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03 17:17:38

외래어 표기법/세르보크로아트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외래어 표기법
한국어외래어 표기법
국제음성기호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에스파냐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중국어 폴란드어 체코어 세르보크로아트어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타이어
베트남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러시아어 라틴어 · 그리스어 · 기타 언어 표기 언어별 미비점

1. 개요2. 규정
2.1. 세르보크로아트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2.2. 표기 세칙
3. 문제점
3.1. dj, tj에 대한 규정3.2. 무성 자음 앞 k·p 표기 문제

1. 개요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이 정한 외래어 표기법세르보크로아트어(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 등)를 표기하는 방법.

1992년에 문화부고시 제1991-31호 '동구권 5개 언어의 외래어 표기법'이라는 이름으로 체코어, 폴란드어, 루마니아어, 헝가리어와 함께 공표되었다.

2. 규정

2.1. 세르보크로아트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규정에는 로마자 자모만 제시되어 있으며, 키릴 문자 자모는 편의를 위해 추가하였다.
로마자 자모 키릴 문자 자모 한글 보기
모음 앞 자음 앞ㆍ어말
자음bбbog 보그, drobnjak 드로브냐크, pogreb 포그레브
cцcigara 치가라, novac 노바츠
čчčelik 첼리크, točka 토치카, kolač 콜라치
ć, tjћnaći 나치, sestrić 세스트리치
dдdesno 데스노, drvo 드르보, medved 메드베드
џdžep 제프, narudžba 나루지바
đ, djђĐurađ 주라지
fфfasada 파사다, kifla 키플라, šaraf 샤라프
gгgost 고스트, dugme 두그메, krug 크루그
hхhitan 히탄, šah 샤흐
kкㄱ, 크korist 코리스트, krug 크루그, jastuk 야스투크
lлㄹ, ㄹㄹlevo 레보, balkon 발콘, šal 샬
ljљ리*, ㄹ리*ljeto 레토, pasulj 파술
mмㅁ, 므malo 말로, mnogo 므노고, osam 오삼
nнnos 노스, banka 반카, loman 로만
njњ니*Njegoš 네고시, svibanj 스비반
pпㅂ, 프peta 페타, opština 옵슈티나, lep 레프
rрriba 리바, torba 토르바, mir 미르
sсsedam 세담, posle 포슬레, glas 글라스
šш시*슈, 시šal 샬, vlasništvo 블라스니슈트보, broš 브로시
tтtelo 텔로, ostrvo 오스트르보, put 푸트
vвvatra 바트라, olovka 올로브카, proliv 프롤리브
zзzavoj 자보이, pozno 포즈노, obraz 오브라즈
žжžena 제나, izložba 이즐로주바, muž 무주
반모음jј이* pojas 포야스, zavoj 자보이, odjelo 오델로
모음aа bakar 바카르
eе cev 체브
iи dim 딤
oo molim 몰림
uу zubar 주바르
  • lj, nj, š, j의 '리, 니, 시,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음절로 적는다.

2.2. 표기 세칙

  • 제1항: k, p
    k, p는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jastuk 야스투크 opština 옵슈티나
  • 제2항: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kula 쿨라
  • 제3항: m
    어두의 m이 l, r, n 앞에 오거나 어중의 m이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mlad 믈라드 mnogo 므노고 smrt 스므르트
  • 제4항: š
    š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šljivovica 슐리보비차 Niš 니시
  • 제5항: 자음에 '예'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bjedro 베드로 sjedlo 셰들로

3. 문제점

3.1. dj, tj에 대한 규정

세르보크로아트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에서는 dj를 đ, tj를 ć와 같이 묶어서 표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세르보크로아트어 로마자에서 dj와 tj는 각각 đ와 ć의 대용 표기일 뿐만 아니라 tjedan이나 djedovina처럼 단순히 /d/와 /j/, /t/와 /j/의 조합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두 경우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각각 đ, ć의 대용 표기로만 보고 있다. 또한 입력의 용이함을 이유로 đ를 dj로 옮기는 경우는 많으나, ć를 tj로 옮기는 경우는 listje – lisće – lišće, radostju – radosću – radošću와 같은 음운 변동을 나타낼 때에 주로 한정되므로 대용 표기라고 하더라도 그 쓰임새가 다르다.

이러한 규정을 기계적으로 적용하면 크로아티아어 인명인 Nedjeljko [nědjeːʎko]·Stjepan [stjêpaːn]을 구개음화되지 않은 형태의 네델코·스테판이 아닌 구개음화된 형태의 네젤코·스체판과 같이 적게 된다. 그러나 국제음성기호의 발음 표기를 참고하여 다른 세르보크로아트어 규정을 준용한다면 네델코·스테판이 더 타당한 표기라고 할 수 있다(표기세칙 제5항 참고). 유사점이 많은 슬로베니아어권 인명인 Sebastjan Cimirotič, Matjaž Kek를 세바스티안 치미로티치, 마티아시 케크로 적는 것을 참고할 수 있다(후자의 경우 마티아즈나 마탸즈의 관용 표기 존재).[1] dj와 tj에 대한 규정은 đ와 ć의 대용 표기일 때, /d/ + /j/ 및 /t/ + /j/일 때의 규정을 따로 두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세르보크로아트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내에서도 예시로 제시된 odjelo는 '오젤로'가 아닌 '오델로'로 표기를 제시하고 있어 서로 상충된다.

3.2. 무성 자음 앞 k·p 표기 문제

표기 세칙 1항과 관련된 표기 용례 가운데 지명인 스릅스카(Српска / Srpska)가 있다. 그런데 이와 유사한 폴란드어 표기 용례인 시에르프츠(Sierpc)를 보면 받침 표기에 있어서 불필요한 구분점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1] 슬로베니아어는 별도의 외래어 표기법이 존재하지 않아 Mitja Gasparini와 같이 미차 가스파리니로 굳어져 있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