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목록
2.1. 우주전용 양산형
2.1.1. MS-P06 시작형 자쿠 II2.1.2. MS-06A 선행 양산형 자쿠 II2.1.3. MS-06C 초기 양산형 자쿠 II2.1.4. MS-06F 양산형 자쿠 II(F형)2.1.5. MS-06FS 지휘관용 양산형 자쿠 II(가르마 자비 전용 자쿠)2.1.6. MS-06F-2 후기 양산형 자쿠 II2.1.7. MS-06FZ 최종 생산형 자쿠 II(자쿠 II 改)2.1.8. MS-06S 지휘관용 자쿠 II(샤아 전용 자쿠 II)
2.2. 지상전용 양산형2.2.1. MS-06J 육전형 자쿠 II(J형)2.2.2. MS-06G 육전 고기동형 자쿠 II(육전형 자쿠 II 改)2.2.3. MS-06D 자쿠 데저트 타입2.2.4. MS-06D 데저트 자쿠2.2.5. MS-06DRC 데저트 자쿠 데저트 롬멜 커스텀2.2.6. MS-06JK / MS-06CK 자쿠 하프 캐논2.2.7. MS-06K 자쿠 캐논2.2.8. MS-06L 자쿠 II 스나이퍼
2.3. 수중전용 양산형2.2.8.1. MS-06L(HH) 자쿠 II 스나이퍼 (헬레나 헤겔 전용기)
2.3.1. MS-06M-1(MSM-01-1) 자쿠 마린 타입(초기형)2.3.2. MS-06M-2(MSM-01-2) 자쿠 마린 타입(후기형)2.3.3. MS-06M(MSM-01) 자쿠 마린 타입2.3.4. RMS-192M 자쿠 마리너2.3.5. RMS-188MD 자쿠 다이버
2.4. 정찰용 양산형2.4.1. MS-06E 자쿠 II 강행 정찰형2.4.2. MS-06E 자쿠 버즈노즈2.4.3. MS-06E-2 자쿠 II 강행 정찰형(개량형)2.4.4. MS-06E-3 자쿠 플리퍼2.4.5. MS-06EW 자쿠 II 조기 경계형
2.5. 고기동형2.5.1. MS-06RP 고기동형 자쿠 II 프로토타입2.5.2. MS-06R-1 고기동형 자쿠 II 초기형2.5.3. MS-06R-1A 고기동형 자쿠 II 개량형2.5.4. MS-06R-1D 고기동형 자쿠 II 특수 부대 사양2.5.5. MS-06R-1M 고기동형 자쿠 II 해병대 사양2.5.6. MS-06RZ 자쿠 II 본토 방위용 고기동 요격기2.5.7. MS-06R-2P 고기동형 자쿠 II 후기형 프로토타입2.5.8. MS-06R-2 고기동형 자쿠 II 후기형2.5.9. MS-06R-2S 도즐 자비 전용 고기동형 자쿠 II 후기형2.5.10. MS-06R-2/F 고기동형 자쿠 II 후기형改 풀 불렛2.5.11. MS-06R-3 고기동형 자쿠 II 최종형(겔구그 선행 시작형)2.5.12. MS-06R-3S 고기동형 자쿠 II 최종형2.5.13. MS-06RD-4 우주용 고기동 시험형 자쿠 II2.5.14. MS-11 액트 자쿠2.5.15. MS-06R 리유즈 P 디바이스 장비 고기동형 자쿠 II(사이코 자쿠)2.5.16. MS-06GD 고기동형 자쿠 II 지상용
2.6. 작업 및 훈련용2.6.1. MS-06W 일반 작업용 자쿠 II(자쿠 워커)2.6.2. MS-06V 자쿠 탱크2.6.3. MS-06VR 자쿠 탱크2.6.4. MS-06F(MS-06H) 자쿠 마인레이어(기뢰 부설형 자쿠 II)2.6.5. MS-06MP 자쿠 II 매니퓰레이터 시스템 장비형2.6.6. MS-06T 자쿠 트레이너(훈련용 자쿠 II)2.6.7. 훈련용 MS-B
2.7. 사이코뮤 시험형2.8. 지구 연방군 포획기2.8.1. RRf-06 자니2.8.2. RMS-06 RF-3B 자쿠 유닛 커맨더2.8.3. RMS-79(J) 자쿠 II 지구 연방군 노획 사양2.8.4. 자쿠II 현지개수 사양2.8.5. 지온 의용병부대 사양2.8.6. F2형 연방군 사양
2.9. 그 외의 베리에이션2.9.1. MS-06MS 바르버스2.9.2. 자쿠 스피드2.9.3. 자쿠 좀비2.9.4. 자쿠 대기권 돌입 시험형2.9.5. 스텔스 자쿠2.9.6. MS-06JX 쥬피터 자쿠2.9.7. MS-06F 자쿠 슈투쳐2.9.8. MS-21C 드라체2.9.9. 가짜 건담2.9.10. 겜 카모프2.9.11. RDM-79 페이크 자쿠2.9.12. MS-06 볼자논2.9.13. MS-06F 도안 전용 자쿠2.9.14. MS-109A 고블린
2.10. 건프라 배틀 관련 베리에이션1. 개요
자쿠 II의 베리에이션을 정리한 문서.2. 목록
2.1. 우주전용 양산형
2.1.1. MS-P06 시작형 자쿠 II
2.1.2. MS-06A 선행 양산형 자쿠 II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행 양산형 자쿠 I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행 양산형 자쿠 I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3. MS-06C 초기 양산형 자쿠 II
2.1.4. MS-06F 양산형 자쿠 II(F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산형 자쿠 I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산형 자쿠 I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4.1. MS-06F 양산형 자쿠 II(중기 생산형)
2.1.4.2. MS-06F 양산형 자쿠 II(후기 생산형)
2.1.4.3. MS-06F 자쿠 II (포수용)
2.1.5. MS-06FS 지휘관용 양산형 자쿠 II(가르마 자비 전용 자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휘관용 양산형 자쿠 I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휘관용 양산형 자쿠 I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6. MS-06F-2 후기 양산형 자쿠 II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기 양산형 자쿠 I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기 양산형 자쿠 I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7. MS-06FZ 최종 생산형 자쿠 II(자쿠 II 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 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 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8. MS-06S 지휘관용 자쿠 II(샤아 전용 자쿠 II)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휘관용 자쿠 I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휘관용 자쿠 I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지상전용 양산형
2.2.1. MS-06J 육전형 자쿠 II(J형)
OVA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에 등장하는 자쿠. 흔히 자쿠 II라고 하면 위의 F형이나 이 J형을 의미하며, 각종 형식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이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육전형 자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육전형 자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1.1. MS-06J 습지대용 자쿠 II
2.2.1.2. MS-06JC 육전형 자쿠 II(JC형)
2.2.2. MS-06G 육전 고기동형 자쿠 II(육전형 자쿠 II 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육전 고기동형 자쿠 I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육전 고기동형 자쿠 I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3. MS-06D 자쿠 데저트 타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데저트 타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데저트 타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4. MS-06D 데저트 자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저트 자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저트 자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5. MS-06DRC 데저트 자쿠 데저트 롬멜 커스텀
2.2.6. MS-06JK / MS-06CK 자쿠 하프 캐논
J형 자쿠를 베이스로 오른쪽 어깨 실드와 백팩을 자쿠 캐논의 것[1]]으로 환장한 타입으로 출전은 MSV-R. CK는 해당 기종의 MSD버전으로, 오른쪽 어깨 실드가 노멀 자쿠의 것으로 변경되었다.2.2.6.1. MS-06CK(MB) 자쿠 하프 캐논(미아 브린크만 전용기)
2.2.7. MS-06K 자쿠 캐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캐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캐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7.1. MS-06J-12 자쿠 캐논 시작형
2.2.7.2. MS-06K 자쿠 캐논(래빗 타입)
블레이드 안테나 2개를 장비한 타입의 별칭.2.2.8. MS-06L 자쿠 II 스나이퍼
2.2.8.1. MS-06L(HH) 자쿠 II 스나이퍼 (헬레나 헤겔 전용기)
2.3. 수중전용 양산형
2.3.1. MS-06M-1(MSM-01-1) 자쿠 마린 타입(초기형)
2.3.2. MS-06M-2(MSM-01-2) 자쿠 마린 타입(후기형)
2.3.3. MS-06M(MSM-01) 자쿠 마린 타입
수중용으로 개수된 자쿠 II. Z건담 시점에선 연방군이 입수해 대충 하이잭 계열 기체인 셈 치고 '마린 하이잭'이라는 이름으로 운용하고 있다. 지온버전과 연방버전은 형식번호만 다르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마린 타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마린 타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4. RMS-192M 자쿠 마리너
초기 설정은 지온군이 자쿠 II를 수중용으로 개조한 MS-06FW를 지구연방군이 채용했다는 설정과 지온군 잔당이 운용하는 구형이라는 설정도 있었으나 이후 지구연방군이 지온군에게서 압수한 자쿠 마린 타입을 전면적으로 재설계하여 자체 개발한 것으로 설정이 확정되었다. 즉 MS-06FW(MS-06FW)는 더 이상 없는 설정.#!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마리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마리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5. RMS-188MD 자쿠 다이버
2.4. 정찰용 양산형
2.4.1. MS-06E 자쿠 II 강행 정찰형
자쿠 II C형과 F형을 기반으로 전투장비를 제거하고 정찰용 장비를 장비하고, 로켓 스러스터로는 S형의 MYFG-M5ESX 로켓 스러스터를 개량하여 출력은 높이고 발열량은 줄인 모델을 탑재했다. 모노아이 레일은 정수리까지 확장되었으나 모노아이 보호용의 글래스 실드는 사라졌다. 매니퓰레이터에는 카메라 건을 휴대하며, 양 어깨의 실드와 스파이크 아머는 경량화를 위해 제거되었고, 대신 카메라 유닛 1기씩이 설치되었다. 고간부에도 카메라가 설치되었고, 재빠른 이탈을 위해 흉부에 소형 로켓 스러스터가 설치되었는데 흉부의 스러스터는 구조적 문제로 사용시의 열이 그대로 기체 내부의 콕피트에 전달되어 파일럿은 헤비 슈트라 불리는 특수하게 제작된 두꺼운 조종복을 입어야만 했다. 짙은 청색으로 도장되었다. 1년전쟁 종결후 지구연방군에게 압수되었으며 지구연방군은 이를 개량하여 그리프스 전역 당시까지 운용했으며 티탄즈는 지구연방군에게 입수하여 운용했다. Z 건담에서 잠시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하이잭의 실드를 왼팔에 장착하고 나온다. 모노아이 성능이 높았는지, 이 녀석의 모노아이를 장착한 자쿠 I 스나이퍼 타입이 나오기도 했다.
2.4.2. MS-06E 자쿠 버즈노즈
|
증속용 부스터와 프로펠런트 탱크를 합친 '버즈노즈 유닛' 장착형으로 버즈노즈 유닛은 기체 자체의 추진제를 절약하며 활동 거리를 늘리기 위해 개발되었다. 임무전에 장비하여 출격하며 계속 사용하거나, 은밀 활동시에는 작전 공역 도착 직전 탈착한다. 부스터와 프로펠런트 탱크를 합쳤을뿐이라 특별한 기술 유출 걱정도 없고, 회수가 힘들 경우는 버리거나 파괴해도 무방했다.
2.4.3. MS-06E-2 자쿠 II 강행 정찰형(개량형)
|
강행 정찰형의 머리를 3개의 카메라가 달린 형태로 교체한 형태.머리가 그나마 자쿠같았던 강행 정찰형과는 달리 머리형태가 삼각형 통에 카메라 렌즈 3개가 박힌 형태라서 자쿠같아보이지 않는게 특징이라면 특징.
2.4.4. MS-06E-3 자쿠 플리퍼
건담 배틀 오퍼레이션 2 이미지 |
자쿠 II 강행 정찰형을 모체로 새롭게 개발된 성능 향상기로 단순 개량기가 아니다. 회전식 고정밀 카메라 아이 3기가 1조를 이뤄 머리를 구성하고 백팩에는 복합 탐지 시스템을 장비한다. 이 복합 탐지 시스템은 '붐 센서'라 불리는 가변식 핀 6개가 장착되었으며 평소에는 후방을 향해 90도로 접혀있으나 사용시 핀이 사방으로 펼쳐지는데 이 핀이 전개된 모습이 오리발을 연상케하여 오리발을 뜻하는 '플리퍼(Flipper)'라는 별명이 생기게되었다. 단순히 외부의 영상 정보만을 수집하는 광학식 정찰만이 가능했던 자쿠 II 강행 정찰형에 비해 자쿠 플리퍼는 복합 탐지 시스템으로인해 좀더 입체적인 정찰 활동이 가능했다고 한다. 기체 자체의 기본 성능도 조금이나마 향상되었고 정찰기에는 필수적인 추진제의 연비 효율이 향상된 것이 가장 큰 장점. 회색으로 도장되었고 아 바오아 쿠 공방전 직전 지구연방군의 레빌 함대의 위치를 찾아낸 것이 바로 이 자쿠 플리퍼라고 하며, 총 16기가 제작되어 모두 실전 투입되었지만 지구연방군에게 목격되거나 교전한 기록은 전혀 없다. 공개된 자쿠 플리퍼의 활동 사진과 영상은 지온군 정찰부서가 기록을 위해 스스로 촬영한 것이다. 디자인은 오오카와라 쿠니오가 담당했으며, 3기 1조의 카메라 아이 등에서 장갑기병 보톰즈에 등장하는 스코프 독이나 스탠딩 토터스를 비롯한 아머드 트루퍼가 연상되는데, 자쿠 플리퍼의 디자인 당시 오오카와라 쿠니오는 보톰즈의 메카닉 디자인으로 제작에 참여했기에[2] 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오히려 이 점이 정찰용 기체 다워서 좋다는 의견이 많다.[3] 지구연방군은 1년전쟁 종결후 지온군에게 압수한 기체를 개량하여 사용했고, 기동전사 Z건담 외전 시간에 저항하는 자에선 티탄즈 소속의 에셀버드 힌카피라는 인물이 자쿠 플리퍼에 탑승하는 것으로 상당히 오랫동안 운용된 것으로 묘사된다.[4]
2.4.5. MS-06EW 자쿠 II 조기 경계형
|
2.5. 고기동형
2.5.1. MS-06RP 고기동형 자쿠 II 프로토타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기동형 자쿠 II#s-3.1|3.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기동형 자쿠 I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2. MS-06R-1 고기동형 자쿠 II 초기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기동형 자쿠 II#s-3.2|3.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기동형 자쿠 I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3. MS-06R-1A 고기동형 자쿠 II 개량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기동형 자쿠 II#s-3.2|3.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기동형 자쿠 I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4. MS-06R-1D 고기동형 자쿠 II 특수 부대 사양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기동형 자쿠 II#s-3.2|3.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기동형 자쿠 I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5. MS-06R-1M 고기동형 자쿠 II 해병대 사양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기동형 자쿠 II#s-3.2|3.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기동형 자쿠 I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6. MS-06RZ 자쿠 II 본토 방위용 고기동 요격기
2.5.7. MS-06R-2P 고기동형 자쿠 II 후기형 프로토타입
2.5.8. MS-06R-2 고기동형 자쿠 II 후기형
2.5.9. MS-06R-2S 도즐 자비 전용 고기동형 자쿠 II 후기형
2.5.10. MS-06R-2/F 고기동형 자쿠 II 후기형改 풀 불렛
2.5.11. MS-06R-3 고기동형 자쿠 II 최종형(겔구그 선행 시작형)
2.5.12. MS-06R-3S 고기동형 자쿠 II 최종형
2.5.13. MS-06RD-4 우주용 고기동 시험형 자쿠 II
2.5.14. MS-11 액트 자쿠
전쟁 말기에 개발된 마그넷 코팅을 적용시킨 자쿠. 말기에 만들어졌기에 실전에 투입된 기체는 말레트 생귄의 기체뿐이며 나머지는 전후 연방군에게 접수되어버리고 말았다. 기동전사 Z건담에서 오거스터 연구소에서 로자미아 바담의 갸프랑을 호위하는 역할로 등장했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액트 자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액트 자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15. MS-06R 리유즈 P 디바이스 장비 고기동형 자쿠 II(사이코 자쿠)
외전인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에만 등장하며 정사에 포함되지 않는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이코 자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이코 자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16. MS-06GD 고기동형 자쿠 II 지상용
2.6. 작업 및 훈련용
2.6.1. MS-06W 일반 작업용 자쿠 II(자쿠 워커)
|
2.6.2. MS-06V 자쿠 탱크
아프리카 전선에서 운용된 기체는 샌드 십(Sand Sheep), 밀림이나 숲에서 벌채한 나무를 운반하기 위한 특수 매니퓰레이터와 미사일 포드를 장착한 기체는 그린 마카크(Green Macaque)라는 별칭으로 불렸으며, 이중 그린 마카크는 MS-06V-6라는 형식번호가 있다. MSV-R에서는 MS-06V-8 와일드 보어(Wild Boar)가 새롭게 등장했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탱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탱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6.2.1. MS-06V-6 자쿠 탱크 그린 마카쿠
|
2.6.2.2. MS-06V-8 자쿠 탱크 와일드 보어
|
MSV-R에서 새롭게 등장한 형식번호 MS-06V-8 와일드 보어는 북유럽에서 주로 운용된 형식의 기체다. 오른팔에는 작업용 매니퓰레이터, 왼팔에는 자쿠 I용의 ZMP-47D 105mm 머신건 2정을 유용하여 제작한 2연장 머신건을 장착했고, 백팩처럼 등에 장착한 대형 매거진팩에서 벨트를 통해 급탄되며 장탄수는 기존 105mm 머신건 탄창의 약 3.5배에 달한다.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지속사격이 가능하였지만 중량의 증가로 기동성이 낮았고, 주행중 급선회시 무한궤도 파손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여 전투중에도 급선회가 금지되었다. 색상은 북유럽의 경우 한랭지에 어울리는 흰색/회색 조합, 남미의 정글 지대에서 운용된 기체는 녹색 계열 3색으로 도장된 것이 확인되었다. 일부 기체는 두부에 장착된 안테나가 격납시 방해가 되어 절단한 경우도 있고, 제식기가 아니었기에 형식번호가 없었으나 종전후 MS-06V-8이 주어졌다.
2.6.3. MS-06VR 자쿠 탱크
2.6.4. MS-06F(MS-06H) 자쿠 마인레이어(기뢰 부설형 자쿠 II)
| |
F형에 슬러스터 등을 추가하여 출력을 보강하고, 기뢰 살포기를 탑재해 연방군의 예상 진군로에 기뢰를 깔아놓고 걸려든 연방 함선을 공격하는 역할을 맡았다. 1년전쟁 초반에는 함선이 주력인 연방군 상대로 상당한 활약을 보였으나 전쟁 후반에는 연방도 MS를 다수 투입한데다 대규모 병력을 운용함에 있어 정찰을 강화한 덕에 이런 소규모 기뢰로는 진군을 저지하기 힘들었고, 초기형인 F형에 약간의 개수만 가한데다 무거운 기뢰살포 장치를 메고있던지라 기동성 자체는 떨어지는 편이었던 본기는 오히려 연방 패트롤 부대나 선견대에게 발각되어 격파되는 일이 비일비재 하게 일어나서 큰 활약은 못 했다고 한다.
2.6.5. MS-06MP 자쿠 II 매니퓰레이터 시스템 장비형
|
2.6.6. MS-06T 자쿠 트레이너(훈련용 자쿠 II)
| |
F형을 기반으로 복좌식 콕핏과 흉부 모노아이 1기가 증설된 전용 설계를 사용한 훈련용 기체. 훈련용 기체답게 스파이크를 전부 탈거하고 주요 포인트에 시인성 확보용의 주황색 추가 장갑을 덧댄 디자인을 가졌다. 운전면허시험용 차량처럼 복좌식의 다른 한 쪽에 교관이 탑승하여 훈련생의 컨트롤을 관리감독하는 체제로 되어 있으며, 성능도 초보용으로 안전하게 디튠되어 있다.
2.6.7. 훈련용 MS-B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에만 등장하는 훈련용 기체. 자쿠 트레이너와 달리 이 쪽은 단좌식이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훈련용 M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훈련용 M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7. 사이코뮤 시험형
2.7.1. MS-06NT 뉴타입 실험용 자쿠
'하비 잡지 RPG 매거진 레이트 Vol.3'에 언급된 파생형. 알려진 정보는 사실상 없다시피 하다.2.7.2. YMS-06Z 사이코뮤 시스템 초기 시험형 자쿠
만화 <기동전사 건담 더 블루 데스티니>에 등장하는 오리지널 기체로, EXAM 연구소 시절의 마리온 웰치가 탑승하던 기체로 등장한다. 이 기체의 데이터를 이어받아 만들어진 것이 바로 아래의 비숍. 그런데 얼굴은 이프리트와 매우 닮았다.2.7.3. MS-06Z 사이코뮤 시험형 자쿠 II 비숍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숍(M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숍(M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7.3.1. MS-06Z-1 사이코뮤 시험형 자쿠 II (1호기)
2.7.3.2. MS-06Z-3 사이코뮤 시험형 자쿠 II (3호기)
2.7.3.3. MS-06Z-4 사이코뮤 시험형 자쿠 II (4호기)
2.7.3.4. MSN-01(MS-06Z-2) 사이코뮤 고기동 시험형 자쿠 II (2호기)
비숍 계획에 의해 만들어진 시험기 4기 중 2호기를 개조하여 만든 고기동형 기체. 고기동 상황 하에서의 사이코뮤 병기 운용시험을 위해 다리 부분을 제거하고 지옹 계획에서 준비중이던 것 처럼 대형 스러스터를 장비하여 데이터 수집에 이용되었고, 아무리 사이코뮤 병기의 성능이 좋아도 결국 소체가 되는 기체가 구형기라면 전체 성능이나 가동시간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형식번호가 06Z에서 MSN으로 변경된 것도 이 기체의 데이터 덕분에 지옹을 완성할 수 있었기 때문에 바뀌게 된 것이라고.그 특이한 형상 덕분에 MSV 를 대표하는 기체 중 하나이며 의외로 많은 작품에 등장한 편이다.
2.8. 지구 연방군 포획기
2.8.1. RRf-06 자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니(M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니(M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8.2. RMS-06 RF-3B 자쿠 유닛 커맨더
'TOP GUNDAM「월면의 워게임」'에 등장한 파생형. 노후화된 자쿠 II를 월면 지하 자원 탐사를 목적으로 개조한 작업용 MS다. 통신 장비가 증설되고 대형 고출력 디지털 무선팩이 장착되어 있어 이걸로 무인 4각 탐사 유닛을 제어한다.2.8.3. RMS-79(J) 자쿠 II 지구 연방군 노획 사양
|
세모벤테 부대에서 운용한 버전. 위장침투 및 파괴활동이란 임무 특성상 별다른 개량은 가해지지 않은 거의 순정사양이다.
2.8.4. 자쿠II 현지개수 사양
이쪽은 MS가 필요하긴 한데 GM을 배속받지 못한 부대에서 나포한 자쿠를 현지에서 적당히 개수해 사용한 것으로, 현지개수라는 이름처럼 지역별, 부대별로 세세한 사양은 모두 달랐다고 한다. 일반적으로는 통신기 교체, 보급의 용이성을 위해 무장을 연방제 머신건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부대에 따라 GM용의 실드를 장비하거나 증가장갑을 덫붙이는.등 파일럿 성향에 따라 달랐다고 한다. 블루 데스티니 시리즈의 만화판에 등장하여 필립과 사마나가 현지 부대에서 빌려탄 기체[5]가 이런 케이스.일단은 1년전쟁 당시 나포한 기체 수가 꽤 돼서 의외로 각지의 다양한 부대에서 적지않은 수를 운용한 것으로 설정은 잡혀 있는데, 이런 나포기 운용부대를 출연시키는 작품이 거의 없다보니 어느정도 활약했는지 등에 대해서는 불명이다.
또 설정상 이런 기체들은 연방군 사양으로 개수받은 후 전후 후방부대로 돌려져서 신병 훈련용으로 다수 운용되었다고도 한다.
2.8.5. 지온 의용병부대 사양
만화 <광망의 아 바오아 쿠>에 등장하는 버젼으로 사이드3 출신이지만 자비가의 악행에 반대해 지구로 도망쳐 온 유민이나 망명자들로 이루어진 부대에 배치된 기체들니다. 원본기에 비해 크게 달라진 점은 없고 그저 "스페이스 노이드들 마저도 자비가에는 반대한다"라는 프로파간다용이라 도색만 바꾼 수준이라고 한다. 나중에는 지온출신의 의용병에게도 최신형기를 지급한다는 명목으로 짐 1개 소대가 배치되었으나 2, 3소대는 그대로 자쿠를 운용했다고 한다.이후로 여러 전장을 거친 후 우주 대 반공작전시에는 레빌의 직속부대로 배치되었는데, 데긴 공왕과의 접선시 호위기로 따라붙었다가 콜로니 레이저 공격에 의해 부대 채로 전멸당했다.
2.8.6. F2형 연방군 사양
OVA 0083에 등장한 기체들로 토링턴 기지에서 주로 데이터 수집 및 가상적기 용도로 쓰였고, 다른 작품의 언급으로는 훈련부대에서도 다수 운용되었다고 한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기 양산형 자쿠 I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기 양산형 자쿠 I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9. 그 외의 베리에이션
2.9.1. MS-06MS 바르버스
|
<기동전사 크로스본 건담 스컬하트>에 등장한 기체. 가르마 자비가 발안한 원숭이를 뉴타입으로 만든다는 E계획에 따라 개발된 뉴타입 원숭이가 조종하는 괴이한 기체로, 생김새도 자쿠 II의 다리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팔을 추가로 달아 빔 라이플을 4문이나 장비한 괴이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코드명인 MS도 '몽키 스페셜'의 약자. 지온 공국 시절부터 개발된 기체라 연식이 매우 오래되었지만 0136년 허수아비가 된 연방군을 압도하고 해리슨 마딘이 조종하는 양산형 F91까지 궁지에 모나, 토비아 아로낙스가 조종하는 크로스본 건담 X1 改의 바나나 풍선 훼이크에 낚여 전기 격파된다.
2.9.2. 자쿠 스피드
|
'기동전사 건담 MS 제네레이션'에 등장한 기체. 자쿠 II를 기반으로 한 시제 가변기로 전투기 형상으로 가변이 가능하다. 자쿠의 기본 무장을 그대로 사용 가능한 것에 더해 2문의 기관포를 기총 형식으로 탑재. 짐 상대로는 무쌍을 벌이지만 라이벌 기체인 GT-FOUR와의 전투 끝에 격추된다.
2.9.3. 자쿠 좀비
|
전격 하비 매거진 1999년 7월호 특집에 등장한 무인기 사양. 파일럿이 부족한 지온이 전력 보충을 위해 개발하였다는 설정이며, 모노아이가 없고 한 명의 파일럿이 5~7기를 지휘할 수 있다고 한다. 브리티시 작전과 아 바오아 쿠 공방전에 투입되었다고.
2.9.4. 자쿠 대기권 돌입 시험형
연방군의 건담이 단독으로 대기권 돌입에 성공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은 지온 군부에서 차후 중력전선에 직접 증원군을 보낼 때 유용하지 않을까 싶어 만들어 본 실험기.내열성이 뛰어난 세라믹 소재를 전신에 두르고 감속용 및 자세 제어용의 스러스터를 다수 장비, 마지막으로 웨이브 실드라는 전용 장비[6]를 이용해 대기권 돌입을 하는 용도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만들어 졌다는 소문과 실기 디자인도 공개되었으나 어째선지 실험의 성공 여부는 커녕 실험을 실행 했는지에 대한 자료도 없다고 한다.
2.9.5. 스텔스 자쿠
|
사이버 코믹스에 게재된 소설 'TOP GUNDAM'에 등장한 기체. 뉴올리언스 계획이라는 스텔스 MS 개발 계획으로 개발된 사양이다. 이게 어딜 봐서 자쿠인지 의심이 드는 해괴한 형상을 띈 MA이며, 후주세기의 MA에 더 가깝게 생겼다. 가변 위장 코팅으로 모습을 숨기는 것이 가능하며 높은 기동 성능을 가졌다고.
2.9.6. MS-06JX 쥬피터 자쿠
'쥬피터 미라지'에 등장한 기체. 고기동형 자쿠 II R-2형을 기반으로 목성의 환경에서 활동이 가능하도록 개조하였으며, 0082년 죠니 라이덴이 연방군 보급을 상대로 해적질을 위해 운용했다고 한다.2.9.7. MS-06F 자쿠 슈투쳐
Advance of Z 티탄즈의 깃발 아래에서에 등장한 기체. 지온 잔당군들이 티탄즈를 상대하기 위해 개조한 사양으로 유선형 암이 탑재된 윈치 유닛을 장비했고 겔구그의 빔 라이플도 운용이 가능하다. 릭 돔과 겔구그와 동일한 장비를 탑재한 슈투쳐 사양이 존재한다.2.9.8. MS-21C 드라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드라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드라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9.9. 가짜 건담
가샤폰 모형화 이미지 |
'원조 SD 건담'이란 만화에 등장한 캐릭터.
2.9.10. 겜 카모프
건담 배틀 오퍼레이션 2 한정. 자쿠II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설을 채용해, 원작 디자인과 달리 뒷모습이 자쿠II와 판박이이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겜 카모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겜 카모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9.11. RDM-79 페이크 자쿠
1990년에 사이버 코믹스에서 연재된 강철의 처녀(鋼鉄の処女)에 등장하는 모빌슈트. 작중 주인공 부대인 아이언 메이든 부대에서 운용했으며, 외형을 자쿠 II와 최대한 비슷하게 위장한 연방제 MS이다. 어떤 MS가 베이스가 되었는지 데이터가 전해지지 않는다는 점까지 감안해 보면, 사실상 겜 카모프의 연방 버전.2.9.12. MS-06 볼자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볼자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볼자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9.13. MS-06F 도안 전용 자쿠
|
원래는 TVA 특유의 작화붕괴로 인해 농담삼아 나오는 말이였지만, 극장판에서 아예 독자적인 형태로 디자인되면서 진짜로 별개의 기체로 분류되었다. 기존의 작화붕괴로 길쭉해진 입은 자가수리로 부품을 이것저것 쓰면서 외형이 변한 것으로 바뀌었고, 자가수리의 한계로 이곳저곳 장갑재가 비거나 떨어져나간 곳이 있고 동력선 호스 커버가 여러 부분 벗겨진 것이 특징. 무장도 보급을 받지 못해 히트 호크 하나 뿐이다.[7] 이외에는 설정상 우주용인 F형이라고 한다. 이 외에 백팩이 노즐이 안보이는 TVA의 형태지만 작중에서는 평평한 부분은 노즐이 나오는 커버고 위로 열리면서 노즐이 나오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2.9.14. MS-109A 고블린
|
콘도 카즈히사의 만화 <지온의 재흥>에 등장하는 네오지온군의 간이양산형 MS. 전황은 급박해 지는데 운용가능 MS수에 비해 필요전력이 급증하다보니 급하게 만들어낸 기체. 남아있던 구형 자쿠II의 제네레이터를 탑재하는 대신 크기를 15m 급으로 줄이고 크기 대비로 중장갑을 맞춰줬기 때문에 약한 제네레이터 치고는 꽤나 높은 운용성능을 보여주었고 기존의 구형 기체(자쿠나 구프같은..)보다는 쓰기 편했기 때문에 대량양산 되었다는 설정의 기체다. 콘도 카즈히사의 오리지널 기체이고 등장작품도 거의 없지만 그 펑퍼짐하면서도 탄탄해 보이는 외형 덕에 의외로 많은 팬들을 보유하고 있는 기체다.
2.9.14.1.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0. 건프라 배틀 관련 베리에이션
건담 빌드 파이터즈의 중간보스로 활약한 메가사이즈 자쿠 외에도 지면 관계상 생략한 베리에이션 다수가 더 있다.2.10.1. 슈퍼 커스텀 자쿠 F2000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 커스텀 자쿠 F2000#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 커스텀 자쿠 F2000#|]]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0.2. 자쿠 어메이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어메이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어메이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단, 캐논포가 아닌 개틀링포[2] 1980년에 발매된 <기동전사 건담 로망앨범>이라는 기획에서 'A플랜 MS'라는 기체가 3개의 카메라로 구성된 두부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아마도 이 기체를 발전시켜 디자인 한 것이 두 기체가 아닌가 하는 설이 있다.[3] 실제로 공식에서도 이 네타를 인지하고 있어 건담 배틀 오퍼레이션 2에서 사용된 픽업 일러스트는 장갑기병 보톰즈 오프닝의 패러디이다.[4] 아이잭 항목에도 나와있지만, 아이잭의 성능이 조금 애매한 면이 있어서 자쿠 플리퍼 탑승경험이 있는 파일럿들은 오히려 구형기체인 자쿠 플리퍼를 더 선호했다는 설정이 있을 정도다. 힌카피 역시 개수에 개수를 거듭해 계속 사용해서 나중엔 자쿠 플리퍼의 원형만 겨우 남아있을 정도로 마개조를 해서 사용한다.[5] 코믹스판에서는 자쿠II 한랭지 사양이라는 마이너 체인지 기체에 무장과 연방군 공용 실드를 든 모습으로 등장한다.[6] 건담 MK-II가 대기권 돌입시 사용했던 플라잉 아머와 동일한 개념의 장비다.[7] 원작에서는 맨손 격투와 바위 던지기를 보여줬지만, 야스히코 요시카즈가 TVA판을 보지 못했고, 스태프들의 말을 듣고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해서 히트 호크로 변경되었다. 그래도 팔을 잘려 히트호크를 잃고 최후의 저항을 할 때 바닥에 주운 돌을 던지는 것으로 바위 던지기를 오마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