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강동초등학교 | 동백초등학교 | 무정초등학교 | 반산초등학교 |
반석초등학교 | 반송초등학교 | 반안초등학교 | 반여초등학교 | |
부흥초등학교 | 삼어초등학교 | 상당초등학교 | 센텀초등학교 | |
송수초등학교 | 송운초등학교 | 송정초등학교 | 신곡초등학교 | |
신도초등학교 | 신재초등학교 | 양운초등학교 | 운봉초등학교 | |
운송초등학교 | 인지초등학교 | 장산초등학교 | 재송초등학교 | |
좌동초등학교 | 좌산초등학교 | 해강초등학교 | 해동초등학교 | |
해림초등학교 | 해송초등학교 | 해운대초등학교 | 해원초등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 ||||
학교 틀 둘러보기 |
<nopad> |
학교 전경 |
<colbgcolor=#2a5caa><colcolor=#fff> 좌동초등학교 佐洞初等學校 Jwadong Elementary School | |
| |
개교 | 1996년 9월 1일 |
성별 | 남녀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최명아 |
교훈 | 바른 인성을 갖추고 건강하게 생활하며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
교화 | 장미 |
교목 | 향나무 |
학생 수 | 461명[기준] |
교직원 수 | 36명[기준] |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해운대교육지원청 |
주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세실로 127 |
홈페이지 | |
<nopad> |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공립초등학교이다.2. 학교 연혁
- 2022년 3월 2일: 2022학년도 시업식 및 입학식(남 35명, 여 28명, 계 63명)
- 2020년 3월 31일: 해운대영재교육원 영재거점학교 운영(정보, 창작)
- 2020년 3월 18일: 공간혁신 2곳(도담도담, 푸름이) 설치
- 2020년 3월 13일: 학습준비물실 구축
- 2020년 3월 2일: 2020학년도 시업식 및 입학식 (남 53명, 여 41명, 계 100명)
- 2020년 3월 1일: 2020학년도 학생평가 연구학교 운영
- 2020년 2월 21일: 제 24회 졸업식(남66명, 여 64명, 계 130명 졸업) 총 누계 4,885명
- 2019년 12월 20일: 디지털교과서 선도유공학교 교육감 표창
- 2019년 11월 1일: 2020학년도 학생평가 연구학교 선정
- 2019년 9월 6일: 병설유치원(3학급) 개원 공사(별관 1층)
- 2019년 9월 1일: 제 9대 김혜숙 교장 부임
- 2019년 4월 26일: 과학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19년 3월 31일: 해운대영재교육원 영재거점학교 운영(정보, 창작)
- 2019년 3월 4일: 방과후연계형 돌봄교실 구축
- 2000년 12월 20일: 제1회 좌동꿈나무 자람발표회 개최
- 1999년 7월 9일: 학생 예능대회 대상 수상
- 1998년 9월 1일: 건영, 롯데아파트 부흥초등 분리
- 1997년 3월 1일: 상당, 양운초등학교로 분리인계
- 1997년 2월 19일: 제1회 졸업 (남: 136명. 여: 150명. 계: 286명)
- 1996년 9월 1일: 초대 이세병 교장 부임
- 1996년 9월 1일: 신설 개교
3. 학교 상징
3.1. 교표
3.2. 교목/교화
- 교목: 향나무
- 교화: 장미
3.3. 교가
여담으로 좌동초등학교의 교과가 보기와 다르게 매우 높아 학교를 졸업할 정도쯤 된다면 교가의 음이 삑사리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
3.4. 캐릭터
이름은 좌동푸르미.[3]
4. 이야깃거리
좌동초등학교의 정문은 양 옆으로 은행나무들이 길게 자리하고 있다. 그로 인해서 가을에는 좌동초등학교 주변에 은행냄새가 상당하다. 좌동초등학교는 가을인 10월에 현장체험학습을 가는 편인데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항상 정문만 이용을 한다. 그로 인해 현장체험학습을 다녀온 학생들은 신발에 은행 향수를 얻어왔다는 이야기가 있다.[4]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버스
5.2. 도시철도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역 - 4번 출구에서 도보 10분 정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