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1 00:06:52

왕광연

파일:왕광연2.png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colcolor=#fff><colbgcolor=#0047a0> 국신(國臣, 國信)[1]
출생 1872년 10월 26일
경기도 남양도호부 수산면 사강동
(現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사강리 523번지)
사망 1951년 12월 24일 (향년 79세)
본관 개성 왕씨[2]
묘소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사강리[3]
상훈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1. 개요2. 생애3. 가족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2. 생애

1872년 10월 26일 경기도 남양도호부 수산면 사강동(現 화성시 송산면 사강리 523번지)에서 아버지 왕진춘(王鎭春, 1852 ~ ?)과 어머니 조씨(趙氏, 1853 ~ 1942.4.17.) 사이에서 무녀독남으로 태어났다.

12대조 왕무(王懋, 1467 ~ 1531)는 경흥도호부사(慶興都護府使, 종3품)[4]를 지냈고, 11대조 왕희걸(王希傑, 1505 ~ 1553. 3. 3)은 1534년(중종 29) 생원시[5], 1543년(중종 38) 문과[6]에 차례로 합격한 뒤 명종홍문관 부제학까지 올랐다. 10대조 왕빈(王儐)은 선조 때 문화현령(文化縣令, 종5품)[7]에까지 올랐고, 9대조 왕경우(王景祐)는 1603년(선조 36) 진사시[8], 1605년(선조 38) 문과[9]에 차례로 합격한 뒤 선조 때 성균관 전적(典籍)[10]에까지 올랐다. 그러나 8대조 왕락(王洛) 대 이후로는 관직에 진출하지 못했고, 왕광연이 태어날 때 집안은 이미 빈농으로 전락해 있었다. 왕광연은 초가집 6칸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그마저도 타인의 밭을 소작하는 소작농이었다.#

1919년 3월 26일 아침에 김진홍(金鎭鴻)의 집에 갔다가 정오가 지난 후에야 귀가했다. 그리고 세금을 내러 송산면사무소에 가던 도중 홍효선(洪孝善)의 권유로 태극기를 들고 홍면(洪冕)을 비롯한 100여 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이틀 후 사강리 장날인 28일에도 홍면(洪冕) 등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는 28일 당일 잠깐 외출하였다가 정오경에 돌아와 홍종업(洪種業)의 집에서 담소를 나누고 있었는데, 1천여 명의 독립만세 시위군중이 모여 있던 뒷산으로부터 총성이 들렸다.

이 때 그는 음덕면 남양리 사람으로부터 이 총성이 일본인 순사부장 노구치 고조(野口廣三)이 해산명령에 굴하지 않고 계속 독립만세운동을 지휘하던 홍면에게 가한 발포소리이며, 이 발포로 홍면이 어깨에 관통상을 입었다는 것을 전해 들었다. 그는 즉시 현장으로 달려갔는데, 이미 노구치 고조는 분노한 군중을 두려워하여 사강리 주재소 방향으로 도망치고 난 뒤였다.

이에 그는 홍면의 동생 홍준옥(洪㻐玉)·장인 김명제(金命濟)·문상익(文相翊)·김교창(金敎昌)·김용준(金容俊) 등과 함께 추적하여 주재소에 미처 도착하지 못한 노구치 고조를 도로에서 포위하였다.

이 때 이태순(李泰順)이 발로 순사부장의 자전거를 차서 넘어뜨리자, 왕광연은 그를 죽이라고 외치고 뛰어서 도망치는 그의 머리를 몽둥이로 쳐서 넘어뜨리고 투석으로 살해하는 등, 격렬하게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었다.

1920년 4월 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 바 소요·살인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2년형을 선고받아 이에 공소하여 그해 5월 31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위와 같은 혐의에 대해 원심 판결 중 본인에 관한 부분이 취소되었으나 미결 구류일수 중 200일이 본형에 산입되었을 뿐 형기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에 상고했으나 그해 7월 5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위와 같은 혐의에 대해 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그후 복역 중 1924년 황태자였던 히로히토의 결혼을 기념하여 내려진 특별 사면에 의해 징역 9년 1개월 20일로 감형되었으며, 1927년 2월 24일 경성복심법원에서 히로히토 즉위를 기념하여 내려진 이른 바 쇼와 2년(1927) 칙령 제11호 대사령(大赦令) 제1조 제21호 제14호에 의해 보안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사면을 받고 살인 및 소요 혐의에 대해서만 형법 제52조에 의해 형기가 정해져, 그 결과 징역 8년 10개월 20일로 감형되었다.#

1927년 12월 27일 만기 출옥하였으며, 출옥 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8.15 광복을 맞았다.

이후 1951년 12월 24일 별세하였다.

197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3. 가족

  • 12대조: 왕무(王懋) - 경흥도호부사[11]
  • 11대조 : 왕희걸(王希傑) - 생원, 문과, 명종홍문관 부제학
  • 10대조 : 왕빈(王儐) - 용양위 중부장(龍驤衛中部將)[12], 광흥창 주부(廣興倉主簿)[13], 문화현령(文化縣令)[14]
  • 9대조 : 왕경우(王景祐) - 진사, 문과, 성균관 전적(典籍)[15]
  • 현조부 : 왕명인(命仁) - 현조모 : 김해김씨
  • 고조부 : 왕경(儆) - 고조모 : 남양홍씨[16]
  • 증조부 : 왕재성(載成) - 고조모 : 전주이씨
  • 조부 : 왕윤록(允錄) - 조모 : 해풍김씨[17]
  • 부 : 왕진춘(鎭春) - 모 : 조씨
  • 배위 : 남양 홍씨
    • 아들 : 왕화식(和植) - 며느리 : 전주이씨[18]
      • 손자 : 왕의명 - 손부 : 남양홍씨
        • 증손 : 왕기일, 왕규열, 왕규희, 왕금희
      • 손자 : 왕의웅 - 손부 : 남양홍씨
        • 증손 : 왕규형, 왕여진
      • 손자 : 왕의항 - 손부 : 동래정씨
        • 증손 : 왕규원, 왕희진, 왕아진
      • 손자 : 왕대항 - 손부 : 남양홍씨
        • 증손 : 왕계진, 왕선진
      • 손자 : 왕부항
      • 손녀 : 왕미숙 - 손서 : 전주이씨 훈재


[1] 1919년 예심신문조서 (공판 시말서)[2] 동양군파(東陽君派)-세마공파(洗馬公派) 28세 연(演) 항렬.[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홍대하의 딸[17] 김판경의 딸[18] 이웅환의 딸