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세계의 스카우트 운동 | |
관련단체 | 세계스카우트연맹, 걸스카우트, WSPU | |
프로그램 |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월드무트, JOTA-JOTI, Messenger of Peace | |
한국의 스카우트 운동 | ||
<colbgcolor=#FFFFFF,#222222> 체계 | 비버스카우트(유치원생/유아대), 컵스카우트(초등학생/유년대), 스카우트(중학생/소년대), 벤처스카우트(고등학생/연장대), 로버스카우트(대학생/연구대), 지도자(성인) | |
프로그램 | 진보제도, 한국잼버리, 평화통일체험활동, 한일친선교류 | |
유관기관 | 한국범스카우트중앙회, 청소년위원회, 로버스카우트중앙협의회, 국회의원스카우트연맹 |
<colbgcolor=#5f3e97><colcolor=#fff> 세계스카우트잼버리 World Scout Jamboree | |
|
[clearfix]
1. 개요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World Scout Jamboree)는 세계스카우트연맹(WOSM)에서 주최하여 매 4년마다 열리는 세계 스카우트 회원들의 합동 야영 대회이자 각국의 문화 교류를 위한 청소년 축제다.[1] 스카우트의 창시자인 베이든 포우엘이 영국 런던 올림피아 경기장에서 열린 제1회 세계 야영 대회를 이렇게 칭하면서 시작했다.대한민국에서는 1991년 제17회 세계 잼버리가 강원도 고성군에서 처음 개최되었고 2023년에는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가 새만금에서 개최되었다.
잼버리의 특징은 대만의 국기인 청천백일만지홍기 사용이 허용되는 몇 안 되는 국제 행사라는 점인데[2] 중국 대륙 등의 공산권에는 스카우트가 없기 때문이다. 공산권 국가들은 피오네르가 스카우트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3] 그리고 자본주의로 체제를 전환한 구 공산권 국가에도 스카우트가 재도입되었는데 그와는 별개로 과거 문화 보존 차원에서 피오네르가 유지되는 경우도 있어서 이러한 국가들에서는 스카우트와 피오네르가 공존하고 있다.
2. 개최지
역대 세계스카우트잼버리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 margin: -6px -1px -11px"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
1920 런던 | 1924 에르멜룬덴 | 1929 버큰헤드 | 1933 괴될뢰 | 1937 블루먼달 |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1947 모이송 | 1951 바트 이슐 | 1955 나이아가라온더레이크 | 1957 서튼 파크 | 1959 로스 바뇨스 |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1963 마라톤 | 1967 파라구트 | 1971 후지노미야 | 1975 릴레함메르 | 1983 카나나스키스 |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1987-1988 시드니 | 1991 고성 | 1995 드론턴 | 1998-1999 피카르킨 | 2002-2003 사타힙 |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2007 첼름스퍼드 | 2011 크리스티안스타드 | 2015 키라라하마 | 2019 뉴리버고지 | 2023 새만금 | |||||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
2027 그단스크 | 2031 | 2035 | 2039 | 2043 |
<rowcolor=#fff> 연도 | 날짜 | 회차 | 지역 | 참가자수 | 참가국 |
1920년 | 7월 30일~8월 8일 | 제1회 세계 잼버리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런던 올림피아 스타디움 | 8,000명 | 34 |
1924년 | 8월 10일~8월 17일 | 제2회 세계 잼버리 | [[덴마크| ]][[틀:국기| ]][[틀:국기| ]], 에르멜룬덴 | 4,549명 | 32 |
1929년 | 7월 31일~8월 13일 | 제3회 세계 잼버리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잉글랜드| ]][[틀:국기| ]][[틀:국기| ]], 버큰헤드 | 30,000명 | 69 |
1933년 | 8월 2일~8월 15일 | 제4회 세계 잼버리 | [[헝가리| ]][[틀:국기| ]][[틀:국기| ]] 헝가리, 괴될뢰(Gödöllő) | 25,792명 | 33 |
1937년 | 7월 31일~8월 9일 | 제5회 세계 잼버리 | [[네덜란드| ]][[틀:국기| ]][[틀:국기| ]], 블루먼달 | 28,750명 | 54 |
1947년 | 8월 9일~8월 20일 | 제6회 세계 잼버리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프랑스, 모이송[4] | 24,152명 | 71 |
1951년 | 8월 3일~8월 13일 | 제7회 세계 잼버리 | [[오스트리아| ]][[틀:국기| ]][[틀:국기| ]] 오스트리아, 바트 이슐 | 12,884명 | 61 |
1955년 | 8월 18일~8월 28일 | 제8회 세계 잼버리 | [[캐나다 자치령| ]][[틀:국기| ]][[틀:국기| ]] 온타리오주, 나이아가라온더레이크 | 11,139명 | 71 |
1957년 | 8월 1일~8월 12일 | 제9회 세계 잼버리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잉글랜드| ]][[틀:국기| ]][[틀:국기| ]], 서튼 파크(Sutton Park) | 31,426명 | 82 |
1959년 | 7월 17일~7월 26일 | 제10회 세계 잼버리 | [[필리핀| ]][[틀:국기| ]][[틀:국기| ]], 로스 바뇨스 | 12,203명 | 44 |
1963년 | 8월 1일~8월 11일 | 제11회 세계 잼버리 | [[그리스| ]][[틀:국기| ]][[틀:국기| ]], 마라톤 | 11,398명 | 89 |
1967년 | 8월 1일~8월 9일 | 제12회 세계 잼버리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아이다호주, 파라구트주립공원 | 12,011명 | 105 |
1971년 | 8월 2일~8월 10일 | 제13회 세계 잼버리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 | 23,758명 | 87 |
1975년 | 7월 29일~8월 5일 | 제14회 세계 잼버리 | [[노르웨이| ]][[틀:국기| ]][[틀:국기| ]], 릴레함메르 | 17,259명 | 91 |
| | | [[팔라비 왕조| ]][[틀:국기| ]][[틀:국기| ]], 니샤푸르 | ||
1983년 | 7월 5일~7월 23일 | 제15회 세계 잼버리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앨버타주, 카나나스키스 | 14,752명 | 106 |
1987년 ~1988년 | 12월 31일~1월 7일 | 제16회 세계 잼버리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 14,434명 | 84 |
1991년 | 8월 8일~8월 16일 | 제17회 세계 잼버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강원도, 고성군 | 19,083명 | 135 |
1995년 | 8월 1일~8월 11일 | 제18회 세계 잼버리 | [[네덜란드| ]][[틀:국기| ]][[틀:국기| ]], 드론턴 | 28,960명 | 166 |
1998년 ~1999년 | 12월 27일~1월 6일 | 제19회 세계 잼버리 | [[칠레| ]][[틀:국기| ]][[틀:국기| ]], 피카르킨 | 31,534명 | 157 |
2002년 ~2003년 | 12월 28일~1월 8일 | 제20회 세계 잼버리 | [[태국| ]][[틀:국기| ]][[틀:국기| ]], 사타힙 | 24,000명 | 147 |
2007년 | 7월 28일~8월 8일 | 제21회 세계 잼버리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잉글랜드| ]][[틀:국기| ]][[틀:국기| ]], 첼름스퍼드 | 37,868명 | 155 |
2011년 | 7월 27일~8월 7일 | 제22회 세계 잼버리 | [[스웨덴| ]][[틀:국기| ]][[틀:국기| ]], 크리스티안스타드 | 40,061명 | 146 |
2015년 | 7월 28일~8월 8일 | 제23회 세계 잼버리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야마구치현, 키라라하마(야마구치시) | 33,628명 | 155 |
2019년 | 7월 22일~8월 2일 | 제24회 세계 잼버리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웨스트버지니아주, 뉴리버고지 서밋 벡텔 보호지역(Summit Bechtel Reserve) | 45,000명 | 152 |
2023년 | 8월 1일~8월 12일 | 제25회 세계 잼버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전라북도, 새만금(부안) | 43,232명 | 158 |
2027년 | 7월 30일~8월 8일 | 제26회 세계 잼버리[6] | [[폴란드| ]][[틀:국기| ]][[틀:국기| ]] 포모르스키에주, 그단스크 |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World Scout Jamboree)는 1907년 로버트 베이든 파월 (Robert Baden-Powell) 경에 의해 스카우트 프로그램이 창시된 이후 국제적 성공을 거둔 가운데, 1918년 England에서 열린 제1회 국제 스카우트 회의 (International Scout Conference)에서 그리스 보이스카우트 총책임자 (General Chief of the Boy Scouts of Greece) 콘스탄티노스 “코코스” 멜라스 (Konstantinos “Kokos” Melas)가 올림픽 게임의 방식을 본떠 주기적인 국제 캠프 개최를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베이든 파월 경은 이 제안을 열정적으로 수용하여 1920년 London에서 첫 번째 세계스카우트잼버리를 개최하였다. 당시 행사는 고대 그리스 올림픽 발상지인 Olympia의 이름을 상징적으로 사용한 전시 성격의 행사로, 약 34개국의 8,000여 명의 스카우트가 참여하였다. 이후 두 번째 잼버리부터는 캠프 형식으로 발전하여, 스카우트들이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상호 교류하고 서로의 문화를 배우는 장으로 자리 잡았다.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는 원칙적으로 4년마다 개최되지만, 두 차례 예외가 있다. 제2차 세계대전 (1937~1947년) 동안은 행사가 열리지 않았으며, 1979년 Iran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잼버리도 정치적 격변으로 취소되었다. 초창기 7회의 잼버리는 Europe에서 개최되었으며, 8번째부터는 대륙 간 순환 개최 전통이 시작되었고, 현재까지 Africa에서는 개최된 적이 없다.
1979년 취소된 잼버리를 대체하기 위하여 세계스카우트이사회(World Scout Committee)는 ‘World Jamboree Year’라는 대안 행사를 기획하였고, 호주의 Perth에서 열린 잼버리 및 Join-in-Jamboree 활동 등 여러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이 Join-in 프로그램은 2007년 스카우트 100주년 기념 행사에서도 재현되었다.
가장 많은 참가 인원을 기록한 잼버리는 2019년 미국의 웨스트 버지니아에서 개최된 행사로, 잼버리 전체 기간 동안 45,000명이 넘는 참가자와 수십만 명의 일일방문자(Day-Visitor)가 참여하였다.
16번째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는 최초로 남반구인 호주의 시드니에서 개최되었으며, 2007년 제21회 잼버리는 영국의 Essex 주 Helland Park에서 개최되어 스카우트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였다. 이후 제22회 (2011년, 스웨덴 크리스티안스타드), 제23회 (2015년, 일본의 키라하마), 제24회 (2019년, 미국의 웨스트버지니아주에 위치한 뉴리버고지 서밋 벡텔 보호지역(The Summit Bechtel Family National Scout Reserve))가 순차적으로 개최되었다.
제25회 잼버리는 2023년 대한민국의 새만금에서 열렸으나, 행사 초반부터 심한 폭염 등 기후 악화로 일부 대표단이 캠프장을 이탈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7일, 한국 정부는 잼버리를 조기 종료하고 참가자들을 서울로 대피시키기로 결정하였으며, 잼버리 프로그램은 서울에서 계속 진행되어 폐회식은 2002년 FIFA 월드컵이 개최된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거행되었다.
향후 제26회 잼버리는 2027년 폴란드의 그단스크 인근 소비에슈보 섬에서, 제27회 잼버리는 2031년 덴마크의 실케보르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여담으로,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는 주로 8월 또는 9월에 개최된다. 이는 대부분의 스카우트 대원들이 여름 방학을 활용할 수 있고, 북반구를 중심으로 한 개최지의 기후 조건이 야외 활동에 적합하며, 여러 국가의 일정 조율 및 여행 편의성 측면에서도 최적의 시기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3.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행사
3.1. 제17회 세계 잼버리: 대한민국 고성
3.2. 제25회 세계 잼버리: 대한민국 새만금 (전북 부안)
4. 기타
- 많은 사람들이 잼버린이라고 부르는 경향이 존재한다. 비슷한 단어인 탬버린과 비슷하여 일어나는 일인 듯. 유사한 사례로 안드로이드의 4.1 버전이었던 젤리빈을 젤라빈이라고 부르던 사례와 유사하다. 비슷한 이름의 호주 애니메이션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 백괴사전에서는 잼버리를 잼을 버리는 대회라고 지칭하고 있다.
[1] 이 대회는 걸스카우트와는 무관하다. 걸스카우트는 세계 걸가이드·걸스카우트협회라는 별도의 단체가 관할한다.[2] 대만 대표단의 호칭은 매우 특이하게도 '중국 스카우트(Scouts of China)'를 사용한다. 다른 나라들은 '스카우트'를 떼고 국가명만 사용할 경우더라도 중국(대만)은 스카우트를 떼지 않는다. 새만금 잼버리 개영식에서 각국 기수단 입장은 1시간 15분부터 나오며, 중국(대만)은 영어 순서에 의해 칠레 다음으로 1:23:10에 입장한다. 한국어 호칭을 아예 쓰지 않았다.[3] 심지어 공산주의 국가 중 제3세계를 자처하며 타 공산권들과 따로 놀고 친서방 성향으로 서방과의 교류가 활발했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도 내부적으로는 노동자 자주 관리 등 이질적이긴 해도 엄연한 공산주의 국가였는지라 피오네르만 있었기 때문에 세계스카우트잼버리에 참여하지 않았다.[4]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5차 대회에 이어 10년 만에 개최되었다.[5] 당시 정부가 이란 혁명으로 전복되면서 개최 취소[6] https://ko.wikipedia.org/wiki/제26회_세계_스카우트_잼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