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08:19:49

존 판트스힙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f1919><tablebgcolor=#df1919>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유럽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1868D6,#2878e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이반
요바노비치

파일: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로날드
쿠만

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스톨레
솔바켄

파일: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브리안
리머

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율리안
나겔스만

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올로
니콜라토

파일:Latvia_national_team_logo.png
발레리
카르핀

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미르체아
루체스쿠

파일: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홀츠

파일:Luxembourg FLF.png
에드가라스
얀카우스카스

파일: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콘라트
퓐프슈튀크

파일: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로베르트
프로시네츠키

파일: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세르게이
클레슈첸코

파일: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에밀리오
데레오

파일: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png
뤼디
가르시아

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카를로스
알로스

파일: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세르게이
바르바레즈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블라고야
밀레프스키

파일: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이클
오닐

파일: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일리안
일리에프

파일: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로베르토
체볼리

파일:San Marino FSGC 2021.png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파일: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무라트
야킨

파일: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욘 달
토마손

파일: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스티브
클라크

파일: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루이스
데 라 푸엔테

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프란체스코
칼초나

파일: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티아시
케크

파일: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르나르
군라우그손

파일:Iceland_national_football_team_logo.png
헤이미르
하들그림손

파일: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판트스힙

파일: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페르난두
산투스

파일: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콜도
알바레즈

파일: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시우비뉴

파일: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위르겐

파일: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랄프
랑닉

파일: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세르히
레브로프

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크레이그
벨라미

파일: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란 벤
시몬

파일: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루치아노
스팔레티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토마스
투헬

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윌리
사뇰

파일: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훌리오
리바스

파일:지브롤터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이반
하셰크

파일: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

파일: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프랑코
포다

파일: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즐라트코
달리치

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소프로니스
아브구스티

파일: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빈첸조
몬텔라

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에우둔
클라크스타

파일: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파일: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미하우
프로비에시

파일:폴란드 국장.svg
디디에
데샹

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원정).svg
야콥
프리스

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르코
로시

파일: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존 판트스힙의 감독직 및 역임 직책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파일: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40대
클럽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56대

}}} ||
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Հայաստանի ֆուտբոլի ազգային հավաքական
파일:John Vant Schip Ajax.jpg
<colbgcolor=#d90012> 이름 존 판트스힙
John van 't Schip
본명 요하너스 니콜라스 판엇스힙[1]
Johannes Nicolaas van 't Schip
출생 1963년 12월 30일 ([age(1963-12-30)]세)
캐나다 자치령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포트세인트존
국적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
[[캐나다|]][[틀:국기|]][[틀:국기|]]
신체 182cm
직업 축구 선수 (윙어 / 은퇴)
축구 감독
축구 행정가
소속 <colbgcolor=#d90012> 선수 AFC 아약스 (1981~1992)
제노아 CFC (1992~1996)
감독 AFC 아약스 (1997~2000 / 유스)
AFC 아약스 (2000~2001 / 코치)
FC 트벤터 (2001~2002)
AFC 아약스 B (2002~2004 / 코치)
네덜란드 대표팀 (2004~2008 / 코치)
AFC 아약스 (2008~2010 / 코치)
멜버른 하트 FC (2010~2012)
CD 과달라하라 (2012~2013)
멜버른 시티 FC (2013~2017)
PEC 즈볼러 (2017~2018)
그리스 대표팀 (2019~2021)
AFC 아약스 (2023~2024)
아르메니아 대표팀 (2025~ )
경영 AFC 아약스 (2024 / 기술 관리 위원)
국가대표 41경기 2골 (네덜란드 / 1986~1995)
가족 아버지 욥 판트스힙
어머니 리트 판트스힙
배우자 다니엘레 운크[2]
에스텔 판트스힙
아들 데이비 판트스힙

1. 개요2. 선수 경력3. 감독 경력

[clearfix]

1. 개요

네덜란드축구 선수 출신 감독. 선수 시절 포지션은 윙어.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태생이었으나 1972년에 부모님을 따라서 모국 네덜란드로 귀국했다. 이 때문에 캐나다 국적까지 이중국적을 보유하고 있다.

2. 선수 경력

AFC 아약스에서 UEFA 컵 위너스컵(1986-87 시즌)과 UEFA 컵(1991-92 시즌)을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서 1990 이탈리아 월드컵, 유로 1988, 유로 1992에 참여하기도 했다.

3. 감독 경력

친정팀인 아약스에서 유스팀 감독과 코치를 거친 후 마르코 판바스턴이 이끄는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코치를 맡았다. 이후 호주멕시코, 네덜란드를 오가면서 감독 생활을 이어갔고, 2019년 7월 앙헬로스 아나스타시아디스의 후임으로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했다.

하지만 2022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에서 3위로 탈락했다. 물론, 상대가 스페인과 스웨덴이 있기에 만만치 않았지만...약체인 조지아에게도 덜미를 잡히기도 하면서 스페인과 무승부를 보이기도 했다.

2021년 11월 26일, 계약 만료까지 한 달 앞두고 사임했다.

3.1. AFC 아약스

파일:존 판트스힙 아약스 감독 오피셜.jpg
2023년 10월 30일, AFC 아약스 감독으로 부임했다. 계약 기간은 2025년 6월 30일까지.# 2023-24 시즌 잔여 시즌 동안 감독으로 부임하고 이후 2024년 7월 1일부터는 기술 관리 직책으로 맡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완전히 망할 줄 알았던 아약스를 5위까지 끌어 오르면서 최악의 상황에서 꺼내는 데에 성공했다. 하지만 컵 대회에서 4부 리그 팀인 USV 헤라클레스에게 3:2로 패한 것과 컨퍼런스 리그에서 아스톤 빌라에게 4:0으로 대패한 것 등 여전히 불안한 모습을 조금씩 보이고 있다.

이후 리그 5위로 시즌을 마감하였고 프란체스코 파리올리AFC 아약스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위에서 상술했듯이 기술 관리 위원으로 직책을 옮겼다.

2024년 11월 12일, 공식적으로 AFC 아약스를 떠났다.#

3.2. 아르메니아 대표팀

2025년 2월 17일, 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계약 기간은 1+1년.

[1] 국립국어원네덜란드어 표기법을 따르면 '판트스힙'이나 네덜란드어에서 't는 het의 축약형 표기이기 때문에 [ət ˈsxɪp\](엇스힙)으로 발음한다.[2] 2023년 10월 10일 사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