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2:38:40

윤고딕

파일:윤디자인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폰트 목록
문서가 있는 서체
윤고딕 윤명조 서울서체
함초롬체
}}}}}}}}} ||

1. 개요2. 특징3. 종류
3.1. 100
3.1.1. 105
3.2. 2003.3. 3003.4. 5003.5. 700
3.5.1. 705
4. 참고 문헌

1. 개요

윤디자인에서 제작한 플래그십 폰트 패밀리. 자매품으로 윤명조가 있다. 전신은 1993년에 발표된 '우리고딕'이지만 우리고딕을 보완하기 위해 한국의 실정에 맞게 기존의 고딕체의 불필요한 세리프를 제거하면서 1996년에 새로운 서체로 발표했다. 이때 윤디자인연구소의 창업주 윤영기의 성 윤을 따서 '윤고딕'이란 이름을 붙였다.

기본적으로 크게 튀어 보이지 않고 곧게 다듬어져서 가독성이 높은 디자인 덕분에 서적, 방송 등의 매체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다양한 폰트들이 경쟁하기 시작한 2010년대 중반 이전까지는 한글폰트의 레퍼런스로도 불렸다.

한컴 오피스에는 윤고딕 230, 240, 250, 720, 740, 760이 번들로 탑재되었다. 하지만 한컴오피스 외의 소프트웨어에서 이용할 시 저작권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조심히 쓰자.

그리고 윤고딕 전 시리즈는 윤소호 2.0 업그레이드 되면서 한글 1만 1172자와 한자 4888자(중복제외 4620자)와 영문, KS 특수문자를 지원한다.

파일:윤고딕 정리.svg

2. 특징

  • 윤고딕이 만들어지기 전에는 대부분의 폰트에 불필요한 장식(돌기)이 많았다. 하지만 윤고딕은 불필요한 장식을 제거하여 깔끔하고 가독성이 좋다. 윤고딕을 확대하면 선이 평행한 부분이 많다.
  • 윤고딕 100, 105, 300은 로마자(특히 소문자)가 못생겼다. 한글 높이에 맞추기 위해 ‘p’처럼 아래로 내려간 소문자가 아래로 짧고, 소문자 ‘f’, ‘t’의 폭이 매우 짧다. 심지어 윤고딕 700을 제외한 폰트들은 다이어크리틱이 있는 로마자가 없다.
  • 몇몇 한자의 형태는 한국 정체자와 다르다. (지게 호)는 일본 신자체처럼 戸로 쓰고, (안 내)와 (온전할 전)은 入를 人으로 쓴다. (밝을 랑)과 (사내 랑)은 良의 마지막 획이 삭제되어 있고, (성 유)는 俞로 쓴다. (앞 전)은 月의 왼쪽 획을 곧게 쓰지 않고 삐침으로 쓴다.

3. 종류

3.1. 100

파일:IMG_20160103_002242.jpg
처음으로 나온 글꼴이다. 대부분의 교과서, 문제집 등에 쓰이는 버전이다.

3.1.1. 105

파일:IMG_20160103_002306.jpg
기존의 윤고딕100번대를 약간 수정되었고 숫자는 고정폭이 되어 출력물에서 완성도를 높였다.

3.2. 200

파일:IMG_20160103_002331.jpg
1999년 출시, 한글글꼴 고딕체 처음으로 탈네모꼴 글꼴로 만들어진 패밀리다. 제목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으며 한컴오피스 한글 2010에서 번들로 추가되어 한컴 윤고딕이란 이름으로 쓸 수 있다. 한컴 윤고딕은 230, 240, 250 3가지 굵기만 사용된다.

애니콜 UI에서 사용됐으며 무한도전에서 말풍선 자막 폰트로 쓰였었다.[1] 애니플러스 구 스태프롤 폰트[2][3],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의 한글 폰트로 쓰였고 고양시 민선 8기 슬로건 폰트[4]로 쓰였다.

3.3. 300

파일:IMG_20160103_002945.jpg
위의 내용대로 수정하여 300번대로 업그레이드 된 패밀리다. 기존 윤고딕 100과 달리 숫자가 고정폭으로 바뀌었다. 숫자만 보면 윤고딕 200 시리즈보다 늦게 출시됐을 듯하지만, 실제로는 윤고딕 300 시리즈가 더 먼저 출시되었다. 주로 제목 및 본문용으로 사용되며 프레젠테이션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하며, 윤고딕 시리즈의 리즈시절을 대표했다.

윤고딕 320, 340은 ‘학교안심 (확장) 바른돋움’이라는 이름으로 무료로 풀렸다. 다운로드는 여기서 할 수 있으며, OFL 라이센스이므로 매우 자유롭게 쓸 수 있어 상업적 무료 글꼴이라고 할 수 있다.

3.4. 500

파일:IMG_20160103_003249.jpg
장평 94% 정도의 기반으로 만들어진 본문에 적합한 글꼴이다. 300대와는 반대로 장평이 넓지 않아 제목용보다는 본문용으로 쓰인다.

3.5. 700

파일:IMG_20160103_001847.jpg
2012년 출시로 가장 최근에 나온 패밀리다. '스마트고딕'이라는 콘셉트로 나와 6개 웨이트에서 9개 웨이트가 되었으며[5] 출처 PC와 인쇄물, 모바일최적화되었다고 한다. 글자가 굵어질수록 글자의 크기도 커지는 것 자간이 넓어짐이 특징이다.

애플한국어 홈페이지와 텔레비전 광고에서 윤고딕700을 사용하였다.[6] 참고로 OTF 버전이 TTF 버전보다 용량이 작다. 윤고딕 200시리즈와 마찬가지로 한컴오피스 한글에서는 한컴 윤고딕이란 이름으로 쓸 수 있다. 한컴 윤고딕은 720, 740, 760 3가지 굵기만 사용된다.

700시리즈의 경우에는 연합뉴스SBS 뉴스 헤드라인, 자막등에 사용된다.

3.5.1. 705

700에서 JIS한자 6753자를 추가하고 한자의 세리프를 제거했다. 그리고 굵기 차이에 따른 높이 차이를 최소한으로 줄였다. 그 외에도 한글, 영문의 자폭을 고치고 숫자는 고정폭으로 바꾸었다. 예를 들어 가장 굵은 790의 폭이 1020이었다면 795에서는 970이 되는 식으로. 현재 도서나 광고 등 매체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시리즈다.

4. 참고 문헌



[1] 초기 무모한 도전, 무리한 도전, 무한도전 2007년 에피소드까지는 다른 폰트였다.[2] 2014년 2분기까지 사용되었다. 스태프롤을 제외하면 주로 윤고딕 300이 적용되었다.[3] 개국 초기에 방영된 늑대와 향신료, 카난 등 일부 작품들의 경우 아예 전면 적용되기도 했다.[4] 윤고딕 250을 사용했으며 '고양' 문구가 다른 문구보다 크기가 30% 크고, 글자 위치가 10% 밑으로 내려가 있다.[5] 그런데 한자 웨이트가 미완성이다. 윤고딕 100의 한자를 재탕한 탓인지 일부 웨이트의 한자가 똑같다.[6] 웹폰트이기 때문에 다운로드가 가능하지만, 락이 걸려있어 정작 다운받아보면 적용이 불가능하다. 현재는 다른 폰트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