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21:58:16

장리크네르 벨가르드


1 주제 사 · 2 도허티 · 3 부에노 · 4 S. 부에노 · 5 무네치 · 6 올페 · 7 안드레 · 8 고메스
9 스트란 라르센 · 10 J. 아리아스 · 11 황희찬 · 12 아그바두 · 14 톨루 · 15 모스케라
21 R. 고메스 · 23 치레와 · [[토티 고메스|24 토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db913; font-size: .8em"]] · 25 벤틀리 · 26 후버 · 27 벨가르드
28 페르 로페스 · 30 곤살레스31 존스톤 · 36 마네 · 37 크레이치 · 38 차추아
파일:UEFA WAL.png 롭 에드워즈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2526-jean-ricner-bellegarde.webp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No. 27
장리크네르 벨가르드[1]
Jean-Ricner Bellegarde
<colbgcolor=#fdb913,#fdb913><colcolor=#231f20,#231f20> 출생 1998년 6월 27일 ([age(1998-06-27)]세)
프랑스 일드프랑스지방 오드센주 콜롱브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이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이티}}}{{{#!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0cm / 체중 68kg
포지션 미드필더[2], 윙어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fdb913,#fdb913><colcolor=#231f20,#231f20> 유스 CS 빌르타뇌즈 (2009~2012)
르망 FC (2012~2013)
RC 랑스 (2013~2015)
선수 RC 랑스 B (2015~2016)
RC 랑스 (2016~2019)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2019~2023)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2023~ )
국가대표 6경기[3] (아이티 / 2025~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db913,#fdb913><colcolor=#231f20,#231f20> 역대 등번호 <colbgcolor=#ffffff,#1c1d1f>아이티 축구 국가대표팀 - 10번
RC 랑스 - 6번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 17번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27번
}}}}}}}}} ||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같이 보기

1. 개요

아이티 국적의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이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2.1.1. 유소년 시절

아마추어 클럽에서 축구를 배우다가 15세에 RC 랑스에 입단하였다. 이후 18세에 프로 데뷔를 하고 연령별 대표팀에도 차출되며 기대를 모았으나 21세가 되도록 리그 2 소속이었던 팀의 주전을 차지하지 못했다.

2.1.2.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2019년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가 5년 계약으로 스쿼드 뎁스 겸 미래 자원 삼아 영입한 이후 첫 해는 벤치에 머무는 시간이 많았으나 다음 해부터 출전 시간을 늘려나가며 팀의 주전으로 발돋움했다.

2021-22 시즌에는 리그 기준 36경기에 나와 2골과 3개의 도움을 기록하였고, 그 다음 시즌인 2022-23 시즌엔 30경기 중 29경기를 선발 출전하면서 2골 6도움을 기록하면서 시즌 내내 좋은 경기력을 유지했다.

2023-24 시즌에도 초반 3경기를 거의 풀타임으로 뛰면서 2골 2도움을 올리며 활약했다. 2라운드 모나코전은 침묵했기에 사실상 2경기에서 4개의 공격포인트를 올린 것이나 다름이 없다.

한폄 팀 내 입지가 커졌지만 2019년 영입 이후 재계약은 맺지 않았던 지라 2024년 여름 계약이 만료되어 스트라스부르를 떠날 가능성이 생겼다.

2023년 7월에는 OGC 니스와의 링크가 떴었고, 8월 말에 들어서 프리미어 리그 클럽 울버햄튼 원더러스 FC가 접촉했으며 9월 1일 마감시한 당일에 이적이 확정되었다.

2.1.3.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마감시한 당일인 2023년 9월 1일, 울버햄튼 원더러스 FC로의 이적이 발표되었다. 5년 계약에 이적료는 £12.8M.# 등번호는 마테우스 누네스가 달았던 27번을 받았다.
2.1.3.1. 2023-24 시즌
5라운드 리버풀전 깜짝 선발 출전하면서 울버햄튼에서의 데뷔전을 갖게 되었다. 중원에서 상대에게 볼을 잘 빼앗을 뿐 아니라 빼앗은 직후 드리블을 치거나 주는 패스가 상당히 안정적이었다. 좋은 인상을 홈 팬들에게 알려준 후 77분에 교체되었다. 팀은 1-3으로 역전패.

그러나 다음 경기 루턴 타운 원정에서 스터드를 이용한 보복성 가격으로 경기 시작 39분만에 다이렉트 레드 카드를 받고 말았다. 전반전 나온 불필요한 퇴장으로 가뜩이나 어수선한 팀 분위기에 찬물을 제대로 끼얹게 되었다. 불행 중 다행으로 팀은 페드루 네투의 골로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7,8라운드는 퇴장 징계로 인해 결장하였고 9라운드 본머스전은 경미한 무릎 부상으로 명단 제외되었다. 이어진 10R 경기는 관중석에서 경기를 지켜보았다.

11라운드 셰필드 원정에서 오랜만에 교체 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며, 후반전에 교체 투입되었다. 그리고 후반 44분 황희찬이 흘려준 패스를 환상적인 오른발 슈팅으로 마무리하면서 동점골을 기록했다. 팀은 추가시간에 PK를 헌납하여 1-2로 패배했다.

13라운드 풀럼마테우스 쿠냐의 동점골을 어시스트하며 시즌 1호 도움을 올렸다. 팀은 난타전 끝에 2-3으로 패배한다.

19라운드 브렌트포드전에서 부상 방지 차원에서 빠진 황희찬을 대신해 교체로 투입되었다. 후반전에 팀의 4번째 골을 터트리며 팀의 4-1 대승에 일조했다.

28라운드 풀럼전 경기 극초반에 당한 부상으로 인해 2달 정도 경기에 나서지 못했다.

그러던 36라운드 맨시티전 교체 명단에 포함되었고, 후반전 시작과 동시에 투입되어 황희찬의 만회골의 기점이 된 크로스를 올리는 등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PL 데뷔 시즌인 23-24 시즌, 많은 경기를 뛰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나쁘지 않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원 포지션인 중앙 미드필더가 아닌 윙어나 공격수 등의 포지션도 땜빵해서 맡았기에 자신의 기량을 다 보여주지 못했다는 것이 전체적인 평가이다.
2023-24 시즌 기록 요약
대회 경기 선발 교체 도움
프리미어 리그 22 10 12 2 1
FA컵 4 4 - 0 0
합계 26 14 12 2 1
2.1.3.2. 2024-25 시즌
리그 개막전 아스날과의 원정 경기에서 공격형 미드필더 자리에서 선발 출전했지만 별다른 활약은 하지 못하고 57분이라는 다소 이른 시간에 마테우스 쿠냐와 교체되었다.

3라운드 노팅엄 포레스트 원정 경기에서 전반 12분 시원한 중거리 슈팅으로 동점골을 만들어냈다. 팀은 1-1 무승부를 거두었으며, 이 득점은 EPL 이달의 골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7라운드 브렌트포드전 후반 추가시간 라얀 아이트누리의 만회골을 어시스트했다.

허나 이번 시즌에도 미드필더가 아닌 윙어 위치에서 계속 출전하면서 좋지 못한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 선수 폼을 떨어뜨린 장본인 게리 오닐 감독이 경질되었으니 후임 비토르 페레이라가 벨가르드를 어떤 포메이션에서 기용할지 주목된다.

24라운드 아스톤 빌라전 퇴장 징계로 결장한 주앙 고메스 대신 중앙 미드필더로 선발 출전했고, 전반 12분 파블로 사라비아의 패스를 받아 팀의 선제골을 기록했다. 득점 이외에도 경기력 측면에서도 훌륭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의 2-0 승리에 기여했다.

25라운드 리버풀마테우스 쿠냐의 만회골을 어시스트했다.

28라운드 에버튼전에는 상대 수비 라인을 무너뜨리는 패스로 마셜 무네치의 데뷔골을 어시스트하였다.

29라운드 사우스햄튼전에서는 예르겐 스트란 라르센의 두 골을 모두 어시스트하며 팀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이로써 최근 5경기에서 4개의 도움을 올리며 좋은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37라운드 크리스탈 팰리스전 좋은 코너킥 크로스로 예르겐 스트란 라르센의 헤더 골을 도왔지만 팀은 2-4로 패배햤다.

후반기에 들어서는 감독의 영향 때문인지 이전에 보여주었던 모습보다 훨 나은 경기력을 보여주었고, 팀 공격의 핵심 중 하나로 거듭나게 되었다.
2024-25 시즌 기록 요약
대회 경기 선발 교체 도움
프리미어 리그 35 20 15 2 7
카라바오 컵 1 - 1 0 0
FA컵 3 2 1 0 0
합계 39 22 17 2 7
2.1.3.3. 2025-26 시즌
시즌 초반, 선발과 교체를 오가며 경기에 나서고 있지만 팀이 워낙 부진하고 있는 탓에 이렇다 할 활약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2.2. 국가대표 경력

프랑스 연령별 대표팀에서 계속해서 콜업되어 23세 이하 대표팀까지 뽑혔으나 A대표팀의 선택을 받진 못했다.

2019년 5월, 아이티의 2019 CONCACAF 골드컵 40인 예비 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나 최종명단에는 탈락했다.

2025년 9월, 처음으로 2026 FIFA 월드컵 북중미 최종예선에 참여하는 아이티 축구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었고, 온두라스와의 1차전에 선발 출전해 81분을 소화하면서 A매치 데뷔전을 가졌다.

등번호 10번을 달고 최종예선 6경기에서 모두 선발 출전하며 고국의 52년 만의 월드컵 본선 진출에 이바지했다.

3. 플레이 스타일

공을 다루는 기술적인 능력이 뛰어난 미드필더로, 경기 중에 중앙과 측면을 가리지 않고 넓게 움직이면서 공을 받으러 다니고 공격을 풀어내고 전개하는 것을 즐긴다. 벨가르드는 RC 스트라스부르에서 세트피스 키커를 맡았을 만큼, 킥 퀄리티가 준수하다. 킥 퀄리티에서 파생되는 패스 퀄리티도 상당히 좋은 선수로, 낮게 깔리는 패스분만 아니라 반대편으로 전환해주는 전환 패스에도 능하다. 측면으로 빠졌을 때에는 양질의 크로스를 통해 공격을 지원해주기도 한다.

벨가르드는 킥과 패스뿐만 아니라, 발재간을 바탕으로 공을 간수하는 데에도 능하다. 공을 운반하는 데에도 능하지만, 운반보다는 민첩하고 순간적인 턴 동작을 통한 탈압박이 상당히 좋다. 벨가르드는 피지컬이 왜소한 편이지만, 신체의 밸런스가 낮게 잘 잡혀있어 넘어지거나 공을 뺏기지 않는다.

벨가르드의 최대 장점은 공을 가지고 있을 때의 번뜩이는 온더볼 플레이지만, 오프 더 볼 상황에서도 열심히 뛰어다니며 팀에 도움을 준다. 공을 되찾기 위해 압박을 성실하게 수행한다. 벨가르드는 중앙과 측면을 가리지 않고 미드필더 전역을 뛸 수 있다는 점에서 전술 이해도나 수행 능력이 뛰어나다.

다만, 벨가르드의 가장 큰 단점은 그의 왜소한 피지컬. 피지컬이 워낙 왜소해서 볼 경합을 통한 세컨 볼 싸움 같은 중원 수싸움에서는 밀리는 모습을 보인다. 피지컬이 왜소하고 힘이 약하다 보니 수비력에 있어서도 뛰어난 기량을 기대하기는 힘들고, 강한 압박을 받았을 때에는 탈압박해내는 데 한계를 보인다. 피지컬이 약하고 화려한 기술을 사용하는 플레이를 즐기다 보니, 꾸준하게 기량을 유지하는 것에 있어서는 고전하고 있다.

4. 여담

  • 제시카라는 아내와 결혼하였고 슬하에 한 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 국내 팬들 사이에서는 벨벨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 기독교인이다.
  • 자선가로 활동하기도 하는데 아이티의 청년들에게 교육 및 스포츠를 배우는 자신의 이름을 딴 장리크네르 벨레가르드 재단을 포함해 다양한 자선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 원래는 울버햄튼 원더러스 FC로의 이적이 2023년 1월에 이뤄졌어야 했지만, 부상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그 대신 몇 달동안 영어를 배웠다고 하며 8달 뒤 울버햄튼에 합류했다.

5.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2526-jose-sa.webp
파일:2526-matt-doherty.webp
파일:2526-hugo-bueno.webp
파일:2526-marshall-munetsi.webp
1 2 3 4 5
주제 사
José Sá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GK
1993.01.17 ([age(1993-01-17)])
2021~2026
맷 도허티
Matt Doherty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DF
1992.01.16 ([age(1992-01-16)])
2023~2026
우고 부에노
Hugo Bueno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2002.09.18 ([age(2002-09-18)])
2022~2028
산티아고 부에노
Santiago Bueno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DF
1998.11.09 ([age(1998-11-09)])
2023~2028
마셜 무네치
Marshall Munetsi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MF
1996.06.22 ([age(1996-06-22)])
2025~2028
파일:2526-david-moller-wolfe.webp
파일:2526-andre.webp
파일:2526-joao-gomes.webp
파일:2526-jorgen-strand-larsen.webp
파일:2526-jhon-arias.webp
6 7 8 9 10
데이비드 묄레르 올페
David Møller Wolfe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DF
2002.04.23 ([age(2002-04-23)])
2025~2030
안드레
André

파일:브라질 국기.svg | MF
2001.06.16 ([age(2001-06-16)])
2024~2029
주앙 고메스
João Gomes

파일:브라질 국기.svg | MF
2001.02.12 ([age(2001-02-12)])
2023~2030
예르겐 스트란 라르센
Jørgen Strand Larsen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FW
2000.02.06 ([age(2000-02-06)])
2025~2030
존 아리아스
Jhon Arias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 FW
1997.09.21 ([age(1997-09-21)])
2025~2029
파일:2526-hee-chan-hwang.webp
파일:2526-emmanuel-agbadou.webp
파일:2526-tolu-arokodare.webp
파일:2526-yerson-mosquera.webp
파일:2526-rodrigo-gomes.webp
11 12 14 15 21
황희찬
Hee Chan Hwa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6.01.26 ([age(1996-01-26)])
2022~2028
에마뉘엘 아그바두
Emmanuel Agbadou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 DF
1997.06.17 ([age(1997-06-17)])
2025~2029
톨루 아로코다레
Tolu Arokodare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 FW
2000.11.23 ([age(2000-11-23)])
2025~2029
제르손 모스케라
Yerson Mosquera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 DF
2001.05.02 ([age(2001-05-02)])
2021~2030
호드리구 고메스
Rodrigo Gome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2003.07.07 ([age(2003-07-07)])
2024~2029
파일:2526-tawanda-chirewa.webp
파일:2526-toti.webp
파일:2526-dan-bentley.webp
파일:2526-ki-jana-hoever.webp
파일:2526-jean-ricner-bellegarde.webp
23 24 25 26 27
타완다 치레와
Tawanda Chirewa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FW
2003.10.12 ([age(2003-10-12)])
2023~2027
토티 고메스
Toti Gome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DF
1999.01.16 ([age(1999-01-16)])
2020~2027
대니얼 벤틀리
Daniel Bentley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93.07.13([age(1993-07-13)])
2023~2027
키야나 후버
Ki-Jana Hoeve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2002.01.18 ([age(2002-01-18)])
2020~2026
장리크네르 벨가르드
Jean-Ricner Bellegarde

파일:아이티 국기.svg | MF
1998.06.27 ([age(1998-06-27)])
2023~2028
파일:2526-fer-lopez.webp
파일:2526-sam-johnstone.webp
파일:2526-mateus-mane.webp
파일:2526-ladislav-krejci.webp
28 30 31 36 37
페르 로페스
Fer López

파일:스페인 국기.svg | FW
2004.05.24 ([age(2004-05-24)])
2025~2030
엔소 곤살레스
Enso González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 FW
2005.01.20 ([age(2005-01-20)])
2023~2029
샘 존스톤
Sam Johnston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93.03.25 ([age(1993-03-25)])
2024~2028
마테우스 마네
Mateus Mané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7.09.16 ([age(2007-09-16)])
2025~2027
라디슬라프 크레이치
Ladislav Krejčí

파일:체코 국기.svg | DF
1999.04.20 ([age(1999-04-20)])
2025~2026[1]
파일:2526-jackson-tchatchoua.webp
38
잭슨 차추아
Jackson Tchatchoua

파일:카메룬 국기.svg | DF
2001.09.14 ([age(2001-09-14)])
2025~2030
구단 정보
구단주: 곽광창 / 감독: 롭 에드워즈 / 홈구장: 몰리뉴 스타디움
출처: 구단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11월 12일

[1] 지로나 FC에서 임대
}}}}}}}}}}}} ||

[1] 본인 발음 성 자체가 "belle"(아름다운), "garde"(=guard, warden 보호자, 관리자)의 합성어이기에 표기법 상으로는 단어의 발음을 각각 살려 "벨가르드"가 맞다. Belle는 어말의 e가 묵음 혹은 "으"로 발음되어 "벨르" 정도의 발음으로 가차되기도 하므로 한국인 입장에선 "벨르가르드" 정도로 인식될 수도 있다.[2] 중앙과 측면을 포함한 미드필더 전 지역을 소화한다. 주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3] 2025년 11월 19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