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유희왕 프랜차이즈/비디오 게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 | |
<colbgcolor=#151B54><colcolor=#ffffff> 개발 | 코나미 |
발매 | 코나미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신주쿠 ITL |
플랫폼 | 게임보이 |
원작 | 타카하시 카즈키 |
미술[1] | |
게임 디자인 | 야마다 노부히로(山田信洋) |
디렉션 | |
프로그램 | 야마다 노부히로 치다 타쿠리(千田卓理) |
그래픽 디렉션 | 카미야마 카나코(神山加奈子) |
그래픽 | 카미야마 카나코 카메타 타케시(かめたたけし) |
음악 | 카미오 켄이치(神尾憲一) |
몬스터 노츠 | 시모무라 케이타(シモムラケイタ) 치다 타쿠리 |
프로듀서 | 시모무라 사토시(下村聡)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키타카미 이치조(北上一三) |
출시일 | 1998년 12월 26일 |
장르 | 대전형 카드 게임 |
[clearfix]
1. 개요
CM[2] |
1998년 12월 17일에 게임보이로 발매된 게임.
2. 특징
플레이 영상 |
'유희왕 몬스터캡슐 브리드&배틀(遊☆戯☆王モンスターカプセル ブリード&バトル)' 다음으로 발매된 게임보이판 유희왕 시리즈로, 원작의 카드 게임이 인기를 끌자 그 영향으로 제작된 시리즈 제 1탄.
배경은 원작 듀얼리스트 킹덤 편을 재현하고 있으며, 플레이어는 주인공 유우기 일행을 비롯하여 킹덤 편의 캐릭터들과 듀얼을 펼치게 된다.
원작에 등장한 가공의 카드게임 '매직&위저드'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지만 원작이나 애니판과는 다른 룰이 사용되며, 본 제품과 같은 시기에 반다이에서 발매하던 '유희왕 카드 다스'하고도 무관하다.
턴마다 플레이어는 카드를 1장씩 꺼내고, 단순히 몬스터의 공격력과 수비력만으로 배틀을 실행한다. 필드의 몬스터에 패의 몬스터를 겹치는 것으로 새로운 몬스터를 탄생시키는 융합 소환 시스템이나, 서포트가 되는 마법 카드의 개념이 존재한다. 그밖에도 8000 라이프, 직접 공격 개념 등 원작 초기와는 많이 다른 룰이 적용되어 있으며, 이는 훗날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에 적용되는 룰의 전신이 되었다.
원작 및 OCG와는 달리 카드 투입 매수 제한이 없어서 1종류의 카드만으로 덱을 짜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이 되어서야 투입 매수가 3장으로 제한되었다.
통신 대전에서는 소위 앤티 룰이라는 것이 적용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본 게임에서는 플레이어간의 실력으로 인한 격차가 더욱 벌어지는 성질을 띄고 있다.
또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과는 다른 개념 중 하나로 특정 조합의 카드를 동시에 트레이드하는 것으로 새로운 카드로 변화시키는 '통신 융합'이라는 시스템이 존재한다. 본 게임 최강의 몬스터인 궁극완전체 그레이트 모스는 이 방법으로만 입수가 가능한데, 게임 중 1장밖에 입수할 수 없는 카드[3]가 3장 필요하다. 이는 후속작인 II, III, 그리고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봉인된 기억에서도 도입되었다.
이 게임에서는 상대 라이프 포인트에 5000 데미지를 주는 화염 지옥이라는 카드가 최강 카드로서 주목을 받았지만, 이 카드의 입수 방법은 '200명 이상의 상대와 통신대전한다'라는 불가능한 조건에 가깝다. 2개 이상의 카트리지를 구입해서 통신 대전하고 한쪽 데이터를 지우는, 이른바 리세마라를 실행하려 해도 본작에서는 데이터 초기화 기능이 없다. 어떻게 해서든 데이터를 지우려면 카트리지의 버튼 전지를 제거하고, 전원이 들어간 상태에서 카트리지를 꺼냈다가 다시 넣는 등의 부정한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 이런 방법으로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플레이어가 많아 상태가 좋지 못한 카트리지가 많았기에, 게임 중고 판매점에서 이 게임의 매각이 거부되는 일도 심심찮게 있었다. 또한 데이터 초기화를 위한 비밀 커맨드는 발매된 지 10년도 더 지나고 나서야 발견되었다.
카드명 표기에 한자가 사용되지 않으며, 텍스트 표기 수가 한정된 게임보이의 레이아웃 특성상 듀얼 중에 카드명은 8글자까지밖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은 게임보이 전용 시리즈에서 계속되었다.
일본에서의 누계 출하 매수는 161만장. 캐릭터 게임으로서는 당대 1위의 매출을 자랑했다.[4]
3. 게임 시스템
3.1. 룰
- LP(라이프 포인트)는 8000으로 시작한다.
- 플레이어와 CPU는 서로 몬스터 카드나 마법 카드를 1장씩 꺼낸다. 여러 장을 꺼낼 수는 없으며, 반드시 1장을 꺼내야 한다. 이후 꺼낸 카드 수 만큼 다음 턴에 자동으로 카드가 드로우된다.
- 패 5장, 필드 5장으로 합계 10장이 최대 매수이며, 필드에 6장째 카드를 꺼낼 경우 기존에 있는 카드에 겹쳐서 낼 필요가 있다. 이 때 밑에 있던 카드는 삭제된다. (융합은 예외)
- 몬스터를 공격 표시나 수비 표시로 꺼낸다. 마법 카드는 패에서 직접 사용한다. 강화 계열 마법 카드만 몬스터에 겹쳐서 효과를 적용한다.
- 이후 각종 몬스터의 표시 형식(공격 표시, 수비 표시)을 전환할 수 있으며, 공격할 경우 공격 대상이 되는 몬스터를 선택한다.
- 공격시에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 공격 대상 몬스터가 공격 표시였다면, 전투에서 승리한 몬스터와 파괴된 몬스터의 공격력 차이만큼 전투에서 패한 플레이어의 LP에 전투 데미지를 준다.
- 공격 대상 몬스터가 수비 표시였다면, 공격한 몬스터의 공격력이 그 수비력을 넘었을 경우 대상 몬스터는 파괴된다. 공격 대상의 수비력이 공격한 몬스터의 공격력을 넘었을 경우 그 차이만큼 자신이 전투 데미지를 받는다.
- 상대 필드에 남은 몬스터가 없으면 직접 공격해서 그 공격력만큼 상대 LP에 전투 데미지를 준다.
- 특정 몬스터 2장을 겹쳐서 융합 소환이 가능하다.
- 강화 계열 마법 카드는 여러 장 존재하지만 사용 가능한 몬스터에 차이가 있으며, 효과는 일률적으로 공격력이나 수비력 강화만 존재한다. 몬스터 1장에 겹칠 수 있는 카드는 2장까지.
- 필드 계열 마법 카드는 적 아군 불문하고 필드에 있는 몬스터 전체에 적용되며, 능력에 영향을 준다.
- LP 회복 계열이나 데미지 계열 마법 카드가 처음 등장하지만 수는 적다.
3.2. 기본 시스템
- 초기 덱은 어느 정도 경향은 있지만 무작위로 선정된다. CPU와의 대전을 통해 카드를 입수하여 덱을 강화할 수 있다.
- 입수 카드는 듀얼 1회에 1장씩 무작위로 얻는 것이 기본이지만, 각 캐릭터와 10회 대전할 때마다 푸른 눈의 백룡처럼 원작에서 활약한 카드나 레어 카드를 1장씩 추가로 받을 수 있다.(최대 100회까지) 그밖에 무작위로 입수하는 강력한 카드나 레어 카드도 존재한다.
- 각 캐릭터를 일정 횟수만큼 쓰러뜨릴 때마다 배 내부 → 섬 → 더 상위에 있는 캐릭터로 스테이지가 진행된다. 각 캐릭터는 몇 번이고 대전할 수 있으며, 최종보스인 페가수스 J. 크로포드를 5번 쓰러뜨리면 스태프롤이 흘러가면서 엔딩. 다만 게임 자체는 무한 루프로 진행된다.
- 모든 듀얼에서 5번 이기면 숨겨진 스테이지로 갈 수 있다.
- 통신 케이블을 사용해서 다른 플레이어와 카드 교환이나 대인전이 가능하다. 승패도 자동으로 기록되며, 대인전 특전으로만 받을 수 있는 카드도 있다.
- 특정 카드를 세트로 해서 교환하면 '통신 융합'이 가능하다. 융합한 카드는 1장의 카드로서 그대로 필드에 꺼낼 수 있다.
- 특정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게임 오리지널 레어 카드를 몇 가지 입수할 수 있다. 이 패스워드는 원작자를 비롯해 제작에 참여한 스태프 이름에서 따온 것.[5]
4. 등장인물
- 1 스테이지
- 2 스테이지
- 3 스테이지
- 4 스테이지
- 5 스테이지
- 기타
5. 평가
시리즈 첫 작품이라 그런지 완성도가 미숙한 부분이 많으며, 특히 CPU 대전의 퀄리티는 기대할 것이 못 된다. 모티브가 되는 매직&위저드부터 상세한 룰이 나오지 않았다 보니 제대로 된 게임으로서 즐기기 위한 룰이 아직 갖춰지지 않았다는 문제도 있었을 것이다.그러나 게임성 운운하지 않고 '만화에 나오는 카드를 쓸 수 있다', '만화에 나오는 캐릭터와 싸울 수 있다', '친구와 듀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요가 있었기에 발매 당시에는 굉장한 인기를 누렸다. 결과적으로 캐릭터 게임으로서는 대성공을 거둔 셈이므로 후속작은 물론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까지 나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줬다고 볼 수 있다.
5.1. 장점
- 각 캐릭터가 원작에서 사용한 카드로 듀얼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캐릭터 게임으로서의 재현도는 나쁘지 않다. 원작에서 등장한 카드는 1컷밖에 나오지 않은 것이라도 모두 원작에서 표기된 능력치대로 등장하며, 캐릭터가 원작에서 꺼낸 대사를 치는 등 리스펙트는 제대로 되어 있다.
- 게임 밸런스가 의외로 나쁘지 않다. 평범하게 덱을 강화하다 보면 순조롭게 승리가 가능해진다.
- 통신 대전을 통해 친구와 듀얼이 가능하다.
- 반다이에서 발매하던 카드 다스 전용 카드와는 달리 통일된 룰로 진행이 가능하다는 의의가 있다.
5.2. 단점
- 카드를 1턴에 1장밖에 꺼낼 수 없기 때문에 카드 게임의 취지라고도 할 수 있는 수읽기나 전술 싸움은 기대할 것이 못 된다.
- CPU전에서는 강한 카드만 하나 꺼내 놓아도 웬만해서 질 일이 없으며, 반대로 상대가 강한 카드를 꺼내놓으면 거의 이길 수가 없다.
- 융합이나 마법 카드로 몬스터를 강화할 수 있지만, 1턴에 1번밖에 카드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강화하기도 전에 쓰러지는 경우가 대다수다. 사실상 이미 유리한 상황을 더욱 유리하게 만드는 쐐기 박기용으로밖에 쓸 수 없다.
- 대전 캐릭터는 하나같이 마법 카드를 일절 사용하지 않으며, 조건이 갖춰지면 가끔씩 융합 소환을 해오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몬스터로 공격하거나 수비만 해대는 단조로운 플레잉이 이어진다. 이는 후속작에서도 이어진다.
- 함정 카드는 커녕 마법 카드를 세트하는 개념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위기 상황에 대처할 방법이 없다.
- 효과 몬스터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본작에서 효과 비슷한 것이 있는 몬스터는 특수 승리 능력이 있는 봉인된 엑조디아, 턴마다 진화가 가능한 그레이트 모스 계열 몬스터 뿐.
- 부조리하게도 CPU는 플레이어의 세트 카드를 CPU는 전부 확인할 수 있다. V점프 공략본에서조차 '상대가 천년 아이를 장비했다고 생각하라'는 소리를 대놓고 하고 있을 정도.
- 공격 표시로 유지되는 몬스터는 반드시 상대 몬스터를 공격해야 한다. 따라서 상대 필드에 아무리 강한 몬스터가 있어도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두고 싶다면 다른 수비 표시 몬스터에 들이받는 수밖에 없다.
- 페가수스 J. 크로포드를 5번 승리하면 스태프롤이 흐르는데, 이는 스킵할 수 없는데다 끝까지 봐도 타이틀로 돌아가지 않아서 계속 하려면 전원을 다시 켜야 한다. 승리 보수 파밍시 귀찮을 수밖에 없는 요소.
- 메뉴창에 데이터 초기화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6] 리세마라를 막으려는 의도로 추정되지만, 데이터 소거와 통신을 전제로 하면 레어 카드는 간단히 모이기 마련이니 별 소용은 없다는 것이 문제.
- 최강의 몬스터 카드인 완전궁극체 그레이트 모스는 게임 중 1장밖에 입수할 수 없는 꼬마 모스가 3장 필요한데다, 추가로 입수 난이도가 높은 체인지 슬라임이 8장이나 요구된다. 상술했듯 일반 플레이로는 세이브 데이터를 지울 수 없으니 최소 게임 3팩을 질러야 한다는 뜻이 된다. 일단 DM2 이후의 시리즈에 카드를 보내서 입수하는 것은 가능.
- 카드 입수시 덱에서 카드를 빼내고 가방 채널에서 그 카드가 있는 칸까지 이동해야 한다. 가방 끄트머리부터 찾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200번 언저리부터는 입수한 카드를 찾기가 귀찮아진다.[7]
6. 동봉 카드
전 시리즈인 유희왕 몬스터 캡슐 브리드 & 배틀에 이어서 본 게임의 홍보용으로 10종류의 컬렉터즈 카드들이 동봉 수록되었다. 팩에서는 이들 중 1장이 랜덤으로 수록되어 나온다.
카드 프레임은 원작 매직&위저드의 것에 더 가까운 형태로, 몬스터 카드들은 레벨 / 공격력 / 수비력만 표기되어 있으며, 마법 / 함정 카드 또한 효과만 적혀있다. OCG 카드와 호환되지 않는 만큼 당연하게도 공식 듀얼에서는 사용할 수 없지만, 여기서 사용된 일러스트는 이후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에서 사용되는 카드로 재활용되었다.
- 함정 카드
7. 기타
- 본작이 발매되기 5개월 전에 발매된 게임보이 전용 게임 '고기압 보이(高気圧ボーイ)'와 시스템이나 디자인이 흡사하다. 제작진도 일부 겹치는 것을 보면 해당 게임에서 사용된 리소스를 유용해 온 것으로 보인다.
- 1999년 초에 일본에서 이 게임으로 전국 대회가 개최되었는데, 화염 지옥을 포함하여 상대에게 직접 데미지를 주는 마법 카드는 당연하게도 예선을 포함해서 금지 카드로 지정되었다. 우승 상품은 카오스 솔저,[8] 준우승 상품은 제라, 입상자 상품은 슈퍼 워 라이온, 데블즈 미러 카드가 수여되었으며, 전부 일반 카드와는 달리 스테인레스 재질로 되어 있다. 물론 공식 듀얼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며, 이들은 이후 의식 몬스터 버전으로 리메이크 되어서야 듀얼에서 사용해볼 수 있게 되었다.
- 제목에서 DM이라고 적혀 있으나 GB/GBC/GBA 시리즈는 애니메이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와 전혀 관계가 없다. 왜냐하면 듀얼몬스터즈란 이름은 반다이에서 먼저 지은 이름이며, 코나미에서 그것을 이어받아 애니메이션 이름에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겉표지 일러스트 역시 1편은 토에이판의 그것이며, 2편부터는 원작 기반의 일러스트를 사용한다. 다만 겉표지만 토에이판이고 인게임 일러스트는 원작 기반의 일러스트이고, 스토리 전개도 원작을 그대로 재현했는데 이는 애니메이션보다 정확히 1년 반이나 빨리 이루어진 것이다.
- 이 게임의 오리지널 캐릭터로 등장한 '시몬 무란'은 본작 이후로도 게임보이 어드밴스, 플레이스테이션으로 발매된 게임 시리즈에서 계속 출현하다가 훗날 본편의 왕의 기억 편에서 파라오와 여섯 신관 중 하나로 등장하게 되었다.
- 후속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와 그 다음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과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화염 지옥이나 치료의 신 다이안 켓 등 이 게임에서 얻기 힘든 카드는 두 작품을 이용하는 편이 나을 수 있다.
- 앞서 언급한 문제의 데이터 초기화 커맨드는 다음과 같다.
- 타이틀 화면에서 아래, 위, B, 아래 2번, 오른쪽, 위 4번, B + 아래.
- 2025년에 발매된 유희왕 얼리 데이즈 콜렉션을 통해 Nintendo Switch에서도 플레이해볼 수 있게 되었다.
[1] 오리지널 캐릭터 디자인, 오리지널 몬스터 디자인 포함.[2] 나레이션은 1998년판 유희왕 TVA에서 어둠의 유우기의 성우를 담당한 오가타 메구미.[3] 공략본 해설에 의하면 초기 덱에 투입될 가능성은 있다.[4]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가 250만장이라는 매출이 나오면서 갱신되었다.[5] 가령 유희왕의 원작자인 타카하시 카즈키의 이름을 카타카나(タカハシカズキ)로 입력하면 요정의 선물을 입수할 수 있다.[6] 리셋 자체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서 2015년이 되어서야 데이터를 소거하는 방법이 발견되었다.[7] 참고로 카드 입수시에는 카드명 앞에 카드 번호가 뜨기 때문에 '13213번째 매장자를 손에 넣었다' 같은 메시지를 볼 수 있다.[8] 세계에 1장밖에 풀리지 않아서 옥션에 출품되었을 때에는 202만엔에 낙찰되기까지 했을 정도의 레어 상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