, 소설 《천룡팔부(天龍八部)》 | |
| 출연 | ||
| 타이틀곡 | 오프닝 归处 - 쑨난(孙楠)ㅤㅤㅤ 엔딩 渡我 - 양쿤(杨坤)ㅤㅤㅤ | |
| 스트리밍 | [[왓챠| WATCHA ]] | | ▶ | | ▶ | |
| 시청 등급 | ||
1. 개요
2021년에 방영한 중국 중앙 텔레비전(CCTV)의 드라마.홍콩의 소설가 김용이 쓴 소설 《천룡팔부》를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주인공 소봉 - 허죽 - 단예 세 명의 의형제가 각자 자신의 뛰어난 무공을 바탕으로 자기를 둘러싼 비밀과 은원(恩怨)을 파헤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주연(主演)은 소봉 역의 양요우닝(杨祐宁)과 왕어언 역의 만윙산(文咏珊)[3], 단예 역의 바이슈(白澍), 허죽 역의 장톈양(张天阳), 아주 역의 쑤칭(苏青), 아자 역의 허홍샨(何泓姗), 목완청 역의 류메이통(刘美彤), 종영 역의 쑨야리(孙雅丽), 모용복 역의 가오타이위(高泰宇), 유탄지 역의 두호우쟈(杜厚佳)이다. 이 드라마의 연출을 맡은 위롱광(于荣光)은 주인공 소봉의 의형제이자 요나라 황제인 야율홍기 역을 맡았다.[4]
시간적 배경은 CE 1096년부터 1098년까지[5]로 송나라의 철종 연간 또는 요나라의 도종 연간이며, 공간적 배경은 송나라와 대리국, 요나라, 만주 등지이다.
제작 기간은 2018년 9월부터 2019년 3월까지이다.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 공식 예고편 |
2.2. 포스터
| <nopad> |
| 공식 포스터 |
| |
| |
| |
| 공식 캐릭터 포스터 |
3. 등장인물
| <nopad> |
| 주요 캐릭터 이미지 |
3.1. 핵심 인물
| 교봉·소봉|乔峯·萧峯 |
| [[소봉(천룡팔부)| |
| 양요우닝(杨祐宁) |
| 왕어언|王语嫣 |
| [[왕어언| |
| 만윙산(文咏珊) |
| 단예|段誉 |
| [[단예| |
| 바이슈(白澍) |
| 허죽|虚竹 |
| [[허죽| |
| 장톈양(张天阳) |
| 아주|阿朱 |
| [[아주(천룡팔부)| |
| 쑤칭(苏青) |
| 아자|阿紫 |
| [[아자(천룡팔부)| |
| 허홍샨(何泓姗) |
| 목완청|木婉清 |
| [[목완청| |
| 류메이통(刘美彤) |
| 종영|锺灵 |
| [[종영(천룡팔부)| |
| 쑨야리(孙雅丽) |
| 모용복|慕容复 |
| [[모용복(천룡팔부)| |
| 가오타이위(高泰宇) |
| 유탄지|游坦之 |
| [[유탄지| |
| 두호우쟈(杜厚佳) |
3.2. 주변 인물
3.2.1. 소봉의 주변 인물
| 왕검통|汪剑通 |
| |
| 여량위(吕良伟) |
| 강민|康敏 |
| [[강민(천룡팔부)| |
| 주주(朱珠) |
| 전관청|全冠淸 |
| [[전관청| |
| 쟈오전팅(赵振廷) |
| 야율홍기|耶律洪基 |
| [[야율홍기(천룡팔부)| |
| 위롱광(于荣光) |
| 소원산|蕭遠山 |
| [[소원산| |
| 쑨웨이(孙玮)[A] |
| 무명승|扫地僧 |
| [[무명승| |
| 위안샹런(袁祥仁) |
3.2.2. 단예의 주변 인물
3.2.2.1. 단정순과 그의 연인들
| 단정순|游坦之 |
| [[단정순(천룡팔부)| |
| 치우신즈(邱心志) |
| 감보보|甘宝宝 |
| |
| 왕완좐(王婉娟) |
| 도백봉|刀白凤 |
| |
| 쉬동동(徐冬冬) |
| 진홍면|秦红棉 |
| |
| 황이(黄奕) |
| 이청라|李青萝 |
| |
| 마야슈(马雅舒) |
| 완성죽|阮星竹 |
| |
| 류위추이(刘玉翠) |
3.2.2.2. 기타 인물
| 단정명|段正明 |
| |
| 선샤오하이(沈晓海) |
| 구마지|鳩摩智 |
| [[구마지| |
| 주샤오위(朱晓渔) |
| 아벽|阿碧 |
| [[아벽| |
| 하오위위(蒿雨雨) |
3.2.3. 허죽의 주변 인물
| 현자|玄慈 |
| [[현자(천룡팔부)| |
| 리하오한(李昊翰) |
| 천산동모|天山童姥 |
| [[천산동모| |
| 정이솬(曾一萱) |
| 이추수|李秋水 |
| [[이추수)| |
| 멍리(孟丽) |
| 무애자|無崖子 |
| [[무애자| |
| 추이펑(崔鹏) |
| 정춘추|丁春秋 |
| [[정춘추| |
| 먀오하오쥔(苗皓钧) |
| 이청로|李淸露 |
| [[이청로(천룡팔부)| |
| 카이솬(楷旋) |
3.2.4. 사대악인
| 단연경|段延慶 |
| [[단연경| |
| 쑨웨이(孙玮)[A] |
| 섭이랑|叶二娘 |
| [[섭이랑| |
| 쑤첸웨이(苏倩薇) |
| 악노삼|岳老三 |
| [[악노삼| |
| 동커페이(董可飞) |
| 운중학|雲中鶴 |
| 왕이판(王亦凡) |
4. OST
| <nopad> |
| Original Sound Track |
5. 평가
| <nopad> |
| |
| 별점 3.4 / 10 |
| |
| 별점 3.9 / 5.0 |
| |
| 별점 7.5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 bordercolor=#0c9bff><bgcolor=#fdfdfd,#000014><tablebgcolor=#fff,#191919>
||
| 평점 8.9 / 10 |
| |
| 점수 86% |
[1] 중국식 표현으로는 '고장극(古装剧)'으로 불린다.[2] 회당 45분 분량[3] 홍콩의 배우로, 광동어 기준으로 표기한다.[4] 왕어언 역의 만윙산(文咏珊)이 소봉 다음으로 이름이 올라간 것은 연출을 맡은 위롱광(于荣光)이 왕어언 캐릭터를 유독 좋아해서라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왕어언에게 몰아준 부분이 상당 부분 있다.[5] 신수판 소설의 시간적 배경은 CE 1092년부터 1095년까지이다. 이 드라마는 구판(연재판)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신수판 소설과는 시간적 배경이 살짝 틀어져 있다. 드라마 제3화에서도 단예가 종영의 생시가 적힌 쪽지를 친모 감보보에게서 전해 받는데, 그 쪽지에는 '庚申年 二月 初五日 丑時 女(경신년 이월 초오일 축시 녀)'로 (음력) 1080년 2월 5일 02시 경 출생으로 표기되어 있다.[A] 소원산 역과 단연경 역을 모두 맡았다.[A] [재생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